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100Y1 - 실내외 겸용 구두 - Google Patents

실내외 겸용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100Y1
KR200186100Y1 KR2020000000715U KR20000000715U KR200186100Y1 KR 200186100 Y1 KR200186100 Y1 KR 200186100Y1 KR 2020000000715 U KR2020000000715 U KR 2020000000715U KR 20000000715 U KR20000000715 U KR 20000000715U KR 200186100 Y1 KR200186100 Y1 KR 200186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s
shoe
wearer
indoor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호석
Original Assignee
권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호석 filed Critical 권호석
Priority to KR2020000000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1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100Y1/ko
Priority to PCT/KR2000/001499 priority patent/WO2001047385A1/en
Priority to AU20313/01A priority patent/AU2031301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2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외 겸용 구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발목 뒷부분이 맞닿는 구두의 뒷부분이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도록 형성시켜 착용자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을 통상의 구두에 있어서, 상기 구두의 발목 뒷부분이 맞닿는 부분의 양측에 상측으로 부터 하측으로 절개된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구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외 겸용 구두{shoes to be capable of use in the room and outside the room}
본 고안은 실내외 겸용 구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발목 뒷부분이 맞닿는 구두의 뒷부분이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도록 형성시켜 착용자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실내외 겸용 구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신발을 착용하는 데, 상기한 발은 사람의 신체에서 심장과 뇌로 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관계로, 혈액순환이 비교적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는 한 부분 중의 하나로 신발을 착용할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여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었다.
특히, 발등 부위에는 주로 혈관이 분포되어 있어 피로를 느낄 때, 착용하고 있는 신발 등을 벗는 것이 가장 좋으며 더욱이 발을 문지르거나 자극을 줄 경우에는 보다 신속하게 피로를 풀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상기한 신발 중에서도 외출용으로 많이 착용하는 가죽제품인 구두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였으며, 상기 구두는 1857년 취리히의 해부학자인 헤르만 폰 메이어(hermann von meyer)가 구두의 이론적인 학설을 발표하면서 부터 비로소 오늘날과 같은 구두의 다양한 형태로 발전될 수 있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구두는 남성화와 여성화로 구분되어 지면서 전자인 남성화는 크게 옥스포드(oxford), 슬립온(slipon), 샌달(sandle) 및 부츠(boot)로 크게 나누어 지며, 후자인 여성화의 경우 전술한 4종류 이외에 팜프(pump) 및 쵸핀(chopine) 등의 종류가 더 추가되는 종류로 구분되어 진다.
이와같이 나누어진 구두는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즉, 옛날에는 이동수단으로 도보가 대부분인 시절에는 그 보행에 따른 튼튼한 것을 위주로 제작되었고, 근대에는 도보가 아닌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해 보행 보다는 실내생활이 대부분인 추세에서 출퇴근 시간에만 주로 착용하는 관계로, 종래와 같이 구두 뒷목이 경직되게 제조될 경우에는 벗기에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장시간 착용시에 발이 압박되어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피로감을 쉽게 느끼는 실정이 었다.
그리고, 최근에 제작되는 구두의 경우에도 고정관념(固定觀念)을 탈피하지 못하고 단지 디자인만 치중하여 제작하는 실정이므로, 전술한 불편한 문제점 등인 발이 쉽게 피로해 지는 것을 해소하지 못하여 근래 장시간 실내에서 생활하는 착용자들은 별도의 슬리퍼 등과 같은 실내화를 구비하여 착용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실내에서 별도의 실내화를 구비함에 따른 구입비용이 추가되고, 또한 번갈아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동절기에 상기와 같은 실내화인 슬리퍼 등을 착용할 경우에는 발에 보온기능을 갖지 못하므로써, 실내화로 바꾸어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구두의 뒷부분을 꺽어 신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렇게, 구두의 뒷부분을 꺽어 신게 되면 착용자의 발의 피로도를 최소화함은 물론 동절기에도 별도의 실내화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는 잇점이 있었으나, 전술한 종래의 구두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발목 뒷부분이 닿는 부분이 유난히 두껍게 제조됨에 따라 원활하게 접혀지지 않음은 물론 접혀지더라도 그 접혀지는 부분이 쉽게 마모됨에 따라 구두로서의 역할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착용자의 발목 뒷부분이 맞닿는 구두의 뒷부분이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도록 형성시켜 착용자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의 구두에 있어서, 상기 구두의 발목 뒷부분이 맞닿는 부분의 양측에 상측으로 부터 하측으로 절개된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공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구두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두
10 : 장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구두의 배면 사시도로, 통상의 구두(1)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구두(1)의 발목 뒷부분이 맞닿는 부분의 양측에 상측으로 부터 하측으로 절개된 장공(10)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장공(10)의 위치는 착용자의 발뒷꿈치가 구두(1)의 뒷부분을 밟아서 접혀지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공(10)은 구두(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착용자가 구두(1)의 뒷부분을 접었을 때 원활하게 접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기한 도 1의 상태에서 착용자의 발목 뒷부분이 맞닿는 구두(1)의 뒷부분 양측으로 형성된 장공(10) 사이의 부분이 구두(1)의 깔창 부분측으로 접혀진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에서 본 고안의 구두(1)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착용자의 발목 뒷부분이 맞닿는 구두(1)의 뒷부분 양측에 전방 상측으로 부터 후방 하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장공(10)에 의해 착용자가 구두(1)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장공(10)의 사이의 구두(1) 뒷부분이 착용자의 발 뒷꿈치에 의해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장공(10)은 구두(1)의 뒷부분이 접혀질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보다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는 조건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구두(1)의 뒷부분이 접혀지면서 발생되는 마모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고, 동절기에도 별도의 실내화를 구비할 필요없이 종래의 구두(1)와 같이 발의 보온기능을 가짐은 물론 구두(1)의 뒷부분이 접혀져 있는 관계로 외부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함에 따라 원활한 혈액순환으로 발의 피로도를 한층 격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실내에서가 아닌 실외에서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접혀진 부분을 종래 구두(1)를 착용하는 것과 같이 장공(10) 사이의 부분을 펴친 상태로 구두주걱이나 착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착용하게 되면 실외에서 일반적인 구두와 같이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착용자의 발목 뒷부분이 맞닿는 구두의 뒷부분이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도록 형성시켜 착용자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실내에서 착용자의 발의 피로도를 최소화함은 물론 동절기에는 일반 구두와 같이 보온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통상의 구두에 있어서, 상기 구두(1)의 발목 뒷부분이 맞닿는 부분의 양측에 상측으로 부터 하측으로 절개된 장공(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구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1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 구두.
KR2020000000715U 1999-12-24 2000-01-12 실내외 겸용 구두 KR200186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715U KR200186100Y1 (ko) 2000-01-12 2000-01-12 실내외 겸용 구두
PCT/KR2000/001499 WO2001047385A1 (en) 1999-12-24 2000-12-21 Shoes capable of being used in the room and outside the room
AU20313/01A AU2031301A (en) 1999-12-24 2000-12-21 Shoes capable of being used in the room and outside the 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715U KR200186100Y1 (ko) 2000-01-12 2000-01-12 실내외 겸용 구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100Y1 true KR200186100Y1 (ko) 2000-06-15

