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755Y1 - A monitoring camera - Google Patents

A monitoring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755Y1
KR200181755Y1 KR2019960042664U KR19960042664U KR200181755Y1 KR 200181755 Y1 KR200181755 Y1 KR 200181755Y1 KR 2019960042664 U KR2019960042664 U KR 2019960042664U KR 19960042664 U KR19960042664 U KR 19960042664U KR 200181755 Y1 KR200181755 Y1 KR 200181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rveillance camera
protocol
uni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66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29592U (en
Inventor
황준현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2019960042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755Y1/en
Publication of KR199800295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59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755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감시카메라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의 온, 오프를 조정하는 전원 조정부와, 상기 전원 조정 수단에서 출력하는 전원 온, 오프를 입력받으며, 입력되는 전원 온, 오프의 내용에 따라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여러 가지 프로토콜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해당 프로토콜의 내용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에 의해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전원 조정부로 전원을 조정함으로써,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 있는 감시카메라의 기능을 조정할 수 있어 감시카메라의 기능조정이 쉽고, 조정시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 없는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한다.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the power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power on, off, and receives the power on, off output from the power adjusting means, the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power on, off content And, a variety of protocols are stored, and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for the contents of the protocol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the power adjustment unit in a position that can be easily manipulated by the user By adjusting the power supp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unc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out of reach, which makes it easy to adjust the surveillance camera function and provides economical effect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cable.

Description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Surveillance Camera Controls Function with Power

이 발명은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미리 프로토콜(protocol)을 정의해 두고 전원의 온(on), 오프(off)를 기준으로 감시카메라의 조정 내용을 절환하는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for adjusting a function by a power supply. More specifically, the protocol is defined in advance, and the control content of the surveillance camera is switched based on the on and off of the power supply. It relates to a camera that adjusts functions with power.

기존의 감시카메라는 단순히 감시기능만을 수행함으로써, 감시 기능에 따른 영상 신호만을 출력하면 되었다.Conventional surveillance cameras simply perform a surveillance function, and only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surveillance function needs to be output.

그러나 점차 디지털화 되어가면서 고기능화가 요구되어 종래에는 외부시스템에서 수행하던 기능을 카메라가 직접 수행하게 되었다.However, as digitalization is gradually required, high functionalization is required so that a camera directly performs a function previously performed by an external system.

예를들어, 모션 디텍션(motion detection)이라 하여 화면상에서 움직임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능이 있는데, 사용자는 상기 움직임의 유무 판단기능을 이용하여 항상 녹화하거나 감시하지않고 움직임이 있는 순간만을 녹화하거나 경보에 의해 주의를 받을 수 있다.For example, there i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motion on the screen, called motion detection, and the user can record only the moment of motion or alarm without using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You can get attention by

상기의 모션 디텍션 기능을 기존 외부시스템에서 점차 카메라 내부에 넣을 수 있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하는 이유는 외부시스템으로 수행하는 것보다 부피가 줄고, 가격이 저렴해지기 때문이다.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camera gradually from the existing external system. The reason for doing this is because the volume is reduced and the price is lower than that performed by the external system.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감시카메라의 대부분은 사람의 손이 닿지 않은 높은 곳이나 모니터로부터 먼 곳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능조정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most of the surveillance cameras as described above have a problem in that function adjustment is not easy because the surveillance cameras are installed at a high place away from the human hand or far from the monitor.

특히 종래의 감시카메라의 모션 디텍션 기능의 경우, 주간에는 필요하지 않고, 야간에만 필요하여 매일 두 번씩 조정해야 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surveillance camera, it is not necessary during the day, it is necessary only at night,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adjust twice daily.

상기의 종래의 문제점을 첨부한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첨부한 도 1의 (a)는 모션 디텍션기능이 외부에 있는 경우이고, 첨부한 도 1의 (b)와 (c)는 조정 장치가 내부에 있는 경우이다.1A is a case where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is external, and FIGS. 1B and 1C are case where the adjusting device is inside.

상기 도 1의 (b)는 조정을 위한 스위치가 카메라에 직접 붙어 있어 조정을 다양하고 쉽게 할 수 있으나, 일단 설치하고 난 후에는 조정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In FIG. 1 (b), since the switch for adjustment is directly attached to the camera, the adjustment can be variously and easily, but once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djustment is practically impossible.

상기 도 1의 (c)는 조정을 위해 별도의 케이블(cable)을 설치해야만 하는데 대부분 설치거리가 멀기 때문에 케이블 비용이 오히려 카메라보다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In FIG. 1 (c), a separate cable must be installed for adjustment, but since the installation distance is large, the cable cost is higher than that of the camera.

