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489Y1 - Head rest - Google Patents

Head 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489Y1
KR200180489Y1 KR2019990020617U KR19990020617U KR200180489Y1 KR 200180489 Y1 KR200180489 Y1 KR 200180489Y1 KR 2019990020617 U KR2019990020617 U KR 2019990020617U KR 19990020617 U KR19990020617 U KR 19990020617U KR 200180489 Y1 KR200180489 Y1 KR 200180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ad
spring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61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자
Original Assignee
김경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자 filed Critical 김경자
Priority to KR2019990020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48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489Y1/en

Links

Classifications

    • B60N2/48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의자의 등받이 상부에 고정하여 각도를 변화 시키거나 전진 또는 후진 시켜 사용자의 어떠한 자세 에서도 목과 머리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편안하게 받쳐주고 외부 충격시 스프링 완충에 의해 충격을 완화할수 있도록 한 자동차 의자용 머리 지지대 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upper back of the car chair to change the angle or move forward or backward to support the neck and head comfortably at the same time or selectively in any posture of the user and to relieve the impact by buffering the spring in the event of external impact Relates to a chair head restraint.

Description

자동차 의자용 머리 지지대{HEAD REST}Head restraint for car chair {HEAD REST}

본 고안은 자동차 의자의 등받이 상부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머리 지지대로서 이를 수평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켜 사용자의 필요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이를 상.하로 회전시켜 사용자의 가장 편안한 자세의 위치에서 머리와 목을 선택적으로 또는 머리와 목을 동시에 받쳐줄 수 있는 머리 지지대 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d support that is fixed to the upper back of the car chair to use it horizontally forward or backward fixed to the user's required position and rotate it up and down selectively the head and neck in the position of the user's most comfortable posture selectively Or a head support that can support both head and neck at the same time.

종래에도 지주봉(2)에 회전되게 유착한 받침구(1)를 고정 하여서된 자동차 의자용 머리 지지대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상.하로 회전만 될뿐 수평적 전.후 이동은 전혀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어 사용자의 상이한 신체적 조건과 사용자세. 즉 의자 등받이의 각도 변화에 따른 받침구(1)를 수평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켜 사용할 수 없어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발휘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a head support for a car chair is known, which is fixed to a supporting rod (1) to be rotated to a holding rod (2), but it is a structure that is impossible to move horizontally. There are different physical conditions and user tax of the user.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as a support stand can not be used to move forward or backward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angle change of the chair back.

스스로 앉아 있는 것 보다는 등과 머리를 기대어 앉은 자세가 편안한 것은 상부 즉 머리의 무게를 감소 시키기 때문 이라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있는 사실이다. 현실적으로 운전은 거의 모든 사람에게 필수적인 활동수단이며 전문직과 더불어 일반인도 운전하는 시간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바 운전으로 인한 피로가 갈수록 더욱 가중되고 있는것도 사실이다.Everyone knows that sitting back and head is more comfortable than sitting on their own because it reduces the weight of the upper head. As a matter of fact, driving is an essential means of activity for almost everyone, and it is true that the fatigue caused by driving is getting more and more increasing as the time for driving the public as well as the professional is increasing.

따라서 의자에 앉아있는 사용자의 자세가 등으로 부터 목과 머리 등이 자연 스럽게 일치 될 때가 가장 편안한 자세인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머리의 지지대가 사용자의 머리와 거리가 맞지않아 이를 억지로 기대면 목으로부터 머리가 뒤로 젖혀 진다든지 앞으로 숙여지는 상태가 되어 지속적으로 사용이 어려우며 또한 머리 지지대가 수평으로 전.후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하 회전 만으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바.Therefore, the most comfortable position is when the posture of the user sitting on the chair is naturally matched from the back to the neck and the head. However, in general, if the head support is out of distance with the user's head, if it is forcibly leaned against it, the head is leaned back or leaned forward, making it difficult to use continuously and the head support is not moved horizontally. In this state, the above problems can not be solved only by rotating up and down.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상이한 신체적 조건과 사용자세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머리 지지대를 전.후 수평으로 이동시켜 가장 편안한 위치에 고정 시킨후 이를 상.하로 회전시켜 사용자의 목과 머리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머리 와 목만을 선택적으로 또는 머리와 목을 동시에 받쳐 주므로 사용자의 목과 머리가 자연스럽게 일치됨과 동시에 머리의 무게로 목에 미치는 하중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피로가 현저하게 감소되고 안내 지지관(13)속의 스프링(16) 탄성에 의해 외부로부터 충격시 충격을 흡수 완충시켜 주므로 머리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극대화 하기위한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the head support horizontally before and after fixed to the most comfortable position and then rotate it up and dow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different physical conditions and user postures of the user, the intersection of the neck and the head of the user It supports head and neck selectively or head and neck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user's neck and head are naturally matched and the weight of the head reduces the load on the neck. The spring 16 in the inside is intended to maximize the function as a head support because it absorbs and buffers the impact during the impact from the outside by elasticity.

