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933Y1 -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 - Google Patents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933Y1
KR200182933Y1 KR2019990026703U KR19990026703U KR200182933Y1 KR 200182933 Y1 KR200182933 Y1 KR 200182933Y1 KR 2019990026703 U KR2019990026703 U KR 2019990026703U KR 19990026703 U KR19990026703 U KR 19990026703U KR 200182933 Y1 KR200182933 Y1 KR 200182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
taka
furniture
barb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용
Original Assignee
정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용 filed Critical 정재용
Priority to KR2019990026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9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9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 F16B15/06Nails; Staples with barbs, e.g. for metal parts; Drive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 F16B15/08Nails; Staples formed in integral series but easily separ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으로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 못에 관한것이다.
타카 스테플의 측면으로 미늘을 형성하여 가구 및 인테리어 내장재의 결합을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미늘에 의하여 결합된 가구부재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가구및 내장재 등에 내구성을 증대시키도록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The Tacker Staple}
본 고안은 에어툴을 이용하여 가구및 내장재등의 접합및 고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타카 스테플에 관한 것이다.
타카 스테플은 낱개로 에어툴에 공급되는 것이 아니고 스테플과 같은 형태로 여러개가 부착되어 에어툴 내부로 장착되어 사용시 낱개로 분리되면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에어툴용 못은 가늘고 못대가리부분이 작기 때문에 얇은 재질의 접합이나 미관을 해치지 않기 위하여 가구류 등의 접합에 주로 이용하였다. 또한 두께가 작기 때문에 일반 못이나 나사못에 의하여 결합할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재료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못의 사용은 길이 및 두께가 작기 때문에 힘을 받는 곳에서는 결합된 부위의 못이 재료로 부터 쉽게 빠져나오게되어 재료와 재료 사이가 쉽게 벌어지게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된다.
도 5는 종래의 타카 스테플을 사용했을때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 접합하고 있는 부분에 하중 및 힘이 작용될 때 재료 내부로 박혀있던 못이 쉽게 빠져나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은 스테플을 구성하고 있는 본체의 측면으로 미늘을 형성하여 결합된 부위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본체의 측면으로 형성된 미늘은 삽입될때는 기존의 못과 같이 쉽게 삽입되지만, 결합부위등에서 힘이 가해질 경우 본체의 측면으로 형성된 미늘에 의하여 미늘의 끝단이 내부의 목재 조직에 걸려 쉽게 빠져 나오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타카 스테플을 사용할 경우 기존의 가구 및 주택 내장재의 결합과 비교할때 내구성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스태플 형태로 결합된 본 고안의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못 대가리부분
3. 미늘 4. 목재
본 고안은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에어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일반적인 못에 비하여 가늘고 소형이므로, 하중을 받거나 힘이 작용하지 않는 부분의 결합에 사용하는 것으로, 얇은 재질의 가구결합이나 건물 내부 인테리어 등에 사용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타카 스테플을 구성하고 있는 본체(1)의 양쪽 측면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미늘(3)이 형성된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1)를 구성하고 있는 못은 종래의 타카 스태플(tacker staple) 형태의 못과 동일한 것으로 측면에 일정한 크기로 절개하여 절개된 부분을 약간씩 바깥으로 벌려 뾰족한 부분이 튀어나오도록 미늘(3)을 형성하였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타카 스테플은 일반적으로 못대가리(2) 부분이 작으므로 결합시 눈에 쉽게 띠지않게되어 인테리어용이나 가구결합용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부분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체(1)의 측면을 약간씩 절개하여 끝부분을 밖으로 벌려놓은 상태로 미늘(3)을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된 미늘(3)은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목재(4) 속으로 삽입된 이후에 하중이나 힘이 작용하여 본체(1)가 빠질려고 할때 목재 내부의 조직에 균일하게 접촉하도록 하였다.
도 3은 결합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가구 및 내장재를 결합했을때를 나타낸 것으로 결합하고자 하는 두 재료 사이를 본체(1)가 삽입되어 결합된것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결합된 목재들은 측면에 각각 형성된 미늘(3)끝단에 의하여 내부에서 목재(4)의 조직들과 결합된 상태이므로 이들을 박을 때는 쉽게 박히게 되지만, 힘이나 하중이 작용할때는 미늘(3) 끝단의 뾰족한 부분이 내부조직에 걸려 쉽게 빠져나오지 않으므로 가구 및 내장재등에 내구성을 증가 시키도록 구성하였다.
도 4는 스태플 형태로 구성된 본 고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이 결합된 형태로 별도의 공구(Tacker stapler)에 삽입되어 압축공기등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도 5는 종래 고안으로 목재등을 결합했을때 하중이나 외부충격등에 의하여 결합된 목재부분이 쉽게 분리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은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tacker staple)에 관한 것으로 미늘의 형성으로 인하여, 결합된 두 부재 내에서 쉽게분리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두부재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되어 가구에 내구성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형태에 관계 없이 모든 타카 스테플에 적용할수 있다.

Claims (1)

  1. 여러형태의 타카 스테플(staple) 에 있어서,
    본체(1)의 양측면이나 일측면의 임의 장소를 절개한후 바깥으로 약간씩 벌려서 미늘(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
KR2019990026703U 1999-12-01 1999-12-01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 KR200182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703U KR200182933Y1 (ko) 1999-12-01 1999-12-01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703U KR200182933Y1 (ko) 1999-12-01 1999-12-01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361A Division KR20000054589A (ko) 2000-06-13 2000-06-13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933Y1 true KR200182933Y1 (ko) 2000-05-15

Family

ID=1959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703U KR200182933Y1 (ko) 1999-12-01 1999-12-01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9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36B1 (ko) 2009-05-08 2011-09-28 정진규 데크플레이트 고정용 자동 해체형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36B1 (ko) 2009-05-08 2011-09-28 정진규 데크플레이트 고정용 자동 해체형 고정핀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슬래브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023B1 (ko) 금속 천공 파스너
US3757629A (en) Resilient plastic staple
US5941652A (en) Fasteners
US6062789A (en) Nail with tapered formed bushing
TW200933039A (en) Connected fastener assembly
KR200182933Y1 (ko)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
EP1116556A3 (en) Structure of guiding nail in nose section of nailing machine
KR20000012372A (ko)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
KR20000054589A (ko) 미늘이 형성된 타카 스테플
US20090191023A1 (en) Nail strip of u-shaped nails
US6360503B1 (en) Drywall-trimming accessory having break-away panes
US1206425A (en) Staple for window-sashes or the like.
KR200367360Y1 (ko) 사선으로 경사진 절개면을 갖는 타카핀
KR100931571B1 (ko) 가구용 연결부재
US6095393A (en) Fastener-driving tool having magazine mounted to tool handle by mortise and tenon mounting
KR200290511Y1 (ko) 안빠지는 못
JPS6318814Y2 (ko)
US171184A (en) Improvement in nails for wire-fences
KR200290512Y1 (ko)
JPS609452Y2 (ja)
JPH10121722A (ja) 面 木
US20060280577A1 (en) Multiple shank nail
JPH056213U (ja) 固着具
KR200229405Y1 (ko) 적층식 네일조립체
JP2880054B2 (ja) 開脚釘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