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182Y1 - 서랍식 쌀통 - Google Patents

서랍식 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182Y1
KR200185182Y1 KR2020000000737U KR20000000737U KR200185182Y1 KR 200185182 Y1 KR200185182 Y1 KR 200185182Y1 KR 2020000000737 U KR2020000000737 U KR 2020000000737U KR 20000000737 U KR20000000737 U KR 20000000737U KR 200185182 Y1 KR200185182 Y1 KR 200185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lid
main body
easy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의균
Original Assignee
강의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의균 filed Critical 강의균
Priority to KR2020000000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1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1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는 쌀통에 관한 것으로, 쌀통을 서랍식으로 형성하여 전자레인지 및 밥통 안치대 등의 역할을 겸할수 있고, 쌀의 주입 및 배출이 용이하며, 청소가 쉽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쌀통 및 뚜껑을 서랍식으로 설치하여 본체의 전면으로 부터 삽입 및 탈거되게 하고, 상기 쌀통의 하단과 측면에는 각각 쌀 배출을 위한 레버와 복수개의 쌀받이통 및 잡곡통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쌀통이 본체의 전면으로 부터 삽탈 가능하므로 쌀의 주입이 용이하고, 뚜껑 상단에 안착된 밥통 또는 전자레인지 등의 가전제품을 사용하기가 편리하며, 청소하기가 손쉬운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서랍식 쌀통{a drawer typed rice box}
본 고안은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는 쌀통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쌀통을 서랍식으로 형성하여 전자레인지 및 밥통 안치대 등의 역할을 겸할수 있고, 쌀의 주입 및 배출이 용이하며, 청소가 쉽도록 한 서랍식 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등에서 사용하는 쌀통은 쌀을 저장 및 배출시키는 기능 외에 전자레인지나 밥통 등을 올려 놓을수 있는 안치대의 역할을 겸하도록 하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종래의 쌀통은 쌀통 본체의 상단에 뚜껑을 설치하고, 본체 전면의 하단에는 쌀 배출구와 함께 쌀의 배출량을 조절할수 있는 복수개의 누름보턴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상기 뚜껑을 열고 쌀을 주입한 뒤 밥을 지을 때 마다 하단의 보턴을 눌러 적정량의 쌀을 배출시켰던 것이다.
또한, 뚜껑 상단에는 조리와 관계있는 전자레인지 및 밥통과 같은 주방기기들을 올려 놓고 사용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쌀통은 쌀통 본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쌀을 주입 및 배출시킬 때마다 뚜껑에 안착된 밥통 또는 전자레인지 등의 주방기기들을 치워야 하므로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본체가 고정식인 관계로 청소하기가 어렵고, 쌀의 주입시 무거운 쌀가마니 또는 쌀포대를 본체가 있는 곳까지 직접 들어서 운반한 뒤 상단의 입구를 통하여 주입하므로 작업이 힘들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과제는 쌀통을 서랍식으로 형성하여 쌀의 주입 및 배출이 용이하고, 청소하기가 용이하며, 전자레인지 및 밥통 등의 가전제품을 손쉽게 안치할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프레임
12 : 상판 13 : 측판
14 : 후판 20 : 쌀통
21 : 쌀 배출구 30 : 뚜껑
40 : 쌀받이통 50 : 잡곡통
60,70 : 가이드레일 80 : 개폐판
81 : 레버 90 : 스크류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쌀통 및 뚜껑을 서랍식으로 설치하여 본체의 전면으로 부터 삽입 및 탈거되게 하고, 상기 쌀통의 하단과 측면에는 각각 쌀 배출을 위한 레버와 복수개의 쌀받이통 및 잡곡통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쌀통이 본체의 전면으로 부터 삽탈 가능하므로 쌀의 주입이 용이하고, 뚜껑 상단에 안착된 밥통 또는 전자레인지 등의 가전제품을 사용하기가 편리하며, 청소하기가 손쉬운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쌀통 본체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단면도이며, 도 3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프레임(11)과 이들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상판(12)과 측판(13) 및 후판(14)으로 구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 전면에 가이드레일(60)을 통하여 서랍식으로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저면의 쌀 배출구(21)에 개폐판(80)이 설치된 쌀통(20)과;
상기 쌀통 상단에 가이드레일(70)을 통하여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30)과;
상기 쌀통의 저면과 측면부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쌀받이통(40) 및 잡곡통(50); 으로 구성된다.
본체(10)는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과 측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차단막 역할을 하는 상판(12)과 측판(13) 및 후판(14)으로 짜여지며 본 고안의 쌀통에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수 있도록 견고히 형성된다.
쌀통(20)은 쌀을 수용하며 상단이 개방된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양측면 하단과 프레임(11) 사이에는 가이드레일(60)이 설치되어 서랍식으로 전후 삽탈 가능하게 된다.
상기 쌀통의 저면에는 쌀 배출구(21)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쌀 배출구의 하단에는 레버(81)를 구비하는 개폐판(8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개폐판이 회동하면서 쌀 배출구를 개폐하게 된다.
뚜껑(30)은 평판형으로서 쌀통(20) 상단에 설치되며, 그 양측면과 프레임(11) 사이에는 가이드레일(70)이 설치되어 서랍식으로 전후 삽탈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70)은 그 후단부와 프레임 사이에 힌지 역할을 하는 스크류(90)가 체결되므로써 상기 스크류를 중심으로 전면부가 상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복수개의 쌀받이통(40)은 쌀통(20)의 직하방에 서랍식으로 설치되어 쌀 배출구(21)로 부터 낙하 배출된 쌀을 수용하며 사용자에 의해 인출된다.
복수개의 잡곡통(50)은 쌀통(20)의 측면부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며 조, 수수, 팥, 콩 등의 작곡류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쌀통을 사용할 때는 상판(12)과 뚜껑(30)에 각각 조리와 관계있는 전자레인지나 가스레인지 또는 밥통을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쌀통(20)에 쌀을 주입할때는 밥통을 내려놓고, 뚜껑(30)의 선단부를 들어올린다.
이렇게 하면, 뚜껑(30)의 선단부가 스크류(90)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쌀통(20)을 전면으로 잡아빼면, 가이드레일(60)을 따라 전면으로 탈거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쌀통에 쌀을 주입할수 있다.
쌀의 주입이 완료되면, 쌀통(20) 및 뚜껑(30)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뚜껑 상단에 밥통을 올려놓는다.
밥을 짓기 위하여 쌀을 배출시킬때는 쌀통(20) 저면의 레버(81)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렇게 하면, 레버와 일체로 설치된 개폐판(80)이 회동하면서 쌀 배출구(21)를 개방함에 따라 그 하단의 쌀받이통(40)으로 적정량의 쌀이 배출되고, 쌀의 배출이 완료되면 개폐판(80)을 원위치로 복귀시켜 쌀 배출구(21)를 차단한다.
또한, 복수개의 잡곡통(50)에는 조, 수수, 팥, 콩 등의 잡곡류를 저장하여 사용한다.
쌀통(20) 내부를 청소할때는 쌀통을 비운 상태에서 전면으로 탈거시킨 다음, 내부의 이물질을 쌀 배출구(21)를 통하여 배출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정 및 음식점 등에서 사용하는 쌀통 및 뚜껑을 삽입 및 탈거가 자유로운 서랍식으로 설치하고, 상기 쌀통의 하단과 측면에는 각각 쌀 배출을 위한 개폐판과 복수개의 쌀받이통 및 잡곡통을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쌀통이 본체의 전면으로 부터 삽탈 가능하므로 쌀의 주입이 편리하고, 뚜껑 또한 서랍식으로 설치되어 그 상단에 안착된 밥통 또는 전자레인지 등의 가전제품을 용이하게 사용할수 있으며, 청소하기가 손쉬운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프레임(11)과 이들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상판(12)과 측판(13) 및 후판(14)으로 구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 전면에 가이드레일(60)을 통하여 서랍식으로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저면의 쌀 배출구(21)에 개폐판(80)이 설치된 쌀통(20)과;
    상기 쌀통 상단에 가이드레일(70)을 통하여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30)과;
    상기 쌀통의 저면과 측면부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쌀받이통(40) 및 잡곡통(50);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쌀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의 후단부와 프레임(11) 사이에 힌지 역할을 하는 스크류(90)가 체결되어 상기 뚜껑의 선단부가 스크류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식 쌀통.
KR2020000000737U 2000-01-12 2000-01-12 서랍식 쌀통 KR200185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737U KR200185182Y1 (ko) 2000-01-12 2000-01-12 서랍식 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737U KR200185182Y1 (ko) 2000-01-12 2000-01-12 서랍식 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182Y1 true KR200185182Y1 (ko) 2000-06-15

