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269Y1 - 피.브이.씨 관용 소켓 - Google Patents

피.브이.씨 관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269Y1
KR200181269Y1 KR2019990026878U KR19990026878U KR200181269Y1 KR 200181269 Y1 KR200181269 Y1 KR 200181269Y1 KR 2019990026878 U KR2019990026878 U KR 2019990026878U KR 19990026878 U KR19990026878 U KR 19990026878U KR 200181269 Y1 KR200181269 Y1 KR 2001812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ipe
tube
assembly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미숙
Original Assignee
고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미숙 filed Critical 고미숙
Priority to KR2019990026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2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2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브이.씨 관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PVC관으로 형성된 상하수관 및 전력 케이블관 등의 시공시 관의 연결은 물론 시공된 관의 파손시 관의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파손부위만을 제거한 후 제거된 길이로 절단된 새로운 관을 제거부위에 간단히 연결하여 보수할 수 잇도록 함으로서 보수비용이 저렴하고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피.브이.씨. 관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피.브이.씨 관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중간부는 두껍고 관이 끼움조립되는 양단부는 얇게 형성된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연성고무제의 관으로서 중간부 내주면을 따라 T자형상의 단면을 갖고 돌출형성되 조립돌부를 일체로 갖고 복수개의 관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브이.씨 관용 소켓{A socket for P.V.C pipe}
본 고안은 피.브이.씨 관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VC관으로 형성된 상하수관 및 전력 케이블관 등의 시공시 관의 연결은 물론 시공된 관의 파손시 관의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파손부위만을 제거한 후 제거된 길이로 절단된 새로운 관을 제거부위에 간단히 연결하여 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수비용이 저렴하고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피.브이.씨 관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관으로 PVC관이 널리 사용되는데 종래에는 외부충격에 의해 PVC관의 일부가 파손되어 상하수가 누수되면, 파손된 PVC관 전체를 제거한 후 새 것으로 교체하여 보수작업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보수작업은 파손부위를 갖는 PVC관의 전체를 교체하기 위하여 PVC관 전체가 드러나도록 땅을 파야 하기 때문에 보수비용이 비싸며, 작업성도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1999년 7월 15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9-13937 호로 출원되고, 1999년 10월 5일자로 실용신안등록 제 16151 호(이하, '선등록'이라 칭함)로 등록된 '피.브이.씨 관용 소켓'를 개발하였다.
상기 선등록의 구성은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 성형물로서 양단부에 각각 외향으로 넓게 퍼진 형상을 갖는 조립부가 일체로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등록은 파손부위가 있는 관의 보수시 파손부위를 절단하여 제거하고 제거된 만큼의 길이를 갖는 보수용 관과 기존관의 양측 접합부 외주면에 끼움조립되고 접착제에 의해 접착됨로서 관의 파손된 부위만을 간단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등록은 동일한 직경의 관이라 할지라도 제조회사에 따라 관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게 제작되어 관의 내경은 동일하나 외경이 맞지 않아 파손된 기존관과 동일한 직경과 두께를 갖는 보수용 관을 일일이 맞추어 찾아야 함으로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누수의 위험이 높으며, 상하수관의 시공시에 관의 연결하는 통상의 연결소켓으로 사용할 수 없어 사용범위가 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등록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PVC관으로 형성된 상하수관 및 전력 케이블관 등의 시공시 관의 연결은 물론 시공된 관의 파손시 관의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파손부위만을 제거한 후 제거된 길이로 절단된 새로운 관을 제거부위에 간단히 연결하여 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수비용이 저렴하고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피.브이.씨. 관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피.브이.씨 관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중간부는 두껍고 관이 끼움조립되는 양단부는 얇게 형성된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연성고무제의 관으로서 중간부 내주면을 따라 T자형상의 단면을 갖고 돌출형성되 조립돌부를 일체로 갖고 복수개의 관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씨 관용 소켓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의 제 1실시예의 구조 및 사용상태를 예시하는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의 제 6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의 제 7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소켓 11, 12, 13: 조립부
