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429Y1 - 열교환기용 파이프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429Y1
KR200177429Y1 KR2019990022170U KR19990022170U KR200177429Y1 KR 200177429 Y1 KR200177429 Y1 KR 200177429Y1 KR 2019990022170 U KR2019990022170 U KR 2019990022170U KR 19990022170 U KR19990022170 U KR 19990022170U KR 200177429 Y1 KR200177429 Y1 KR 200177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exchange
exchange medium
heat exchange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판덕
Original Assignee
정판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판덕 filed Critical 정판덕
Priority to KR2019990022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4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4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both outside and in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424Means comprising outside portions integral with inside portions
    • F28F1/426Means comprising outside portions integral with inside portions the outside portions and the inside portions forming parts of complementary shape, e.g. concave and conve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교환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열교환 매체가 통과되는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외측으로터 내측으로 상호 어긋나게 다수의 절곡홈을 형성하되, 상기 절곡홈은 상기 파이프 내경의 40%- 60% 영역까지 절곡 형성하고, 상기 절곡홈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엠보싱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파이프의 외경에 다수의 절곡홈을 상호 엇갈리게 형성하게 되어 파이프의 표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열교환 매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절곡홈의 양측에 엠보심을 가공하여 파이프를 통과하는 열교환 매체중 포함된 이물질의 입자가 부서지거나 분해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열교환기용 파이프{PIPE FOR HEAT EXCHANGER}
본 고안은 열교환기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 외경에 다수의 절곡홈을 상호 엇갈리게 형성하여 파이프 자체의 표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열교환 매체에 대한 효율을 높히게 되는 열교환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HEAT EXCHANGER)는 온도가 상이한 열교환 매체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촉시켜 열을 교환하는 장치로서, 이는 각종 열기관이나 냉각기관 등 적용되는 범위가 대단히 넓다. 이러한 열교환기에는 열교환 매체, 즉 가스 및 유체 또는 냉각수 등이 통과되는 다수의 파이프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 열교환기용 파이프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열교환기용 파이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가 상이한 열교환 매체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촉시켜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에는 다수의 파이프(100)가 구비된다.
그리고, 파이프(100)는 열교환기에 구비되고, 내경에 다수의 격벽(110)이 엇갈리게 형성되어 파이프(100) 내경을 통과하는 열교환 매체가 순차적으로 걸리게 된다.
즉, 파이프(100) 내경에 상호 엇갈리게 순차적으로 격벽(110)이 형성되어 파이프(100) 자체의 표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열교환 매체의 열교환에 따른 효율성을 높이게 되고, 내경을 통과하는 열교환 매체가 순차적으로 부딪히게 되면서 열교환 매체중 포함된 이물질의 입자들이 부서지거나 분해된다.
한편, 파이프(100)는 부식을 방지하고 열효율성이 우수한 구리재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열교환기용 파이프(100)는, 온도가 상이한 열교환 매체, 즉 가스 및 유체 또는 냉각수 등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촉시켜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에 구비되어 적정한 압력을 유지하여 열교환 매체가 내경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열교환 매체가 파이프(100) 내경에 엇갈리게 다수의 격벽(110)이 형성됨으로써 파이프(100) 자체에 대한 표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열교환 매체의 열교환에 따른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즉, 파이프(100)의 표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열교환 매체의 열교환성을 높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열교환 매체가 파이프(100) 내경에 형성된 다수의 격벽(110)에 순차적으로 부딪히면서 열교환 매체중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의 입자가 분서지거나 분해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파이프는 자체의 표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내경에 형성되는 격벽의 제작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되었으며, 또한 격벽으로써는 파이프의 표면적을 크게 넓히지 못하게 되어 열교환 매체의 열교환에 따른 효율성이 저하 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자체 표면적을 넓히게 되어 열교환 매체에 대한 열교환에 따른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열교환기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열교환 매체가 통과되는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외측으로터 내측으로 상호 어긋나게 다수의 절곡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홈의 양측면에 엠보싱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홈은 상기 파이프 내경의 40%- 60% 영역까지 절곡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열교환기용 파이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열교환기용 파이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열교환기용 파이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열교환기용 파이프에 따른 동작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이프 20 : 절곡홈
30 : 엠보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 열교환기용 파이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열교환기용 파이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열교환기용 파이프에 따른 동작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가 상이한 열교환 매체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촉시켜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에는 다수의 파이프(10)가 구비된다.
