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472Y1 - 필통용 사진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필통용 사진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472Y1
KR200181472Y1 KR2019990026966U KR19990026966U KR200181472Y1 KR 200181472 Y1 KR200181472 Y1 KR 200181472Y1 KR 2019990026966 U KR2019990026966 U KR 2019990026966U KR 19990026966 U KR19990026966 U KR 19990026966U KR 200181472 Y1 KR200181472 Y1 KR 200181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upper frame
pencil
coupled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윤
Original Assignee
신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윤 filed Critical 신종윤
Priority to KR2019990026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4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4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4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통 또는 연필꽃이 등의 표면에 거울이나 사진 등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한 사진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거울이나 사진의 접착제 부착방식은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는 것이었고, 재사용이 불가능한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었던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필 또는 연필꽂이 본체(1)의 일정위치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장공(2)을 관통형성하되, 내측으로 단턱(3)을 형성하며, 대향되는 위치에 소폭의 요입홈(4)을 형성하며, 이 장공(2)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동일한 형태의 상부프레임(5)과 투시판(15)과 사진(16) 및 하부프레임(10)을 차례로 결합하여서 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임의대로 상부프레임(5)과 하부프레임(10)을 분리하여 사진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부프레임(5)과 하부프레임(10)사이에 결합되는 사진(16) 대신에 거울을 기워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Description