도 1은 종래의 머리 지지대를 장착시킨 의자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of a chair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head support

도 2는 본 고안의 머리 지지대를 장착시킨 의자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a chair equipped with a head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머리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d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머리 지지대가 상.하로 회전되는 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head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up and down

도 6은 본 고안의 머리 지지대가 후진되어 고정된 측면도6 is a side view of the head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ackward

도 7은 본 고안의 받침구를 도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 . 받침구 1A. 받침구 상 1B. 받침구 하One . Base 1A. Support phase 1B. Support

1C. 안내구멍 1D. 공간부 2 . 지주봉1C. Guide hole 1D. Space part 2. Holding rod

3 . 조정구 3A. 암나사 3B. 조정간3. Regulator 3A. Internal thread 3B. Mediation

4 . 조정지지관 4A. 조정구멍 5 . 조정볼트4 . Adjustable support tube 4A. Adjustment hole 5. Adjusting bolt

6 . 너트 7 . 지지관 7A. 압접구멍6. Nut 7. Support Tube 7A. Press hole

8 . 압접편 9 . 스프링 10. 렌치볼트8 . Pressed piece 9. Spring 10. Wrench Bolt

11. 지지봉 12. 연결판 13. 안내지지관11. Support rod 12. Connecting plate 13. Guide support tube

13A.안내구멍 13B.걸림구멍 14. 이동구Guide hole 13B. Locking hole

14A.걸림곳 15. 안내간 16. 스프링14A.Grip 15.Guide 16.Spring

17. 받침상판 17A.받침하판 17B.받침앞판17.Bottom Plate 17A.Bottom Plate 17B.Bottom Plate

17C.받침뒷판 18. 걸림돌기 19. 스프링17C.Supporting Back Plate 18.Hanging Projection 19.Spring

20. 지지쇠 21. 조립축 22.조립나사20. Support 21. Assembly Shaft 22. Assembly Screw

1. 받침구(1)의 전.후 이동의 장치1. Apparatus f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of support port (1)

지주봉(2)에는 조정간(3B)와 암나사(3A)를 형성한 조정구(3)를 일체시켜 조정구멍(4A)을 통하여 조정지지관(4)속에 삽입하고 받침구(1)로부터 받침상판(17) → 안내간(15) → 이동구(14) → 스프링(16) → 안내지지관(13)으로 연결되고 안내지지관(13)과 일체한 지지봉(11)에 상기의 조정지지관(4)과 일체하고 압접구멍(7A)을 형성한 지지관(7)을 맞춤하고 조정지지관(4) 속에 삽입된 조정구(3)의 암나사(3A) 속으로 조정볼트(5)를 나사 맞춤하여 통과시키고 조정볼트(5)를 좌.우로 돌려 받침구(1)를 첨부의 도면 6도의 화살표 방향대로 전.후 이동시키는 장치이며 이동후에는 너트(6)로 고정시킴.The holding rod 2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adjusting tool 3 formed with the adjusting screw 3B and the female screw 3A, inserted into the adjusting support tube 4 through the adjusting hole 4A, and the supporting upper plate 17 from the supporting port 1. ) → guide section (15) → moving port (14) → spring (16) → guide support tube (13)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11) integrated with the guide support tube (13) and the above adjustment support tube (4) Align the support tube (7)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essure contact hole (7A), and screw the adjustment bolt (5) through the female screw (3A) of the adjustment hole (3) inserted into the adjustment support tube (4) and adjust the bolt (5) by turning left and right to move the base (1) forward and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ure 6 attached to the fixed after the movement with a nut (6).