파이프(10)는 열교환기에 구비되고, 외측으로터 내측으로 상호 어긋나게 다수의 절곡홈(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곡홈(20)은 파이프(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하되, 그 방향이 상호 어긋나게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절곡홈(20)은 파이프(10) 내경의 40%-60% 영역까지 절곡 형성되어 파이프(10)의 표면적을 최대로 넓히게 됨으로써 열교환 매체의 열교환에 따른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즉, 파이프(10)는 절곡홈(20)의 깊이 만큼 그 표면적이 최대로 넓어지게 되어 내경을 통과하는 열교환 매체의 효율성을 최대로 높이게 된다.
또한, 각 절곡홈(20) 양측면 영역의 파이프(10) 외경에는 다수의 엠보싱(30)을 각각 형성하여 파이프(10) 내경을 통과하는 열교환 매체의 이물질이 부딪히면서 걸리게 된다.
즉, 절곡홈(20)의 양면에는 엠보싱(30)을 각각 형성하여 내경을 통과하는 열교환 매체가 부딪히게 됨으로써 열교환 매체중 포함된 이물질의 입자가 부서지거나 분해된다.
한편, 파이프(10)는 자체 부식을 방지하게 되고, 열효율성이 우수한 구리재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열교환기용 파이프(10)는, 온도가 상이한 열교환 매체, 즉 가스 및 유체 또는 냉각수 등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접촉시켜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에 구비되어 적정한 압력을 유지하여 열교환 매체가 내경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열교환 매체가 파이프(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엇갈리게 절곡된 다수의 절곡홈(20)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파이프(10) 자체에 대한 표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열교환 매체의 열교환에 따른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즉, 파이프(10)에 형성된 절곡홈(20)의 깊이 만큼 표면적이 넓혀지게 됨으로써 열교환 매체의 열교환성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절곡홈(20)은 파이프(10) 내경의 40%-60% 영역까지 절곡 형성됨으로써 파이프(10)에 대한 자체 표면적을 최대로 넓혀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열교환 매체가 파이프(10)의 절곡홈(20) 양측면에 내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엠보싱(30)에 순차적으로 부딪히게 되면서 와류가 발생된다. 따라서, 열교환 매체중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의 입자가 부서지거나 분해되는 것이다.
즉, 파이프(10) 내경의 절곡홈(20)을 통과한 열교환 매체가 엠보싱(30)에 걸리게 됨으로써 이물질의 입자가 부서지거나 분해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의 열교환기용 파이프에 의하면, 파이프의 외경에 다수의 절곡홈을 상호 엇갈리게 형성하게 되어 파이프의 표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열교환 매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절곡홈의 양측면에 엠보심을 가공하여 파이프를 통과하는 열교환 매체중 포함된 이물질의 입자가 부서지거나 분해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열교환 매체가 통과되는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0)의 외측으로터 내측으로 상호 어긋나게 다수의 절곡홈(20)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홈(20)의 양측면에 다수의 엠보싱(30)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홈(20)은
    상기 파이프(10) 내경의 40%- 60% 영역까지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용 파이프.
KR2019990022170U 1999-10-15 1999-10-15 열교환기용 파이프 KR200177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170U KR200177429Y1 (ko) 1999-10-15 1999-10-15 열교환기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170U KR200177429Y1 (ko) 1999-10-15 1999-10-15 열교환기용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429Y1 true KR200177429Y1 (ko) 2000-04-15

Family

ID=1959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170U KR200177429Y1 (ko) 1999-10-15 1999-10-15 열교환기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4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0197U (ja) 熱交換器の冷媒管
MXPA03011136A (es) Intercambiador termico.
KR200177429Y1 (ko) 열교환기용 파이프
JP2009121708A (ja) 熱交換器
JP2006349208A (ja) 熱交換器
JP3854978B2 (ja) 転造フィンチューブ用フォーミングディスク
CN212645428U (zh) 氟塑料框架式换热器
KR100701799B1 (ko) 열교환기
CN201293496Y (zh) 冷媒换热器
CN106979698B (zh) 冷凝式热交换装置
US20050211424A1 (en) Duct
JPH09229579A (ja) 伝熱管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多管式熱交換器
KR20110030980A (ko) 열교환기용 방열 핀 및 그 방열 핀이 구비된 열교환기
CN217900584U (zh) 一种螺旋式换热器
KR200432789Y1 (ko) 열교환기용 소음저감장치
CN219200145U (zh) 一种板式换热器
KR100470909B1 (ko) 열펌프용 증발기
KR100517925B1 (ko) 핀-튜브 일체형 열교환기
KR200360156Y1 (ko) 열교환기
KR20070101434A (ko) 다중 열교환기
JP3641949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KR200368444Y1 (ko) 방열핀에 요철부를 형성한 방열관
KR20030063980A (ko) 평행유동형 열교환기
KR100484911B1 (ko) 열교환기
JPH04115261U (ja) 空気用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