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908Y1 - Checking apparatus for fire detector - Google Patents

Checking apparatus for fire de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908Y1
KR200182908Y1 KR2019990020209U KR19990020209U KR200182908Y1 KR 200182908 Y1 KR200182908 Y1 KR 200182908Y1 KR 2019990020209 U KR2019990020209 U KR 2019990020209U KR 19990020209 U KR19990020209 U KR 19990020209U KR 200182908 Y1 KR200182908 Y1 KR 2001829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tector
support
fire
fitt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20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삼기
Original Assignee
윤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삼기 filed Critical 윤삼기
Priority to KR2020000003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58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9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908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수단 없이도 용이하게 화재감지기의 뚜껑을 개폐하거나 또는 작동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기의 개폐 및 점검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은, 화재감지기의 커버와 끼워맞춤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의 개폐수단을 가지는 몸체부와, 하단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기다란 지지대와, 지지대와 몸체가 착탈될 수 있도록 지지대의 상단과 몸체의 저부에 걸쳐 형성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여러 종류의 화재감지기에 적용하기 위해 몸체의 결합부는 그 형상이 변화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각기 다른 결합부를 가지는 몇 개의 몸체를 특정의 화재감지기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몸체는 화재감지기의 센싱부의 전기적 상황 예를 들면, 전류, 전압 또는 저항치를 탐지하도록 점검수단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to easily open or close the lid of the fire detector or to check the malfunction of the operation without an auxiliary means.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hav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shap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cover of the fire detector, the elongated support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at the bottom, the support and the body is removable And engaging means formed over the top of the support and the bottom of the body. Here, the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to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fire detectors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hape is changeable, or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pply several bodies having different coupling portions to a specific fire detector. On the other hand, the body is provided with a check means to detect the electrical situation of the sensing portion of the fire detector, for example, current, voltage or resistance.

Description

화재감지기 점검기구{Checking apparatus for fire detector}Checking apparatus for fire detector

본 고안은 건물의 천정에 부착되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다리와 같은 보조수단 없이도 용이하게 화재감지기의 뚜껑을 개폐하거나 또는 작동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기의 개폐 및 점검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or attached to the ceiling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open and close the fire detector's lid or to check the abnormality of the operation without the need for auxiliary means such as a ladder. It is about a mechanism.

각종 건물의 천정에는 화재의 발생시 신속한 진압을 위한 다수의 화재감지기가 설치된다. 일반적인 화재감지기는 천정면에 고정되는 몸체와,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열을 감지하는 센싱수단과, 몸체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Various fire detectors are installed on the ceilings of various buildings for rapid suppression of fires. A general fire detector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body fixed to the ceiling surface, the sensing means for sensing heat in a fixed state to the body, and a cover that can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body.

작업자는 화재감지기의 소제 점검을 위하여 사다리와 같은 소정의 받침수단을 이용하여 딛고 올라서서 감지기의 커버를 분리한후, 소제 점검작업에 임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요구되며, 대형건물인 경우에는 사다리를 들고 각 층마다 옮겨 다니며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상당하게 된다.The operator steps up and removes the cover of the sensor by using a predetermined support means such as a ladder to check the fire detector and cleans it. Such work is required to be performed periodically, and in the case of large buildings, it is necessary to lift and move ladders on each floor, which requires a great deal of manpower and time.

특히, 주차장, 실내 경기장, 또는 공장시설과 같이 그 높이가 예를 들어 10m 이상의 높은 곳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를 들어 올릴 수 있는 리프터가 구비된 특장차량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에 소요되는 자원의 낭비가 더욱 심하였다.In particular, in order to check a fire detector installed at a height of 10 m or more, such as a parking lot, an indoor stadium, or a factory facility, it is necessary to use a special vehicle equipped with a lifter that can lift a worker. The waste of resources was even worse.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재감지기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e detector generally used.

고정판(1)은 나사수단(3)에 의해 건물의 천정에 고정되며, 화재 경보기 내지 스프링 쿨러 등과 연결된 접점단자(2)는 고정판의 상면에 고정된다. 커버(5)는 고정판과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결합된다.The fixing plate 1 is fixed to the ceiling of the building by the screw means 3, and the contact terminal 2 connected to the fire alarm or the sprinkler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The cover 5 is coupled to the fixing plate and easily detachable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ans.

