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200Y1 - Traffic safety lamp for street crossing - Google Patents

Traffic safety lamp for street cros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200Y1
KR200179200Y1 KR2019990024976U KR19990024976U KR200179200Y1 KR 200179200 Y1 KR200179200 Y1 KR 200179200Y1 KR 2019990024976 U KR2019990024976 U KR 2019990024976U KR 19990024976 U KR19990024976 U KR 19990024976U KR 200179200 Y1 KR200179200 Y1 KR 200179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ight emitting
fixing
elastic
safety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97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영복
Original Assignee
고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복 filed Critical 고영복
Priority to KR2019990024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20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200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으로서, 그 구성은, 적어도 몸체와, 이 몸체 내에 내장되는 발광수단과, 상기 몸체를 지면 상에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에 장착되는 발광체는, 얇은 금속편의 사각형틀 형상인 탄성 지지구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몸체 및 베이스의 정/배면에 배치되는 빛을 발하는 발광부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발생부와, 상기 전원발생부로부터 생성한 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에너지 충전부와, 상기 전원발생부, 에너지 충전부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를 점등/소등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부와, 상기 베이스에는, 체결볼트가 밀착판을 사이에 두고 너트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되어 몸체를 베이스 측으로 잡아당겨 탄성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과, 상기 베이스의 십자홈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고정판을 잡아당기는 탄성 고정편과, 상기 고정판과 탄성 고정편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탄성수단을 구비하여 이룬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the configuration of 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comprising at least a body, a light emitting means embedded in the body, and a base for supporting the body on the ground, the body The light emitting body mounted therein is elastically fixed by an elastic support having a rectangular metal frame shape of a thin metal piece, and generates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and the base, and a power source provided in the base. A power generation unit, an energy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energy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unit, a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turning on / off the light emitting unit by using the energy of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the energy charging unit, and the base , The fastening bolt is fastened with the nut with the contact plate between them, and is disposed under the body to move the body to the base side. A fixing plate for pulling and fixing elastically, an elastic fixing piece inserted into the cross groove of the base and pulling the fixing plate, and a plurality of elastic means elas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elastic fixing piece. Achieve.

따라서, 발광체를 고정하는 지지구를 탄성편을 이용하여 외부충격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고, 몸체와 베이스의 조립도 탄성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하고 있으므로 잦은 외부충격에 충분히 대처하는 것이며, 특히 몸체 하부에 고정판을 설치하고 십자형 고정편 사이에 스프링을 이용하여 몸체와 베이스를 조립함으로써, 현장설치성을 매우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support fixture for fixing the light emitting body can be sufficiently prepared for the external impact by using the elastic piece, and the assembly of the body and the base is also coped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elastic means, so that it is sufficient to cope with the frequent external shock, especially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By installing the fixing plate and assembling the body and the base using a spring between the cross-shaped fixing pie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eld installation is very good.

Description

횡단보도 안전표시등{Traffic Safety Lamp for Street Crossing}Traffic Safety Lamp for Street Crossing

본 고안은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와 베이스의 조립구조를 개선하고 발광수단 지지구를 개선하여 외부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여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설치 시에 중앙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여 파편에 의한 2차충돌을 방지하게 한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walk safety indic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body and the base, and to improve the light emitting means support to absorb the external shock double to prevent damage to the parts and to invade the center line during install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walk safety indicator that prevents secondary collisions caused by debris.

일반적으로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은 횡단보도 중앙선 부근 양쪽에 설치되어, 운전자들에게 횡단보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리므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표시등을 말한다.In general,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rosswalk center line to inform drivers of the presence of a crosswalk, thereby indicating a light for pedestrian safety.

최근, 이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교통사고 방지 기능성이 입증되어 전국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오고 있다. 이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은 내부에 발광수단을 내장하여 빛을 방사함으로써 주간은 물론이거니와 야간에, 특히 야간이면서 우중인 경우에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그 교통사고 방지 성능은 탁월하다.In recent years, the traffic accident prevention function of this crosswalk safety sign has been proved, and it has attracted a great response nationwide. 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has a built-in light emitting means to emit light, thereby exerting the driver's attention not only during the day, but also at night, especially at night and in the rain, so the traffic accident prevention performance is excellent.

한편,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여백면에는 각종 광고를 겸할 수 있어서 광고효과도 지대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combine various advertisements on the blank side of the crosswalk safety sign, so the advertisement effect is also great.