2. 받침구(1)의 상.하 회전의 장치2. The device for rotating the up and down of the support (1)

상기의 전.후 이동의 장치에서 처럼 받침구(1)로부터 연결된 지지봉(11)과 지주봉(2)으로부터 연결된 지지관(7)이 고정 되므로 회전의 축이되고 받침구(1)로부터 연결된 지지봉(11)이 첨부의 도면 5도와 같이 받침구(1)의 상.하 회전에 따라 지지봉(11)이 회전되며 받침구(1)가 사용자의 사용 위치를 유지하기 위함과 사용자가 사용 위치를 별도의 조작없이 수시로 회전 시키기 위하여 지지관(7)에 일체하여 형성된 압접구멍(7A)에 압접편(8)을 지지봉(11)이 접촉되는 모형대로 맞추고 이를 스프링(9)과 결합 렌치볼트(10)로 나사 맞춤하여 적당하게 조이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받침구(1)가 회전되며 그 위치가 항상 유지되는 장치임.The support rods 11 connected from the support port 1 and the support pipes 7 connected from the support rod 2 are fixed as in the above-described forward and rearward movement device, so that the support rods become the axis of rotation and are connected from the support port 1. (11)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shown in Figure 5, the support rod 11 is rotated according to the up and down rotation of the support port 1 and the support port 1 to maintain the user's use position and the user separate the use position In order to rotate from time to time without manipulation of the support tube (7) integrally formed in the pressure contact piece (7) to the contact piece (8) in accordance with the model that the support rod 11 is in contact with the spring (9) and the coupling wrench bolt (10) If the screw is properly fitted and tightened properly, the support port (1) rotates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and its position is always maintained.

3. 충격 흡수를 위한 장치3. device for shock absorption

지지쇠(20)가 일체된 연결판(12) 양측에는 안내구멍(13A)과 걸림구멍(13B)이 형성된 한쌍의 안내 지지관(13)이 일체되어 있고 안내지지관(13)속에는 스프링(16)을 넣어 받침구(1)로부터 받침상판(17) → 안내간(15)으로 연결되어 안내간(15)과 일체된 이동구(14)를 안내구멍(13A)에 맞춤하여 안내지지관(13)속에 끼워 넣고 받침뒷판(17C)과 일체된 받침하판(17A)을 받침상판(17)조립축(21)에 맞춤하여 조립나사(22)로 고정 시키면 지주봉(2) 으로부터 연결 고정된 안내지지관(13) 뒷편에 스프링(16)의 탄성을 받아 이동구(14)와 연결된 받침뒷판(17C)이 닿아 멈추게 된다.A pair of guide support tubes 13 formed with guide holes 13A and a locking hole 13B are integrat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late 12 having the support 20 integrated therein, and a spring 16 is provided in the guide support tube 13. Guide port (13) to guide plate (17) → guide section (15) from the support port (1) and guide port (13A) by aligning the moving port (14) integrated with the guide section (15) to the guide hole (13A) The guide support fixed from the support rod (2)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base plate (17C) and the support base plate (17A) integrated with the support top plate (17), the assembly shaft (21), and fixed with the assembly screw (22). Receiving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6 to the rear side of the tube 13, the supporting back plate (17C) connected with the moving port 14 is stopped.

받침구(1)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머리와 목에 가해지는 중력에 따라 받침구(1)로부터 연결된 이동구(14)가 스프링(16)의 탄성력과 상기의 중력에 따라 수시로 전.후 이동 되는대 이는 사용자의 사용 위치를 별도의 조작없이 더욱 정확하게 유지 해주며 자동차의 운행중 급제동 또는 사고시에 받침구에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머리와 목의 충격을 흡수 완화하고 목과 머리의 위치를 (미부여된 부호23)의자 등받이 가까운 쪽으로 유도 해주는 장치임.According to the gravity applied to the head and neck of the user in contact with the support (1), the moving port (14) connected from the support (1) is often moved back and forth in accordance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6 and the above gravity It keeps the user's position more accurate without any additional manipulation, and absorbs the shock of the user's head and neck applied to the support in case of sudden braking or accident while driving the car. 23) It is a device to guide the chair back to the near side.