센서부(6)는 센서(7, 예시된 것은 이온화식 감지센서이다)를 용이하게 교체 내지 수리를 할 수 있도록 커버(5)에 내장되며, 센서부(6)는 외부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된 수 개의 돌출편(8)을 가진다. 돌출편(8)은 제품의 외관을 위해 여러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기 용이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화재발생시 센서부(6)는 고정판의 접점단자(2)를 연결하게 되어 경보기 등에 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The sensor unit 6 is embedded in the cover 5 to easily replace or repair the sensor 7 (example is an ionization sensor), and the sensor unit 6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to the outside. Two projections (8). The protruding pieces 8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for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and are generally manufactured in a shape that is easy to hold and rotate by hand. By such a structure, when the fire occurs, the sensor unit 6 connects the contact terminal 2 of the fixed plate to transmit a signal to an alarm or the like.

이에 본 고안의 주요한 목적은, 화재감지기의 점검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상당한 높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소제 점검을 특수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quickly and easily inspecting the fire detector.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easily inspecting fire detectors installed at a considerable height without using special equipment.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한 화재감지기의 개폐 내지 점검수단은 용이하게 휴대가 가능하도록 소형 경량일 것이 요구되며; 사용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널리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여러 형상의 화재감지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fire detector for achieving this purpose is required to be compact and lightweight to be easily portable; It is desirable to be convenient to use and inexpensive so that a user can buy and use widely; More preferably,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fire detectors.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재감지기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e detector generally used.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개폐 및 점검기구의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e detector and the insp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화재감지기 커버의 개폐수단을 도시하는 일부 사시도.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fire detector cover.

도 4는 화재감지기 커버의 개폐수단인 몸체(20)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body 20 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fire detector cover

도 5는 화재감지기 개폐수단에 의한 사용상태를 도시하기 위해,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to show the use state by the fire detector opening and closing means.

도 6은 화재감지기의 점검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pection means of the fire detector.

도 7은 무선으로 작동되는 테스터의 일실시예의 구성도.7 is a schematic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wirelessly operated tester.

도 8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화재감지기 고정판 5 ; 화재감지기 커버One ; Fire detector fixing plate 5; Fire detector cover

10 ; 전기적 점검수단 20 ; 커버개폐수단10; Electrical check means 20; Cover opening and closing means

30 ; 지지대 35 ; 리모트 스위치부30; Support 35; Remote switch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은, 화재감지기의 커버와 끼워맞춤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의 개폐수단과, 하단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기다란 지지대와, 지지대와 몸체가 착탈될 수 있도록 지지대의 상단과 몸체의 저부에 걸쳐 형성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화재감지기 센서 내지 방화기구의 전기적 상황 예를 들면, 전류, 전압 또는 저항치를 탐지하도록 점검수단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shap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cover of the fire detector, the handle portion is provided at the bottom and the elongate support is adjustable, the support and the body so that the support and detachable And a coupling means formed over the top and the bottom of the body. In addition, the inspection means may be selectively provided to detect the electrical situation of the fire detector sensor or the fire protection mechanism, for example, current, voltage or resistance.

여기서, 여러 종류의 화재감지기에 적용하기 위해 몸체의 요철부는 그 형상이 변화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각기 다른 결합부를 가지는 몇 개의 몸체를 특정의 화재감지기에 선택적으로 적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uneven portion of the body to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fire detectors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hape is changeable, or may be to selectively apply several bodies having different coupling portions to a specific fire detector.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화재감지기 커버의 개폐수단을 도시하는 일부 확대사시도 및 몸체(20)의 평면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to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fire detector cover and a plan view of the body 20.

몸체(20)는 각각의 돌출편(8, 도 1참조) 사이에 형성되는 수 곳의 공간 가운데 2곳 이상과 요철결합을 하게 되는 걸림구(40)를 끼워 고정하도록 내주를 따라서 세로방향으로 트랙(21)을 형성하는 다수의 걸림구 고정부재(22)를 가진다.The body 20 track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dy 20 so as to sandwich and fasten two or more of the several spaces formed between the protruding pieces 8 (see FIG. 1) and the locking holes 40 to form an uneven coupling. It has a plurality of fastener fixing members 22 forming the (2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구(40)는 T자 형상의 블럭으로서 트랙(21)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단(41)과 몸체의 원형단면의 중심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돌출단(42)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걸림구(40)는 단지 일부만이 도시된 상태이지만, 다수가 트랙(21)에 끼워지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locking hole 40 is a T-shaped block, which has a fixed end 41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track 21 and a protruding e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cen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body. It consists of 42. Although only a part of the latch 40 shown in FIG. 2 is shown, many are fitted to the track 21.

