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552Y1 -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 - Google Patents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552Y1
KR200188552Y1 KR2020000002926U KR20000002926U KR200188552Y1 KR 200188552 Y1 KR200188552 Y1 KR 200188552Y1 KR 2020000002926 U KR2020000002926 U KR 2020000002926U KR 20000002926 U KR20000002926 U KR 20000002926U KR 200188552 Y1 KR200188552 Y1 KR 200188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winding
port
lead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효찬
이석호
Original Assignee
황효찬
이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효찬, 이석호 filed Critical 황효찬
Priority to KR2020000002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5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의 본체와 마우스를 연결하는 도선에 권취구를 설치하여 도선의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전화기 또는 메모대를 겸하여 사용하려는 것이다.
컴퓨터의 본체(18)와 마우스(4)를 연결하는 도선을 짹도선(2)과 마우스도선(3)으로 분리하고, 짹도선(2)의 선단부를 권취구(1)의 캡(5)에 고정하면서 접점단자(6)(7)들을 형성하여 권취드럼(8)에 형성된 링단자(9)(10)들과 접지되도록 하고, 마우스도선(3)의 선단부는 권취드럼(8)의 링단자(9)(10)들과 연결하며, 권취드럼(8)은 권취구(1)의 본체(11)에 축설하면서 하부에 설치된 스파이럴 스프링(12)과 연결시키고 권취구(1)의 일측에 스톱퍼(13)를 구비한 버턴(14)을 설치하여 스톱퍼(13)가 권취드럼(8)에 접동되게 하고, 권취구(1)의 캡(5) 상부에 전화기(19) 또는 메모대(20)를 설치하며, 권취구(1)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는 권취구(1)의 일측면에 이중테이프(15)나 암수 클립(16) 또는 압착구(17)를 형성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는 마우스 도선을 필요한 만큼만 빼내어 사용하기 때문에 마우스도선으로 인한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므로 업무에 집중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권취구 쪽에 마우스를 밀착 보관함으로써 주변의 정리정돈을 깔금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전화 또는 메모대를 이용하여 업무를 좀더 편리하게 볼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A mouse in computer constituent roll up hole}
본 고안은 컴퓨터의 본체와 마우스를 연결하는 도선에 권취구를 설치하여 도선의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전화기나 메모대를 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컴퓨터의 본체와 마우스를 연결하는 도선을 본체와 모니터의 설치장소, 그리고 마우스를 사용하는 여건을 넓게 수용하기 위해서 도선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컴퓨터를 설치하고 나면 본체와 연결된 마우스의 도선이 대부분 불필요하게 남는데, 남은 도선을 수회 감아서 밴드로 묶어놓거나 그대로 방치한 상태에서 사용함으로써 본체와 모니터, 전원공급용 전선 등 후미에 배선된 주변기기의 도선과 서로 엉기거나 도선이 책상 틈새로 들어가 찝히는 폐단이 있고, 또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해 마우스를 손으로 잡고 전·후·좌·우로 움직일때, 도선도 같이 움직이면서 도선이 휘어지고 펴지는 과정을 수도 없이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본체와 연결된 도선의 짹이 본체에서 빠지거나 책상위에 놓여진 사무용품을 감게되는 폐단이 연속됨으로써 마우스를 조작하는데 많은 불편과 신경이 쓰이고, 뿐만 아니라 오작동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마우스를 사용하는데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또 전화기나 메모대가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의 본체와 마우스를 연결하는 도선을 짹도선과 마우스도선으로 구분하여, 짹도선은 본체에서 권취구를 구성하는 권취드럼까지 연결하고, 마우스도선은 권취드럼에서 마우스까지 연결해 접점단자와 링단자에 의해 서로 