종래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에는 내부에 발광수단으로서 형광등을 수직으로 내장하고 있고 이 형광등은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몸체의 지면에의 고정은 베이스를 이용하여 볼트 등과 같은 소정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고 있다.A conventional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has a fluorescent lamp vertically embedded therein as a light emitting means, and the fluorescent lamp is supported by a supporting means. The body is fixed to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fixing means such as a bolt using a base.

이러한 구조의 종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은 많은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상에 설치되는 고정물이라는 점에서 차량의 가벼운 접촉이나 취객이나 보행자의 발길질에 의하여 발광체를 지지하는 지지구나 몸체 등의 부품이 손쉽게 파손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광체를 스프링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몸체도 베이스에 탄성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한 개선된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이 제안되었다.The conventional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of such a structure is a fixture that is installed on a road on which many vehicles travel, so that a part such as a support or a body supporting the light emitting body is easily damaged by light contact of the vehicle or kicking of a passenger or pedestrian. There is this. In order to prevent such breakage, an improved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has been proposed, which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light emitting body with a spring, and the body is also elastically fixed to the base.

상기 종래의 개선된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The conventional improved crosswalk safety indicator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상기 발광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구는 상하에 2개를 사용하는데 이 지지구의 조립이 매우 가다로웠다. 즉, 길다란 원통체의 몸체 내부에 발광체를 설치함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구는 작업자의 손이 용이하게 닿기 때문에 비교적 설치가 용이하지만,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구는 작업자의 팔 길이보다 몸체 길이가 길기 때문에 그 서치는 매우 까다롭다.1. The spring suppo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ight emitting body is used two above and below, and the assembly of this support was very difficult. That is, in installing the light emitting body inside the body of the long cylindrical body, the supporter located in the lower part is relatively easy to install because the hand of the operator easily touches, but the supporter located in the upper part has a longer body length than the length of the operator's arm. That search is very tricky.

2. 몸체가 차량 등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될 경우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기능은 완전히 상실될 뿐만 아니라, 파손된 파편들에 의하여 2차 사고를 유발할 위험이 있다.2. If the body is damaged by the impact of a vehicle, not only the function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is completely lost, but there is a risk of causing a second accident due to the broken pieces.

3. 전원 공급선이 단선되는 경우,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무용지물이 된다.3. If the power supply line is broken, it will not function as a crosswalk safety indicator and it will be useless.

4. 베이스 측부가 중앙선을 침범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차량의 바퀴가 접촉하여 베이스 전체가 파손되기에 이른다.4. Since the side of the base invades the center line, the wheels of the vehicle come into contact with this part and the entire base is damaged.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발광체를 원활하게 지지하고 잦은 충격에도 충분히 견디며 설치가 용이한 발광체 지지구와, 중앙선을 침범하지 않은 베이스와, 전원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라도 태양전지에 의하여 자동으로 발광다이오드가 작동하여 빛을 발하는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light emitting body smoothly, to withstand frequent shocks and easy to install the light emitting device support, the base does not invade the center line, Even when the power supply is interrupted, the light emitting diode is automatically activated by the solar cell to provide a crosswalk safety indicator that emits light.

도 1은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외관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베이스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ase portion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평면도Figure 6a is a plan view of 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몸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Figure 6b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body shape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전기회로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electrical circuit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몸체 10A : 상부체10: body 10A: upper body

10B : 하부체 12: 캡체10B: lower body 12: cap body

14 : 절단 모서리면 20 : 베이스14: cutting edge surface 20: base

22 : 측절단면 27 : 수납부22: cross section 27: housing

29 : 볼트삽입구멍 30 : 형광등29 bolt insertion hole 30 fluorescent lamp

40 : 탄성 지지구 42 : 탄성 걸이편40: elastic support 42: elastic hook piece

44 : 고정대 50 : 발광부44: fixing base 50: light emitting unit

60 : 전원발생부 72 : 너트60: power generation unit 72: nut

74 : 밀착판 80 : 고정판74: contact plate 80: fixed plate

90 : 탄성 고정편 94 : 탄성수단(스프링)90: elastic fixing piece 94: elastic means (spring)