14: 연결부 15: 조립돌부
19: 주름부 20: 리브
21: 파손부위 22: 조립홈
23: 접착제 24, 25, 26: 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의 제 1실시예의 구조 및 사용상태를 예시하는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의 제 6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의 제 7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피.브이.씨 관용 소켓(10)의 제 1실시예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연성고무로 제작된 관으로서, 중간부는 두껍고 관(24)(25)이 끼움조립되는 양단부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고, 중간부 내주면에는 T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조립돌부(15)가 내주면을 따라 내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 1실시예의 소켓(10)은 상하수관 또는 전력케이블관을 시공할 때 복수개의 관(24)(25)을 직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관(24)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접착제(23)를 도포한 후 소켓(10)의 일단부에 관(24)의 단면이 상기 조립돌부(15)의 일측면에 끼움조립될 때까지 관(24)을 끼움조립하고, 관(25)의 일단부의 외주면에 접착제(23)를 도포한 후 소켓(10)의 타단부에 관(24)의 단면이 상기 조립돌부(15)의 타측면에 끼움조립될 때까지 관(25)을 끼움조립함으로서 관(24)(25)을 직선으로 연결시켜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된 관이 파손되어 보수가 요구될 때에는 관의 파손부위를 소정길이 만큼 절단하여 제거시킨 후 절단하여 형성된 양측 단부의 외주면에 각각 상기 소켓(10)을 단부 소정폭 노출되도록 끼움조립시킨 후 상기 양측 단부 외주면과 제거된 부위의 길이로 절단한 보수용관의 양단부 외주면에 각각 접착제(23)를 도포한 후 조립된 양측 소켓(10)을 접합부쪽으로 잡아당겨 보수용관의 양단부 및 양측 단부를 각각의 소켓(10)의 단부에 단면이 조립돌부(15)의 측면에 조립될때까지 끼움조립시킴으로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보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수용관과 기존의 관 두께가 상이하여 외경이 차이가 나더라도 상기 소켓(10)은 신축력이 있는 연성고무제임으로 조립이 되지 않거나 누수의 우려 등이 전혀 없이 완벽한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소켓(10)의 제 2실시예는 중간부에 절곡가능하게 형성되는 주름부(19)와, 상기 주름부(19)의 양단부측 내주면을 따라 L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조립홈(22)를 일체로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10)의 제 2실시예는 관(24) (25)을 절곡자재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소켓(10)의 제 3실시예는 소정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서 일측 조립부(11)가 대경으로 형성되고, 타측 조립부(12)는 소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11)(12)의 내측단 내주면을 따라 L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조립홈(22)와, 상기 조립부(11)(12)를 연결하는 연결부(14)의 외표면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리브(20)를 일체로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10)의 제 3실시예는 직경이 상이한 관(24)(25)을 직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소켓(10)의 제 4실시예는 3개의 조립부(11)(12)(13)가 T자 형태로 배치된 형상으로서 각 조립부(11)(12)(13)의 내측단 내주면을 따라 L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각각 돌출형성되는 조립돌부(15)와, 연결부(14)의 외표면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리브(20)를 일체로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10)의 제 4실시예는동일한 직경을 갖는 3개의 관(24)(25)(26)을 상호 직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소켓(10)의 제 5실시예는 상기 제 4실시예의 소켓(10)의 조립부(11)(12)(13)중 조립부(13)의 직경이 타 조립부(11)(12)의 직경 보다 작은 직 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10)의 제 5실시예는 2개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24)(25)과 소경의 관(26)을 상호 직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소켓(10)의 제 6실시예는 상기 제 4실시예의 소켓(10)의 조립부(11)(12)(13)중 조립부(13)를 일측방으로 45°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10)의 제 6실시예는 상기 관(24)(25)은 일직선으로, 상기 관(26)은 상기 관(24)(25)과 45°의 각도로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소켓(10)의 제 7실시예는 상기 제 6실시예의 소켓(10)의 조립부(11)(12)(13)중 조립부(13)의 직경이 타 조립부(11)(12)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10)의 제 7실시예는 2개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24)(25)을 일직선으로, 상기 소경의 관(26)은 상기 관(24) (25)과 45°의 각도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10)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하수도 및 전력케이블관등을 시공할 때 관의 형태를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고, 관의 파손은 물론 관연결부의 파손시에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PVC관으로 형성된 상하수관 및 전력 케이블관 등의 시공시 관의 연결은 물론 시공된 관의 파손시 관의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파손부위만을 제거한 후 제거된 길이로 절단된 새로운 관을 제거부위에 간단히 연결하여 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수비용이 저렴하고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피.