접지되게 하며, 마우스도선은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해 복원력을 가지는 권취드럼에 권취되거나 풀어질 수 있게 하여 마우스 도선의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우스도선이 항상 정리된 상태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마우스도선을 권취드럼으로 권취시켜 마우스와 마우스도선을 깔금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짹도선과 마우스도선의 접지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톱퍼와 버턴이 권취드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 (가)·(나)·(다)는 권취구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7의 (가)·(나)는 권취구의 캡부분에 전화기와 메모대를 형성한 것을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권취구 2: 짹도선
3: 마우스도선 4: 마우스
5: 캡 6: 7: 접점단자
8: 권취드럼 9: 10: 링단자
11: 본체 12: 스파이럴 스프링
13: 스톱퍼 14: 버턴
15: 이중테이프 16: 암수 클립
17: 압착구 18: 컴퓨터의 본체
19: 전화기 20: 메모대
본 고안의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바람직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의 본체(18)와 마우스(4)를 연결하는 도선을 짹도선(2)과 마우스도선(3)으로 분리하고 짹도선(2)의 선단부를 권취구(1)의 캡(5)에 고정하면서 접점단자(6)(7)들을 형성하여 권취드럼(8)의 링단자(9)(10)들과 접지되도록 하고, 마우스도선(3)의 선단부는 권취드럼(8)의 링단자(9)(10)들과 연결하며, 권취드럼(8)은 권취구(1)의 본체(11)에 축설하면서 하부에 설치된 스파이럴 스프링(12)과 연결시키고 권취구(1)의 일측에 스톱퍼(13)를 구비한 버턴(14)을 설치하여 스톱퍼(13)가 권취드럼(8)에 접동되게 하였고, 권취구(1)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는 권취구(1)의 일측면에 이중테이프(15)나 암수 클립(16) 또는 압착구(17)를 형성하였다. 또한, 권취구(1)의 캡(5)에 이어폰을 사용하는 전화기(19)를 설치하거나 메모대(20)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 마우스도선(3)을 권취하기 위한 다른 구성으로 마우스(4) 일측에 공간을 마련해 스파이럴 스프링(12)을 구비한 권취드럼(8)과 스톱퍼(13)가 형성된 버턴(14)을 설치하고 마우스도선(3)을 권취드럼(8)에 바로 연결하며, 마우스도선(3)의 일측에 마우스도선을 고정시키는 스톱퍼(19)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30은 짹, 31은 모니터, 32는 마우스 조작버턴, 33은 스톱퍼 복귀용 스프링, 34는 이어폰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의 본체(18)와 모니터(31)를 설치하고, 짹도선(2)의 짹(30)을 컴퓨터의 본체(18)에 결합한 다음, 권취구(1)에 형성된 고정수단인 이중테이프(15)나 암수 클립(16) 또는 압착구(17)를 이용해 책상이나 모니터(31)의 일측에 고정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권취구(1)를 임의의 위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마우스(4)를 사용하는 것으로, 마우스(4)를 손으로 잡고 당기면 마우스도선(3)이 권취구(1)에서 풀려나오는 동시에 권취구(1)에 축설된 권취드럼(8)이 회전하고, 이것과 연결된 스파이럴 스프링(12)이 감겨지면서 탄성이 저장되는 것이며, 마우스(4)를 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스톱퍼(13)가 스프링(33)의 탄성작용으로 권취드럼(8)을 눌러 정지시켜 줌으로써 마우스도선(3)이 권취드럼(8)으로 다시 감겨지지 않게 된다.
한편, 권취드럼(8)이 회전할 때 링단자(9)(10)들도 같이 회전하면서 짹도선(2)의 접점단자(6)(7)들과 지속적인 접지상태를 유지하고, 또 짹도선(2)도 컴퓨터의 본체(18)와 연결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마우스조작 버턴(32)의 조작신호를 컴퓨터의 본체(18)로 전송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이 끝나면 권취구(1)에 설치된 버턴(14)을 눌러서 스텁퍼(13)를 권취드럼(8)에서 이격시키면 권취드럼(8)과 연결된 스파이럴 스프링(12)에 저장된 탄성이 작용하면서 권취드럼(8)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마우스도선(3)을 다시 권취하여 마우스(4)를 권취구(1)에 밀착 보관할 수 있고, 권취구(1)의 캡(5)에 설치된 이어폰(34)을 사용하는 전화기(19)를 이용해 전화를 걸고 받을수 있으며, 또한 메모대(20)을 이용해 메모를 하거나 메모된 내용을 간편하게 볼수 있는 것이다.
