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289Y1 - 자동차의 연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289Y1
KR200179289Y1 KR2019990019971U KR19990019971U KR200179289Y1 KR 200179289 Y1 KR200179289 Y1 KR 200179289Y1 KR 2019990019971 U KR2019990019971 U KR 2019990019971U KR 19990019971 U KR19990019971 U KR 19990019971U KR 200179289 Y1 KR200179289 Y1 KR 200179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guide
pipe
guide tube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준
Original Assignee
박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준 filed Critical 박찬준
Priority to KR2019990019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2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2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16Other apparatus for heating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04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combustion-air or fuel-air mixture
    • F02M31/1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combustion-air or fuel-air mixture by hot liquids, e.g. lubricants or cooling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를 미리 예열시켜 고압력으로 엔진부에 공급하여 주도록 함에 따라 상기 엔진부에 의한 연료의 연소효율을 높여, 이로인한 연료의 소비량 및 매연발생량은 줄이면서 출력은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연료탱크(1)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탱크(1) 외부로 안내하는 제1연료안내관(11)과, 상기 제1연료안내관에 연결되어 연료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주면서 공기를 외부로 빼내주는 연료필터체(15)와, 상기 연료필터체에 연결되어 불순물이 걸러지고 공기가 외부로 빼내어진 연료를 계속해서 연료필터체(15) 외부로 안내하는 제2연료안내관(14)과, 상기 제2연료안내관에 설치되어 제2연료안내관(14)을 통해 안내되는 연료를 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12)와, 상기 저장조 내에 설치되어 저장조(12)에 저장된 연료를 펌핑하는 연료펌프(13)와, 상기 저장조(12)에 연결되어 연료펌프(13)에 의해 펌핑되는 연료를 저장조(12) 외부로 안내하는 제3연료안내관(16)과, 자동차의 라디에이터(3)에 연결되어 라디에이터 내의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수관(17)과, 상기 제3연료안내관(16)에 입구가 연결된 상태로 냉각수관(17)의 외측둘레에 감겨져 제3연료안내관(16)을 통해 안내되는 연료를 계속해서 안내하면서 이 계속 안내되는 연료가 냉각수관(17) 내의 냉각수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열교환파이프(18)와, 상기 열교환파이프의 출구에 연결되어 열교환된 연료를 자동차의 엔진부(2)로 안내하는 제4연료안내관(19)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 공급장치{device for supplying fuel of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를 예열시킨 상태로 엔진에 공급하도록 하여 연료소비량은 감소되도록 하면서도 연소효율은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연료탱크(1)에 저장된 연료를 엔진부(2)가 공급받아 연소시키면서 동력을 얻고, 이 얻어진 동력에 의해 주행장치가 작동되면서 자동차가 주행되는데, 상기 엔진부(2)가 동작되는 과정에서는 열이 발생되므로 냉각을 위한 라디에이(3)를 갖추고 있다.
한편 상기한 자동차의 엔진부(2)는 연료탱크(1)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 공급장치를 통해서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연료 공급장치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연료탱크(1)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탱크(1) 외부로 안내하는 제1연료안내관(4)과, 상기 제1연료안내관에 설치되어 제1연료안내관(4)을 통해 안내되는 연료중의 불순물을 걸러주면서 공기를 외부로 빼내주는 연료필터체(5)와, 상기 연료필터체에 연결되어 불순물이 걸러지고 공기가 외부로 빼내어진 연료를 계속해서 자동차의 엔진부(2)로 안내하는 제2연료안내관(6)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키를 이용해 자동차의 시동을 걸면, 도시하지 않는 연료안내관 개폐수단이 작동하여 연료안내관을 개방시키므로 연료탱크(1)에 저장된 연료가 제1연료안내관(4)을 통해 연료필터체(5)로 들어간 다음 계속해서 제2연료안내관(6)을 통해 자동차의 엔진부(2)로 들어가므로 결국 연료탱크(1)에 채워져 있는 연료가 엔진부(2)로 공급되는 상태가 되는데, 상기 엔진부로 공급된 연료는 엔진부(2)를 구성하는 분사노즐을 통해 연소장치인 기화기로 분사됨과 동시에 점화장치가 동작하여 분사되는 연료를 점화시키므로 상기 연소장치에서는 연료가 연소되고, 이에따라 엔진부(2)가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연료탱크(1)에 채워진 연료가 제1연료안내관(4)에 안내되어 연료필터체(5)로 들어갈 때 상기 연료필터체는 연료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줌과 함께 공기가 포함되어 있다면 이 공기도 외부로 빼내주므로 결국 깨끗하고 순수한 연료만이 제2연료안내관(6)에 안내되어 자동차의 엔진부(2)로 들어간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장치는 엔진부의 동작에 필요한 연료가 예열되지 않는 상태로 하여 상기 엔진부로 공급됨은 물론 연료의 공급압력이 올라가지 못하는 관계로 인하여 엔진부에서 연료를 연소할 때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므로 상기 연료의 연소율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료의 소비량이 그만큼 증가됨과 함께 매연발생량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엔진의 출력도 떨어져 특히 경사진 곳을 오를 때 신속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를 미리 예열시켜 고압력으로 엔진부에 공급하여 주도록 함에 따라 상기 엔진부에 의한 연료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고, 이로인한 연료의 소비량 및 매연발생량을 줄이면서 출력은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연료 공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자동차용 연료 공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 자동차용 연료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저장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연료탱크 2. 엔진부
