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594Y1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rol ai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rol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594Y1
KR200182594Y1 KR2019990026028U KR19990026028U KR200182594Y1 KR 200182594 Y1 KR200182594 Y1 KR 200182594Y1 KR 2019990026028 U KR2019990026028 U KR 2019990026028U KR 19990026028 U KR19990026028 U KR 19990026028U KR 200182594 Y1 KR200182594 Y1 KR 2001825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ine
regulator
controll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02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6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59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5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594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66Hydraulic or pneuma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조건이나 정비 조건에 따라 제어공기(0.2-1kg/㎠)를 1인의 작업자가 제공할 수 있음으로서 밸브 개도 검사가 용이하여 정비작업의 성역하가 이루어지고, 콘트롤러의 정비작업성도 개선되며, 포지셔너의 파손도 방지할수 있도록 개선된 계장 공기 출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air (0.2-1kg / ㎠) can be provided by one worker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r maintenance conditions, so the valve opening inspection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work load of the maintenance work is improved, and the maintenance workability of the controller is also improved. And an improved instrument air power regulator to prevent breakage of the positioner.

본 고안은 콘트롤러와 포지셔너등을 구비한 자동밸브에 사용되는 계장 공기 조절장치에 있어서, 콘트롤러와 포지셔너사이의 공기라인에 위치되어 콘트롤러의 제어공기 공기 라인과 메인 공기 공급라인에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메인 공기 공급라인에 일측이 연결되어 메인 공기압력을 제어공기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라인과 상기 제어공기 공기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어느 일측의 공기흐름을 외부로 출력하는 밸런스 볼;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라인과 상기 제어공기 공기라인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라인에 연결시키는 삼방변;을 포함하는 계장 공기 출력 조절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strumentation air conditioner for an automatic valve having a controller and a positioner, the apparatus being located in an air line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positioner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air line and the main air supply line of the controller; A regula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air supply line of the body part to reduce the main air pressure to control air pressure; A balance ball connected to an output line of the regulator and the control air line, respectively and outputting an air flow from one side to the outside; And a three-way valve configured to select any one of the regulator's output line and the control air line and connect the output line to the output line.

Description

계장 공기 출력 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ROL AIR}Instrumentation Air Output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ROL AIR}

본 고안은 콘트롤러와 포지셔너등을 구비한 자동밸브에 사용되는 계장 공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운전조건이나 정비 조건에 따라 제어공기(0.2-1kg/㎠)를 1인의 작업자가 제공할 수 있음으로서 밸브 개도 검사가 용이하여 정비작업의 성역하가 이루어지고, 콘트롤러의 정비작업성도 개선되며, 포지셔너의 파손도 방지할수 있도록 개선된 계장 공기 출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trument air conditioner used for an automatic valve equipped with a controller and a positioner, and more specifically, a single operator can provide control air (0.2-1kg / ㎠) according to operating conditions or maintenance condi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instrument air output control device, which facilitates inspection of the valve opening, thereby improving the maintenance work, improving the serviceability of the controller,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positioner.