또, 마우스도선(3)을 권취하기 위한 다른 구성은 마우스도선(3)의 일측에 고정된 스톱퍼(19)를 적당한 위치에 고정하고 전술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마우스(4)를 사용한 후 마우스(4)의 일측에 설치된 버턴(14)을 눌러주면 스톱퍼(13)가 권취드럼(8)에서 이격되면서 마우스(4) 일측 공간에 마련된 스파이럴 스프링(12)의 작용으로 마우스도선(3)이 권취드럼(8)에 감겨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는 마우스도선을 필요한 만큼만 빼내어 사용하기 때문에 책상 틈새에 끼여 찝히거나 엉기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마우스도선으로 인한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므로 업무에 집중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때는 권취구 쪽에 마우스를 밀착 보관함으로써, 주변의 정리정돈을 깔끔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전화 또는 메모대를 이용하여 업무를 좀더 편리하게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컴퓨터의 본체(11)와 마우스(4)를 연결하는 도선을 짹도선(2)과 마우스도선(3)으로 분리하고 짹도선(2)과 마우스도선(3) 사이에 권취구(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
  2. 제 1항에 있어서, 짹도선(2)을 권취구(1)의 캡(5)에 고정하면서 선단부에 접점단자(6)(7)들을 형성하여 권취드럼(8)에 형성된 링단자(9)(10)들과 접지되도록 하고 마우스도선(3)의 선단부는 권취드럼(8)의 링단자(9)(10)들과 연결하며, 권취드럼(8)은 권취구(1)의 본체(11)에 축설하면서 하부에 설치된 스파이럴 스프링(12)과 연결시키고 권취구(1)의 일측에 스톱퍼(13)를 구비한 버턴(14)을 설치하여 스톱퍼(13)가 권취드럼(8)에 접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
  3. 제 1항에 있어서, 마우스(4)의 일측에 공간을 마련해 스파이럴 스프링(12)을 구비한 권취드럼(8)과 스톱퍼(13)가 형성된 버턴(14)을 설치하고 마우스도선(3)을 권취드럼(8)에 바로 연결하고 마우스도선(3)의 일측에 마우스선을 고정시키는 스톱퍼(1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권취구(1)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권취구(1)의 일측에 이중테이프(15), 암수 클립(16) 또는 압착구(1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
  5. 제 1항에 있어서, 권취구(1)의 상부에 이어폰을 사용하는 전화기(1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
  6. 제 1항에 있어서, 권취구(1)의 상부에 메모대(2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
KR2020000002926U 2000-01-28 2000-01-28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 KR200188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926U KR200188552Y1 (ko) 2000-01-28 2000-01-28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926U KR200188552Y1 (ko) 2000-01-28 2000-01-28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552Y1 true KR200188552Y1 (ko) 2000-07-15

Family

ID=19640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926U KR200188552Y1 (ko) 2000-01-28 2000-01-28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5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431B1 (ko) 2010-06-24 2012-06-05 최사라 컴퓨터 입력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431B1 (ko) 2010-06-24 2012-06-05 최사라 컴퓨터 입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1956B2 (en) Retractable co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wireless device
US7077693B1 (en) Cable management device
US9049782B2 (en) Mobile device case with retractor reel assembly for user-provided headphones
US7399199B2 (en) Cable management device
US7328868B2 (en) Wire-winding device for two kinds of cables
US20130129138A1 (en) Multi-function phone case integrating retractable earphones
US20080009329A1 (en) Cell phone with storage area for mouth and ear pieces
US9060225B2 (en) Wireless earphone
KR200461079Y1 (ko) 휴대폰 케이스
US5655726A (en) Uni-directional cord take-up device
KR200188552Y1 (ko) 권취구가 형성된 컴퓨터용 마우스
WO2013126020A1 (en) Dual self-winding retractable device for a wire of a headphone
US20050148313A1 (en) Headset cord retainer
JP3106207U (ja) コード巻取りリールのハブ収容に用いる装置
JP5597858B2 (ja) ヘッドホンのケーブルの絡み防止構造
WO2014139259A1 (zh) 一种用于电器设备的卷尺式电线
US20120163647A1 (en) Microphone-and-earphone set with functions of wire arrangement and winding
JP3124168U (ja) マイク付イヤホンコード巻取り装置
CN2285039Y (zh) 可收纳免持听筒的耳机和麦克风线的装置
KR101583425B1 (ko) 이어폰줄 엉킴 방지용 신형 이어폰
US20150316954A1 (en) Retractable wire systems for mobile devices
KR200469005Y1 (ko) 휴대단말기용 이어폰장치
KR100500226B1 (ko) 휴대폰용 목걸이형 이어폰
KR200327203Y1 (ko) 동축 상 복수개의 회전 릴을 구비한 집선 장치
KR200189828Y1 (ko) 선 엉킴 방지용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