따라서 이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시카메라에 프로토콜을 정의해 두고 외부에 부착된 전원 장치를 온, 오프시켜 감시카메라의 기능을 조정하게 하는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provides a surveillance camera that defines a protocol in the surveillance camera and adjusts the function with a power source that allows the external power supply to be turned on and off to adjust the func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It is to.

제1도의 (a)내지 (c)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사용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A)-(c) of FIG. 1 is a state diagram which shows the use example of the surveillance camera which concerns on a prior art,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의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surveillance camera adjusting its function with a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기술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고안은, 전원 조정부(2), 제어부(3)와 저장부(4)를 포함한다.This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the power control unit 2, the control unit 3 and the storage unit (4).

여기서, 사용자가 전원 조정부(2)를 온/오프시키면, 이때의 온/오프 신호는 제어부(3)를 통해 저장부(4)에 저장되고, 온/오프 신호가 일정 시간 입력되지 않으면 이때 저장부(4)에 저장된 전원 온 횟수를 설정된 프로토콜 수로 나눈 나머지 값이 감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할 프로토콜이 되도록 한다.Here, when the user turns on / off the power adjusting unit 2, the on / off signal at this tim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through the control unit 3, and if the on / off signal i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torage unit at this time The remaining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number of power-on times stored in (4) by the set number of protocols is the protoco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여기서, 제어부(3)는 설정된 다수의 프로토콜을 저장하고 있으며, 전원 온 신호의 횟수에 따라 판단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감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한다.Here, the controller 3 stores a plurality of set protocol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a protoco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ower-on signals.

한편, 이 고안은 상기 제어부(3)에 설정된 프로토콜의 내용을 변경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 조정부(1)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is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adjusting unit (1) for outputting a signal for changing the content of the protocol set in the control unit (3).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which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첨부한 도 2을 참조로 한 이 고안의 구성은, 감시카메라에 저장된 프로토콜의 내용을 변경시키는 기능조정부(1)와, 서로 다른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하나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전원 조정부(2)와, 여러 가지의 프로토콜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온/오프 신호를 입력하여 온 신호를 카운트하고, 카운트 한 값을 저장된 프로토콜의 수로 나누어 얻은 나머지로서 해당 프로토콜을 판단하며, 판단한 프로토콜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3)와, 상기 제어부(3)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조정부(2)의 온 신호 횟수를 저장하고, 저장한 값을 제어부(3)로 출력하는 EEPROM(Electrical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인 저장부(4)와, 상기의 구성을 가진 감시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출력하는 영상 신호를 영상으로 나타내고, 조정된 기능의 내용을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문자로 표시하는 모니터(monitor)(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 2 includes a power adjusting unit 2 including a function adjusting unit 1 for changing the contents of a protocol stored in a surveillance camera, and a switch for outputting different power cutoff signals; Various protocols are stored, the ON / OFF signal outputted from the power controller 2 is counted, and the ON signal is counted, and the corresponding protocol is determined as the remainder obtained by dividing the counted value by the number of stored protocols. The controller 3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otocol, and stores the number of ON signals of the power adjusting unit 2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3, and outputs the stored value to the controller 3. A storage unit 4 which is an EEPROM (Electrical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and a surveillance camera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output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urveillance camera. Represents the phase, is achieved by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monitor) (5) to display the contents of the adjustment to the character allows the user to know.

여기서, 상기의 전원 조정부(2)는 당업자라면 제어부(3)에 설정된 프로토콜의 수만큼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각 버튼의 출력 신호가 해당하는 프로토콜을 지정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다.Here, it is easy for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the power adjustment unit 2 consist of as many buttons as the number of protocols set in the control unit 3, and the output signal of each button can designate a corresponding protocol.

그리고, 당업자의 입장에서, 이 고안의 프로토콜을 제어부(3)에 저장시키지 않고, 저장부(4)에 저장시켜 제어부(3)가 저장부(4)로부터 프로토콜을 읽어들이도록 하는 것 또한 용이하다.From the stand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also easy for the control unit 3 to read the protocol from the storage unit 4 by storing it in the storage unit 4 without storing the protoco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rol unit 3. .

