KR200188587Y1 - 도어용 안전키 - Google Patents

도어용 안전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587Y1
KR200188587Y1 KR2020000003342U KR20000003342U KR200188587Y1 KR 200188587 Y1 KR200188587 Y1 KR 200188587Y1 KR 2020000003342 U KR2020000003342 U KR 2020000003342U KR 20000003342 U KR20000003342 U KR 20000003342U KR 200188587 Y1 KR200188587 Y1 KR 200188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safety key
locking plate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병래
Original Assignee
사병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3149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11911A/ko
Application filed by 사병래 filed Critical 사병래
Priority to KR2020000003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5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3/00Time locks
    • E05B43/005Timer devices controlling electrically operate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03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the detent moving rectilinearly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용 안전키에 관한것으로, 도어를 개방한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데드볼트가 인출되어 잠금모드로 전환됨은 물론, 데드볼트가 인출된 상태에서도 도어를 닫아 안전키를 잠금모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인명과 재산을 효과적으로 보호함과 동시에 최대한의 사용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된 도어용 안전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용 안전키{SAFETY KEY FOR DOOR}
본 고안은 도어용 안전키, 더욱 상세히는 도어록이 설치된 도어에 더 설치하여 확실한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안전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개방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도어의 개방상태와 관계없이 잠금모드로 전환되고, 잠금모드에서도 도어를 닫을 수 있도록한 도어용 안전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에는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록이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아파트나 사물실 등의 현관도어에는 더욱 확실한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보조키로 통칭되는 안전키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외부 출입자로부터 재산과 인명을 보호하고 있음은 주지와 같으며, 근래에는 열쇠를 휴대해야하는 불편을 해소시킬 수 있도록 누름버튼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시킴으로써 도어를 개폐시키는 전자식 안전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한 종래 전자식 안전키는, 본체 일측에 데드볼트 (Dead Bolt)가 선택적으로 출몰하도록 설치되고,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정역모터가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데드볼트를 출몰시켜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안전키에서는 데드볼트가 본체 내부로 인입된 개방모드에서 도어를 열었을 경우, 인위적으로 비밀번호를 입력시켜 잠금모드로 전환시키지 않는 한 안전키의 기능은 상실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즉, 사용자가 외출을 위해 안전키를 개방모드로 전환시킨후 도어를 열고 밖으로 나올경우, 사용자는 도어 외부에서 다시한번 안전키를 잠금모드로 전환시켜 주어야하며, 외출후에도 안전키를 개방모드로 전환시켜 실내로 들어온후 도어를 닫고 다시한번 안전키로 잠금모드로 전환해야만 안전키의 기능이 유지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과 함께 긴급상황 발생시에 안전키를 잠그거나 열기위한 모드변환에 시간이 요구되어 신속한 대응이 어려워 진다는 점이 그것이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귀가하는 도중 치한 또는 강도로부터 추격을 당할경우, 사용자는 신속히 안전키를 열고 실내로 들어가 다시 안전키를 잠금모드로 전환시켜야 하는데, 평상시에는 사용상의 불편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이러한 긴급상황에서는 침입자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없게 되므로 결국 안전키의 기능상실을 유발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도어를 개방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데드볼트가 인출되어 잠금모드로 전환됨은 물론, 데드볼트가 인출된 상태에서도 도어를 닫아 안전키를 잠금모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인명과 재산을 효과적으로 보호함과 동시에 최대한의 사용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된 도어용 안전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안전키는, 본체내에 수납설치되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모드변환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역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감속,정역구동하는 이송나사축과, 상기 이송나사축의 정역구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로킹플레이트와, 상기 로킹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된 한쌍의 데드볼트와, 상기 이송나사축의 양측에 삽입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로킹플레이트의 이동을 원위치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안전키의 잠금상태 배면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안전키의 잠금해지상태 배면구성도.
도4는 본 고안 안전키의 잠금상태에서의 작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제어부
3 : 모터 4 : 감속기구
5 : 이동나사축 6 : 로킹플레이트
7 : 데드볼트 8a,8b : 탄성부재
12 : 고정돌기 31 : 구동기어
51 : 피동기어 52 : 나사부
53 : 이송너트 62 : 고정부
63 : 지지부 71 : 체결부
72 : 경사면
이하에서 상기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안전키(S)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2에서는 본 고안의 일부를 분해 도시하였다.