일반적으로 자동밸브(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공기 공급라인(110)으로 부터 4-7Kg/cm2 압력의 공기가 제공되어 개폐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개폐공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포지셔너(120)가 장착되며, 상기 포지셔너(120)로 제어신호의 0.2-1kg/㎠의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식 콘트롤러(130)가 갖춰진다. 그리고, 상기 공기식 콘트롤러(130)와 포지셔너(120)사이는 동파이프로 라인(132)이 연결되어 제어공기가 공급되는 것이다. 종래의 설치 방식은 현장 프로세스(수위, 압력, 온도 등)에 따라 공기식 콘트롤러(130)가 제어된 공기(0.2-1kg/㎠)를 포지셔너(120)로 제공하게 되면 계장공기라인(132)을 통하여 공기가 자동제어 밸브(100)의 포지셔너(120)로 전달되고, 자동제어 밸브(100)의 개도에 따라 포지셔너(120)는 상기 제어공기에 비례한 메인 공기 공급라인(110)의 통상적으로 4-7Kg/cm2 압력의 공기 힘을 조절하고 자동제어 밸브(100)로 전달하여 이를 개폐(OPEN/CLOSE)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automatic valve 100 is provided with air of 4-7Kg / cm2 pressure from the main air supply line 110, as shown in Figure 1 is opened and closed, the positioner 120 to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air ) Is mounted, and the positioner 120 is equipped with a pneumatic controller 130 to provide air of 0.2-1kg / ㎠ of the control signal. In addition, between the pneumatic controller 130 and the positioner 120, the copper pipe line 132 is connected to supply control ai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stallation method, when the pneumatic controller 130 provides the controlled air (0.2-1 kg / cm 2) to the positioner 120 according to the field process (water level, pressure, temperature, etc.), the instrument air line 132 is provided. Air is delivered to the positioner 120 of the automatic control valve 100, and according to the opening degree of the automatic control valve 100, the positioner 120 is generally 4 of the main air supply line 110 proportional to the control air. The air force of -7Kg / cm2 pressure is adjusted and delivered to the automatic control valve 100 to open and close it (OPEN / CLOSE).

즉, 자동제어 밸브(100)는 현장 공정의 변화에 따른 값을 콘트롤러(130)가 감지하여 제어출력을 내어보내게 되고, 결국 포지셔너(120)는 제어출력에 비례한 값을 메인 공기 공급라인(110)의 4-7Kg/cm2 압력의 공기 힘으로 변환하여 자동제어 밸브(100)를 조절하게 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밸브조절방식은 정상적으로 운전시에는 문제가 없지만 정비시나 비상 운전시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That is, the automatic control valve 100 detects the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field process and sends out the control output. In the end, the positioner 120 transmits a value proportional to the control output to the main air supply line ( It is to control the automatic control valve 100 by converting the air force of 4-7kg / cm2 pressure of 110). However, such a conventional valve control method has no problem during normal operation, bu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maintenance or emergency operation.

이와 같은 자동제어밸브(100)는 통상적으로 콘트롤러(130)가 운전실등의 실내에 위치되고, 자동제어밸브(100)와 포지셔너(120)는 이로 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자동제어밸브(100)의 개도 정비시에는 즉, 밸브(100)의 개도가 제어 공기와 맞지 않을 때는 밸브(100) 개도를 확인하여야 하는데 두명의 정비자가 필요하게 된다. 한 사람은 공기식 콘트롤러(130)를 수동모드로 절환하거나 현장 값을 고정한 후, 설정 값을 변동시켜 제어공기(0.2-1kg/㎠)를 출력하게 한 다음, 밸브(100)측의 정비자와 상호 연락을 하여 자동제어밸브(100)의 개도를 조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간에 연락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밸브(100)의 개도 확인이 어렵고 공기식 포지셔너(120)의 조정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Such automatic control valve 100 is typically the controller 130 is located in the room, such as the cab, the automatic control valve 100 and the positioner 120 is located far from it, and thus, such automatic control valve When the opening degree maintenance of the (100), that is,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100 does not match the control air,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100, two maintenance workers are required. One person switches the pneumatic controller 130 to the manual mode or fixes the field value, and then changes the set value to output the control air (0.2-1kg / cm 2), and then the operator on the valve 100 side. Since the opening degree of the automatic control valve 100 is adjusted by mutual communication,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100 and the adjustment of the pneumatic positioner 120 becomes impossible if the mutual contact is not properly established. do.