Family

ID=1963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737U KR200185182Y1 (ko) 2000-01-12 2000-01-12 서랍식 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1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4984B1 (en) Refrigerator door mounted water dispensing assembly
US6622740B1 (en) Dishwashing machine, preferably for home use, with an improved architecture
US20110239870A1 (en) Brewed Beverage Maker
CN101379354A (zh) 与家用设备相关的改进
EP2037183B1 (en) Steam oven device and water tank for use in the same
DE19701033C2 (de) Getränkebereiter
KR101152273B1 (ko) 세척기능을 갖는 전자동 전기압력밥솥
CN209733060U (zh) 一种厨房用组合柜
KR200185182Y1 (ko) 서랍식 쌀통
KR20010069092A (ko) 서랍식 쌀통
CN211862248U (zh) 一种洗菜柜台
CN209341304U (zh) 一种可移动的集中式一体化烹饪用具
CN207604832U (zh) 烹饪器具
JP5115421B2 (ja) 飲料抽出装置
CN111616522A (zh) 一种新型厨房组合柜
CA2370912C (en) Refrigerator door mounted water dispensing assembly
KR0123930Y1 (ko) 다용도쌀통의 선반 자동 인출장치
KR200419036Y1 (ko) 완전 개방형 뚜껑이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44264Y1 (ko) 슬라이드가 가능한 도기쌀통이 구비된 다용도 수납장
KR920004781Y1 (ko) 자동으로 밥짓는 기계
CN209258864U (zh) 柜门挂式垃圾桶
CN213216501U (zh) 一种便于推放食物的蒸饭柜
CN206239205U (zh) 一种柜式炭烤炉
KR100334652B1 (ko) 김치냉장고
KR200223063Y1 (ko) 분리형 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