70,82 : 체결볼트 84,96 : 다수개의 구멍70,82: Fastening bolt 84,96: Multiple hol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은,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적어도 몸체와, 이 몸체 내에 내장되는 발광수단과, 상기 몸체를 지면 상에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에 있어서,In a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comprising at least a body, a light emitting means embedded in the body, and a base for supporting the body on the ground,

상기 몸체 내에 장착되는 발광체는, 얇은 금속편의 사각형틀 형상인 탄성 지지구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고정되며,The light emitting body mounted in the body is elastically fixed by an elastic support having a rectangular metal frame of a thin metal piece,

상기 몸체 및 베이스의 정/배면에 배치되는 빛을 발하는 발광부와,A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light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and the base;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발생부와,A power generator for generating power provided in the base;

상기 전원발생부로부터 생성한 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에너지 충전부와,An energy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energy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ng unit;

상기 전원발생부, 에너지 충전부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를 점등/소등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부와,An electronic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to be turned on / off using energy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and the energy charging unit;

상기 베이스에는, 체결볼트가 밀착판을 사이에 두고 너트와 체결되어 있으며,In the base, a fastening bolt is fastened to the nut with an adhesive plate therebetween,

상기 몸체 하부에 배치되어 몸체를 베이스 측으로 잡아당겨 탄성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과,A fixing plate disposed under the body and fixed to elastically pull the body toward the base side;

상기 베이스의 십자홈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고정판을 잡아당기는 탄성 고정편과,An elastic fixing piece inserted into the cross groove of the base and pulling the fixing plate;

상기 고정판과 탄성 고정편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탄성수단을 구비하여 이룬다.It comprises a plurality of elastic means is elas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elastic fixing piece.

이렇게 구성할 때에는, 발광체를 고정하는 지지구를 탄성편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고, 몸체와 베이스의 조립도 탄성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하고 있으므로 잦은 외부충격에 충분히 대처하는 것이며, 특히 몸체 하부에 고정판을 설치하고 십자형 고정편 사이에 스프링을 이용하여 몸체와 베이스를 조립함으로써, 현장설치성을 매우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support for fixing the light emitting body is fixed by using an elastic piece, it can be sufficiently prepared for external shock, and the assembly of the body and the base is also assembled with each other by using elastic means, so that it copes with frequent external shocks. In particular, by installing a fixing plate in the lower body and assembling the body and the base using a spring between the cross-shaped fixing pie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eld installation is very goo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하에 발광체를 고정하기 위한 2개의 탄성 걸이편과, 좌우측에 고정나사로 고정되기 위한 고정대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is provided with two elastic hook pieces for fixing the light emitting body up and down, and fixing bars for fixing with fixing screw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상기 몸체는, 횡단면으로 보아 원과 사각형이 겹쳐서 만나는 접선 부분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만든 절단 모서리면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는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전원발생부는 태양전지, 상기 에너지충전부는 충전용 밧테리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has a cutting edge surface formed by cutting a tangential portion of a cross section where a circle and a square overlap each other in a cross section,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s a light emitting diode, the power generating unit is a solar cell, and the energy charging unit is a rechargeable battery. Is preferably.

또, 상기 베이스는 베이스 자체가 중앙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베이스 측부를 일부 절단한 측절단면을 형성하는 것이 좋고, 내부 일측에는 안전기 등의 전기부품을 내장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forms a side cut-out surface obtained by partially cutting the base side portion so that the base itself does not invade the center line, and on one side of the base, it is preferable to form an accommodating portion into which an electric component such as a safety device can be incorporated.

따라서, 본 고안은 어떠한 외부 충격에 의하여 전원 공급선이 끊어진 경우라도 자체 전원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발광부가 점등되게 하여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야간이나 우중에 운전자 또는 보행자들에게 알려 미리 대비케 하는 장점이 있고, 설령 외부 충격으로 몸체가 파손되엇다 할지라도 베이스 부붕의 발광부만으로도 충분히 경고 기능을 할 수 있어,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이 주행로 상의 전방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운전자 등에게 고지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the driver or pedestrians at night or in the rain that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exists by automatically turning on the light emitting unit using its own power generator even when the power supply line is broken due to any external impact. Even if the body is damaged due to external impact, even if the body is damaged by the light of the base bubbling, the warning function can be enough to warn the driver that 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is in front of the road. It is effective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외관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베이스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평면도, 도 6b는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몸체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전기회로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ase portion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 plan view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body shape of 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electric circuit of 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은 몸체, 20은 상기 몸체(10)를 지면 상에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이다. 상기 몸체(10)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체(10A)와 하부체(10B)로 분리구성하고 있으나,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체(10A 상에는 둥근 형태의 캡체(12)가 형성된다. 이 캡체(12)도 분리구성하거나 상부체(10A)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se figures,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body, and 20 denotes a base for supporting the body 10 on the ground. The body 10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the upper body (10A) and the lower body (10B) in this embodiment, of course,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A round cap is formed on the upper body 10A. The cap body 12 may also be separated or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body 10A.