한편, 공기식 콘트롤러(13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어공기(0.2-1kg/㎠)를 출력하지 못하게 되므로 운전자는 공압을 이용하지 못하고 자동제어밸브(100)를 힘들게 수동핸들(102)로 일정 개도를 맞춘 후, 자동제어밸브(100)를 수리해야 하며, 만일 콘트롤러(130)에서 제어공기가 출력되는 도중에 운전자가 자동제어밸브(100)의 일정 개도를 강제로 수작업으로 조정하여 밸브(100)의 수동핸들(102)로 맞추게 되면 상기 포지셔너(12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a failure occurs in the pneumatic controller 130, the control air (0.2-1kg / ㎠) is not output because the driver can not use the pneumatic pressure to control the automatic control valve 100 by a manual handle 102 After adjusting the pressure, the automatic control valve 100 needs to be repaired, and if the control air is output from the controller 130, the driver may manually adjust a certain opening degree of the automatic control valve 100 to manually control the valve 100. The positioner 120 may be damaged if it is fitted with the manual handle 102.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조건이나 정비 조건에 따라 제어공기(0.2-1kg/㎠)를 1인의 작업자가 조정할 수 있음으로서 밸브 개도 검사가 용이하여 정비작업의 성역하가 이루어지고, 콘트롤러의 정비작업성도 개선되며, 포지셔너의 파손도 방지할수 있도록 개선된 계장 공기 출력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one person can adjust the control air (0.2-1kg / ㎠)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r maintenance conditions, valve inspection is easy to check the opening of the maintenance work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mproved instrument air output regulator to improve the load, improve the serviceability of the controller, and prevent damage to the positioner.

도 1은 일반적인 자동밸브의 공기조절계통을 도시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ir control system of a general automatic valv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장 공기 출력 조절장치가 장착된 자동밸브의 공기조절계통을 도시한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ir control system of the automatic valve equipped with the instrumentation air outpu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장 공기 출력 조절장치의 공기유로를 도시한 설명도;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air flow path of the instrumentation air output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계장 공기 출력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rumentation air output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계장 공기 출력 조절장치에 갖춰진 삼방변의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three sides equipped with instrumentation air output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계장 공기 출력 조절장치의 구조도로서,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instrumentation air output reg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도는 외관도,a) turning appearance,

b)도는 측 단면도이다.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몸체부 12..... 유니온10 ..... Body 12 ..... Union

20..... 공기 유로판 30..... 레귤레이터20 ..... Air Europan 30 ..... Regulator

32..... 입력라인 35..... 레귤레이터 출력라인32 ..... Input Line 35 ..... Regulator Output Line

37..... 콘트롤러 제어라인 39..... 외부 출력라인37 ..... Controller Control Line 39 ..... External Output Line

50..... 삼방변 52..... 레버50 ..... Trilateral 52 ..... Lever

70..... 밸런스 볼(BALANCE BALL)70 ..... BALANCE BALL

100.... 자동제어밸브 110.... 메인 공기라인100 .... Automatic control valve 110 .... Main air line

120.... 포지셔너 130.... 콘트롤러120 ... positioner 130 ... controller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콘트롤러와 포지셔너등을 구비한 자동밸브에 사용되는 계장 공기 조절장치에 있어서, 콘트롤러와 포지셔너사이의 공기라인에 위치되어 콘트롤러의 제어공기 공기 라인과 메인 공기 공급라인에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메인 공기 공급라인에 일측이 연결되어 메인 공기압력을 제어공기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라인과 상기 제어공기 공기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어느 일측의 공기흐름을 외부로 출력하는 밸런스 볼; 및,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라인과 상기 제어공기 공기라인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라인에 연결시키는 삼방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장 공기 출력 조절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An instrument air conditioner used in an automatic valve having a controller and a positioner, the instrument comprising: a body portion located in an air line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positioner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air line and the main air supply line of the controller; A regulato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air supply line of the body part to reduce the main air pressure to control air pressure; A balance ball connected to an output line of the regulator and the control air line, respectively and outputting an air flow from one side to the outside; And three-way valves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regulator's output line and the control air line and connecting them to the output line.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계장 공기 출력조절장치(1)가 도 2에서 자동제어 밸브(100)에 장착되어 있다. 본 장치는 몸체부(10)가 콘트롤러(130)와 포지셔너(120)사이의 공기라인(132)에 위치되어 콘트롤러(130)에 연결되며, 메인 공기 공급라인(110)은 본 고안의 장치(1)와 포지셔너(120)에 통상적으로 4-7Kg/cm2 압력의 공기를 공급한다.Instrument air output regul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the automatic control valve 100 in FIG. The device is the body portion 10 is located in the air line 132 between the controller 130 and the positioner 1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30, the main air supply line 110 is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And positioner 120 are typically supplied with air at a pressure of 4-7 Kg / cm 2.