3. 라디에이터 11. 제1연료안내관
12. 저장조 13. 연료펌프
14. 제2연료안내관 15. 연료필터체
16. 제3연료안내관 17. 냉각수관
18. 열교환파이프 19. 제4연료안내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는 연료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탱크 외부로 안내하는 제1연료안내관과, 상기 제1연료안내관에 연결되어 연료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주면서 공기를 외부로 빼내주는 연료필터체와, 상기 연료필터체에 연결되어 불순물이 걸러지고 공기가 외부로 빼내어진 연료를 계속해서 연료필터체 외부로 안내하는 제2연료안내관과, 상기 제2연료안내관에 설치되어 제2연료안내관을 통해 안내되는 연료를 받아 일시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 내에 설치되어 저장조에 저장된 연료를 펌핑하는 연료펌프와, 상기 저장조에 연결되어 연료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연료를 저장조 외부로 안내하는 제3연료안내관과, 자동차의 라디에이터에 연결되어 라디에이터 내의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수관과, 상기 제3연료안내관에 입구가 연결된 상태로 냉각수관의 외측둘레에 감겨져 제3연료안내관을 통해 안내되는 연료를 계속해서 안내하면서 이 계속 안내되는 연료가 냉각수관 내의 냉각수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열교환파이프와, 상기 열교환파이프의 출구에 연결되어 열교환된 연료를 자동차의 엔진부로 안내하는 제4연료안내관으로 구성하여서 된 자동차의 연료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 자동차용 연료 공급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자동차용 연료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저장조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 실시예는 연료탱크(1)에는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탱크(1) 외부로 안내하도록 제1연료안내관(11)이 연결되고, 상기 제1연료안내관에는 제1연료안내관(11)을 통해 안내되는 연료중의 불순물을 걸러주면서 공기를 외부로 빼내주도록 연료필터체(15)가 설치되고, 상기 연료필터체에는 불순물이 걸러지고 공기가 외부로 빼내어진 연료를 계속해서 연료필터체(15) 외부로 안내하도록 제2연료안내관(14)이 연결된다.상기 제2연료안내관(14)에는 제2연료안내관을 통해 안내되는 연료를 받아 일시 저장하도록 저장조(12)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조 내에는 저장조(12)에 저장된 연료를 강제적으로 펌핑하도록 연료펌프(13)가 설치되며, 상기 저장조(12)에는 연료펌프(13)에 의해 펌핑되는 연료를 저장조(12) 외부로 안내하도록 제3연료안내관(16)이 연결되고, 자동차의 라디에이터(3)에는 라디에이터 내의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냉각수관(17)이 연결되고, 상기 냉각수관의 외측둘레에는 입구가 제3연료안내관(16)에 연결되어 상기 제3연료안내관을 통해 안내되는 연료를 계속해서 안내하면서 이 계속 안내되는 연료가 냉각수관(17) 내의 냉각수와 열교환되도록 열교환파이프(18)가 감겨지며, 상기 열교환파이프의 출구에는 열교환된 연료를 자동차의 엔진부(2)로 안내하도록 제4연료안내관(19)이 연결된다.
상기한 본 고안 실시예에서 저장조(12) 내부로 연료펌프(13)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설치된 상태에서는 필요에 따라 교환이나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저장조(12)는 저장조 몸체(12a)와 저장조 뚜껑(12b)으로 나뉘어 지고, 상기 저장조 뚜껑(12b)은 저장조 몸체(12a)에 스크류(12c)로 고정되어 내부를 밀폐시키고 있다.따라서, 키를 이용해 자동차의 시동을 걸면, 도시하지 않는 연료안내관 개폐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연료안내관을 개방시키므로 연료탱크(1)에 저장된 연료가 제1연료안내관(11)을 통해 연료필터체(15)로 들어가 연료중에 포함된 불순물이 걸러짐과 함께 공기는 외부로 빠져나간다.상기 연료필터체(15)를 통과하면서 불순물이 제거됨과 함께 공기가 빠져나간 순수한 연료는 제2연료안내관(14)을 통해 안내되어 저장조(12)에 저장되는데, 이와 동시에 상기 저장조 내의 연료펌프(13)가 동작하여 저장조(12)에 저장된 연료를 강제로 펌핑하고, 이 펌핑된 연료는 계속해서 제3연료안내관(16)을 통해 안내되어 냉각수관(17)의 외측둘레에 감겨져 있는 열교환파이프(18)로 들어간 다음 제4연료안내관(19)을 통해 자동차의 엔진부(2)로 들어가므로 결국 연료탱크(1)에 채워진 연료가 엔진부(2)로 공급되는 상태가 되는데, 상기 엔진부로 공급된 연료는 엔진부를 구성하는 분사노즐을 통해 실린더로 분사됨과 동시에 점화장치가 동작하여 분사되는 연료를 점화시키므로 상기 실린더 내에서는 연료가 연소되고, 이에따라 엔진부(2)가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파이프(18)가 감겨져 있는 냉각수관(17)은 자동차의 라디에이터(3)에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냉각수관(17) 내로는 라디에이터(3)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일부가 유입되어 있고, 상기 냉각수는 엔진부의 계속적인 동작에 따라 뜨거워진 상태임을 감안할 때 결국 연료가 열교환파이프(18)를 지나는 과정에서 냉각수와 열교환을 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연료 또한 일정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하여 엔진부(2)로 들어가 분사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연료가 최초 연료탱크에서 빠져나갈 때의 온도 보다 훨씬 더 높은 예열된 상태로 하여 엔진부로 공급됨은 물론 공급되는 상태의 압력이 높아진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엔진부에서 연료를 연소할 때 완전 연소가 일어남에 따라 상기 연료의 연소율이 크게 올라간다.
