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181Y1 - Noise reductio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Noise reductio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181Y1
KR200188181Y1 KR19990029281U KR19990029281U KR200188181Y1 KR 200188181 Y1 KR200188181 Y1 KR 200188181Y1 KR 19990029281 U KR19990029281 U KR 19990029281U KR 19990029281 U KR19990029281 U KR 19990029281U KR 200188181 Y1 KR200188181 Y1 KR 200188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sound
noise
control device
adj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002928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07516U (en
Inventor
조기호
Original Assignee
조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호 filed Critical 조기호
Priority to KR19990029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181Y1/en
Publication of KR200000075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51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181Y1/en

Links

Landscapes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오디오, 라디오 TV와 같은 음향발생기기에는 음량조절장치가 부착되어 있어 이를 조절하여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나 기존의 음량조절장치로 일정한 크기의 음량을 고정시켜 놓아도, 사람이 청각으로 인지하는 소리의 크기는 그 진폭이 심하다. 예를 들어 라디오의 볼륨을 일정한 크기로 조절해 놓아도 사람의 목소리가 방송될 때와 시끄러운 음악이 방송될 때에는 청취자가 그 음의 크기를 다르게 인식한다. 또한 라디오에서 사람의 목소리로 나오는 방송내용을 정확하게 듣고 싶으서 그에 알맞게 볼륨을 조절해 놨을 경우에 중간중간에 삽입되는 음악은 아주 크고 시끄럽게 들려, 때에 따라서는 노래와 사람의 목소리가 반복될 때마다 볼륨을 재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는다. 이는 음량을 물리적, 기계적으로만 조절할 수 있고, 인간의 소리인식특성과 실제 청취되는 소리의 크기를 고려할 수 없는 기존 음량조절장치의 결함 때문에 발생한다. 그리고 라디오나 TV의 방송채널을 바꿀 때 마다 각 방송사의 송출력이나 기술상의 차이, 거리, 장애물 등에 따라서 음량조절장치를 고정시켜놓았어도 방송사 마다 소리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청취되어 방송채널을 바꿀 때 마다 음량을 다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과 전력낭비를 초래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인간의 소리인식특성에 최근접하게 음량을 조절해줄 수 있는 장치를 고안하였다.Sound generators such as audio and radio TV are equipped with a volume control device to adjust the volume of the sound. However, even if the volume is fixed with a conventional volume control device, the sound perceived by human hearing The magnitude is severe in amplitude. For example, even if the volume of a radio is adjusted to a certain size, when a human voice is broadcast and loud music is broadcast, the listener perceives the volume differently. In addition, if you want to listen to the broadcast from the radio exactly, the music inserted in the middle is very loud and loud when you adjust the volume accordingly. You experienc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adjust the volume. This is caused by a defect of the existing volume control device that can adjust the volume only physically and mechanically, and cannot consider the sound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human and the volume of the actual listening sound. Whenever you change the broadcasting channel of a radio or TV, even if the volume control device is fixed according to each broadcasting station's transmission power, technical difference, distance, obstacle, etc. It causes inconvenience and power consumption to adjust volume again. In order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we designed a device that can adjust the volume in close proximity to the following human voic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본 고안은 현재 소음측정기에서 이용되고 있는 소음척도로 자동연산 측정한 소음값에 따라 소리의 크기를 자동조절해 줄 수 있는 음량조절장치를 개발하는 것 으로, 청취자가 원하여 지정하는 소음값에 해당하는 음량 즉, 지정하는 자동연산 소음값 이상의 소리가 수신될 경우에 자동으로 청취자가 지정하는 소음값에 해당하는 음량으로 낮추어 조절해주고, 지정하는 소음값 이하로 청취될 경우에는 청취자가 지정하는 소음값에 해당하는 음량으로 상승시켜 조절해주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소음값측정시에 현재 독일, 덴마크 등 유럽에서 생산되는 일부 특수 소음측정기기에서 적용되고 있는 Sone척도를 dB(A)척도 대신에 적용하면 좀더 인간의 소리인식특성에 맞춘 음량조절장치로 개발될 수 있다. 오디오기기처럼 음악감상 전문 음향기기에는 음량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해주는 본 장치만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 음악감상에 장애가 되거나 단조로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음량조절장치와 병행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신구 두 개의 장치를 모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volume control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volume of sound according to the noise value automatically calculated by the noise measure currently used in the noise measurer. Therefore, if a volume corresponding to the noise value desired by the listener is specified, that is, a sound higher than the specified automatic operation noise value is received, the sound level is automatically lowered and adjusted to the noise value specified by the listener. In the case of listening below, the device increases and adjusts the volume corresponding to the noise value designated by the listener. This device is a volume control device that is more suited to human's sound recognition characteristics by applying the Sone scale instead of dB (A) scale, which is currently used in some special noise measuring instruments produced in Europe such as Germany and Denmark. Can be developed. Like audio equipment, if the professional audio equipment is equipped with only this unit that maintains a constant volume level, it may interfere with music enjoyment or cause monotony, so it can be selectively used in parallel with the existing volume control device. It is desirable to mount all three devices.