본 고안의 장치에서 제어된 0.2-1kg/㎠의 압력을 갖는 공기는 포지셔너(120)측으로 출력공기라인(5)에 의하여 연결되어지며, 포지셔너(120)는 이 제어공기에 따라 밸브(100) 개도를 비교하고 포지셔너(120)의 출력공기 라인(122)을 통하여 4-7Kg/cm2 압력의 메인 공기를 출력하여 밸브(100)를 개방 또는 폐쇄측으로 밸브(100) 개도를 전개시킨다.The air having a pressure of 0.2-1kg / cm2 controlled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ositioner 120 by the output air line 5, and the positioner 120 opens the valve 100 according to the control air. Then, through the output air line 122 of the positioner 120, the main air of 4-7 Kg / cm2 pressure is output to develop the valve 100 opening degree to the open or closed side.

도 3은 본 고안을 표시한 개략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subject innovation,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ubject innovation.

도 4에서 4-7kg/㎠ 의 메인 공기 공급라인(110)은 테프론 튜브(3)로 몸체부(10)의 유니언(12)과 연결되어지고 공기 유로판(20)에 의해 레귤레이터(30)의 입력 공기라인(32)에 연결되어진다.In FIG. 4, the 4-7 kg / cm 2 main air supply line 110 is connected to the union 12 of the body portion 10 by the Teflon tube 3 and is connected to the union 12 by the air flow path plate 20. It is connected to the input air line 32.

이렇게 하는 이유는 콘트롤러(130)의 제어공기 라인(132)에서 오는 제어공기와 같은 제어공기를 구현하기 위해 4-7kg/㎠ 의 공급공기를 레귤레이터(30)로 감압조절하여 0.2-1kg/㎠ 압력의 공기를 레귤레이터 출력라인(35)으로 보내어 공기 유로판(20)에 의해 삼방변(50)으로 이러한 감압된 공기가 연결되게 되어 있다. 또한 콘트롤러(130)의 제어공기도 함께 연결되어지게 되어 있다.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o reduce the pressure of 0.2-1kg / ㎠ by adjusting the supply air of 4-7kg / cm2 with the regulator 30 to realize the control air such as the control air coming from the control air line 132 of the controller 130. This air is sent to the regulator output line 35 so that the reduced pressure air is connected to the three sides 50 by the air flow path plate 20. In addition, the control air of the controller 130 is to be connected together.

삼방변(50)의 레버(52)선택에 의하여 공기라인을 선택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밸런스 볼(70)은 투명 튜브에 들어 있어 콘트롤러(130)의 제어공기와 레귤레이터(30)에서 조정제어된 공기를 비교하여 밸런스 볼(70)이 어느 한쪽이 현재 가동중인가를 외부로 지시토록 한다.The air line can be selected and adjusted by selecting the lever 52 of the three sides 50. Here, the balance ball 70 is contained in a transparent tube to compare the control air of the controller 130 with the air controlled by the regulator 30 so that the balance ball 70 indicates which one is currently operating to the outside. do.

상기 콘트롤러(130)의 제어공기를 사용하다가 레귤레이터(30)에서 조정된 제어공기로 절환할때 밸런스 볼(70)이 투명튜브의 중심에 오도록 하면 자동제어밸브(100)의 급속한 변화를 막을 수 있다. 반대로의 절환시에도 마찬가지이다.When the control ball of the controller 130 is switched to the control air adjusted by the regulator 30, when the balance ball 70 is at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tube, the rapid change of the automatic control valve 100 can be prevented. . The same applies to the reverse switching.