그리고, 첨부한 도 2을 참조로 한, 이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전체적인 구성이 기능 조정부(1)과, 전원 조정부(2)와 제어부(3)와 저장부(4)와 모니터(5)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나, 상기 전원 조정부(2)가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상기 버튼의 누름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고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3)는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저장된 알고리즘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verall configuration includes a function adjusting unit 1, a power adjusting unit 2, a control unit 3, a storage unit 4, It is composed of a monitor (5)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power adjusting unit (2) is composed of one button, the power is cut off and supplied by pressing the button, the control unit (3) This is stored, and 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adjuster 2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tored algorithm.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adjusting the function by the power sour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사용자 또는 제작자는 감시카메라의 프로토콜의 내용을 사용자 또는 제작자의 정의대로 조정하기 위해 기능조정부(1)를 조작한다.The user or the manufacturer manipulates the function adjusting unit 1 to adjust the contents of the protocol of the surveillance camera as defined by the user or the manufacturer.

상기 기능조정부(1)는 사용자 또는 제작자에 의해 조정되어, 제어부(3)에 저장된 프로토콜의 내용이 변경되도록 하는 신호를 제어부(3)로 출력하고, 제어부(3)는 기능조정부(1)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저장된 프로토콜의 내용이 변경된다.The function adjusting unit 1 is adjusted by the user or the manufacturer, and outputs a signal for changing the contents of the protocol stored in the control unit 3 to the control unit 3, and the control unit 3 outputs the function adjusting unit 1. The contents of the stored protocol change according to the signal.

그러나, 제작시 프로토콜의 내용을 설정시키면, 상기 기능조정부(1)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However, if the contents of the protocol at the time of production are set, the function adjusting unit 1 is not necessary.

상기와 같이 기능조정부(1)가 조작되면, 사용자는 감시카메라를 손이 닿지않는 곳에 설치하며, 차후에 상기 제어부(3)에 저장된 프로토콜의 내용을 변경하고자 할 때, 감시카메라의 기능조정부(1)를 조작한다.When the function adjusting unit 1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nstalls the surveillance camera out of reach, and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content of the protocol stored in the controller 3 later, the function adjusting unit 1 of the surveillance camera Manipulate

상기와 같이 설치된 감시카메라는 외부에 설치된 전원 조정부(2)에 의해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이 선택된다.The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s selected by the power control unit 2 installed outside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사용자가 전원 조정부(1)를 조작하면, 상기 전원 조정부(1)는 해당 버튼에 해당하는 전원을 온, 오프시켜 제어부(3)로 출력시킨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power adjuster 1, the power adjuster 1 turns on and off the power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button and outputs the power to the controller 3.

여기서, 전원 조정부(2)는 정의된 프로토콜의 수만큼의 버튼이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버튼은 상기 감시카메라가 다른 기능을 수행되도록 각각 다른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다른 신호는 전원의 온, 오프의 횟수 및 시간간격이 다름을 의미한다.Here, the power adjusting unit 2 may be provided with as many buttons as defined protocols, and the plurality of buttons output different signals so that the surveillance camera performs different functions. In this case, another signal means that the number of times of power on and off and the time interval are different.

한편, 상기 제어부(3)는 상기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전원의 온, 오프를 입력받아 저장부(4)로 전원 조정부(2)의 온 신호 횟수를 저장시킨다. 즉, 제어부(3)는 전원 조정부(2)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를 카운트하여 저장부(4)의 온 신호 횟수를 1씩 증가시켜 저장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 receives the on / off of the power output from the power adjustment unit 2, and stores the number of the ON signal of the power adjustment unit 2 to the storage unit (4).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3 receives the on signal from the power adjusting unit 2, the control unit 3 counts it and stores the number of on signals of the storage unit 4 by one.

그리고, 제어부(3)는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신호가 일정 시간동안 입력하지 않으면, 저장부(4)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이때까지 저장한 전원 조정부(2)의 온 신호 횟수를 읽어들인다.When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regulator 2 doe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3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storage unit 4 to read the number of ON signals of the power regulator 2 stored up to this point. It is.

그런 다음, 제어부(3)는 읽어들인 온 신호의 횟수를 정의된 프로토콜의 수로 나누어 나머지 값을 구하고, 이 나머지 값으로 프로토콜을 판단한다.Then, the control unit 3 divides the number of read-on signals by the number of defined protocols, obtains a residual value, and determines the protocol from the remaining values.

상기 제어부(3)는 다음의 [표 1]과 같은 프로토콜이 저장되어 있다.The controller 3 stores protocols as shown in Table 1 below.

상기 제어부(3)는 판단한 나머지 값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의 내용 신호를 판단하여 판단한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ler 3 determines a content signal of a protocol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value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rotocol.

