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730Y1 - 시계 - Google Patents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730Y1
KR200186730Y1 KR2020000001474U KR20000001474U KR200186730Y1 KR 200186730 Y1 KR200186730 Y1 KR 200186730Y1 KR 2020000001474 U KR2020000001474 U KR 2020000001474U KR 20000001474 U KR20000001474 U KR 20000001474U KR 200186730 Y1 KR200186730 Y1 KR 200186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display means
curved surface
clock
tim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희
Original Assignee
이석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희 filed Critical 이석희
Priority to KR2020000001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7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7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대향측에 축공을 구비하고, 내측이 곡면으로 구성된 프레임과, 외주면이 상기 곡면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상기 축공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회동축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하면 각각에 설치되는 보호 유리와, 이 각각의 보호유리 내측에 구비되는 문자판, 시침, 분침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 시침과 분침은 각각이 동일한 구동축에 설치되어 동시에 회전하며 시각을 표시하는 시각표시수단을 구비된 것으로 달성되는데, 이는 시계 본체를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양방향 각각에 구비된 시각표시수단으로 시간을 인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시계
본 고안은 양방향 시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계 본체의 상,하면 각각에 문자판과, 분침, 시침으로 구성된 시각표시수단을 구비하여 상,하 어느방향에서나 시각을 인지할 수 있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시계는 보호유리의 내측에 문자판을 구비하고, 이 문자판의 중앙에 구동수단과 연동하는 시침과 분침을 구비하여 시간을 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통상적인 시계는 오직 일측면으로만 시각을 확인할 수 있고, 시간을 표시하는데 있어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다양한 연출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종래의 일률적인 시계 형태를 벗어나 보다 다기능적인 시계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138895호의 시계는 보호유리의 외주연에 링체를 고정 상태로 삽착하고, 이 링체에 보조시각표시기호가 구비된 보조링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타지역으로 이동시 이전지역의 시각은 물론, 현 지역의 시각까지도 인지할 수 있는 시계가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일측면에서만 시각을 확인할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단순히 보조시각표시기호가 인쇄된 보조링를 부착하여 시각 표시를 다양화한 것에 불과하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시계 본체의 상,하면 각각에 시각표시수단을 구비하여 양방향에서 시각을 확인 할수 있는 시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계 본체를 프레임의 내측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본체 상,하면에 구비된 시각표시수단을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시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계의 다양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며, 시각적으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전혀 새로운 형태의 시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호 대향측에 축공을 구비하고, 내측이 곡면으로 구성된 프레임과, 외주면이 상기 곡면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상기 축공에 관통 설치되는 회동축을 구비하여 이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하면 각각에 설치되는 보호 유리와, 이 각각의 보호유리 내측에 구비되는 문자판, 시침, 분침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 시침과 분침은 각각이 동일한 구동축에 설치되어 동시에 회전하며 시각을 표시하는 시각표시수단을 구비된 것으로 는데, 이는 시계 본체를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양방향 각각에 구비된 시각표시수단으로 시간을 인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시계의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시계의 저면도,
도 3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시계의 요부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계 110 : 프레임
200 : 본체 201 : 시각표시수단
202 : 문자판 203 : 분침
204 : 시침 210 : 회동축
220 : 조절부재 230 : 분침 구동축
240 : 시침 구동축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시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상기 시계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시계(100)는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110)과, 이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회동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면 및 저면 각각에 구비된 시각표시수단(201)을 통해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2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프레임(110)은 시계줄(112)이 연결되는 연결편(111)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으나, 이는 손목시계인 경우이고, 다른 형태 즉 벽걸이형인 경우에는 프레임(110) 전체가 다른 형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다만 프레임(110)의 상호 대향측에 축공(113)이 형성되고, 내측면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114)으로 구성된 것은 동일하다.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조립되는 본체(200)는 양측단에 상기 축공(113)에 대응하는 회동축(210)을 구비하고, 회동축(210)의 끝단부에는 조절부재(22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본체(200)를 회전시키며 선택적으로 상,하면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200)의 외주연은 프레임(110) 내측의 곡면(114)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곡면(250)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곡률반경은 회동축(210)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회전반경이다.