상기 몸체(10) 내에는 발광수단으로서 형광등(30)이 내장되는데 본 실시예에있어서는 사각형틀 형상의 탄성 지지구(40)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 지지구(40)는 상하에 형광등(30)을 고정하기 위한 2개의 탄성 걸이편(42)이 형성되어 있고 좌우측에는 몸체(10) 내부에 고정나사(비스) 등으로 고정되기 위한 고정대(4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구(40)는 전체가 탄성운동을 하도록 비교적 얇은 금속편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luorescent lamp 30 is built in the body 10 as a light emitting means,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fixed using an elastic support 40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The support 40 is formed with two elastic hook pieces 42 for fixing the fluorescent lamp 30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fixing table 44 for fixing the fixing screws (bis) inside the body 1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 Is formed. In addition, the support 40 is preferably formed of a relatively thin metal piece so that the entire elastic movement.

본 고안의 특징 중의 하나는, 상기 몸체(10)의 형상이다. 상기 몸체(10)는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원과 사각형이 겹쳐서 만나는 접선 부분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만든 절단 모서리면(14)을 가지고 있다. 이 절단 모서리면(14)에 상기 탄성 걸이편(42)의 고정대(44)가 체결나사에 의하여 몸체(10)에 체결된다.One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hape of the body 10. 6A and 6B, the body 10 has a cutting edge surface 14 formed by cutting a tangential portion where a circle and a square overlap each other to a predetermined length. Fixing member 44 of the elastic hook piece 42 is fastened to the body 10 by a fastening screw on the cut edge 14.

상기 몸체(10)의 재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제(LDP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체(10A) 및 베이스(20)의 정면에는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는 발광부(50)를 설치하고 있다. 이 발광부(50)는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빛을 외부로 발산한다.The material of the body 10 is preferably made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resin (LDPE). The light emitting part 50 which consists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is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body 10A and the base 20. The light emitting unit 50 emits light to the outside using the supplied power.

또 상기 베이스(20)에는 태양전지(solar cell)나 태양열흡수판을 포함하는 전원발생부(60), 충전용 밧테리 등으로 구성되는 에너지 충전부(62)를 설치하고 있다. 이들 전원발생부(60), 에너지 충전부(62)는 PCB 를 포함하는 전자제어부(64)의 제어를 받아 상기 발광부(50)를 점등 또는 소등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ase 20 is provided with an energy charging unit 62 including a power generation unit 60 including a solar cell or a solar absorption plate, a charging battery, and the like. These power generation units 60 and energy charging units 62 are controlled to turn on or off the light emitting unit 50 under the control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64 including the PCB.

상기 전원발생부(60)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하고,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표시등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에는 전자제어부(PCB)(64)에서 자동으로 작동하여 발광부(50)를 점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때, 자동으로 감지하여 온/오프되는 태양전지를 이용함으로 자동충전이 되어 전원 걱정은 없게 된다. 상기 에너지 충전부(62)는 상기 전원발생부(60)에서 생성한 전기에너지를 충전한다.The power generation unit 60 changes the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when the indicator power is cut off by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the power generation unit 60 automatically operates i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PCB) 64 to turn on the light emitting unit 50. It consists. At this time, there is no worry about the power supply is automatically charged by using a solar cell that is automatically detected on / off. The energy charging unit 62 charges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60.

상기 발광부(50), 전원발생부(60)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베이스(20)의 측부는 중앙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측절단면(22)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중앙선을 침범하는 베이스 측부를 생략함으로써 베이스가 차량으로부터 충격을 받아 파손되는 사례가 없도록 하고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50 and the power generating unit 60 may be install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The side of the base 20 has a side cross section 22 so as not to invade the center line. In this case, by omitting the base side portion that invades the center line, the base is not damaged by being impacted by the vehicle.