도 4는 몸체(20)의 평면도로서, 걸림구 고정부재(22)에 의한 트랙(21)의 형상 내지 지지대(30)가 끼워지는 홈(23)의 형상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는 것으로서, 수개의 걸림구(4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구 고정부재(22)는 몸체의 내주 전체에 걸쳐 촘촘하게 형성되며, 이에 의해 걸림구(40)가 방사형태로 끼워져 각각 고정된다.FIG. 4 is a plan view of the body 20, which more clearly shows the shape of the track 21 by the catching fixing member 22 or the shape of the groove 23 into which the support 30 is fitted. The fastener fastening member 22 is densely formed over the entir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dy so that the sphere 40 can be fitted and fixed, whereby the fasteners 40 are radially fitted to each other.

지지대(30)는 낚시대, 또는 카메라의 지지대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다단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상당히 길게 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파손에 대비하여 카본재질의 것이 사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각각의 연결부는 손잡이부에서 가해지는 토크가 상단까지 그대로 전달되도록 조임구(36)가 제공된다. 조임구(36)는 2개의 요소로 구성되며, 나사결합됨에 의해 각각의 파이프가 펼쳐진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지지대(30)는 단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접철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Support 30 is a multi-stage pipe shape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as a fishing rod, or a support of the camera, it will be preferable to use a carbon material in preparation for the damage that can occur if it is quite long. Each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astener 36 so that the torque applied from the handle portion is transmitted as it is to the upper end. The fastener 36 consists of two elements, which are screwed together so that each pipe is firmly fixed in the unfolded state. The support 30 does not exclude that it may be formed only in one piece or may be provided in a folding manner.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각기 다른 길이의 돌출편(42)을 가지는 걸림구(40)는 선택적으로 몸체의 트랙(2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작은 화재감지기 커버를 개폐하고자 할 때는 돌출편(42)의 길이가 기다란 걸림구를 결합시켜 사용하며, 보다 큰 화재감지기 커버를 개폐하고자 할 때는 돌출편(42)의 길이가 보다 짧은 것을 결합시켜 사용한다. 이를 위해, 수 종류의 걸림구(40)가 수 개의 세트로 제공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atch 40 having the protruding pieces 42 of different lengths can optionally be coupled to the track 21 of the body. In other words, when the operator wants to open and close a small fire detector cover,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piece 42 is combined with a long latch, and when the user wants to open and close a larger fire detector cover, the length of the protruding piece 42 is shorter. Use it in combination. To this end, several kinds of locking holes 40 may be provided in several sets.

걸림구(40)와 같은 방식에 의한 화재감지기 커버의 개폐수단은 화재감지기의 커버가 돌출편(8, 도 1참조)과 같은 돌출방식이 아닌 단지 다수의 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홈방식인 경우에도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작업자는 걸림구를 각각의 홈 가운데 2곳 이상에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커버를 개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fire detector cover by the same method as the catching hole 40 is a groove type in which only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radially, not the protruding manner such as the protrusion of the fire detector cover 8 (see FIG. 1). It can also be applied effectively. That is, the operator can open and close the cover by rotating the locking mechanism in two or more places of each groove.

도시된 걸림구(40)는 돌출편(42)의 측면 형상이 단지 직사각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 예를 들면, 사다리꼴 내지 삼각산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The illustrated latch 40 may be provided in a form other than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protruding piece 42, for example, trapezoidal to triangular.

몸체(20)와 지지대(30)의 착탈결합을 위한 결합구(31)는 지지대의 상단에 제공된다. 결합구(31)는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대칭되는 두 개의 탄성편(32)을 가진다. 탄성편(32)은 상단에 몸체(20)의 저면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홈(23)에 끼워져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요철부(33)가 형성된다. 탄성편(32)의 탄성력은 플라스틱 재질의 특성 내지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발생된다. 즉, 작업자는 앙력으로 양 탄성편(32)을 누른 상태에서 요철부(33)를 몸체의 홈(23)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몸체(20)와 지지대(3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한다. 결합구(31)는 지지대와 일체로 제공되거나, 또는 관통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Coupler 31 for detachable coupling of the body 20 and the support 30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support. The coupler 31 has two symmetrical elastic pieces 32 that are elastically movable. The elastic piece 32 is formed in the top of the rectangular groove 2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20, the uneven portion 33 is elastically supporte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iece 32 is genera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stic material or the structure as shown. That is, the worker inserts the uneven portion 33 into the groove 23 of the body while pressing both elastic pieces 32 with the lifting force. This manner facilitates the detachment of the body 20 and the support 30. Coupler 31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or may be provided detachably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through bolt and a nut.