브이.씨 관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10)은 중간부는 두껍고 관이 끼움조립되는 양단부는 얇게 형성된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연성고무제의 관으로서 중간부 내주면을 따라 T자형상의 단면을 갖고 돌출형성되 조립돌부(15)를 일체로 갖고 복수개의 관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씨 관용 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0)은 중간부에 절곡가능하게 형성되는 주름부(19)와, 상기 주름부(19)의 양단부측 내주면을 따라 L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조립돌부(22)를 일체로 갖고 복수개의 관을 절곡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씨 관용 소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0)은 소정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서 일측 조립부(11)가 대경으로 형성되고, 타측 조립부(12)는 소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립부(11)(12)의 내측단 내주면을 따라 L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조립돌부(22)와, 상기 조립부(11)(12)를 연결하는 연결부(14)의 외표면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리브(20)를 일체로 갖고, 직경이 상이한 관(24)(25)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씨 관용 소켓.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0)은 3개의 조립부(11)(12)(13)가 T자 형태로 배치된 형상으로서 각 조립부(11)(12)(13)의 내측단 내주면을 따라 L자 형상의 단면을 갖고 각각 형성되는 조립돌부(22)와, 연결부(14)의 외표면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리브(20)를 일체로 갖고, 동일한 직경을 갖는 3개의 관(24)(25)(26)을 직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씨 관용 소켓.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0)의 조립부(11)(12)(13)중 수직으로 형성된 조립부(13)는 45°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씨 관용 소켓.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0)의 조립부(13)는 소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씨 관용 소켓.
KR2019990026878U 1999-12-02 1999-12-02 피.브이.씨 관용 소켓 KR2001812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878U KR200181269Y1 (ko) 1999-12-02 1999-12-02 피.브이.씨 관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878U KR200181269Y1 (ko) 1999-12-02 1999-12-02 피.브이.씨 관용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269Y1 true KR200181269Y1 (ko) 2000-05-15

Family

ID=1959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878U KR200181269Y1 (ko) 1999-12-02 1999-12-02 피.브이.씨 관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2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04576A1 (en) Pipe clamp inner seal
JP2011002012A (ja) 管継手部構造
US20070222217A1 (en) Pipe fittings
KR100920808B1 (ko) 실링 및 그 실링을 이용한 파이프 연결소켓
KR200181269Y1 (ko) 피.브이.씨 관용 소켓
CA2458710C (en) Improved pipe clamp inner seal
JP7411032B2 (ja) 空調設備用ドレン管の接続構造、及び配管構造
KR100342078B1 (ko) 결합용스프링칼라
US6364373B1 (en) Corrugated pipe adapter and connection system
JP5855148B2 (ja) 分岐管継手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KR200164151Y1 (ko) 피.브이.씨관용 소켓
KR100453386B1 (ko) 분기관 조립체 및 시공 방법
KR100531977B1 (ko)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KR200395243Y1 (ko) 편수관 및 연결구 조립체
CN209991028U (zh) 一种hdpe中空壁缠绕管
GB2349188A (en) Connection for corrugated or ribbed pipes
CN219159801U (zh) 一种高压咬合双卡套结构
KR200269749Y1 (ko) 신축 이음관
JP5491320B2 (ja) 分岐管継手
KR200344490Y1 (ko) 피이브이시 이중벽관의 연결부재
JP2008025612A (ja) 樹脂製管継手
KR200377317Y1 (ko) 가변곡관
KR200269745Y1 (ko) 메타폴 관의 이음쇠
ES2241914T3 (es) Dispositivo para unir tub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