4. 받침구(1)의 사용상태와 정지의 장치4. Device for using and stopping the support (1)

한쌍의 안내 지지관(13) 양쪽에 걸림구멍(13B)이 있고 연결판(12)상부에 일체된 지지쇠(20)와 걸림돌기(18) 사이에 스프링(19)을 맞춤하여 걸림구멍(13B)에 걸림돌기(18)를 끼우면 걸림돌기(18)가 스프링(19)의 탄발을 받는데 이는 받침구(1)의 전.후 이동에 따라 걸림돌기(18)가 이동구(14)와 스프링(16)에 교차로 접촉되며 이의 상태를 사용자의 일상적 사용 상태라 할수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와 목이 받침구(1)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싶을때는 첨부의 도면 6도와 같이 후진 상태로 정지하게 되는데.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첨부의 도면 6도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받침구(1)를 뒤로 깊숙히 밀면 안내 지지관(13)속에 후퇴하는 이동구(14)에 일체되어 형성된 걸림곳(14A)에 걸림돌기(18)가 걸려 받침구(1)가 화살표 방향의 후진 상태에서 정지 하게됨으로 받침구(1)에서 머리와 목이 자유로워지며 이를 다시 사용 상태로 복귀 시키려면 받침구(1)를 순간적으로 힘을 가하여 뒤로 밀었다가 힘을 빼면 이동구(14)에 밀렸던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구(14)가 전진하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이동구(14)의 걸림곳(14A)에서 걸림돌기(18)가 밀려 나오고 받침구(1)도 사용자 원래의 사용 위치로 복귀하는 장치 임.A locking hole 13B i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pair of guide support tubes 13, and the locking hole 13B is fitted by fitting the spring 19 between the support bracket 20 and the locking protrusion 18 integrated on the connecting plate 12. When the locking projection 18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jection 18 is received by the spring (19), which i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support (1), the locking projection (18) and the moving hole (14) and the spring ( 16) the intersection contact with the state of the user can be referred to as the state of daily use of the user, if necessary, if the head and neck of the user wants to be freed from the support (1) is stopped in the reverse state as shown in the attached drawing 6. To explain this in detail,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pport protrusion 1 is pushed back deeply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s shown in FIG. 6 and the locking protrusion 14A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ving hole 14 retreating into the guide support tube 13. 18) The support bracket (1) stops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o the head and neck are free from the support bracket (1). When the back is pushed back and the force is removed, the movable tool 14 is advanc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6 pushed by the movable tool 14,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protrusion 18 is stopped at the stop 14A of the movable tool 14 It is a device that is pushed out and the support hole (1) is returned to the user's original use position.

5. 받침구의 외형5. External shape of support

사용자의 목과 머리에 항상 접촉되는 받침구(1)의 외형이 중요한 것은 받침구(1)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접촉 부위가 적을수록 그 부위가 많은 압박을 받아 지속적 사용이 용이하지 못하며 피접면이 많으면 많을수록 압박이 분산되어 지속적 사용이 가능하고 급제동시 충격 또한 고루 흡수완충되므로 신체의 가장 중요한 머리와 목을 보호할수 있기 때문이다.The appearance of the support (1) that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user's neck and head is important is that the less contact area of the user in contact with the support (1) the more pressure is applied to the site is not easy to continuous use, if there are many contact surfaces The more the pressure is distributed, the more continuous use is possible, and the shock during shock is evenly absorbed and buffered, so it can protect the most important head and neck of the body.

따라서 받침구(1)의 외형 즉 사용자의 머리와 목 등에 접촉되는 부분은 첨부의 도면 7도와 같이 머리와 목의 자연스러운 대칭 상태가 가장 좋은 상태라 할것이며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머리와 목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받침구 상(1A)은 머리부분의 접촉면이고 받침구 하(1B)는 목부분의 접촉면이며 첨부의 도면 4도와 또는 6도와 같이 받침구의 외형이 형성될 때 가장 이상적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첨부의 도면 5도와 같이 받침구를 화살표 방향대로 상.하 회전시키면 머리와 목을 선택 또는 동시에 사용할수 있는 그러한 받침구(1)의 외형이 다기능적 외형이라 할수 있음.Therefore, the appearance of the support (1), that is, the part of the user's head and neck, etc. will be said to be the best state of natural symmetry of the head and neck as shown in Figure 7 attached to this in detail the center of the head and neck intersection point The upper support 1A is the contact surface of the head and the lower support 1B is the contact surface of the neck, which is most ideal when the shape of the support is formed as shown in Figs. As shown in Fig. 5, when the base is rotated up and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shape of the base (1) that can be selected or used at the same time can be referred to as a multifunctional appearance.

