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332Y1 - 기름 전기 병행식 열풍기 - Google Patents

기름 전기 병행식 열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332Y1
KR200180332Y1 KR2019990028263U KR19990028263U KR200180332Y1 KR 200180332 Y1 KR200180332 Y1 KR 200180332Y1 KR 2019990028263 U KR2019990028263 U KR 2019990028263U KR 19990028263 U KR19990028263 U KR 19990028263U KR 200180332 Y1 KR200180332 Y1 KR 200180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oil
fan
barn
hot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흥식
Original Assignee
전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흥식 filed Critical 전흥식
Priority to KR2019990028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3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3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6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산이나 농작물 재배의 난방을 위해 사용되는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 기름을 주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용 열풍기에 전기히터를 설치해 기름과 전기를 병행하여 사용하도록 하므로써 기름이 소모된 상태에서도 작동이 가능한 한편 농사용 전기나 심야전기의 이용으로 난방비를 절감하는 기름 전기 병행식 열풍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기름버너(3)로 가열되는 본체(2)내의 열교환노(4)에서 흡입창(7)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를 가열하고 배기구(10)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축사와 온상에 유입시켜 난방하는 열풍기(1)에 있어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창(7)의 흡입팬(8) 하측부에 히터봉(21)이 장착된 전기히터(20)를 설치하여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가열해 축사와 온상을 난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기름 전기 병행식 열풍기{Hot blast machine go abreast type oil and electric heating}
본 고안은 축산이나 농작물 재배의 난방을 위해 사용되는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 기름을 주연료로 사용하는 난방용 열풍기에 전기히터를 설치해 기름과 전기를 병행하여 사용하도록 하므로써 기름이 소모된 상태에서도 작동이 가능한 한편 농사용 전기나 심야전기의 이용으로 난방비를 절감하는 기름 전기 병행식 열풍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축사에서는 기온이 낮은 겨울철 소나 돼지의 보온을 위해 난방장치를 가동하고 있는데, 이의 난방장치로는 기름버너를 사용하는 열풍기나 발열량이 놓은 전기 보온등을 들수 있고 이중에 기름버너는 매연을 발생시켜 가축들의 폐사가 우려되므로 축사엔 일반적으로 전기 보온등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열풍기나 전기 보온등은 겨울철 특수 농작물을 재배하는 온상에도 널리 설치되고 있는데, 특히 온상에는 열매를 맺는 농작물 재배의 특성상 전기 보온등을 설치하지 못하고 열풍기를 설치하는 농가가 보편적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난방장치중에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열풍기(1)는 도면에 도시한 도 1 과 도 2 와 같이 일반적으로 기름버너(3)의 열기로써 단열재로 감싸인 열교환노(4)를 가열하고 흡입창(7)에 설치된 흡입팬(8)이 작동하여 외부공기를 열교환노(4)에 통과시켜 외부공기를 가열하며 배기구(10)로 가열된 공기를 온상이나 축사내에 유입하게 된다.
여기서 기름버너(3)의 매연은 열교환노(4)에서 배출구(6)를 통해 배출되고 기름버너(3)의 열기로 가열되는 열교환노(4)에선 외부공기가 열교환관(5)을 통해 흡입되므로 간접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져 매연의 유입을 차단시키게 된다.
또한 기존의 열풍기(1)는 흡입창(7)을 막아 외부공기의 흡입을 차단하고 일측에 설치된 내부공기유입창(9)을 열어 축사나 온상내의 내부공기를 열교환노(4)에 통과시킴으로써 난방효과를 높이고 있다.
종래 축사나 온상에 설치되고 있는 난방용 열풍기는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므로 기름이 소모되면 열풍기의 가동이 중단되어 농작물의 동결이나 가축의 폐사로 막대한 피해가 우려됨으로써 기름탱크에 저장된 잔여량의 파악에 주의가 필요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열풍기의 열교환노에서 매연이 누출되면 열교환노의 수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난방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점을 초래하여 가축과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열풍기의 공기흡입창이나 열교환노의 공기흡입측에 전기히터를 설치하여 기름소모와 매연의 누출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는 한편 열풍기의 난방효과를 높힘으로써 가축이나 농작물의 폐사와 동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름을 사용하는 열풍기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 는 종래 열풍기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인 전기히터의 실시예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본체 3.기름버너 4.열교환노
5.열교환관 6.배출구 7.흡입창
8.흡입팬 9.내부공기유입창 10.배기구
20.전기히터 21.히터봉 22.고정틀
본 고안은 기름을 연료로 사용하는 열풍기에 전기히터를 설치해 기름소모에 따른 버너의 가동 중단시에도 난방이 가능케 하므로써 난방효과를 높이는 한편 농사용 전기나 심야전기의 이용으로 난방비를 절감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한 도 3 내지 도 5 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본 고안은 본체(2)내에 수개의 열교환관(5)이 설치된 열교환노(4)가 단열재로 감싸이고 이 열교환노(4)를 가열하도록 기름버너(3)가 본체(2)의 외측에 장착되며 열교환노(4)와 통하도록 마련된 흡입창(7)에 흡입팬(8)이 설치되는 종래의 열풍기(1)내에 전기히터(20)를 장착해 기름과 전기를 병행하여 축사나 온상에 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기히터(20)는 외부공기나 내부공기가 열교환노(4)를 경유해 배기구(10)를 통하여 축사와 온상에 유입되는 흡입창(7)이나 열교환노(4)의 측면 및 배기구(10)에 설치되어 축사와 온상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기히터(20)를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창(7)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는 흡입창(7)에 장착된 흡입팬(8)의 상측부보다 흡입팬(8)의 하측부에 설치하여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가열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또한 외부공기나 내부공기가 유입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노(4)에 전기히터(20)를 설치하기 위한 방식은 흡입창(7)이나 내부공기유입창(9)과 근접한 열교환노(4)의 측면에 설치하여 열교환관(5)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 및 내부공기를 가열하도록 구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공기나 내부공기가 열교환노(4)의 열교환관(5)을 거쳐 축사와 온상으로 유입되는 배기구(10)엔 배기구(10)의 안쪽공간과 형상에 맞게 전기히터(20)를 설치하여 축사와 온상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기히터(20)는 도면에 도시한 도 5 에서 보듯이 흡입창(7)이나 열교환노(4)의 측면 및 배기구(10)의 형상과 공간에 따라서 히터봉(21)이 장착되는 고정틀(22)의 형상을 달리할 수 있고, 여기서 사용하는 히터봉(21)은 발열량이 높아 일반적인 전열기구에서 이용되고 있는 U자형상이나 ―자형상의 히터봉(21)을 장착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전기히터(20)는 기존 열풍기(1)의 기름버너(3)와 함께 작동시켜 축사와 온상의 온도를 단시간에 높일 수 있으며 또는 기름소모와 매연의 누출로 인한 기름버너(3)의 작동 불능시 대체 난방장치로 작동시킬 수 있다.
전기히터(20)의 작동은 기존 열풍기(1)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콘트롤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축사나 온상의 온도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작동된다.
본 고안은 기름소모나 매연의 누출에 따른 열풍기의 가동 중단시 전기히터가 작동하여 난방이 가능케 하므로써 난방효과를 높혀 가축과 농작물의 폐사 및 동결로 인한 막대한 피해를 방지하는 한편 농사용 전기나 심야전기의 이용으로 난방비를 절감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기름버너(3)로 가열되는 본체(2)내의 열교환노(4)에서 흡입창(7)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를 가열하고 배기구(10)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축사와 온상에 유입시켜 난방하는 열풍기(1)에 있어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창(7)의 흡입팬(8) 하측부에 히터봉(21)이 장착된 전기히터(20)를 설치하여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가열해 축사와 온상을 난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전기 병행식 열풍기.
  2. 청구항 1 에서,
    흡입창(7)을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열교환노(4)의 측면에 히터봉(21)이 장착된 전기히터(20)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가열해 축사와 온상을 난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전기 병행식 열풍기.
  3. 청구항 1 에서,
    외부공기가 흡입창(7)과 열교환노(4)를 거쳐 축사와 온상으로 유입되는 배기구(10)의 안쪽공간에 히터봉(21)이 장착된 전기히터(20)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가열해 축사와 온상을 난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전기 병행식 열풍기.
KR2019990028263U 1999-12-15 1999-12-15 기름 전기 병행식 열풍기 KR200180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263U KR200180332Y1 (ko) 1999-12-15 1999-12-15 기름 전기 병행식 열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263U KR200180332Y1 (ko) 1999-12-15 1999-12-15 기름 전기 병행식 열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332Y1 true KR200180332Y1 (ko) 2000-05-01