상기 베이스(20)의 중앙에는 상기 몸체(10)를 용이하게 베이스(2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70)가 밀착판(74)을 사이에 두고 너트(72)와 체결되어 있다.In the center of the base 20, a fastening bolt 70 for fastening the body 10 to the base 20 is fastened to the nut 72 with an adhesive plate 74 therebetween.

상기 베이스(20)를 고무재로 형성할 경우에는 가벼운 충격 등은 이를 흡수함으로써 2차 사고를 예방한다.When the base 20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a light shock or the like prevents secondary accidents by absorbing it.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20) 내에 안전기 등의 전기부품을 내장할 수 있는 수납부(27)를 형성함으로써 충격 시 전기부품의 안전도를 높이고 전체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가령, 몸체가 차량 등에 의하여 완전 파손되더라도 베이스 부분에 설치한 발광다이오드에 의하여 빛을 발광하여 운전자나 보행자들에게 횡단보도가 있는 것을 알리기에 충분하므로,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기능을 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Referring to FIG. 5, by forming an accommodating part 27 into which the electronic part such as a safety device may be built in the base 20, the safety of the electric part may be increased and the overall size may be minimized. For example, even if the body is completely damaged by a vehicle or the like, it is sufficient to inform the driver or pedestrians of the crosswalk by emitting light by the light emitting diode installed in the base part, so that it can function as a crosswalk safety indicator. To prevent them.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특징 중의 하나인 몸체(10)와 베이스(20)의 연결구조에 대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80은 상기 몸체(10) 하부에 배치되어 몸체(10)를 베이스(20) 측으로 잡아당겨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고정판이다.3 and 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ody 10 and the base 20, which is one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se drawings, reference numeral 80 is a fixing plate disposed under the body 10 to pull the body 10 toward the base 20 to elastically fix the body 10.

또 부호 90은 상기 베이스(20)의 십자홈(92)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고정판(80)을 잡아당기는 탄성 고정편이다. 이들 고정판(80)과 탄성 고정편(90) 사이에는 다수개의 탄성수단(스프링 : 94)이 연결되어 있다.Reference numeral 90 is an elastic fixing piece which is inserted into the cross groove 92 of the base 20 and pulls the fixing plate 80. A plurality of elastic means (springs) 94 are connected between these fixing plates 80 and the elastic fixing pieces 90.

상기 고정판(80)은 상기 몸체(10)의 최하부에 체결볼트(82) 등의 고정수단으로 몸체(10)에 고정되어 있다. 부호 29는 상기 베이스(20)를 지면에 고정할 때에 사용하는 볼트삽입구멍, 84, 96은 상기 고정판(80)과 탄성 고정편(90)에 형성된 탄성수단(94)을 걸기 위한 다수개의 구멍이다.The fixing plate 80 is fixed to the body 10 by fixing means such as a fastening bolt 82 a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body 10. Reference numeral 29 is a bolt insertion hole used to fix the base 20 to the ground, and 84 and 96 are a plurality of holes for fastening the elastic means 94 formed in the fixing plate 80 and the elastic fixing piece 90. .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몸체(10) 내에 형광등(30)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본 고안의 지지구(40)를 미리 상기 몸체(10)의 내의 하측 적당 부위에 고정한 후 형광등(30)을 플랙시블한 탄성 걸이편(42)에 밀어 넣어 고정한다. 이 때 상기 탄성 걸이편(42)은 상하 2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형광등(30)은 안정적으로 몸체(10) 내에 장착된다.First,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luorescent lamp 30 in the body 10 will be described. After fixing the supporter 4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itabl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in advance, the fluorescent lamp 30 will be flexible. Push it into one elastic hanger piece 42 to fix it. 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hook piece 42 is composed of two upper and lower sides, the fluorescent lamp 30 is stably mounted in the body 10.