도 5는 화재감지기 개폐수단에 의한 사용상태를 도시하기 위해,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to show the use state by the fire detector opening and closing means.

몸체의 트랙(21)에 끼워진 걸림구(40)는 방사형태로 형성되는 화재감지기 커버(5)의 돌출편(8) 사이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커버(5)는 지지대(30)가 회전하게 되면, 돌출편(8)이 걸림구(40)에 걸려 함께 회전되어 열릴 수 있게 된다. 지지대(30)는 상단에 제공되는 결합구(31)의 요철홈(33)이 몸체의 홈(23)에 끼워져 지지됨으로써, 몸체(20)와 결합하게 된다.The catch 40 fitted to the track 21 of the body is sandwiched between the protruding pieces 8 of the fire detector cover 5 which is formed in a radial shape. As a result, when the support 5 is rotated, the cover 5 can be rotated and opened together with the protruding pieces 8 being caught by the locking holes 40. The support 30 is coupled to the body 20 by being supported by the concave-convex groove 33 of the coupling hole 31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23.

도 6은 화재감지기의 전기적 점검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al inspection means of the fire detector.

전기적인 점검을 위한 점검수단(10)은 지지대(30)와 연결되어 화재감지기의 단자(2, 도 1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내부에 전류, 전압, 내지 저항치를 측정함으로써, 화재감지기 내지 화재 경보기와 같은 방화장치의 전기적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테스터(도시되지 않음)를 내장한다. 테스터는 하우징의 상면에 고정되는 접점편(12)과 연결된다. 하우징은 저면에 지지대(30)의 결합구(31)가 끼워지는 홈(15)과, 측정치를 디지털방식 등으로 출력하는 표시부(16)와, 소정의 선택키(14) 등이 설치된다.The inspection means 10 for the electrical inspection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30 to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2, Fig. 1) of the fire detector. The housing 10 has a tester (not shown) which can check whether there is an electrical abnormality of a fire protection device such as a fire detector or a fire alarm by measuring a current, voltage, or resistance value therein. The tester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iece 12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groove 15 into which the coupler 31 of the support 30 is fitted on the bottom face, a display portion 16 for outputting the measured value digitally, and a predetermined selection key 14 or the like.

리모트 스위치부(35)는 지지대의 하단에 나사와 같은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리모트 스위치부(35)는 축전지를 내장하며, 외부에는 LED(37) 및 부가적인 기능선택버튼(38)이 설치된다. 기능선택버튼(38)에 의해 전류, 합선테스트 내지 저항테스트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remote switch unit 35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by a coupling method such as a screw. The remote switch unit 35 has a built-in battery, and an LED 37 and an additional function selection button 38 are installed outside. By the function selection button 38, a current, a short circuit test or a resistance test can be selectively selected.

여기서 하우징(10)과 지지대(30)의 연결방식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개시된 지지대와 몸체의 결합구(31)와 동일한 방식에 의한다.Here,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housing 10 and the support 30 is based on the same method as the coupling hole 31 of the support and the body disclosed in the above embodiment.

도 7은 무선으로 작동되는 테스터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7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describing in detail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of a tester operated wirelessly.

스위치(45)는 테스터기의 전원을 ON/OFF하기 위한 것이며, 도면부호 46은 축전단자로서, 하우징에 내장되는 축전기에 충전을 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잭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측정하고자 하는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키(47)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DC 전류측정버튼(41), AC 전류측정버튼(42), 저항 내지 부저기능버튼(43), 및 합선 버튼(44)이 선택될 수 있다. 스위치 내지 버튼의 위치 내지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The switch 45 is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tester, and reference numeral 46 denotes a capacitor terminal, which is provided to charge a capacitor embedded in a housing, and may be connected through a jack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 function key 47 is provided for selecting an item to be measured, whereby the DC current measuring button 41, the AC current measuring button 42, the resistance to buzzer function button 43, and the shorting button 44 are provided. Can be selected. The position or configuration of the switch to button is not excluded from being variously changed.