본 고안의 조립시 삼방변(50)은 고정판(54)에 의해 몸체부(10)를 이루는 몸체부(10) 위에 고정볼트로 밸런스 볼(70)과 함께 장착된다. 밸런스 볼(70)은 몸체부(10)에 있는 밸런스 볼 연결잭(13A)(13B)들에 양측 하부 잭(72A)(72B)들이 테프론 튜브(74)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밸런스 볼 연결잭(13A)(13B)들은 각각 공기유로판(20)의 레귤레이터 출력라인(35)과 콘트롤러의 제어라인(37)에 각각 연결되어 그 압력이 상기 밸런스 볼(70)로 미치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way side 50 is mounted with the balance ball 70 as a fixing bolt on the body portion 10 forming the body portion 10 by the fixing plate 54. The balance ball 70 has both lower jacks 72A and 72B connected to the balance ball connecting jacks 13A and 13B in the body portion 10 through the Teflon tube 74, and the balance ball connecting jack 13A. 13B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egulator output line 35 of the air flow path plate 20 and the control line 37 of the controller so that the pressure reaches the balance ball 70.

상기 레귤레이터(30)는 고정볼트로서 몸체부(10)과 테프론 가스켓(80)및, 공기 유로판(20)을 일체로 고정시키며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The regulator 30 is fixed to the body portion 10, the Teflon gasket 80, and the air flow path plate 20 is fixed to be mounted as a fixing bolt.

또한, 레귤레이터(30)는 밑부분으로 입력공기포트(36A)와 출력공기포트(36B)가 설치된 것으로 몸체부(10)에 레귤레이터(30)의 4-7kg/㎠ 압력의 입력 공기포트(36A)와 레귤레이터(30)의 0.2-1kg/㎠ 압력의 출력공기포트(36B)가 장착되어진다.In addition, the regulator 30 is provided with an input air port 36A and an output air port 36B at the bottom thereof, and an input air port 36A having a pressure of 4-7 kg / cm 2 of the regulator 30 on the body portion 10. And an output air port 36B having a pressure of 0.2-1 kg / cm 2 of the regulator 30.

상기 공기 유로판(20)은 작은 공간에서 공기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판 자체를 우묵하게 홈을 만들어 유로를 형성하게 한다. 그 홈은 공기 유로판(20)에서 입력공기라인(32), 레귤레이터 출력라인(35)과 콘트롤러 제어라인(37)및 출력 라인(39)을 형성한다.The air flow path plate 20 is for forming an air flow path in a small space, so that the grooves are formed recessedly to form a flow path. The groove forms an input air line 32, a regulator output line 35, a controller control line 37, and an output line 39 on the air flow path plate 20.

이 공기 유로판(20)의 홈은 몸체부(10)의 다수개의 연결잭, 각 구성요소의 위치에 구멍들과 조립되었을때 일치되도록 된 것이다.The groove of the air flow path plate 20 is to be matched when assembl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jacks, the holes in the posi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body portion 10.

몸체부(10)는 삼방변(50) 위치에, 또한 레귤레이터(30)의 위치에 공기 연결잭(57A)이 설치되어 유니언과 밸런스 볼(70)의 잭(72A)(72B)을 연결하도록 되어있다. 공기 유로판(20)과 몸체부(10) 사이에는 테프론 가스켓(80)으로 기밀성 유지가 되도록 하여 합하여지고 몸체부(10)의 구멍과 일치되도록 구멍이 뚫려 있으며, 고정용 볼트(t)로서 자동제어밸브(100)에 인접한 고정 지지대(미도시)에 고정된다.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n air connection jack 57A at the three-way side 50 and at the position of the regulator 30 to connect the unions 72A and 72B of the union and the balance ball 70. . Between the air flow path plate 20 and the body portion 10, the Teflon gasket 80 is combined to maintain airtightness, and holes are formed to coincide with the holes of the body portion 10, and are automatically fixed as fixing bolts (t). It is fixed to a fixed support (not shown) adjacent to the control valve 100.

도 5는 삼방변(50)의 구조와 개략 구성도이다.5 is a structure and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three-way side 50.

