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495Y1 - 옥이 장착된 베개커버 - Google Patents

옥이 장착된 베개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495Y1
KR200188495Y1 KR2019990030290U KR19990030290U KR200188495Y1 KR 200188495 Y1 KR200188495 Y1 KR 200188495Y1 KR 2019990030290 U KR2019990030290 U KR 2019990030290U KR 19990030290 U KR19990030290 U KR 19990030290U KR 200188495 Y1 KR200188495 Y1 KR 200188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cover
jade
pillow cover
sl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묵
Original Assignee
신동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묵 filed Critical 신동묵
Priority to KR2019990030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4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4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수면을 편안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개에 있어서,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망사상의 베개커버에 옥등을 장착토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수면이 신체를 건강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사항이라는 사정을 알고부터 수면시 가장중요한 베개에 대한 다양한 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져 왔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베개는 베개커버가 단지 직물지로 되어 있어 여기에 별도의 옥 등을 장착토록 하기 위하여는 봉재 수단을 이용하여야 함으로 봉재 작업을 위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으로 인하여 옥등을 부착할 경우에 상당한 고가의 제품으로 판매되어지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망사 상으로 제작된 베개커버에 옥을 커버의 이면에 위치시킨 후 투명시트를 이용하여 융착토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제조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베개커버.

Description

옥이 장착된 베개커버{A pillow-cover which includes jade}
본 고안은 수면 시 머리에 베고 자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개의 통기성 향상을 위하여 망사 상으로 제작된 베개커버에 옥판을 장착토록 한 것이다.
현재 알려진 바에 의하면 수면 시 건강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고 특히 숙면을 취할 경우에 건강에 가장 좋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숙면을 취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베개의 선택인 것이다.
그러나 종전 베개의 베개속은 실이나 천을 찢어서 넣었기 때문에 이러한 실이나 천이 보온력이 있어 짧은 시간에 더워짐으로 머리가 더워지게 되어 숙면의 조건에 해당되는 시원한 머리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숙면을 위하여는 이러한 베개의 개선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쉽게 더워지지 않는 좁살이나 쌀겨를 베개속을 사용토록 함으로서 어느 정도의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나 결국에서 더워지게 됨으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최근에는 베개속을 관타입의 ??상으로 제조토록 함으로서 베개를 사용할 경우에 통기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종전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베개 속은 개선하였으나 베개커버가 천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통기성이 우수하지 못하여 기대할 만큼의 효과를 내지 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망사 상으로 된 베개커버를 사용토록 함으로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나 망사 상의 베개커버는 단지 통기성만을 위주로 하였기 때문에 인체에 유익한 옥판이나 자석등을 부착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망사 상의 베개커버에 옥이나 자석등이 외부로 노출되어지도록 부착토록 함으로서 통기성은 물론 옥이나 자석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이나 자력선에 의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옥이 장착된 베개커버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옥이 베개커버에 융착되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옥판이 투명커버에 의하여 접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옥판 2: 투명커버
3: 접착테 4: 구획칸
5: 굴곡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 1도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 상의 베개커버(10)에 관 타입의 베개속(20)이 채워지고, 상기 베개속(20)은 베개커버(10)의 내공간이 구획되어진 구획칸(4)에 의하여 일정한 형상의 굴곡부(5)가 형성되어지는 것이고, 상기 굴곡부(5)가 형성되어지는 베개커버(10)의 일측면으로는 옥판(1)이 투명커버(2)에 받쳐진 상태에서 투명커버(2)의 외측이 열이나 초음파 등에 의하여 베개커버(10)와 융착되어지면서 접착테(3)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투명커버(2)는 베개커버(10)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거나 융착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고, 투명커버(2)를 사용함으로서 옥판(1)이 부착된 상태를 알게 됨으로 외관이 우수하게 되는 장점이 있고, 융착에 의하여 접착됨으로 제조가 간단한 것이다.
따라서 옥판이 망사 상의 베개커버에 의하여 외부와 노출됨으로 베개를 사용할 경우에 인체와 직접 접촉하게 되어 원적외선 등의 방사로 인하여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망사 상의 베개커버에 투명커버를 이용하여 옥판을 부착토록 함으로서 부착된 옥판이 망사 상의 베개커버로 인하여 옥판의 일부가 직접 머리에 닿게 되면서 어리를 식혀줌은 물론 옥판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건강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망사 상의 베개커버(10)에 관 타입의 베개속(20)이 차여지고, 상기 베개속(20)은 베개커버(10)의 내공간이 구획되어진 구획칸(4)에 의하여 일정한 형상의 굴곡부(5)가 형성되어지는 것이고, 상기 굴곡부(5)가 형성되어지는 베개커버(10)의 일측면으로는 옥판(1)이 투명커버(2)에 받쳐진 상태에서 투명커버(2)의 외측이 열이나 초음파 등에 의하여 베개커버(10)와 융착되어지면서 접착테(3)를 형성하게 되는 베개커버.
KR2019990030290U 1999-12-29 1999-12-29 옥이 장착된 베개커버 KR200188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290U KR200188495Y1 (ko) 1999-12-29 1999-12-29 옥이 장착된 베개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290U KR200188495Y1 (ko) 1999-12-29 1999-12-29 옥이 장착된 베개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495Y1 true KR200188495Y1 (ko) 2000-07-15

Family

ID=1960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290U KR200188495Y1 (ko) 1999-12-29 1999-12-29 옥이 장착된 베개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4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211Y1 (ko) * 2002-05-10 2002-07-31 이종혁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211Y1 (ko) * 2002-05-10 2002-07-31 이종혁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0918A (en) Therapeutic pillow
EP2208484A1 (en) Cooling tool
KR200188495Y1 (ko) 옥이 장착된 베개커버
KR20010112139A (ko) 에어큐션이 내장된 매트리스
KR200465269Y1 (ko) 숙면 유도용 두부(頭部) 가림 장치
KR200408936Y1 (ko) 개인용 온열 장치
KR200206400Y1 (ko) 옥이 부착된 침구의 옥의 부착구조
JPH11235385A (ja) 生活リズム変更装置
CN213721193U (zh) 一种新生儿舒适型水枕
JP4377795B2 (ja) 就眠用加温具
CN211300629U (zh) 一种适用于人体多部位的环形热敷器
KR200242854Y1 (ko) 매트리스용 시트지의 원적외선 방사체 부착구조
KR20140084498A (ko) 분해조립형 찜질용 발열패널
CN212815464U (zh) 一种多功能水床垫
JP2010284238A (ja) 足温器
KR200359685Y1 (ko) 기능성 베개
JP3234493U (ja) 日除けマット
JP3030906U (ja) 遠赤外線健康器
KR200286834Y1 (ko) 침대
KR200212406Y1 (ko) 표면 부재 부착 구조
KR200188034Y1 (ko) 침구용 매트리스
KR200276501Y1 (ko) 원적외선 방사 파쇄 원석이 충전된 온열 매트리스용 지압시트
CN2514737Y (zh) 一种保健枕
JP3041553U (ja) 頭が蒸れない遠赤外線放射枕
JPH0632120Y2 (ja) 布 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