본 장치를 음향기기에 장착하면 인간의 소리인식특성에 가깝게 청취자가 원하는 소리의 크기를 자동조절할 수 있어, 방송채널을 바꿀 때 마다 그리고 방송 중 사람의 목소리와 노래나 음악이 바뀔 때 마다 음량을 다시 조절해줘야 하는 불편함과 그에 따른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라디오와 TV등에서 발생하는 실내외의 불필요한 소음공해의 피해도 줄일 수 있으며, 아파트와 같이 이웃집에 소음이 미칠까 염려되는 경우, 수험생이 있는 경우 처럼, 주거공간의 특성별로 또 수음자의 행동양상에 따라 소음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음향기기발생 소리를 자동조절해 줄 수도 있다.When the unit is mounted on an audio device, the volume of the sound desired by the listener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approxim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voice, so that the volume can be reset whenever the broadcasting channel is changed and whenever the voice, song or music changes during broadcasting. Inconvenience to adjust and the waste of electrical energy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of unnecessary noise pollution indoors and out of the radio and TV, and if you are concerned about the noise coming from neighboring houses such as apartments, as in the case of the examine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ipient and the behavior of the recipient.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sound generated by the acoustic equipment to prevent noise damage.

Description

소음감소자동음량조절장치{.}Noise reductio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

용어설명:Glossary:

Fast : 도로교통소음과 같이 꾸준하게 연속되는 소음의 경우에 소음값측정에 적용되는 동특성Fast : Dynamic characteristics applied to noise level measurement in case of continuous noise such as road traffic noise

소음척도 : dB(A)나 Sone와 같이 현재 소음측정에서 적용되고 있는 소음측정의 기준단위로 본 고안에서는 일차적으로 현재 전세계에서 공통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dB(A)척도를 의미하나, 현재 일부 특수측정기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Sone의 척도를 적용한 소음측정기술이 실용화단계에 이르면 Sone를 소음척도로 한다. 현재 소음척도의 소음값은 소음측정시에 Leq값으로 일반적으로는 자동연산측정값으로 나타낸다.Noise scale : The standard unit of noise measurement currently applied in noise measurement, such as dB (A) or Sone. In this design, it means the dB (A) scale commonly used all over the world. When the noise measurement technology applying the scale of the used Sone reaches the level of practical use, the Sone is measured as the noise level. The noise value of the current noise scale is the Leq value at the time of noise measurement and is generally represented by the automatic calculation measurement value.

소음값 : 음압뿐만아니라 주파수에 따라 상이한 인간의 소리크기 인식특성에 맞게 조정하여 측정되는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현재에는 dB(A)단위의 Leq값으로 자동연산 등가소음도를 중심으로 측정되고 있으나 Sone단위로 나타내는 것이 인간의 소리인식에 좀 더 근접한 소음값이 된다.Noise : It indicates the loudness measured by adjusting the sound pressure as well as the sound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humans according to frequency. Currently, it is measured based on the automatic operation equivalent noise level with the Leq value in dB (A). The unit is the noise value closer to human sound recognition.

db(A) : 현행 소음측정단위db (A) : Current noise measurement unit

Leq : 등가소음도, 일반적으로 자동연산측정값으로 나타낸다.Leq : Equivalent noise is also usually expressed by automatic calculation.

Sone : db(A)를 개량한 Zwicker식 소음측정단위Sone : Zwicker noise measuring unit with improved db (A)

A커브 : 청감보정회로커브 중에서 A커브를 말한다.A curve : A curve among auditory correction circuit curves.