6. 조립 및 장.탈착6. Assembly and mounting.

연결판(12)에 일체된 지지쇠(20)에 스프링(19)을 끼워 걸림돌기(18)를 안내 지지관(13)의 걸림구멍(13B)에 끼우고 안내 지지관(13)에는 스프링(16)을 넣어 받침상판(17)에 일체한 이동구(14)를 맞춤하고 받침상판(17)의 조립축(21)에 받침하판(17A)을 맞추어 조립나사(22)로 고정하고 지주봉(2)에 일체한 조정구(3)를 조정 지지관(4) 속에 넣어 조정볼트(5)를 맞추어 통과 시킨후 너트(6)로 고정 하고 지지관(7)을 지지봉(11)에 끼워 결합후 압접편(8) →스프링(9) →렌치볼트(10) 순으로 적절하게 조립한후 상부와 하부로 분리된 받침구(1)를 결합 부착하면 된다. 이때 받침 하부에는 안내구멍(1C)을 통하여 지주봉(2)을 밖으로 관출시키고 받침구(1)의 소재는 스폰지 또는 폴리우레탄등 비교적 부드러운 소재를 선택하며 받침구(1)의 안내구멍(1C)으로 관출된 지주봉(2)의 장.탈착은 종래의 방법과 유사해도 무방 함.The spring 19 is fitted into the support 20 integrated into the connecting plate 12, and the locking projection 18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13B of the guide support tube 13. 16) align the movable port 14 integrally with the support upper plate 17, align the support lower plate 17A with the assembly shaft 21 of the support upper plate 17, and fix it with the assembly screw 22 and hold the rod ( 2) Insert the adjusting tool (3) integrated into the adjusting support tube (4), pass the adjusting bolt (5) in line with the nut, and fix it with the nut (6). Piece (8) → spring (9) → wrench bolts (10) in the appropriate order in order to attach and separate the base (1) separated by the upper and lower. At this time, through the guide hole (1C)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ase and out of the holding rod (2), the material of the support port (1) select a relatively soft material such as sponge or polyurethane, the guide hole (1C) of the support port (1) The long and detachable holding rods (2) may be similar to the conventional method.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머리 지지대는 받침구(1)를 수평적으로 전.후 이동 시키며 상.하로 회전시켜 주므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가장 편안한 자세에서 머리와 목을 받쳐 주므로 사용자의 피로 감소는 물론 외부 충격이나 급제동시 머리와 목의 충격을 고루 완충시켜주는 머리 지지대로서 완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support of the car supports the head and neck in the most comfortable posture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by rotating the up and down and rotating the support port 1 horizontally up and dow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ll function as a head support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user and to evenly cushion the impact of the head and neck during external shock or sudden braking.

Claims (1)