삼방변(50)은 크게 윗부분과 아랫부분으로 나뉘며 윗부분은 레버(52)가 있고, 아랫부분은 절환유로를 내장한 구조의 공지의 것이다. 이는 상기 레버(52)를 작업자가 선택함으로서 레귤레이터 출력라인(35)과 외부출력라인(39)을 서로 내부에서 연결하거나, 혹은 콘트롤러 제어 라인(37)과 외부출력라인(39)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Three sides 50 is divided into a large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upper portion is a lever 52, the lower portion is a known structure of a built-in switching path. This is because the operator selects the lever 52 so that the regulator output line 35 and the external output line 39 can be connected internally, or the controller control line 37 and the external output line 39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It is.

미설명부호(95)는 케이스이다.Reference numeral 95 is a cas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콘트롤러(130)와 포지셔너(120)사이의 공기라인(132)에 위치되어 콘트롤러(130)의 제어공기 공기 라인(132)이 몸체부(10)의 잭(12A)으로 연결되어 공기 유로판(20)의 콘트롤러 제어라인(37)과 연결되며, 메인 공기 공급라인(110)은 4-7Kg/cm2 압력의 공기를 잭(12)에 공급하여 공기 유로판(20)의 입력라인(32)으로 공급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located in the air line 132 between the controller 130 and the positioner 120, so that the control air line 132 of the controller 130 to the jack 12A of the body portion 10.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control line 37 of the air flow path plate 20, the main air supply line 110 is supplied to the jack 12 of the air of 4-7kg / cm2 pressure of the air flow path plate 20 Supply to the input line (32).

따라서, 4-7kg/㎠ 의 공급공기가 입력되어 레귤레이터(30)로 감압조절되고 0.2-1kg/㎠ 압력의 공기를 레귤레이터 출력라인(35)으로 보내게 된다. 한편, 콘트롤러(130)의 제어공기와 레귤레이터(30)에서 조정제어된 공기는 밸런스 볼(70)측으로 공급되어 어느 한쪽이 현재 가동중인가를 외부로 지시하게 된다.Therefore, 4-7kg / cm 2 of supply air is input to regulate the pressure reduction to the regulator 30 and send air of 0.2-1kg / cm 2 to the regulator output line 35.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air of the controller 130 and the air controlled by the regulator 30 is supplied to the balance ball 70 side to indicate to the outside which one is currently operating.

상기 밸런스 볼(70)의 연결잭(72A)(72B)들은 각각 공기유로판(20)의 레귤레이터 출력라인(35)과 콘트롤러 제어라인(37)에 각각 연결되어 그 압력이 상기 밸런스 볼(70)로 미치도록 하는 것이다.The connecting jacks 72A and 72B of the balance ball 7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egulator output line 35 and the controller control line 37 of the air flow path plate 20 so that the pressure is transferred to the balance ball 70. It's crazy.

그리고, 작업자는 삼방변(50)의 레버(52)를 선택함으로서 도 3에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 출력라인(35)과 외부출력라인(37)을 서로 내부에서 연결하거나(삼방변의 점선부분참조), 혹은 콘트롤러 제어 라인(37)과 외부출력라인(39)을 선택적으로 연결(삼방변의 실선부분참조) 할 수 있는 것이다.Then, the operator selects the lever 52 of the three sides 50 to connect the regulator output line 35 and the external output line 37 inside each other as shown in Figure 3 (see the dotted line portion of the three sides)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control line 37 and the external output line 39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see the solid line of three sides).

따라서, 본 고안의 장치에서 제어된 0.2-1kg/㎠의 압력을 갖는 공기는 포지셔너(120)측으로 외부출력라인(39)과 잭(58)및 출력공기라인(5)에 의하여 연결되어지며, 포지셔너(120)는 이 제어공기에 따라 밸브(100) 개도를 비교하고 포지셔너(120)의 출력공기 라인(122)을 통하여 공기를 출력하여 밸브(100)를 개방 또는 폐쇄측으로 밸브(100) 개도를 전개시킨다.Therefore, the air having a pressure of 0.2-1kg / cm 2 controlled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ositioner 120 by the external output line 39 and the jack 58 and the output air line 5, and the positioner 120 compares the valve 100 opening degree according to the control air and outputs air through the output air line 122 of the positioner 120 to develop the valve 100 opening degree toward the open or closed side. Let's do it.