이로써, 작업자는 화재감지기 커버를 개방한 후, 측정하고자 하는 사항에 알맞게 테스터의 모듈을 설정하여 하우징(10)과 지지대를 연결한다. 이후, 접점편(12)을 화재감지지의 단자(2, 도 1참조)에 연결 고정하고 리모트 스위치를 ON하여 측정되는 전압, 전류, 내지 저항치를 디지털 표시부(16)를 통해 읽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operator opens the fire detector cover and connects the housing 10 to the support by setting the module of the tester according to the matter to be measured. After that, the contact piece 12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fire detection terminal 2 (refer to FIG. 1), and the voltage, current, and resistance measured by turning on the remote switch can be read through the digital display 16. .

한편, 하우징은 자체가 하나의 독립적인 테스팅수단을 이루기 때문에 단지 화재감지지의 단자에만 연결하여 사용하지 않고 기타 다른 전장품의 점검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위칭수단은 하우징 자체에 설치되는 것이 필요하며, 일반적인 테스터와 같이 잭을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방식은 전술된 실시예에서의 점검수단에 비해 보다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housing itself constitutes one independent testing means, it can be used not only to connect to the terminal of the fire detection support but also to check other electrical appliances. For this purpose, the switching means need to be installed in the housing itself, an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means for connecting a jack like a general tester. Such a method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be used more versatile than the checking mean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로써, 작업자는 화재감지기 커버를 개방한후, 측정하고자 하는 사항에 알맞게 테스터의 모듈을 설정하여 하우징(10)과 지지대를 연결한다. 이후, 접점편(12)을 화재감지지의 단자(2, 도 1참조)에 연결 고정하고 휴대하거나 또는 지지대에 부착되는 리모트 스위치를 ON하여 측정되는 전압, 전류, 내지 저항치를 디지털 표시부(16)를 통해 읽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operator opens the fire detector cover and connects the housing 10 and the support by setting the module of the tester according to the matter to be measured. Thereafter, the contact piece 12 is fixed to the terminal (2, see FIG. 1) of the fire detection support, and the voltage, current, or resistance measured by turning on the remote switch attached to the support or supported by the digital display unit 16. Can be read through.

도 8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화재감지기의 커버 개폐수단 및 전기 점검수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제공된다. 즉, 제 9도의 개폐수단인 몸체(20')와 제 13도의 하우징(10')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최상면에는 화재감지기의 단자(2, 도 1참조)에 끼워지게 되며, 또는 하우징(10')에 내장되는 테스터까지 전선으로 연결되는 단자판(50)이 제공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the electrical check means of the fire detector is provided integrally coupled. That is, the body 20 'which is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FIG. 9 and the housing 10' of FIG. 13 may be integrally provided by a predetermined coupling mean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top surface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plate 50 to be fitted to the terminal (2, see Fig. 1) of the fire detector, or connected to the wire to the tester embedded in the housing (10 ').

이에 의해, 작업자는 개폐기구와 점검기구를 별개로 지니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된다.This eliminates the need for the operator to carry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separately from the inspection mechanism.

당업자는 상기된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implement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예를 들면, 몸체부와 지지대의 용이한 착탈을 위해 보다 다양한 방법이 시도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도 2의 걸림구(40)의 형상이 다각적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며, 몸체(20)의 형상도 단지 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 예를 들면 다각형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몸체와 지지대의 착탈 방식을 공지의 유용한 수단으로 대체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more various methods may be tried for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body portion and the support, and also the shape of the catch 40 of FIG. 2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the shape of the body 20. May be provided in other forms than just circular,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polygon. In addition, the detachable manner of the body and the support may be applied by known useful means.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작업자는 소정의 기구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어 여러 곳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의 점검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operator can easily carry a predetermined mechanism, so that the inspection work of the fire detector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can be quickly and easily performed.

제작상의 편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된 실시예의 각각의 방법들이 취사선택될 수 있다. 본 기구는 사용이 편리하며, 플라스틱류의 재질이 금형에 의해 제작되므로 가격이 저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널리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감지기와의 결합부를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변경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이다.For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e, the respective method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This device is easy to use, and since plastic materials are manufactured by a mold, the price is low, and users can purchase and use them widely. In addition, by changing and adjusting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fire detector in various shapes, i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products is efficient.

