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680Y1 -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680Y1
KR200187680Y1 KR2020000001655U KR20000001655U KR200187680Y1 KR 200187680 Y1 KR200187680 Y1 KR 200187680Y1 KR 2020000001655 U KR2020000001655 U KR 2020000001655U KR 20000001655 U KR20000001655 U KR 20000001655U KR 200187680 Y1 KR200187680 Y1 KR 2001876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us
touch screen
flip cover
main body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1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6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6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6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 하부 케이싱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상에 설치되며 터치스크린방식의 와이드 엘씨디를 갖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일부 덮도록 상기 본체의 하측상에 힌지결합되는 플립커버로 구성되는 복합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플립커버의 내측면상에는 단부에서부터 일정 길이만큼 안착홈이 형성되며, 안착홈상에 상기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한 스타일러스가 안착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고정장치{FLIP COVER WITH STYLUSHOLDING MECHANISM FOR TOUCH SCREEN PANNEL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본 고안은 터치스크린 방식의 와이드 엘씨디 모듈(LCD Module)을 사용하는 복합 휴대용 무선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터치스크린의 조작을 용이하기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타일러스(Stylus)를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복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휴대용 무선단말기가 점차 보급화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 경박 단소화되어감과 동시에 그 기능의 다양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대방과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이외에도 인터넷기능이나, 문자정보, 그래픽등의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따라, 엘씨디 모듈인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는 점차 넓어지게 되고, 반면에 단말기의 부피는 점차 소형화되어가야만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기때문에 별도의 키패드가 없는 터치스크린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제품의 특성상, 상기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한 보조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기구로는 필기구 형상을 하고 있으며, 단부가 첨예한 스타일러스(Stylus)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스타일러스는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거나 단말기 본체의 후면상에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타일러스를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게 되면 분실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고, 단말기의 후면상에 고정시키게 되면 단말기의 전체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사용자의 욕구에 역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장착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단말기상에 고정시킬 수 있는 복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이 간편하도록 구성되는 복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 하부 케이싱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상에 설치되며 터치스크린방식의 와이드 엘씨디를 갖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일부 덮도록 상기 본체의 하측상에 힌지결합되는 플립커버로 구성되는 복합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플립커버의 내측면상에는 단부에서부터 일정 길이만큼 안착홈이 형성되며, 안착홈상에 상기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한 스타일러스가 안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플립커버에 스타일러스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본체 200: 플립커버
201: 안착홈 300: 스타일러스
301: 걸이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 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은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플립커버에 스타일러스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와, 플립커버(200)와, 본체와 플립커버를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힌지장치(미도시됨)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10)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최상단에는 안테나장치(Antenna Unit)(30)가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장치의 하측으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 피스(Ear Piece)(40)가 배열된다. 상기 이어 피스 하측으로 엘씨디 모듈(LCD Module)(50)이 설치되고, 상기 엘씨디 모듈 하측으로 힌지 아암(60)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아암의 중앙에 마이크장치(61)가 설치된다.
상기 플립(200)은 본체(100)에서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립이 닫혔을때는 상기 엘씨디 모듈의 상측 일부가 보일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엘씨디 모듈(50)은 키패드를 배제한 터치스크린 방식을 사용하게 되며, 본체(100)의 적소에 상기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는 보조기구인 스타일러스(Stylus)(300)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스타일러스(300)의 선단부상에는 걸이부(301)가 일체로 형성 또는 설치된다. 상기 스타일러스(300)의 조작 단부는 상기 터치스크린(5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첨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립커버(200)의 내측면상에는 상기 스타일러스(300)의 바디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20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01)은 상기 스타일러스(300)의 길이만큼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타일러스(300)는 상기 안착홈(201)상에 안착되며, 상기 걸이부(301)에 의해 상기 플립커버(200)의 단부상에 걸려 고정되는 구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고정장치는 별도의 고정을 위한 기구물이나 본체의 후면상에 홈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기때문에 단말기 전체 부피가 늘어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 하부 케이싱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상에 설치되며 터치스크린방식의 와이드 엘씨디를 갖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일부 덮도록 상기 본체의 하측상에 힌지결합되는 플립커버로 구성되는 복합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플립커버의 내측면상에는 단부에서부터 일정 길이만큼 안착홈이 형성되며, 안착홈상에 상기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한 스타일러스가 안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의 단부에는 걸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립커버의 단부에 걸리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고정장치.
KR2020000001655U 2000-01-21 2000-01-21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고정장치 KR2001876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55U KR200187680Y1 (ko) 2000-01-21 2000-01-21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55U KR200187680Y1 (ko) 2000-01-21 2000-01-21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680Y1 true KR200187680Y1 (ko) 2000-07-15

Family

ID=1963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655U KR200187680Y1 (ko) 2000-01-21 2000-01-21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6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2437Y1 (ko) 탑뷰용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 전화 단말기
US7408514B2 (en) Speaker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esonance space
KR960036390A (ko) 휴대용 전화기
GB2328343A (en) A portable radio apparatus having an additional display area on second surface
JPH0591015A (ja) 小型携帯無線機
EP1748628B1 (en) Slim portable terminal
EP1710986B1 (en) Folder-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unit
JP2008211839A (ja) 携帯通信装置のケース
CN109561369A (zh) 扬声器单元以及电子设备
KR200187680Y1 (ko)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고정장치
KR200230258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손바닥 걸이
AU2004202350A1 (en) A wri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sectioned keypad and antenna system
CN1543739A (zh) 无绳电话
KR20010001938A (ko)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고정구조
KR100631047B1 (ko) 돋보기패널을 구비한 이동통신장치
KR20020059150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 장치
KR100606058B1 (ko) 슬라이딩 액정부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JP3735234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3934950B2 (ja) 携帯電話機
KR100350503B1 (ko) 목걸이 모듈 폰을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
KR20030020082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 장치
KR20020065717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30704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KR100810385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겸용 안테나 장치
KR200317848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