필통용 사진고정장치{FIXED FLAME AT PHOTO FOR PENCIL CASE}
본 고안은 필통 또는 연필꽃이 등의 표면에 거울이나 사진 등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한 사진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임의대로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사용용도를 확대시킴으로써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필통용 사진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필통이나 연필꽂이에는 거울이나 사진을 접척제로서 부착하는 형태의 것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거울 또는 사진을 필통의 표면에 접착제로 부착하는 방식은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필통이나 연필꽂이의 표면에 일단 부착된 거울이나 사진은 접착된 후에는 그 사진이나 거울을 떠어내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만일 강제적으로 떼어내는 경우에도 그 표면에 다시 사진을 부착하거나 사진을 부착하여야 하는 바, 표면의 상태가 깨끗하지 못하여 사용자는 단시일내에 싫증을 느껴 폐기처분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거울이나 사진의 접착제 부착방식은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는 것이었고, 재사용이 불가능한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사진 또는 연필꽂이 등에 사진이나 거울을 접착제로 부착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사진이나 거울을 사용자 임의대로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사용한 기간이 오래 경과하여 싫증을 느꼈을 때, 사용자가 사진이나 거울을 간단하게 교체설치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필통이나 연필꽂이의 본체표면에 관통구멍을 관통형성하고, 이 관통구멍에 사진을 부착하기 위한 상하프레임을 구비하여 사진이나 거울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단면도
도3은 도2의 A-A선부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장공
3 : 단턱 4 : 요입홈
5 : 상부프레임 6 : 결합돌기
7 : 걸림턱 8 : 결합홈부
10 : 하부프레임 11 : 기판
12 : 돌출링부 13 : 확장돌부
14 : 관통공 16 : 사진
도1의 분해사시도를 참고하여,
연필 또는 연필꽂이 본체(1)의 일정위치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장공(2)을 관통형성하되, 내측으로 단턱(3)을 형성하며, 대향되는 위치에 소폭의 요입홈(4)을 형성하며, 이 장공(2)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동일한 형태의 상부프레임(5)과 하부프레임(10)을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상부프레임(5)은 외주연부의 일측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걸림턱(7)이 형성된 결합돌기(6)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면을 내향으로 절곡하여 결합홈부(8)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상기 상부프레임(5)보다 다소 큰 크기를 가지는 동일한 외형을 가지는 기판(11)의 상면에 상기 상부프레임(5)에 형성된 결합홈부(8)에 결합되는 돌출링부(12)를 형성하며, 외주연부에는 확장돌부(13)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프레임(5)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6)가 결합되는 관통공(14)을 관통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상부프레임(5)과 하부프레임(10)의 사이에는 투명한 투시판(15)과 사진(16)을 차례로 끼워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상부프레임(5)과 하부프레임(10)사이에 결합되는 사진(16) 대신에 거울을 끼워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비와같이, 본체(1)의 상측에 상부프레임(5)을 끼워넣게 되면, 상기 본체(1)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단턱(2)에 상부프레임(5)의 하단부가 밀착되어 걸리게 되고, 상부프레임(5)의 하단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6)는 요입홈(4)을 통하여 본체(1)의 내측으로 진입된다.
이후, 투시판(15)과 사진(16)을 차례로 끼운 후, 하부프레임(10)을 상부프레임(5)에 밀착시켜 고정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즉, 하부프레임(10)의 외주연부 일측 대향되는 위치에 관통형성된 관통공(14)에 상부프레임(5)의 결합돌기(6)가 기워져 걸림턱(7)이 걸리게 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프레임(10)의 기판(11 )에 돌출형성된 돌출링부(12)가 상부프레임(5)의 결합홈부(8)에 결합되어 내재되는 투시판(15)과 사진(16)을 긴밀하게 밀착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일정기간 사용한 기간이 경과하여 사진(16)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1)의 내측에서 하부프레임(10)의 하부로 노출되는 결합돌기(6)를 볼펜 등을 이용하여 해체시켜주면 상부프레임(5)과 하부프레임(10)이 분해되면서 사진(16)을 분해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후 사진(16)을 교체한 다음 다시 상부프레임(5)과 하부프레임(10)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상부프레입(5)과 하부프레임(10)사이에 내재되는 투시판(15)과 사진(16) 대신에 거울(17)을 내재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용도의 변화는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며, 더욱이 그 적용대상도 필통이나 연필꽂이, 필갑 등 다양한 물품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필통이나 필갑, 연필꽂이 등의 표면에 사진이나 거눌 등을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착된 사진에 싫증을 느껴을 경우에도 사용자 임의대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사진 뿐만 아니라 거울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그 활용범위는 무한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연필 또는 연필꽂이 본체(1)의 일정위치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장공(2)을 관통형성하되, 내측으로 단턱(3)을 형성하며, 대향되는 위치에 소폭의 요입홈(4)을 형성하며, 이 장공(2)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동일한 형태의 상부프레임(5)과 투시판(15)과 사진(16) 및 하부프레임(10)을 차례로 결합하되, 상기 상부프레임(5)은 외주연부의 일측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걸림턱(7)이 형성된 결합돌기(6)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면을 내향으로 절곡하여 결합홈부(8)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상기 상부프레임(5)보다 다소 큰 크기를 가지는 동일한 외형을 가지는 기판(11)의 상면에 상기 상부프레임(5)에 형성된 결합홈부(8)에 결합되는 돌출링부(12)를 형성하며, 외주연부에는 확장돌부(13)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프레임(5)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6)가 결합되는 관통공(14)을 관통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용 사진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프레임(5)과 하부프레임(10)사이에 거울(17)을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용 사진고정장치.
KR2019990026966U 1999-12-02 1999-12-02 필통용 사진고정장치 KR2001814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966U KR200181472Y1 (ko) 1999-12-02 1999-12-02 필통용 사진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966U KR200181472Y1 (ko) 1999-12-02 1999-12-02 필통용 사진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472Y1 true KR200181472Y1 (ko) 2000-05-15

Family

ID=1959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966U KR200181472Y1 (ko) 1999-12-02 1999-12-02 필통용 사진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4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62376A5 (ko)
USD464472S1 (en) Peanut shell shaped scrubber sponge
USD433949S (en) Wrist watch case
USD470400S1 (en) Umbrella clamp
USD453534S1 (en) Flush mount sign holder
US6344279B1 (en) Bulb assembly connected with a decorative flower
USD461896S1 (en) Tracheostoma filter
USD535693S1 (en) Writing instrument
KR200181472Y1 (ko) 필통용 사진고정장치
USD447172S1 (en) Pen
USD437362S1 (en) Rattle element for a toy
USD428918S (en) Pen clip
USD458305S1 (en) Ball-point pen
USD463923S1 (en) Table
USD452527S1 (en) Ball-point pen
USD472574S1 (en) Writing instrument
KR200335934Y1 (ko) 조립식 도장
KR200321260Y1 (ko) 펜던트
USD496400S1 (en) Writing instrument
USD512458S1 (en) Writing instrument
KR200209768Y1 (ko) 다용도 거울
USD414428S (en) Clock
KR200293365Y1 (ko) 사진교체-회전 손거울
USD403247S (en) Bezel and casing for a watch
KR20050043539A (ko) 필기구 휴대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