Claims (3)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화재감지기 커버의 외면에 방사형태로 형성되는 요철부위와 요철결합되도록, 원형단면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걸림구(40)가 내벽을 따라 수 곳에 돌출형성되는 몸체(20)와;The upper surface is an open cylindrical body, the body 20 is formed to protrude to several places along the inner wall has a catch 40 exten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so that the concave-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e detector cover. )Wow; 상기 몸체(2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으로서, 하단에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기다란 지지대(30)와;It is connect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body 20, the elongated support 30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at the bottom; 상기 지지대(30)와 상기 몸체(2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몸체(20)의 저면에 형성되는 홈(23)과, 상기 홈(23)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30)의 상단에 연결되는 결합구(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점검기구.In order to facilitat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support 30 and the body 20, a groove 2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20,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30 as being fitted into the groove 23 Fire detector check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er (31) connected to.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40)는; 상기 몸체(20)의 내벽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트랙(21)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20)와 일체로 하여 내측벽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요철형상의 걸림구고정부재(22)에 의해; 일단이 상기 트랙(21)을 따라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점검기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atch 40; By a concave-convex locking member (22)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integrally with the body (20) to form a plurality of tracks (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body (20); A fire detector inspection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can be selectively fitted and fixed along the track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31)는; 앙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일단이 상기 지지대(30)의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몸체(20)의 저면에 형성되는 홈(23)에 끼워질 수 있는 요철부(33)가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편(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점검기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upler (31);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30 to elastically move by the angular force, the other e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neven portion 33 that can be fitted into the groove 2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20 Fire detector check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elastic piece 32 is formed.
KR2019990020209U 1999-09-18 1999-09-18 Checking apparatus for fire detector KR20018290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185U KR200190583Y1 (en) 1999-09-18 2000-02-07 Checking apparatus for fire de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311A KR100313337B1 (en) 1999-09-18 1999-09-18 Checking apparatus for fire detec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311A Division KR100313337B1 (en) 1999-09-18 1999-09-18 Checking apparatus for fire detec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185U Division KR200190583Y1 (en) 1999-09-18 2000-02-07 Checking apparatus for fire det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908Y1 true KR200182908Y1 (en) 2000-05-15

Family

ID=196121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311A KR100313337B1 (en) 1999-09-18 1999-09-18 Checking apparatus for fire detector
KR2019990020209U KR200182908Y1 (en) 1999-09-18 1999-09-18 Checking apparatus for fire detecto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311A KR100313337B1 (en) 1999-09-18 1999-09-18 Checking apparatus for fire de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133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91B1 (en) * 2008-10-08 2011-0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the work device for safety cover of det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129B1 (en) * 2006-07-24 2007-02-01 (주)대능 Testing apparatus for fire warning
CN108693303B (en) * 2017-04-10 2020-12-15 广东珠江燃气集团股份有限公司 Dedicated smoke detector detection device is detected to fire-fighting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991B1 (en) * 2008-10-08 2011-01-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the work device for safety cover of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3337B1 (en) 2001-11-07
KR20010028202A (en)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050B2 (en) Devices and systems for remote and automated monitoring and control of water removal, mold remediation, and similar work
US7145456B2 (en) Efficient electronics for a walk-through metal detector
US8159084B2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KR200182908Y1 (en) Checking apparatus for fire detector
EP2746784B1 (en) A sensor for indicating voltage in a power transmission line and a method for voltage sensing
US20200279467A1 (en) Mobile communication tower
US9056392B2 (en) Electric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hand tools having testing mechanisms
CN105807115A (en) Test and measurement device with a pistol-grip handle
KR200190583Y1 (en) Checking apparatus for fire detector
KR100775968B1 (en) Yoke type magnetic particle tester
CN211038088U (en) Protective net railing
KR200445923Y1 (en) Up and Down System for Fire Detection Sensor Unit
KR200203728Y1 (en) Releasing apparatus for the cover of fire detector
KR20060016760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portable walk-through metal detector
KR100946359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tate of molding and system thereof
KR200179168Y1 (en) Releasing apparatus for the cover of fire detector
CN108362971A (en) A kind of portable earth detector
AU754867B1 (en) A smoke/heat detector bracket
KR20200137096A (en) Detecting device for checking for locking of anchor set
JP2008003069A (en) Rain detection/alarm device
KR200243110Y1 (en) Fire detector tester
CN218845527U (en) Device convenient to installation supervisory equipment
CN110371832B (en) Protective door for civil air defense engineering
CN210572401U (en) High-voltage line detection device
CN209942284U (en) Multi-functional automatic kio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