그리고, 상기 제어부(3)는 모니터(5)에 사용자가 알 수 있게 해당하는 기능을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영상 신호와 함께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 outputs a control signal together with the image signal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know it on the monitor 5.

상기 모니터(5)는 화면의 일부분에 동작되어질 기능에 대해 문자로 표시한다.The monitor 5 displays in text on the function to be operated on a part of the screen.

상기와 같은 동작에 있어서, 정전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긴급히 기능을 조정할 필요성을 느낄 때가 발생한다.In the above operation, a malfunction may occur due to a power failure, and there is a time when there is a need for urgently adjusting a function.

그래서 상기 제어부(3)는 상기 전원 조정부(2)로부터 전원 온, 오프 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온, 오프되면 정전에 의한 오동작으로 간주하고, 일정시간 단위로 몇회 이상 전원이 계속 온, 오프되면, 상기 정전에 의한 오동작이라는 것을 무시하고 긴급조정을 위한 정상적인 온, 오프 동작으로 간주한다.Therefore, the controller 3 regards a malfunction due to a power failure when the power is turned on and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not elapsed after the power on / off signal is input from the power adjuster 2. If the power is continuously turned on or off several times, it is regarded as a normal on / off operation for emergency adjustment, ignoring the malfunction caused by the power failure.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adjusting the function by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여기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달리 프로토콜이 저장부(4)에 저장되어 있다.Here, in the second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protocol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기능조정부(1)의 조작에 의해 기능의 프로토콜이 고정된 감시카메라를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감시카메라의 기능을 조정하기 위해 전원 조정부(2)를 조작한다.In a state where the surveillance camera having the protocol of the function fixed by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 adjusting section 1 is installed out of reach, the user operates the power supply adjusting section 2 to adjust the functions of the surveillance camera.

상기 전원 조정부(2)는 하나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원 조정부(2)의 버튼은 누름에 따라 전원을 온, 오프시켜 제어부(3)로 출력시킨다.The power adjusting unit 2 is composed of one button, and the button of the power adjusting unit 2 turns on and off the power as it is pressed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3.

상기 제어부(3)는 상기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저장부(4)에 저장된 프로토콜을 선택한다.The control unit 3 selects a protocol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according to a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adjustment unit 2.

즉, 상기 제어부(3)는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프로토콜을 선택한다.That is, the controller 3 selects a protocol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by the following algorithm.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전원이 켜진 횟수를 0으로 초기화하고, 상기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전원 온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전원이 켜진 횟수를 읽으며, 상기 저장부(4)의 전원이 켜진 횟수를 1 증가시킨다.Initialize the number of times the power turned 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to 0, and read the number of times the power turned 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power-on output from the power adjusting unit 2, the storage The number of times the power of the unit 4 is turned on is increased by one.

그런 다음, 1증가된 전원이 켜진 횟수를 프로토콜의 수로 나누고, 그 나머지에 해당하는 수를 구하고, 얻어진 나머지에 해당하는 수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의 기능을 수행시키며, 상기 제4 단계에서 얻어진 나머지에 해당하는 수를 저장부(4)에 저장시킨다.Then, the number of increased power-ups is divided by the number of protocol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mainder is obtained, the function of the protoco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mainder is performed, and the corresponding number obtained in the fourth step is applied. The number to be store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그리고, 수행되는 프로토콜 기능변화의 내용을 모니터(5)의 화면에 표시한다.Then, the content of the protocol function change to be perform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nitor 5.

상기와 같은 동작에 있어서, 정전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전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시예2를 보완하여 단순한 전원의 온, 오프 대신에 일정시간 간격으로 몇차례 전원을 온, 오프하는 것을 전원 조정부(2)의 기준 신호로 활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operation, a malfunction due to a power failure may occur, and in order to prevent the malfunction due to the power failure, the power supply is turned on several times at regular time intervals instead of simply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supply by supplementing the second embodiment. Turning off may be utilized as a reference signal of the power supply adjusting unit 2.

이 고안은 사용자에 의해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전원 조정부로 전원을 조정함으로써, 손이 닿지않는 위치에 있는 감시카메라의 기능을 조정할 수 있어 감시카메라의 기능조정이 쉽고, 조정시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없는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한다.This design makes it easy to adjust the functions of the surveillance cameras out of reach by adjusting the power with the power control unit in a position that can be easily operated by the user. This provides an economic effect that is not necessary.