따라서 연료의 소비량이 그만큼 감소됨과 함께 매연발생량도 감소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엔진의 출력도 향상되어 특히 경사진 곳을 오를 때 신속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료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탱크 외부로 안내하는 제1연료안내관과,
    상기 제1연료안내관에 연결되어 연료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주면서 공기를 외부로 빼내주는 연료필터체와,
    상기 연료필터체에 연결되어 불순물이 걸러지고 공기가 외부로 빼내어진 연료를 계속해서 연료필터체 외부로 안내하는 제2연료안내관과,
    상기 제2연료안내관에 설치되어 제2연료안내관을 통해 안내되는 연료를 받아 일시 저장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 내에 설치되어 저장조에 저장된 연료를 펌핑하는 연료펌프와,
    상기 저장조에 연결되어 연료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연료를 저장조 외부로 안내하는 제3연료안내관과,
    자동차의 라디에이터에 연결되어 라디에이터 내의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수관과,
    상기 제3연료안내관에 입구가 연결된 상태로 냉각수관의 외측둘레에 감겨져 제3연료안내관을 통해 안내되는 연료를 계속해서 안내하면서 이 계속 안내되는 연료가 냉각수관 내의 냉각수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열교환파이프와,
    상기 열교환파이프의 출구에 연결되어 열교환된 연료를 자동차의 엔진부로 안내하는 제4연료안내관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 공급장치.
KR2019990019971U 1999-09-16 1999-09-16 자동차의 연료 공급장치 KR200179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971U KR200179289Y1 (ko) 1999-09-16 1999-09-16 자동차의 연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971U KR200179289Y1 (ko) 1999-09-16 1999-09-16 자동차의 연료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289Y1 true KR200179289Y1 (ko) 2000-04-15

Family

ID=1958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971U KR200179289Y1 (ko) 1999-09-16 1999-09-16 자동차의 연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2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770A (ko) 2019-03-05 2020-09-15 (주)월드홈닥터 물속에 잔류하는 중금속, 농약 흡착 기능 및 중화, 세균억제 기능을 갖는 무기조성물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770A (ko) 2019-03-05 2020-09-15 (주)월드홈닥터 물속에 잔류하는 중금속, 농약 흡착 기능 및 중화, 세균억제 기능을 갖는 무기조성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08046A (ja) 吸気とアルコールの暖化を備えた、アルコールおよびフレックスエンジンのためのコールドスタート補助システム
JP2006342799A (ja) 内燃機関
US20070235556A1 (en) Nozzle assembly
CN201296153Y (zh) 一种车用液体式燃气与燃油加热器
KR200179289Y1 (ko) 자동차의 연료 공급장치
HUT69859A (en) Fuliginous, mainly for diesel engines of motor vehicles
CN201327167Y (zh) 一种车用液体式气体燃料加热器
US20070158466A1 (en) Nozzle assembly
JP2008138668A (ja) エンジンオイル内の燃料量の低減方法及びエンジンの電子制御ユニット
CN103452731B (zh) 一种用于减少机动车冷启动排放的提前加热系统
JP2010031839A (ja) 非分解エンジン再生装置及び方法
CN101349232A (zh) 汽车预热器
CN217753412U (zh) 驻车加热器
KR101346194B1 (ko) Dpf 장치의 버너
KR20080049411A (ko) 디젤 엔진의 egr 쿨러
KR20160124580A (ko) 작업 차량용 가압식 냉각수 순환 시스템
KR100666081B1 (ko) 디젤엔진의 식물성 기름 가열장치
KR200253900Y1 (ko) 디젤기관용 완전연소장치
CN210858912U (zh) 新型液体燃油加热器
CN2381528Y (zh) 柴油汽车用油箱
KR200409769Y1 (ko) 자동차 매연감소 및 연료절감장치
CN216592239U (zh) 一种利用率高的热风炉
CN220229587U (zh) 一种燃气锅炉节能燃烧器
JP2008002293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KR200266788Y1 (ko) 복합연료의 연소 버어너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