자동차 의자의 상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머리와 목을 받쳐주는 지지대로서 지주봉(2)에 일체하고 암나사(3A)를 형성한 조정구(3)에 조정지지관(4)을 끼우고 암나사(3A)속에 조정볼트(5)를 끼워 통과하고 조정볼트(5)를 좌.우로 돌려 받침구(1)를 전.후로 이동시켜 필요한 위치에 너트(6)로 고정하고 압점구멍(7A)이 형성되어 일체된 지지관(7)속에 받침구(1)로부터 연결된 지지봉(11)을 끼워 상.하로 회전 시키며 압접구멍(7A)에 압접편(8)을 지지봉(11)의 외형에 맞게 삽입하고 스프링(9)를 넣어 렌치볼트(10)로 적당하게 조립하면 스프링 탄성에 의해 받침구(1)의 상.하 회전도 용이하게 되고 또한 받침구(1)의 필요한 위치를 유지케 하며.It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automobile chair and supports the user's head and neck. The adjustment support tube 4 is inserted into the adjusting member 3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holding rod 2 and forms the female screw 3A. Insert the adjusting bolt (5) and pass the adjusting bolt (5) to the left and right to move the support hole (1) back and forth to fix it with the nut (6) in the required position, and the pressure point hole (7A) is formed and integrated Insert the support rod 11 connected from the support hole 1 into the support tube 7 to rotate up and down, and insert the press contact piece 8 into the press contact hole 7A accor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support rod 11, and the spring 9 If the assembly is properly assembled with the wrench bolts 10, the spring elasticity facilitates the up and down rotation of the support port 1, and also maintains the required position of the support port 1. 한쌍의 안내 지지관(13)속에 스프링(16)과 이동구(14)를 맞춤하여 사용할 때 받침구(1)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머리와 목의 중력을 스프링(16)의 탄성력으로 적절하게 유지 시켜주며 심한 충격이 가해질때에도 완충역활을 해주며 연결판(12)에 일체시킨 지지쇠(20)에 스프링(19)을 탄발시켜 걸림돌기(18)를 안내지지관(13)에 형성된 걸림구멍(13B)에 맞춤하고 안내지지관(13)속에 이동되는 이동구(14)를 걸림곳(14A)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스프링(19)의 탄성을 받은 걸림돌기(18)로 하여금 이동구(14)를 정지 시키면 받침구(1)가 사용자의 머리나 목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유지되고 받침구(1)에 순간적으로 힘을 가하면 받침구(1)가 사용 위치로 복귀되며 지주봉(2)은 안내구멍(1C)을 통하여 외부로 관출시키고 조정볼트(5)와 너트(6). 지지관(7)과 일체된 압접구멍(7A)에 나사 맞춤한 렌치볼트(10)등은 안내구멍(1C)을 통하여 간편하게 조정할수 있도록 안출된 자동차 의자용 머리 지지대.When the spring 16 and the moving tool 14 are used in a pair of guide support tubes 13, the gravity of the user's head and neck contacting the support hole 1 is properly maintai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6. And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guide support tube 13 by applying a spring 19 to the support body 20 integrated with the connecting plate 12 to provide a buffering function even when a severe impact is applied. 13B) to move the moving port 14, which is moved in the guide support tube 13 to the position of the catch 14A to cause the catching projection 18, which is elasticated by the spring 19, to the moving port 14 When the stopper 1 is maintain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s head or neck, and momentarily exerts a force on the supporter 1, the supporter 1 returns to the use position and the support rod 2 is guide hole. Extrude outside through (1C) and adjust bolt (5) and nut (6). Wrench bolts 10, which are screw-fitted to the pressure contact holes 7A integrated with the support tubes 7, can be easily adjusted through the guide holes 1C.
KR2019990020617U 1999-09-20 1999-09-20 Head rest KR20018048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617U KR200180489Y1 (en) 1999-09-20 1999-09-20 Head 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617U KR200180489Y1 (en) 1999-09-20 1999-09-20 Head re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489Y1 true KR200180489Y1 (en) 2000-05-01

Family

ID=1959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617U KR200180489Y1 (en) 1999-09-20 1999-09-20 Head 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48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5666A (en) Articulating tray assembly
EP0695134B1 (en) Armrest device for a chair
US20120161489A1 (en) Headrest
AU8093291A (en) Ergonomic chair
JPS6432658U (en)
CN101213108A (en) Child safety seat
KR200180489Y1 (en) Head rest
US7077470B1 (en) Motorcycle backrest assembly
JP3103856B2 (en) Mirror holding adjustment device
KR20030018365A (en) Portable stand mounted on the console of an automobile
CN204863782U (en) Low limbs position pad of angularly adjustable
JP4202691B2 (en) Chair headrest device
KR200275786Y1 (en) head rest
CN213262167U (en) Rear-view mirror convenient to angle regulation
KR100228089B1 (en) Headrest tilt assembly
CN211834352U (en) Tongue state imaging device based on laser
CN217488493U (en) Nursing device
CN220458885U (en) Clamping seat and sitting posture corrector
CN217743681U (en) Connecting rod regulator
JPS6312771Y2 (en)
KR200361365Y1 (en) chair
JPS6135085Y2 (en)
JPS587244A (en) Seat with hip part support apparatus
JPH02303943A (en) Electrically-operated back mirror for motorcycle
KR200243721Y1 (en) Shock absor on armrest frame of a revolving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