본 고안 안전키(S)는,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사각틀체의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일측에 수납설치되어 도어 외측에 설치된 번호입력부의 입력신호에 의해 모드변환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2)와, 상기 제어부(2)의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역구동하는 모터(3)와, 상기 모터(3)와 감속기구(4)로 연결되어 감속 정역구동 하도록 본체(1)내에 축설치된 이송나사축(5)과, 상기 본체(1)내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나사축(5)의 정역구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로킹플레이트(6)와, 상기 본체(1) 일측으로 출몰하도록 로킹플레이트(6)에 고정설치된 한쌍의 데드볼트(7)와, 상기 이송나사축(5)의 양측에 삽입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로킹플레이트(6)의 이동을 복귀시키는 탄성부재(8a,8b)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그 내부에 로킹플레이트(6)를 지지안내하는 가이더(11)가 대향 돌출형성되며, 모터(3)와 감속기구(4)들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돌기(12)를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2)는, 도어 외측에 설치된 번호입력부에 비밀번호를 입력시킬 경우 모터(3)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드변환 동기 신호를 발생하도록 전기, 회로적으로 구성 설치된다.
상기 감속기구(4)는, 모터(3)의 구동기어(31)와 이송나사축(5)의 피동기어 (51)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감속기어(41,42)로 구성되며, 상기 감속기어(41,42)들을 각각 본체(1)의 고정돌기(12)에 회전가능하게 축설치된다.
상기 이송나사축(5)은, 본체(1)의 고정돌기(12)에 축설치되고, 그 외면에는 나사부(52)가 형성되며, 나사부(52)의 대략 중앙에는 이송너트(53)가 구비된다.
상기 로킹플레이트(6)는, 가이더(11)사이에 설치되고 그 상하부에 본체(1)에 고정된 가이드핀(13)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홈(61)이 형성되며, 그 선단(도면상 좌측)에는 후술하는 데드볼트(7)가 체결고정되는 고정부(62)가 형성된다.
또한, 로킹플레이트(6)의 후단(도면상 우측)에는 상기 이송나사축(5)이 관통되고 이송너트(53)가 회전 방지되도록 안착 고정되는 지지부(63)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지지부(63)에서 선단 방향으로는 로킹플레이트(6)의 우측이동시에 이송너트(53)의 이탈 및 회동을 방지하는 개구부(64)가 형성된다.
상기 데드볼트(7)는, 그 후단에 상기 로킹플레이트(6)의 고정부(62)에 대응하는 체결부(71)가 형성되고 그 선단에는 도어 프레임에 접촉 가압되는 경사면(72)이 형성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14)는 본체(1)에 형성된 이동홈이고, (65)는 로킹플레이트(6)에 체결고정된 노브축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 안전키(S)는 잠금모드에서 도1에서와 같이, 로킹플레이트(6)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어 데드볼트(7)들이 본체(1) 외면으로 인출된 상태로서 도어프레임의 걸림구에 삽입된 데드볼트(7)에 의해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잠금상태에서 안전키(S)를 잠금해지모드로 전환시킬 경우에는 도어의 외면에 설치된 번호입력부에 비밀번호를 입력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2)에서는 모터(3)의 정역구동 동기를 부여하게 되며, 따라서 모터(3)의 구동기어(31)는 감속기어(41,42)를 통해 피동기어(51)를 정 방향으로 저속구동 시키게 되므로, 이송나사축(5)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이송나사축(5)에 체결된 이송너트(53)는 로킹플레이트(6)의 지지부(63) 내에서 회동방지된 상태이므로 결국, 이송나사축(5)의 회동은 이송너트(53)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결과로 나타나며, 따라서 이송너트(53)가 로킹플레이트(6) 전체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데드볼트(7)가 도3에서와 같이 본체(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 즉, 잠금해지모드로 전환되며 이 경우에 도어에 대한 구속이 해지되므로 개방될 수 있게된다.
또한, 본 고안 안전키(S)는 잠금해지모드로 전환된 후 설정시간, 바람직하기는 2∼3초 경과후 자동으로 잠금모드로 변환되도록 제어부(2)에 프로그램을 입력시키게 되는데, 상기 설정시간은 본체(1)의 전면 일측에 구비된 조정버튼 등의 전기 기구적 수단에 의해 임의설정 및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사용자가 도1의 잠금모드에서 도3의 잠금해지모드로 전환시키고 실내로 들어오거나 실외로 나가면서 또는 출입을 대기하기 위해 도어를 열어 놓고 설정된 2∼3초가 경과한 경우, 제어부(2)에 의해 모터(3)가 역구동하여 이송나사축(5)의 역구동이 발생되면, 이때에는 이송너트(53)가 나사부(52)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경우에 로킹플레이트(6)는 탄성부재(8b)의 복귀력에 의해 도1에서와 같이 잠금모드로 전환된다.
그런데, 본 고안 안전키(S)의 특징은 도어가 열린상태에서도 설정시간 경과후 데드볼트(7)가 인출된 잠금모드로 전환되고, 잠금모드에서 열린 도어를 닫을 경우, 도어의 닫힘과 동시에 잠금상태가 견고히 유지된다는 점이다.