이어서 상기 몸체(10)를 상기 베이스(20)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고정판(80)은 몸체(10)의 하부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탄성 고정편(90)은 탄성수단(94)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볼트(70)를 너트(72)에 조이면, 이 체결볼트(70)는 베이스(20)의 밑판(28)에 의하여 더 이상 직선운동은 하지 않고 회전운동만 함과 동시에 너트(72)만이 하향하게 되고 이 너는 밀착판(74)을 내리누른다. 상기 밀착판(74)이 하향동작함에 따라 상기 탄성 고정편(90)이 십자홈(92)에서 하향동작함에 따라, 탄성 고정편(90)은 탄성수단(94)을 잡아당기고 탄성수단(94)은 상기 고정판(80)을 잡아당겨서 결과적으로 상기 몸체(10)를 상기 베이스(20)에 탄성적으로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Next,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body 10 to the base 20 will be described. The fixing plate 80 is firmly fixed 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body 10, and the elastic fixing piece 90 has elastic means. (94) is connected. At this time, when the fastening bolt 70 is tightened to the nut 72, the fastening bolt 70 is no longer linear movement by the bottom plate 28 of the base 20, but only the rotary mo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nut 72 ) Only downward, and you press down on the contact plate (74). As the elastic fixing piece 90 moves downward in the cross groove 92 as the contact plate 74 moves downward, the elastic fixing piece 90 pulls the elastic means 94 and the elastic means 94. By pulling the fixing plate 80 is to consequently elastically assemble the body 10 to the base 20.

따라서, 상기 형광등(30)은 탄성적인 지지구(40)에 의하여 지지고정되어 있고, 상기 몸체(10)는 탄성수단(94)에 의하여 베이스(20)에 탄성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충격, 즉 주행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발길질과 같은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여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움직이게 되므로 몸체(10)가 파손하는 일은 거의 없게 된다.Therefore, the fluorescent lamp 30 is fixed and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 40, the body 10 is elastically fixed to the base 20 by the elastic means 94, so that the external impact, That is, the body 10 is hardly damaged since the shock, such as kicking of a traveling vehicle or a pedestrian, is dually absorbed and moved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4.

또 상기 베이스(20)의 측부에는 측절단면(22)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본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이 도로의 중앙선을 침범하지 않아 주행하는 차량에 방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파손된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에 의한 2차충돌을 미연에 방지한다.In addition, since the side section of the base 20 is formed as a side cross section 22, 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vehicle because it does not invade the center line of the road, and is damaged by the broken crosswalk safety indicator. Prevent secondary collisions.

한편, 몸체(10)의 절단 모서리면(16)에는 상기 지지구(4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 현장설치성이 좋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40 can be easily fixed to the cutting edge surface 16 of the body 10, the field installation is goo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에 의하면, 발광체를 고정하는 지지구를 탄성편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고, 몸체와 베이스의 조립도 탄성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하고 있으므로 잦은 외부충격에 충분히 대처하는 것이며, 특히 몸체 하부에 고정판을 설치하고 십자형 고정편 사이에 스프링을 이용하여 몸체와 베이스를 조립함으로써, 현장설치성을 매우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fixture for fixing the light emitting body is fixed by using the elastic piece, it can be sufficiently prepared for external impact, and the assembly of the body and the base can also be mutually achieved by using the elastic means. Since it is assembled, it is enough to cope with frequent external shocks, and in particular, by installing a fixed plate at the bottom of the body and assembling the body and the base by using a spring between the cross-shaped fixing pie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ield installation is very good.

Claims (8)