즉, 작업자는 정상적인 작업시에는 삼방변(50)의 레버(52)를 선택하여 콘트롤러(130)의 공기 라인(132)과 콘트롤러 제어라인(37)및, 출력라인(39)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0.2-1kg/㎠의 압력을 갖는 공기를 포지셔너(120)측으로 공급하며, 이 포지셔너(120)는 이러한 제어공기에 따라 종래와 같이 밸브(100) 개도를 비교하고, 포지셔너(120)의 출력공기 라인(122)을 통하여 공기를 출력하여 밸브(100)를 개방 또는 폐쇄측으로 밸브(100) 개도를 전개시킨다.That is, the worker selects the lever 52 of the three sides 50 during the normal operation to selectively connect the air line 132 and the controller control line 37 and the output line 39 of the controller 130 and , Supplying air having a pressure of 0.2-1kg / cm 2 to the positioner 120 side, the positioner 120 compares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100 according to the control air as in the prior art, and the output air of the positioner 120 Air is output through the line 122 to open the valve 100 to the open or closed side.

그러나, 상기 공기식 콘트롤러(130)에 고장이 발생되면 제어공기(0.2-1kg/㎠)를 출력하지 못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밸브(100)를 힘들게 수동핸들(102)로 일정 개도를 맞춘 후, 자동제어밸브(100)를 수리해야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작업자가 삼방변(50)의 레버(52)를 조작하게된다.However,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pneumatic controller 130, the control air (0.2-1kg / ㎠) is not output because the driver hardly adjusts the valve 100 by a manual opening 102, automatic control Although the valve 100 needs to be repa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operates the lever 52 of the three-way valve 50.

즉, 삼방변(50)의 유로를 변경시킴으로서 메인 공기 공급라인(110)으로 부터 4-7Kg/cm2 압력으로 제공된 공기를 레귤레이터(30)에서 감압조절하여 0.2-1kg/㎠ 압력의 공기로 조절하고, 레귤레이터 출력라인(35)으로 부터 외부출력라인(39)에 제공됨으로서 상기 레귤레이터(30)에서 제어된 0.2-1kg/㎠의 압력을 갖는 공기는 포지셔너(120)측으로 출력공기라인(5)에 의하여 연결되어지며, 포지셔너(120)는 이 제어공기에 따라 밸브(100) 개도를 비교하고 포지셔너(120)의 출력공기 라인(122)을 통하여 공기를 출력하여 밸브(100)를 개방 또는 폐쇄측으로 밸브(100) 개도를 전개시킨다.That is, by changing the flow path of the three-way side 50, the air provided at the pressure of 4-7Kg / cm2 from the main air supply line 110 to regulate the pressure in the regulator 30 to adjust to 0.2-1kg / ㎠ pressure By providing the external output line 39 from the regulator output line 35, air having a pressure of 0.2-1 kg / cm 2 controlled by the regulator 30 is moved to the positioner 120 by the output air line 5. The positioner 120 compares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100 according to the control air and outputs air through the output air line 122 of the positioner 120 to open the valve 100 to the open or closed side. 100) Develop the opening degree.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운전조건이나 정비 조건에 따라 콘트롤러(130)의 파손등이 발생되면, 메인공기라인(110)의 공기를 제어공기(0.2-1kg/㎠)로 감압시키고 이를 제어공기로서 사용할 수 있음으로서 1인의 작업자가 밸브(100)개도를 조절할 수 있어 밸브(100) 개도 검사가 용이하고, 그에 따라 정비작업의 성역화가 이루어지며, 밸브(100)개도 조정과는 별개로 콘트롤러(130)를 정비할 수 있음으로서 콘트롤러(130)의 정비작업성도 개선된다. 그리고, 항상 제어공기(0.2-1kg/㎠)를 이용할 수 있음으로서 포지셔너(120)의 파손도 방지할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damage of the controller 130 occurs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or maintenance conditions, the air of the main air line 110 is reduced to the control air (0.2-1kg / ㎠) and this control air As one worker can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100, the inspection of the opening degree of the valve 100 is facilitated, and the maintenance work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gender. The maintenance workability of the controller 130 is also improved by being able to maintain the 130.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air (0.2-1 kg / cm 2) can be used at all times, an improved effect is obtained to prevent damage to the positioner 120.