Family

ID=19601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263U KR200180332Y1 (ko) 1999-12-15 1999-12-15 기름 전기 병행식 열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3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740B1 (ko) 2009-05-22 2011-10-12 김용백 복합식 난방장치
KR20180002418U (ko) * 2017-02-02 2018-08-10 황익현 전열 면적 확장형 열전도 모듈이 내장된 열풍난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740B1 (ko) 2009-05-22 2011-10-12 김용백 복합식 난방장치
KR20180002418U (ko) * 2017-02-02 2018-08-10 황익현 전열 면적 확장형 열전도 모듈이 내장된 열풍난로
KR200487693Y1 (ko) 2017-02-02 2018-10-22 황익현 전열 면적 확장형 열전도 모듈이 내장된 열풍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685B1 (ko) 축열식 온실 난방시스템
KR200180332Y1 (ko) 기름 전기 병행식 열풍기
KR100909680B1 (ko) 농업용 열풍시스템
KR100743045B1 (ko) 농업용 열풍기
CN213939311U (zh) 一种带有保温保湿装置的育雏室
KR100822402B1 (ko) 농업용 하우스 발열 송풍기
CN109974069A (zh) 蓄热速热一体化热水电暖炉及其制造方法
KR200278789Y1 (ko) 축사용 난방 및 공조시스템
KR200412493Y1 (ko) 농업용 열풍기
KR100814606B1 (ko) 가스버너를 이용한 폐열 회수용 열풍기
CN210900914U (zh) 一种节能雏鸡脱温舍
KR100367757B1 (ko) 농업용 열풍기
KR101767189B1 (ko) 폐열 회수 순환 난방기
KR100269707B1 (ko) 원예용 난방장치
KR200341149Y1 (ko) 보온시설물용 내부 공기조화장치
KR20090114025A (ko) 온풍 겸용 냉풍장치
KR101176303B1 (ko) 농축산용 온풍난방형 열회수형 환기장치
KR200174585Y1 (ko) 비닐하우스의 난방장치
KR200277347Y1 (ko) 농축산용 난방기
KR200217090Y1 (ko) 농업용 열풍기
KR200275862Y1 (ko) 연탄 열풍기
KR200204912Y1 (ko) 시설 하우스용 난방 시스템
KR20090004960U (ko) 온풍기
CN215836383U (zh) 滴水降温系统
CN212157668U (zh) 一种油桶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