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115Y1 - 유류 겸용 전기 보일러 - Google Patents

유류 겸용 전기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115Y1
KR200177115Y1 KR2019990014030U KR19990014030U KR200177115Y1 KR 200177115 Y1 KR200177115 Y1 KR 200177115Y1 KR 2019990014030 U KR2019990014030 U KR 2019990014030U KR 19990014030 U KR19990014030 U KR 19990014030U KR 200177115 Y1 KR200177115 Y1 KR 2001771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ater
heat transfer
heating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남
Original Assignee
이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남 filed Critical 이성남
Priority to KR2019990014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1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1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1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202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24H1/3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the water chamber including one or more fir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2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incorporating heat exchang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24H9/0031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with means for changing or adapting the path of the flue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유류 겸용 전기 보일러로서 보일러 전체 부피를 최소화시키면서도 전열면적을 적절히 배치하고 유류 및 전기 열원의 발열부를 효율적으로 내장토록 하여 열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구조로,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운반 및 설치가 편리하여 보다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것으로 보일러 수실 동체 하부에 전기히터에 의한 전기에너지를 열원으로 하여 난방수를 가열하는 구조로 대류에 의한 전열효과를 높였으며, 그 상단에 유류 연소실을 두어, 연소가스가 상승기류 후 하강기류로 선회하여 노내에서의 체류시간을 길게하여 많은 열전도 시간을 확보하고 다시 연소실 하단에서 상단으로 연결된 연도를 통하면서 열효율을 증대시키는 구조와 함께 연소실 외부에는 핀(날개)을 부착하여 전열효과를 높였으며, 연소실 직상단부에 온수가열코일을 내장시켜 온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유류 겸용 전기 보일러 {.}
본 고안은 열효율을 최대로 증대 시키면서도 구조는 최소화 하여 제조에서 실수요에 이르기까지 경제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유류겸용전기보일러의 제조 보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와 유류를 겸용하는 보일러는 기본적으로 유류연소를 위한 화실과 수실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는 히터를 내장하는 구조로 구성된 것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다.
따라서 유류 겸용 전기보일러는 상기한 구조를 효율적으로 구성시켜 열효율을 높이는 것과 원가절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그 연구 과제가 된다.
즉, 유류 겸용 전기보일러는 2가지 에너지원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와 부피가 커지는 이유로 그 가격 역시 월등히 높아지게 되며 따라서 수요자의 경제부담을 초래하는 등 비경제적인 문제외에도 운반 및 취급 설치에도 많은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 실용신안공고번호 제 90-6957호로 개시된 선행기술의 유류 겸용 전기보일러는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열효율을 최대로 높이는 것과 2가지 에너지원의 교차사용시 완전 자동 시스템으로 편리성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의 내부를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X-X'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설명도※
10: 동체
11: 수실
12: 카바
13: 난방수입구
14: 난방수출구
15: 단열재
20: 연소실
21: 버너구
22: 전열표면
23: 연소가스출구
24: 핀(날개)
30: 기름버너
40: 콘트롤부
50: 연도
60: 전기히터
61: 온도감지기
70: 온수코일관