Family

ID=1963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715U KR200186100Y1 (ko) 1999-12-24 2000-01-12 실내외 겸용 구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1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058B1 (ko) 2008-08-01 2011-12-15 양민우 뒤축이 접어지는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058B1 (ko) 2008-08-01 2011-12-15 양민우 뒤축이 접어지는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7390A (en) Shoe
US4023282A (en) Heated boot
ATE223163T1 (de) Mehrschichtige sohle angeordnet an einem versteifungselement für den schuhoberteil
US4930231A (en) Shoe sole structure
GB9901920D0 (en) Article of footwear
KR200186100Y1 (ko) 실내외 겸용 구두
KR200186101Y1 (ko) 실내외 겸용 구두
WO2003063630A1 (en) Double/sided insole for footwear
KR200262918Y1 (ko) 키높이 양말
KR200281293Y1 (ko) 발가락 삽입식 신발 깔창
KR200206622Y1 (ko) 구두 골
CN220936991U (zh) 靴子
US20230180883A1 (en) Footwear system and method having footwear upper linings for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KR200326237Y1 (ko) 코코넛 섬유를 이용한 신발
KR200314694Y1 (ko) 슬리퍼 기능을 갖는 구두
JPH11169201A (ja) 足指快適サンダル
KR200183135Y1 (ko) 신발 깔창
KR200199965Y1 (ko) 환기성을 갖춘 샌들형 슬리퍼
RU52674U1 (ru) Босоножки-шлепанцы
KR200304934Y1 (ko) 지압 신발 깔창
KR20090011020U (ko) 신발
KR200259492Y1 (ko) 스프링 샌들화
KR200229733Y1 (ko) 발가락 덮개부가 구비된 신발깔창
KR200192594Y1 (ko) 접이식의 부츠신발
KR200258917Y1 (ko)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