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320Y1 - 콘센트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콘센트 결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8320Y1 KR200188320Y1 KR2019990030818U KR19990030818U KR200188320Y1 KR 200188320 Y1 KR200188320 Y1 KR 200188320Y1 KR 2019990030818 U KR2019990030818 U KR 2019990030818U KR 19990030818 U KR19990030818 U KR 19990030818U KR 200188320 Y1 KR200188320 Y1 KR 20018832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let
- lid
- wall
- outlet body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면에 매설 또는 부착되어 사용되는 벽콘센트나 연결콘센트에 있어서, 콘센트본체와 뚜껑에 나사공을 유기적으로 형성하여 벽 내부 또는 벽면에 콘센트를 매설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보다 손쉽게 콘센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콘센트본체와 뚜껑의 접속 부위에 상하 결합볼트를 체결함에 있어서, 절연성의 사출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원터치에 의해 90도 회전 만으로 걸림턱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센트본체와 뚜껑의 결합을 보다 간편히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콘센트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면에 매설 또는 부착되어 사용되는 벽콘센트나 연결콘센트에 있어서, 콘센트본체와 뚜껑에 나사공을 유기적으로 형성하여 벽 내부 또는 벽면에 콘센트를 매설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보다 손쉽게 콘센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콘센트본체와 뚜껑의 접속 부위에 상하 결합볼트를 체결함에 있어서, 절연성의 사출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원터치에 의해 90도 회전 만으로 걸림턱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센트본체와 뚜껑의 결합을 보다 간편히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 내부에 매설되는 벽콘센트는 벽면에 형성된 콘센트집에 콘센트를 매설할 때, 콘센트집에서 전선을 인출하여 콘센트본체에 접속한 뒤, 연결된 전선을 콘센트집 내에 밀어 넣고 콘센트 본체를 콘센트집 내의 지지대 위에 나사로 고정시킨 후, 뚜껑을 덮고 다시 결합볼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는 벽 내부의 콘센트집에서 전선을 인출하여 콘센트본체에 연결할 때, 한정된 길이의 뻣뻣한 전선을 인출하여 콘센트 접속단자에 연결한 뒤, 콘센트본체를 콘센트집 내의 지지대상에 나사로 고정시켜야 했기 때문에, 연결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번거로운 결함이 있었고, 또한 콘센트본체에 뚜껑을 결합할 때, 일일이 드라이버로 볼트를 체결해야 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폐단과 함께, 체결볼트가 금속제로 형성되어 장기간 사용시, 녹이 슬고, 절연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 결합 구조가 갖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은 벽면에 매설 또는 부착되어 사용되는 벽콘센트나 연결콘센트에 있어서, 콘센트본체와 뚜껑에 나사공을 유기적으로 형성하여 벽 내부 또는 벽면에 콘센트를 매설 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보다 손쉽게 콘센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콘센트본체와 뚜껑의 접속 부위에 상하 결합볼트를 체결함에 있어서, 절연성의 사출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원터치에 의해 90도 회전 만으로 걸림턱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센트본체와 뚜껑의 결합을 보다 간편히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콘센트의 외형 사시도,
도 2 는 동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결합부재의 발췌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결합부재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콘센트의 외형 사시도 및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콘센트본체(1)와 뚜껑(2)의 중심선상에 나사공(3)(3')이 동일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공(3)(3')사이에는 이격부(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뚜껑(2)에는 중간에 받침턱(5)이 형성된 통공(6)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는 상단에 드라이버 삽입홈(7)이 형성된 머리부(8)와, 돌기(9)가 형성된 축봉(10) 및 그 하단에 걸림돌기(11)가 형성된 절연성의 사출물로 이루어진결합부재(12)가 삽입되어, 콘센트본체(1)에 동일축상에 형성된 걸림턱(13)에 지지되어 있고, 이 걸림턱(13)의 저면에는 경사면(14)과 안착홈(15) 및 스톱퍼(16)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7, 17' 는 나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콘센트 결합 구조는 콘센트 접속시, 먼저 벽의 콘센트집에서 전선을 인출하여 콘센트 접속단자에 각각 연결한 뒤, 도 3의 하단부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콘센트본체(1)의 나사공(3)내에 나사(17)를 체결하여 콘센트본체(1)를 콘센트집 안에 고정시킨 뒤, 콘센트뚜껑(2)을 덮고, 통공(6) 내에 결합부재(12)를 넣고 회전시키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12)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1)가 콘센트본체(1)의 걸림턱(13)에 형성된 경사면(14)을 타고 넘어가 스톱퍼(16)에 걸리면서 안착홈(15)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콘센트본체(1)와 뚜껑(2)이 견고히 결합되게 된다. 