즉, 도1에서와 같은 잠금모드에서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 사용자가 데드볼트(7)를 도3에서와 같은 잠금해지모드로 인입시키지 않고서도 도어를 닫을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데드볼트(7)가 인출된 상태에서 도어를 닫을 경우 데드볼트(7)의 경사면(72)이 도어프레임과 접촉되면서 축 방향(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되므로 실현된다.
이때, 데드볼트(7)가 고정된 로킹플레이트(6)도 동시에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도4에서는 상기 작동에 의해 로킹플레이트(6)와 데드볼트(7)가 본체(1)내로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때에는 이송나사축(5)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이송너트(53)도 정지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로킹플레이트(6)의 지지부(63)가 탄성부재(8b)를 압축시킨 상태가 되며, 이와 동시에 로킹플레이트(6)의 고정부(62)는 이송너트(53)와의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8a)를 압축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어는 도어프레임과 밀착되어 폐쇄된 상태가 되며, 이후, 탄성부재(8a,8b)의 복귀력에 의해 로킹플레이트(6)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데드볼트(7)를 인출시키게 되므로 견고한 잠금상태가 된다.
한편, 전술한 잠금모드에서 잠금해지모드로의 전환은 실외측에서의 상황을 전제로한 것으로, 실내에서 도어를 열고 나갈 경우에는 본체(1)의 이동홈(14)으로 돌출된 노브축(65) 외면의 노브(도시되지 않음)를 우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 경우에는 노브축(65)이 본체(1)의 이동홈(14)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도4에서와 같이 로킹플레이트(6)와 데드볼트(7)를 인입시키게 되므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되며, 도어개방후 노브축(65)에 부여한 인장력을 해지하면 탄성부재(8a,8b)의 탄성에 의해 도1의 상태로 복귀됨은 전기와 같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 안전키는, 잠금모드에서도 도어를 닫을 수 있으므로 긴급상황 발생시에 신속한 대응에 의해 사용자의 인명과 재산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그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작동 신뢰성이 확보되어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제품선호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사각틀체의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일측에 수납설치되어 도어 외측에 설치된 번호입력부의 입력신호에 의해 모드변환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2)와,
    상기 제어부(2)의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역구동하는 모터(3)와,
    상기 모터(3)와 감속기구(4)로 연결되어 감속 정역구동 하도록 본체(1)내에 축설치된 이송나사축(5)과,
    상기 본체(1)내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송나사축(5)의 정역구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로킹플레이트(6)와,
    상기 본체(1) 일측으로 출몰하도록 로킹플레이트(6)에 고정설치된 한쌍의 데드볼트(7)와,
    상기 이송나사축(5)의 양측에 삽입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로킹플레이트(6)의 이동을 복귀시키는 탄성부재(8a,8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안전키.
KR2020000003342U 1999-07-31 2000-02-09 도어용 안전키 KR200188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342U KR200188587Y1 (ko) 1999-07-31 2000-02-09 도어용 안전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499A KR20010011911A (ko) 1999-07-31 1999-07-31 도어용 안전키
KR2020000003342U KR200188587Y1 (ko) 1999-07-31 2000-02-09 도어용 안전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499A Division KR20010011911A (ko) 1999-07-31 1999-07-31 도어용 안전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587Y1 true KR200188587Y1 (ko) 2000-07-15

Family

ID=2663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342U KR200188587Y1 (ko) 1999-07-31 2000-02-09 도어용 안전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5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836B1 (ko) * 2000-12-13 2003-04-18 테스텍 주식회사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836B1 (ko) * 2000-12-13 2003-04-18 테스텍 주식회사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4554C (en) Electric drop bolt with slidable drive mechanism
US5626039A (en) Electronic safety-lock
US6098433A (en) Lock for safes and other security devices
US4349223A (en) Burglar proof bolt
KR101363098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US20110163556A1 (en) Electromechanical Locking Device Intended for Remote Access Control
CN112459623A (zh) 电动锁体
KR100825446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200188587Y1 (ko) 도어용 안전키
US5678868A (en) Electronic door locking mechanism
KR20010011911A (ko) 도어용 안전키
US5214946A (en) Multi-controlled security lock
KR100446415B1 (ko) 전기 전자식 디지털 도어록
KR100263981B1 (ko) 도어 잠금 장치
CN215443545U (zh) 电动锁体
CZ294473B6 (cs) Patentní vložka
US4703637A (en) Electric lock with specially shaped keeper, particularly for the door to a secured locale
KR920004867Y1 (ko) 도어록의 비상 해정장치
CN112282570A (zh) 一种保险柜的门锁机构
KR10082544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0446255B1 (ko) 디지털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KR100418212B1 (ko) 도어록의 열쇠구멍 개폐장치
KR200353556Y1 (ko) 도어용 로킹장치
AU2004201499B2 (en) Electric drop bolt with slidable drive mechanism
SU1686554A1 (ru) Электрошка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