W: 난방수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유류겸용 전기보일러의 내부 단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일측단면도를 보인 것이다.이 도면을 참조하면,본 고안의 유류겸용 전기보일러는 커다란 하나의 수실(11)을 갖는 동체(10)를 구성한다. 동체(10) 외부는 보온을 위한 보온재(16) 및 카바(12)가 씌워지도록 설치된다.수실(11)의 중간부에는 버너구(21)를 가진 하나의 연소실(20)을 가지며, 이 연소실(20)은 수실(11)과 열전달을 위한 전열표면(22)을 크게 갖도록 하기 위해서 수실(11)의 절반 이상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부호 15는 연소실(20) 바닥에 깔리는 단열재를 나타낸다.연소실(20)의 버너구(21)에는 기름버너(30)가 설치되며, 이 기름버너(30)는 콘트롤부(40)에 의해서 자동으로 운전되도록 되어 있다.또한, 연소실(20)의 배면쪽 하측에 연소가스출구(23)를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소가스출구(23)를 하측에 갖도록 하는 것을 연소가스가 도 2의 화살표 도시와 같이 상승기류가 된 후 다시 하강기류로 선회되어 배기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면적의 전열표면(22)에 연소가스의 열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연소가스출구(23)는 연도(50)와 연장되며, 연도(50)는 수실(11)을 관통하도록 상부방향으로 일직선 상태로 구성된다.따라서, 연도(5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기되는 연소가스의 열을 그 연도(50)를 통과하는 과정에 수실(11)의 난방수(W)에 전달되게 된다.그러므로 본 고안의 보일러에서 전열면적은 연소실(11)의 전열표면(22)의 면적과 수실(11)은 관통하는 부분의 연도(50) 표면적을 합한 면적이 전열면적이 되며, 그로인해 많은 전열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연소가스의 열회수를 많이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열효율이 매우 좋은 보일러를 얻게 된다.따라서, 기름버너(30) 가동에 의해 기름이 연소되면 전열면적이 큰 연소실(20)에서 1차 열회수가 되고 연도(50)에서 2차 열회수가 되기 때문에 난방수 입구(13)로 유입되는 난방수(W)는 빠른 가열이 되어 난방수출구(14)로 배수되게 된다.한편, 콘트롤부(40)에 의해 제어되고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전기히터(60)는 연소실(20) 하단부의 수실(11)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따라서, 심야에 기름버너(30)가 중지되고 전기히터(60)가 가동되면 난방수 입구(13)로 유입된 난방수(W)는 수실(11)하단부지점에서 집중적으로 가열되고, 이와같이 가열된 난방수(W)는 난방수입구(13)와 가급적 근접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뜨거운 난방수(W)를 난방배관 또는 난방용라지에타(미도시됨)로 신속히 공급될 수 있게 된다.또한, 전기히터(60) 부근에는 수실(11)의 난방수(W)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61)가 설치된다. 이 온도감지기(61)는 난방수(W) 온도를 감지하여 콘트롤부(40)로 신호를 보낸다.그리고 콘트롤부(40)는 감지된 온도가 미리 입력된 온도 이하가 될 경우 전기히터(60)를 자동으로 가동시키게 된다.즉, 심야전기가 공급되는 시간이 되면 콘트롤부(40)에서 기름버너(30)의 가동을 중지시키게 되는 동시에 전기히터(60)를 가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기히터(60) 가동에 의해 난방수(W)가 가열되며, 그 가열된 난방수(W) 온도는 온도감지기(61)에 의해 콘트롤부(40)로 전달된다.콘트롤부(40)는 최고 및 최저 난방수 온도가 설정되어 있으며, 최고 난방수 온도 이상이 되면 전기히터(60)는 콘트롤부(40) 명령에 의해 전기공급이 차단되고, 최저 난방수온도 이하가 되면, 전기히터(60)는 전기공급을 받게 됨으로써 난방수(w)를 가열시키게 되는 것이다.한편, 수실(11) 상부에는 온수공급을 위한 온수코일관(70)이 설치된다. 이 온수코일관(70)은 가장 높은 난방수온도를 가진 난방수출구(14)와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가장 높은 열공급을 전달받을 수 있게 하고, 아울러서 연소실(20) 상부쪽에 설치된다. 그것은 주간에도 효율적으로 온수를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본 고안은 주간 난방을 위한 연소실(20)과 심야난방을 위한 전기히터(60)가 하나의 동일한 수실(11) 내부에 갖게 되므로 부피(크기)가 작은 보일러를 얻게 된다.또한, 연소실(20)은 연소가스가 선회되는 구조를 갖도록 되어 많은 전열면적이 확보되고 수실(11)을 관통하여 열전달이 될 수 있는 연도(50)를 갖게되기 때문에 전열면적의 증대로 인한 높은 열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인 운전을 할수 있게 된다.그리고 전기히터(60)는 수실(11)에서 수평방향으로 다수 구비하게 되므로 수실(11) 하부에서 들어오는 차가운 난방수(W)를 고르게 가열시킬 수 있게 되므로 효율적인 심야 난방이 도모된다.
이상에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의 유류 겸용 전기보일러는 열효율이 높고 구조가 간단하여 부피가 적은 제품을 제공하므로 운전경비의 절감과 운반 및 취급이 양호하고 부피 감소에 따른 재료 절감이 도모되므로 제조원가절감에 의한 저렴한 제품을 보급시킬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크다.