목적 :purpose :

오디오, 라디오 TV와 같은 음향발생기기에는 음량(볼륨)조절장치가 부착되어 있어 이를 조절하여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음량조절장치로 일정한 크기의 음량을 고정시켜 놓아도, 사람이 청각으로 인지하는 소리의 크기는 그 진폭이 심하다. 예를 들어 라디오의 볼륨을 일정한 크기로 조절해 놓아도 사람의 목소리가 방송될 때와 시끄러운 음악이 방송될 때에는 청취자가 그 음의 크기를 다르게 인식한다. 또한 라디오에서 사람의 목소리로 나오는 방송내용을 정확하게 듣고 위하여 그에 알맞게 볼륨을 조절해 놨을 경우에 중간중간에 삽입되는 음악은 아주 크고 시끄럽게 들려, 때에 따라서는 노래와 사람의 목소리가 반복될 때마다 볼륨을 재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는다. 이는 음량을 물리적, 기계적으로만 조절할 수 있고, 인간의 소리인식특성과 실제 청취되는 소리의 크기를 고려할 수 없는 기존 음량조절장치의 결함 때문에 발생한다. 그리고 라디오나 TV의 방송채널을 바꿀 때 마다 각 방송사의 송출력이나 기술상의 차이, 거리, 장애물 등에 따라서, 음량조절장치를 고정시켜놓았어도 방송사 마다 소리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청취되어 방송채널을 바꿀 때 마다 음량을 다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과 전력낭비를 초래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인간의 소리인식특성에 최근접하게 음량을 자동조절해줄 수 있는 장치를 고안하였다.Sound generators, such as audio and radio TV, are equipped with a volume (volume) adjusting device so that the volume of the sound can be adjusted. However, even if a fixed volume is fixed with the existing volume control device, the amplitude of the sound perceived by the human hearing is severe. For example, even if the volume of a radio is adjusted to a certain size, when a human voice is broadcast and loud music is broadcast, the listener perceives the volume differently. Also, if you adjust the volume accordingly to hear exactly what the human voice is broadcasting on the radio, the music inserted in between is very loud and loud, and sometimes the volume of the song and the human voice is repeated. Suffer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adjust. This is caused by a defect of the existing volume control device that can adjust the volume only physically and mechanically, and cannot consider the sound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human and the volume of the actual listening sound. When changing the broadcasting channel of a radio or TV, the volume of sound is different for each broadcasting station and the broadcasting channel is changed even if the volume control device is fix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ower, technical difference, distance, obstacle, etc. of each broadcasting station. Each time it causes inconvenience and power consumption to adjust volume again. In order to make up for this drawback, we devised a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volume in close proximity to the sound recognition characteristics of humans.

..

제 1도는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the device

본 고안은 현재 소음측정기에서 이용되고 있는 소음척도로 자동연산 측정되는 소음값에 따라 소리의 크기를 자동조절해 줄 수 있는 볼륨조절장치를 개발하는 것으로, 청취자가 원하여 지정하는 소음값에 해당하는 음량 즉, 지정하는 자동연산 소음값 이상의 소리가 수신될 경우에 그 소음값을 소음측정장치로 측정감지하여 이를 음량조절장치에 전달하여줌으로써 자동으로 청취자가 지정하는 소음값에 해당하는 음량으로 낮추어 조절해주고, 지정하는 소음값 이하로 청취될 경우에는 이를 측정감지하여 음량조절장치를 가동시켜 청취자가 지정하는 소음값에 해당하는 음량수준으로 상승시켜 조절해주는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volume control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volume of the sound according to the noise value that is automatically calculated by the noise measure currently used in the noise measurer. When the volume, ie, the sound exceeding the designated automatic operation noise value, is received, the noise value is measured and detected by the noise measuring device and delivered to the volume control device. If it is less than the specified noise level, it is a device that increases the volume level corresponding to the noise value specified by the listener by operating the volume control device by measuring and detecting it.

이 장치는 소음값측정시에 현재 독일, 덴마크 등 유럽에서 생산되는 일부 특수 소음측정기기에서 적용되고 있는 Sone척도를 dB(A)척도 대신에 적용하면 좀더 인간의 소리인식특성에 맞춘 음량조절장치로 개발될 수 있다. 오디오기기처럼 음악감상 전문 음향기기에는 음량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해주는 본 장치만 부착되어 있을 경우에 음악감상에 장애가 되거나 단조로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음량조절장치와 병행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신구 두 개의 장치를 모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device is a volume control device that is more suited to human's sound recognition characteristics by applying the Sone scale instead of dB (A) scale, which is currently used in some special noise measuring instruments produced in Europe such as Germany and Denmark. Can be developed. Like audio equipment, if the professional audio equipment is equipped with only this unit that maintains a constant volume level, it may interfere with music enjoyment or cause monotony, so it can be selectively used in parallel with the existing volume control device. It is desirable to mount all three devices.