적어도 몸체와, 이 몸체 내에 내장되는 발광수단과, 상기 몸체를 지면 상에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횡단보도 안전표시등에 있어서,In a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comprising at least a body, a light emitting means embedded in the body, and a base for supporting the body on the ground, 상기 몸체(10) 내에 장착되는 발광체는, 얇은 금속편의 사각형틀 형상인 탄성 지지구(40)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고정되며,The light emitting body mounted in the body 10 is elastically fixed by the elastic support 40 which is a rectangular metal frame of a thin metal piece, 상기 몸체(10) 및 베이스(20)의 정/배면에 배치되는 빛을 발하는 발광부(50)와,Light emitting unit 50 for emitting light disposed on the front / rear of the body 10 and the base 20, 상기 베이스(20)에 구비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발생부(60)와,A power generation unit 60 for generating power provided in the base 20; 상기 전원발생부(60)로부터 생성한 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에너지 충전부와,An energy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energy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ng unit 60; 상기 전원발생부(60), 에너지 충전부(62)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50)를 점등/소등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부(64)와,An electronic controller 64 for turning on / off the light emitting unit 50 using energy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60 and the energy charging unit 62; 상기 베이스(20)에는, 체결볼트(70)가 밀착판(74)을 사이에 두고 너트(72)와 체결되어 있으며,A fastening bolt 70 is fastened to the base 20 by a nut 72 with an adhesive plate 74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몸체(10) 하부에 배치되어 몸체(10)를 베이스(20) 측으로 잡아당겨 탄성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80)과,A fixing plate 80 disposed under the body 10 to pull the body 10 toward the base 20 to elastically fix the body 10, 상기 베이스(20)의 십자홈(92)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고정판(80)을 잡아당기는 탄성 고정편(90)과,An elastic fixing piece 90 inserted into the cross recess 92 of the base 20 to pull the fixing plate 80; 상기 고정판(80)과 탄성 고정편(90)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탄성수단(94)을 구비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표시등.Crosswalk safety indicator l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elastic means 94 are elas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plate 80 and the elastic fixing piece (9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40)는, 상하에 발광체를 고정하기 위한 2개의 탄성 걸이편(42)과, 좌우측에 고정나사로 고정되기 위한 고정대(4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표시등.2. The support tool (40)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40) is provided with two elastic hook pieces (42) for fixing the light emitting body up and down, and a fixing table (44) for fixing with fixing screw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Crosswalk safety ligh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횡단면으로 보아 원과 사각형이 겹쳐서 만나는 접선 부분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만든 절단 모서리면(14)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표시등.The crosswalk safety indic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10) has a cut edge surface (14) made by cutting a tangential portion in which a circle and a square overlap each other in a cross-sectional view to a predetermined leng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50)는,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표시등.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of claim 1,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s a light emitting di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부(60)는 태양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표시등.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generating unit is a solar cel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충전부(62)는 충전용 밧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표시등.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of claim 1, wherein the energy charging unit is a charging batter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는, 베이스(20) 자체가 중앙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베이스 측부를 일부 절단한 측절단면(22)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표시등.2. 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of claim 1, wherein the base (20) is formed of a side cross section (22) which partially cuts the base side so that the base (20) itself does not invade the center l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는, 내부 일측에 안전기 등의 전기부품을 내장할 수 있는 수납부(27)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표시등.2. The pedestrian crossing safety indic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20)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27) capable of embedding electrical parts such as safety devices on one side thereof.
KR2019990024976U 1999-11-15 1999-11-15 Traffic safety lamp for street crossing KR20017920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976U KR200179200Y1 (en) 1999-11-15 1999-11-15 Traffic safety lamp for street cros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976U KR200179200Y1 (en) 1999-11-15 1999-11-15 Traffic safety lamp for street cros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200Y1 true KR200179200Y1 (en) 2000-04-15

Family

ID=19596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976U KR200179200Y1 (en) 1999-11-15 1999-11-15 Traffic safety lamp for street cros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20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659B1 (en) 2007-10-22 2009-06-18 주식회사 티앤에스 No-parking sig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659B1 (en) 2007-10-22 2009-06-18 주식회사 티앤에스 No-parking sig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3961B1 (en) Assembly type road stud
JP3218698U (en) Traffic warning pole
KR200179200Y1 (en) Traffic safety lamp for street crossing
US20110037395A1 (en) Vehicle having a solar-powered light emitting device
KR100806209B1 (en) Luminous apparatus for over-speed prevention
JPH11158825A (en) Self-luminous road rivet
KR101279054B1 (en) Roadside safety barrier
JP2555855B2 (en) Road sign post
CN219793712U (en) Warning sign for road construction
KR20090035304A (en) A traffic signal which a bicycle indicator is possessed
WO2011050511A1 (en) Traffic sign device
KR200460452Y1 (en) Boundary blocks for a bicycle road
TWM570248U (en) License plate frame having parking alert function
KR101180782B1 (en) Traffic lane delineator using solar energy
EP3359739B1 (en) Illumination system for a safety barrier, safety barrier therewith and kit of parts
US3226678A (en) Vehicle signal lantern having shock mounting
KR200228245Y1 (en) Noctilucent sign post attatched on boundary stone on road
KR101262899B1 (en) central reserve block
KR20120001672A (en) Central reserve block
CN212772032U (en) Control electrical appliance of traffic wireless spike
CN212178718U (en) Novel buried floor tile lamp
KR200321349Y1 (en) Solar Pavement Marker
TWM552510U (en) Indication and illumination device for bulged road
KR200180635Y1 (en) Solar central line signal of road
KR200285008Y1 (en) A lighting system for culti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