Claims (5)

감시카메라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의 온, 오프를 조정하는 전원 조정부(2)와;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한 온신호의 횟수를 저장하고, 저장한 전원 조정부(2)의 온 신호 횟수에 대한 내용을 출력하는 저장부(4)와; 상기 감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프로토콜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전원 온 신호를 카운트하여 상기 저장부(4)에 저장시키고, 카운트한 횟수를 설정된 프로토콜의 수로 나누어 나머지값을 판단하며, 판단한 나머지 값에 대한 프로토콜을 판단하여 판단한 프로토콜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A power supply adjusting unit 2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on and off; A storage unit (4) for storing the number of on signals output from the power adjustment unit (2)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for outputting contents of the number of on signals stored in the power adjustment unit (2); A plurality of protocols are store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The power-on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adjusting unit 2 is coun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and the number of counts is set as the number of set protocols. And dividing the remaining value, and controlling the function with a power source including a control unit (3)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protocol by determining a protocol of the determined remaining value.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제작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프로토콜의 내용을 변경시키는 기능조정부(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The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unction adjusting unit (1) operated by a user or a manufacturer to change the contents of the protocol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원 조정부(2)는 하나 또는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프로토콜의 수만큼의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3. The surveillance camera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ower adjustment unit (2) can be composed of one or as many buttons as the number of protocol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부(3)는 카메라에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전원이 켜진 횟수를 0으로 초기화하고, 전원 온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전원이 켜진 횟수를 1 증가시키며, 1증가된 전원이 켜진 횟수를 설정된 프로토콜의 수로 나누어 나머지에 해당하는 수를 판단하고, 판단한 나머지 수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의 기능을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3) initializes the number of times the power is turned 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camera to 0, the storage unit 4 in accordance with the power-on signal input The number of times the power is turned on is increased by 1, and the number of times the increased power is turned on by the number of the set protocol to determine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rest, the power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rotocol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number determined Surveillance camera to adjust the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부(3)는 상기 전원 조정부(2)가 프로토콜의 내용의 수 만큼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원 조정부(2)의 해당버튼의 온 동작에 따른 전원의 온, 오프에 따라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해당하는 프로토콜의 내용이 수행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특징인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3 is the power adjustment unit 2 is composed of as many buttons as the content of the protocol, the power on according to the on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button of the power adjustment unit 2, Surveillance camera for adjusting the function with a power supply,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perform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protocol stored in the storage unit 4 in accordance with the off.
KR2019960042664U 1996-11-28 1996-11-28 A monitoring camera KR20018175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664U KR200181755Y1 (en) 1996-11-28 1996-11-28 A monitoring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664U KR200181755Y1 (en) 1996-11-28 1996-11-28 A monitoring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592U KR19980029592U (en) 1998-08-17
KR200181755Y1 true KR200181755Y1 (en) 2000-05-15

Family

ID=1947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664U KR200181755Y1 (en) 1996-11-28 1996-11-28 A monitoring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755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426B1 (en) * 2002-10-17 2004-09-01 주식회사 씨티앤컴 Apparatus for selecting multi-protocol in monitering camera
KR100654439B1 (en) * 2004-09-08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network information of camera
KR100699087B1 (en) * 2005-12-23 2007-03-23 티오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TZ capable of dynamic PTZ protocol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592U (en)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8581B1 (en) Method for turning on/off powers of several monitors using remote controller
US6366328B1 (en) Television control system for universal control of hospital televisions
KR100500527B1 (en) Display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660515B1 (en) Remote control devices for electronic appliances
KR200181755Y1 (en) A monitoring camera
KR980007692A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of home appliances
KR920003763A (en) TV receiver
US6288628B1 (en) Display unit for selective calling receiver
KR970025012A (en) Automatic guide device for connecting external devices of TV
JPH06311444A (en) Television receiver
KR970011123B1 (en) Multi-function digital alarm watch
KR960036566A (en) TV receiver with auto off
JPH0610881A (en) Ceiling fan
KR950016283A (en) TV Off Automatic Shutdown
KR970000393Y1 (en) On screen display apparatus
JPH04234287A (en) Video signal switching device
KR0141124B1 (en) Automatic time display method
KR980007697A (en) Television receiver having external monitoring function and monitoring method therefor
KR19980038952U (en) LED On / Off Control of Television
KR19980027644U (en) User-selectable TV mode setting device
KR0135344Y1 (en) Display unit for output level of lighting apparatus
KR970024988A (en) Video device that displays LED lighting status by using OSD function
KR970073205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SERVATION OF REMOTE CONTROLLER
JP2000115651A (en) Video display device
JP2004266510A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