Claims (1)

  1. 내부가 수실이 되고 난방수 입출구 및 온수가열후 공급구조를 가진 동체와 상기 동체 외부에 씌워지는 보온재 및 카바를 갖는 유류 겸용 전기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수실과 대류에 의한 효율적인 전열효과를 얻기 위해 수실 동체 하단에 설치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난방수를 가열시키는 전기 히터와
    상기 전기히터 상단에 연소실을 두고 연소실 외부에 열전달 효과를 높이기 위해 부착된 핀(날개)과
    상기 연소실의 연소가스가 상승기류 후 하강기류로 선회되어 배기되도록 하기 위해 연소실의 하측부에 갖도록 하는 연소가스출구와
    상기 연소가스 출구와 연장되고 수실을 관통하도록 연소가스 배출을 유도하는 연도와
    수실 상단에서 열전달을 받아 온수공급이 되도록 하는 공지의 온수코일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겸용 전기보일러의 구조.
KR2019990014030U 1999-07-15 1999-07-15 유류 겸용 전기 보일러 KR2001771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030U KR200177115Y1 (ko) 1999-07-15 1999-07-15 유류 겸용 전기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030U KR200177115Y1 (ko) 1999-07-15 1999-07-15 유류 겸용 전기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115Y1 true KR200177115Y1 (ko) 2000-04-15

Family

ID=1958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030U KR200177115Y1 (ko) 1999-07-15 1999-07-15 유류 겸용 전기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1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908B1 (ko) 2008-11-21 2010-11-04 오충근 열 회수부를 구비한 열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908B1 (ko) 2008-11-21 2010-11-04 오충근 열 회수부를 구비한 열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1111A (en) Home heating system employing water heater as heating source
US4406402A (en) Flue heat recovery system
CN103322613A (zh) 一种多能源壁挂炉式供热、供暖系统
CN109186092A (zh) 节能环保型冷凝式燃气壁挂炉
CN206398741U (zh) 一种高效燃气热水器
KR200177115Y1 (ko) 유류 겸용 전기 보일러
KR200177114Y1 (ko) 유류 겸용 전기 보일러
CN206222667U (zh) 多能源壁挂炉
CN2489262Y (zh) 燃气快速恒温热水器
CN107567570B (zh) 锅炉、锅炉的热交换器和锅炉的门
KR19990022666U (ko) 유류겸용전기보일러
CN209445584U (zh) 燃气采暖热水炉结构
CN206338936U (zh) 多能源热水机
CN203258736U (zh) 一种多能源壁挂炉式供热、供暖系统
KR19990022667U (ko) 유류겸용전기보일러
CN201909373U (zh) 以太阳能与颗粒壁炉为热源的智能取暖供热系统
KR200188068Y1 (ko) 보일러 시스템
KR20000017129U (ko) 유류겸용 전기 보일러
US7337753B2 (en) Water heater
CN215809335U (zh) 一种智能全预混低氮冷凝燃气热水锅炉
CN218179230U (zh) 一种安装套管换热器的燃气壁挂炉
CN205897525U (zh) 一种热水工程机
CN202281381U (zh) 一种导热油热风炉
CN206176705U (zh) 燃气与电加热壁挂炉
CN2245191Y (zh) 高效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