다시 콘센트뚜껑(2)을 열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시킬 때와 역순으로 결합부재(12)를 역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11)가 걸림턱(13)에서 해제되면서 콘센트뚜껑(2)이 열리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이 적용된 콘센트를 연결콘센트로 사용시, 콘센트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도 3 의 상단부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콘센트본체(1)와 뚜껑(2)을 결합부재(12)로 결합시킨 뒤, 고정시키고자 하는 벽면에 콘센트를 놓고 나사(17')를 통공(3')내에 넣고 체결하여 콘센트를 벽면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 기술적 범위내에서 많은 변형 및 응용예가 가능하다. 일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재(12)는 그 기능상 외부 형태에 많은 변화가 가능하며, 단순히 그 형태에 의하여 기술적 범위가 달라지는 것은 물론 아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콘센트 결합 구조에 의하면, 종래 콘센트본체(1)와 뚜껑(2)을 일일이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결합볼트로 체결하던 번거로움에서 탈피하여 결합부재를 간단히 회전시켜 조작하는 것만으로 콘센트를 견고히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장점과 함께, 결합부재가 절연성의 사출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녹이 슬거나 절연성이 저하되는 등의 일이 전혀 없고, 콘센트를 콘센트집에 매설하거나 벽면에 콘센트를 설치하는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보다 손쉽게 콘센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 콘센트본체(1)와 뚜껑(2)의 중심선상에 나사공(3)(3')이 동일축으로 형성되고, 이 나사공(3)(3')사이에 이격부(4)가 형성되며,상기 콘센트뚜껑(2)에 받침턱(5)이 형성된 통공(6)이 형성되고, 이에는 상단에 드라이버 삽입홈(7)이 형성된 머리부(8)와, 돌기(9)가 형성된 축봉(10) 및 그 하단에 걸림돌기(11)가 형성된 절연성의 사출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2)가 삽입되어, 콘센트본체(1)에 동일축상에 형성된 걸림턱(13)에 지지되며, 이 걸림턱(13)의 저면에 경사면(14)과 안착홈(15) 및 스톱퍼(16)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결합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30818U KR200188320Y1 (ko) | 1999-12-31 | 1999-12-31 | 콘센트 결합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30818U KR200188320Y1 (ko) | 1999-12-31 | 1999-12-31 | 콘센트 결합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88320Y1 true KR200188320Y1 (ko) | 2000-07-15 |
Family
ID=1960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30818U KR200188320Y1 (ko) | 1999-12-31 | 1999-12-31 | 콘센트 결합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8320Y1 (ko) |
-
1999
- 1999-12-31 KR KR2019990030818U patent/KR20018832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09735B2 (en) | Lift cover and gasket assembly | |
US5234119A (en) | Plastic box for ceiling fan support | |
US6102360A (en) | Faceplate assembly with self-contained mounting brackets and fastening hardware | |
KR20170088541A (ko) | 패널 벽면 매립형 복합 전기단자박스 | |
US7235739B2 (en) | Box extender | |
KR200188320Y1 (ko) | 콘센트 결합 구조 | |
US4983785A (en) | Electrical wiring box with structure for fast device mounting | |
KR200433325Y1 (ko) | 파이프 장착형 원터치 케이블 클램프 | |
JPH09120726A (ja) | 絶縁用ターミナルカバー | |
US5727706A (en) | Electrical outlet box with recess for receiving cord grip | |
KR200353247Y1 (ko) | 일체형의 이동식 케이블 릴 | |
KR200392571Y1 (ko) | 코너용 멀티 콘센트기구 | |
US6863552B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metal coupling sleeve | |
KR200202301Y1 (ko) | 씽크대용 수전금구 결합장치 | |
CN219351039U (zh) | 一种配电箱 | |
JP3101050B2 (ja) | 埋込みコンセント | |
KR200209020Y1 (ko) | 부스바체결용볼트의절연캡구조 | |
KR200149934Y1 (ko) | 전원플러그 고정구조 | |
JPH0446353Y2 (ko) | ||
KR200267081Y1 (ko) | 전선캡 | |
JP3024826B2 (ja) | フロア用配線器具 | |
KR200379334Y1 (ko) | 전선용 방수장치 | |
KR910002755Y1 (ko) | 전기용품 고정용 지지대 | |
KR100664525B1 (ko) | 전선고정장치 | |
JP4321861B2 (ja) | 浴室ユニットの天井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116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