Claims (2)

콘트롤러(130)와 포지셔너(120)등을 구비한 자동밸브(100)에 사용되는 계장 공기 조절장치에 있어서,In the instrument air regulator used in the automatic valve 100 having a controller 130, a positioner 120, etc., 콘트롤러(130)와 포지셔너(120)사이의 공기라인에 위치되어 콘트롤러의 제어공기 공기 라인(132)과 메인 공기 공급라인(110)에 연결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10)의 메인 공기 공급라인(110)에 일측이 연결되어 메인 공기압력을 제어공기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레귤레이터(30); 상기 레귤레이터(30)의 출력라인(35)과 상기 콘트롤러 제어 공기라인(37)에 각각 연결되어 어느 일측의 공기흐름을 외부로 출력하는 밸런스 볼(70);및, 상기 레귤레이터 출력라인(35)과 상기 제어공기라인(37)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외부출력라인(39)에 연결시키는 삼방변(5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장 공기 출력 조절장치.A body part positioned in an air line between the controller 130 and the positioner 120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air line 132 and the main air supply line 110 of the controller; A regulator 3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main air supply line 110 of the body part 10 to reduce the main air pressure to control air pressure; A balance ball 70 connected to the output line 35 of the regulator 30 and the controller control air line 37 to output an air flow of one side to the outside; and the regulator output line 35 Instrument air output control device comprising a; three-sided (50) to select any one of the control air line (37) to connect to the external output line (3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판(20)은 오묵하게 홈을 만들어 유로를 형성하고, 그 홈은 입력공기라인(32), 레귤레이터 출력라인(35)과 콘트롤러 제어라인(37) 및 외부출력 라인(39)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장 공기 출력조절장치.The air flow path plate 20 is recessed to form a groove, and the groove is an input air line 32, a regulator output line 35 and a controller control line 37 and an external output. Instrument air output regul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 line (39).
KR2019990026028U 1999-11-25 1999-11-25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rol air KR20018259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028U KR200182594Y1 (en) 1999-11-25 1999-11-25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rol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028U KR200182594Y1 (en) 1999-11-25 1999-11-25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rol 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594Y1 true KR200182594Y1 (en) 2000-05-15

Family

ID=1959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028U KR200182594Y1 (en) 1999-11-25 1999-11-25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rol 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59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924B1 (en) * 2011-05-26 2013-02-0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Separation type positioner of air operated valv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924B1 (en) * 2011-05-26 2013-02-0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Separation type positioner of air operated valv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4396B2 (en) Hydraulic controller for working machine
US7090190B2 (en) Flow control valve
JP4281714B2 (en) Hydraulic circuit of work machine
JPH11303810A (en) Piping break control valve device
JP3814277B2 (en) Control device for proportional solenoid valve
KR200182594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control air
US6973866B2 (en) Hydraulic circuit for option tool of heavy equipment
US6170520B1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solenoid valve aggregate and solenoid valve assembly provided with the same
US7320335B2 (en) Electrohydraulic control device
WO1995005546A1 (en) Flow rate servicing directional control valve for hydraulic circuit
WO1998004838A1 (en) Hydraulic oil supply apparatus
KR102403885B1 (en) valve apparatus and fluid control apparatus
JP2005240994A (en) Flow rate controller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JPH0544517A (en) Working machine stop device
JPH0142167Y2 (en)
JP2560862Y2 (en) Hydraulic operating device
KR200495925Y1 (en) The waste high pressure gas recovery structure by the manual pressure control
ITTO20010301A1 (en) HYDRAULIC LINE UNION ARRANGEMENT.
JP3117350B2 (en) Three-way switching butterfly valve device
JP2547415Y2 (en) Water tank pressure tank piping structure
JPH0418010Y2 (en)
JP2518164Y2 (en) Pilot type solenoid valve with manual operation
KR200243471Y1 (en) a
JPS6123681Y2 (en)
JPS6342161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