본 고안은 기존의 소음측정기에서 이용되고 있는 기술과 음향기기의 음량조절장치에서 이용되고 있는 기술을 접목 결합시키는 장치이기 때문에 도면을 새롭게 제시할 필요는 없고, 도면난에 제시하는 구성도를 참고하여 제작하면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combines the technology used in the existing noise measuring device and the technology used in the volume control device of the sound equipment, it is not necessary to present a new drawing,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diagram shown in the drawing Produce it.

본 장치를 음향기기에 장착하면 인간의 소리인식특성에 가깝게 청취자가 원하는 소리의 크기를 자동조절할 수 있어, 방송채널을 바꿀 때 마다 그리고 방송 중 사람의 목소리와 노래나 음악이 바뀔 때 마다 음량을 다시 조절해줘야 하는 불편함과 그에 따른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라디오와 TV등에서 발생하는 실내외의 소음공해의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아파트와 같이 이웃집에 소음이 미칠까 염려되는 경우, 수험생이 있는 경우 처럼, 주거공간의 특성별로 또 수음자의 행동양상에 따라 소음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음향기기발생 소리를 자동조절해줄 수 있다.When the unit is mounted on an audio device, the volume of the sound desired by the listener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approxim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voice, so that the volume can be reset whenever the broadcasting channel is changed and whenever the voice, song or music changes during broadcasting. Inconvenience to adjust and the waste of electrical energy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of indoor and outdoor noise pollution generated by radio and TV, and when it is concerned that noise may occur in neighboring houses such as apartments, or when there are examinees, the noise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space and the behavior of the receiver Sound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prevent damage.

Claims (1)

소음척도로 지정하는 크기에 맞게 소리의 크기를 자동 조절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음감소자동음량조절장치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for noise re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volume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the size specified by the noise scale.
KR19990029281U 1997-12-30 1999-12-16 Noise reductio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KR20018818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29281U KR200188181Y1 (en) 1997-12-30 1999-12-16 Noise reductio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702 1997-12-30
KR19990029281U KR200188181Y1 (en) 1997-12-30 1999-12-16 Noise reductio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702 Division 1997-12-30 1997-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516U KR20000007516U (en) 2000-04-25
KR200188181Y1 true KR200188181Y1 (en) 2000-07-15

Family

ID=26633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0029281U KR200188181Y1 (en) 1997-12-30 1999-12-16 Noise reductio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18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9123B2 (en) Audio output device
US83638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gain
CN101721214A (en) Listening check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mobile terminal
US200903157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miting audio output in audio headsets
US20070098202A1 (en) Variable output earphone system
US7940945B2 (en)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audio signal receiver unit and system for providing hearing assistance to a user
CN101026363B (en) Hearing protection system, method and sound output device
CN108093327A (en) A kind of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that earphone is examined to wear uniformity
KR101255533B1 (en) Broadcasting apparatus enabling adjustment of interference between output sounds of outdoor speaker and broadcasting method thereof
KR200188181Y1 (en) Noise reductio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KR930006651B1 (en) Automatic level control circuit for sound
CN105872182A (en) Method for increasing sending loudness of microphone, and electronic terminal
CN113613147B (en) Hearing effect correction and adjust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of earphone
US200702823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earing assistance to a user
Leijon et al. Sound quality and speech reception for prescribed hearing aid frequency responses
JPH11261356A (en) Sound reproducing device
JP4097735B2 (en) Speaker device
KR20000007516U (en) Noise reduction automatic volume control device
CN112019973B (en) Sound adjusting method and sound adjusting device for executing the method
CN106303788B (en) Digital earphone
FI100839B (en) A method for adjusting the frequency response in audio playback
US3050583A (en) Controllable stereophonic electroacoustic network
KR100241438B1 (en) Voice output level compensatory device and method for tv system
CN205726230U (en) Automatically the earphone of volume is adjusted
EP17730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earing assistance to a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