상기 본체(200)의 상,하면 각각에는 시각표시수단(201)이 구비된다. 이 시각표시수단(201)은 본체(200)의 상하면 각각에 억지끼워맞춤으로 조립되는 보호유리(205)와, 각각의 보호유리(205)(205a) 내측에 구비되는 문자판(202)(202a)과 시침(203)(203a) 그리고 분침(204)(204a)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 문자판(202)(202a) 사이에는 시,분침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가 장착되는 공간(260)이 구비되는데, 이 공간(260)에 설치되는 구동장치는 종래의 일반적인 시계 구동장치와 동일함으로 여기서는 상세히 기술하지 아니한다.
상기 상,하부 시침(203)(203a) 및 분침(204)(204a)은 각 문자판(202)(202a)의 중앙을 관통하는 시침 구동축(230)과, 분침 구동축(240)의 상,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이들 구동축(230)(240)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여 시각을 표시한다.
한편 상기 문자판(230)(240)에는 시각표시기호(270)가 인쇄된다. 상기 시각표시기호는 여러형태로 다변화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1 및 도2와 같이 상부측 문자판(202)에는 정상적인 시계 형태의 문자가 배열되고, 저면 문자판(202a)에는 정상적인 시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문자가 배열된다.
이는 각각의 상하부 시,분침(203)(203a)(204)(204a)이 동시에 회전하는 본 고안의 구조에 있어서, 상부측은 정상적인 시각을 표시하고, 하부측은 시,분침(203a)(204a)이 역으로 회전하지만 정상적으로 시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하부 문자판(202a)에는 다른 형태의 시각표시기호(270)를 표시하거나, 혹은 정상적으로 숫자를 배열하여 거꾸로 가는 시계를 만들어 시각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에 조립된 본체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며 본체의 상,하부 각각에 구비된 시각표시수단을 통해 시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저면의 시각표시수단은 역방향으로 시,분침이 회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어느하나의 시각표시수단을 사용자의 취향에 알맞게 디자인하여 정상적인 시계와 패션 시계를 동시에 구성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상호 대향측에 축공을 구비하고, 내측이 곡면으로 구성된 프레임과,
    외주면이 상기 곡면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상기 축공에 관통 설치되는 회동축을 구비하여 이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하면 각각에 설치되는 보호 유리와, 이 각각의 보호유리 내측에 구비되는 문자판, 시침, 분침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부 시침과 분침은 각각이 동일한 구동축에 설치되어 동시에 회전하며 시각을 표시하는 시각표시수단을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표시수단의 문자판에 시각표시기호를 인쇄하되, 저면 문자판에 표시된 시각표시기호는 상면 시각표시기호와 역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포함하는 시계.
KR2020000001474U 2000-01-19 2000-01-19 시계 KR200186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474U KR200186730Y1 (ko) 2000-01-19 2000-01-19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474U KR200186730Y1 (ko) 2000-01-19 2000-01-19 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730Y1 true KR200186730Y1 (ko) 2000-06-15

Family

ID=1963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474U KR200186730Y1 (ko) 2000-01-19 2000-01-19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7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9688B2 (en) Timepiece with two rotating bezels
US20060171260A1 (en) Apparatus with driven rings for the display of time
US5299178A (en) Clock
USD552002S1 (en) Transparent and translucent timepiece dial
US4671669A (en) Solar system clock
KR200186730Y1 (ko) 시계
US7997789B2 (en) Clock for displaying collectibles
JP2003156573A (ja) 日付ディスクを有する日付付き腕時計などの時計の巻きおよび時間設定装置
CN209962095U (zh) 用于手表的表针结构及手表
CN100435047C (zh) 配有活动装饰件的表
US5297121A (en) Eccentric mounted watch
EP0676679B1 (en) Display structure of world timepiece
US6270250B1 (en) Watch having an opening
JP2012211864A (ja) 腕時計
KR200346640Y1 (ko) 양면 손목시계
KR200343193Y1 (ko) 표시부를 구비한 묵주반지
KR200223411Y1 (ko) 시계 구조
KR200238416Y1 (ko) 내접기어에 시침, 분침이 장착된 시계
KR200205274Y1 (ko) 다목적 시계밴드
KR200420117Y1 (ko) 가변시간 회전판을 구비한 시계
KR200374341Y1 (ko) 엽기시계
EP4020095A1 (en) A timepiece
KR20050010582A (ko) 팽이시계완구
KR200323317Y1 (ko) 표시기능을 가지는 회동장신구
KR200286494Y1 (ko) 문자판 회전식 손목시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