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777Y1 -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용 렌즈구조 - Google Patents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용 렌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777Y1
KR200176777Y1 KR2019970019650U KR19970019650U KR200176777Y1 KR 200176777 Y1 KR200176777 Y1 KR 200176777Y1 KR 2019970019650 U KR2019970019650 U KR 2019970019650U KR 19970019650 U KR19970019650 U KR 19970019650U KR 200176777 Y1 KR200176777 Y1 KR 200176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mirror
image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210U (ko
Inventor
홍순창
Original Assignee
윤학범
주식회사경덕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학범, 주식회사경덕전자 filed Critical 윤학범
Priority to KR2019970019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77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6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2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7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드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카드의 표면에 표현된 각종 이미지와 엠보싱문자를 판독할 때 그 판독기의 발광부에 구비된 발광다이오우드에서 발산된 빛을 별도의 빛 산란장치없이 수평광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카드 등과 같은 피사체에 투사되는 빛을 고르게 확산시켜 조도와 반사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사체의 표면에 표현된 이미지와 엠보싱문자를 동시에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용 렌즈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하우징의 저면 일측에 발광다이오우드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투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피사체와, 그 반사광을 CCD로 반사시키는 거울과, 상기 거울의 대향측에 고정되어 입사된 빛을 판독하는 CCD와, 상기 거울의 반사광이 상기 CCD에서 상이 맺히도록 하는 렌즈통으로 구성된 판독기에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 일측에 가이드레일을 형성하여 발광부의 고정판을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발광부에 구비된 발광다이오우드들의 전면부에 배면은 반원형이고, 정면은 만곡면인 막대형 렌즈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용 렌즈구조
본 고안은 신용카드 등에 표현된 각종 이미지와 엠보싱문자를 판독하여 카드 변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드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카드의 표면에 표현된 각종 이미지와 엠보싱문자를 판독할 때 그 판독기의 발광부에서 카드 등과 같은 피사체에 투사되는 빛을 고르게 확산시켜 조도와 반사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용 렌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용카드를 비롯한 각종 카드 조회기나 현금자동인출기 등은 보편적으로 설치 및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카드의 사용확산에 따라 카드를 위,변조하여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사례도 확산됨에 따라 카드의 불법적인 사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요구에 따라 개발된 것들은 카드의 마그네틱면이나 IC칩에 저장된 데이타를 위,변조할 수 없도록 한 것과, 카드의 표면에 표현된 각종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등을 판독하여 위,변조할 수 없도록 한 것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위,변조 방지구성 중 이미지와 엠보싱문자를 판독하는 장치는 발광부에서 투사된 빛이 렌즈를 통해 카드 등과 같은 피사체의 표면에 투사되면 그 투사된 빛이 반사되어 거울에 비춰지고, 그 거울에 비춰진 반사광은 초점조절렌즈에 의해 CCD(Charge Couple Device)에 상이 맺히도록 하여 그 상을 인쇄 및 판독할 수 있도록 한 판독기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상기의 판독기는 발광부에서 투사된 빛이 피사체의 표면에 반사되어 거울에 비춰질 때 빛에 의해 만들어진 그림자와 피사체 표면의 발기 등에 의해 엠보싱문자와 이미지를 판독하므로 빛의 입사각과 반사각에 의해 정확한 판독과 인쇄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판독기용 발광부는 기판에 다수의 발광다이오우드를 구비하고, 그 빛이 피사체를 통해 거울에 전달되도록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발광다이오우드에 의한 발광부는 발광다이오우드 자체에서 발산된 빛만으로는 피사체의 표면에 표현된 이미지나 엠보싱문자를 판독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광다이오우드에서 빛이 발산되면 그 빛을 별도의 장치로 산란시켜 수평광을 유도하였으나, 이러한 빛 산란장치에 의한 판독기는 회로가 복잡하고, 이미지나 엠보싱문자를 동시에 만족스럽게 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카드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카드의 표면에 표현된 각종 이미지와 엠보싱문자를 판독할 때 그 판독기의 발광부에 구비된 발광다이오우드에서 발산된 빛을 별도의 빛 산란장치없이 수평광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카드 등과 같은 피사체에 투사되는 빛을 고르게 확산시켜 조도와 반사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사체의 표면에 표현된 이미지와 엠보싱문자를 동시에 만족그럽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한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용 렌즈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를 저면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판독기 2 : 하우징
3 : 가이드레일 7 : 발광부
8 : 고정판 9 : 발광다이오우드
10 : 렌즈 11 : 정면
12 : 배면 13 : 피사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2)의 저면 일측에 발광다이오우드(9)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발광부(7)와, 상기 발광부(7)에서 투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피사체(13)와, 그 반사광을 CCD(6)로 반사시키는 거울(4)과, 상기 거울(4)의 대향측에 고정되어 입사된 빛을 판독하는 CCD(6)와, 상기 거울(4)의 반사광이 상기 CCD(6)에서 상이 맺히도록 하는 렌즈통(5)으로 판독기(1)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2)의 저면 일측에 가이드레일(3)을 형성하여 발광부(4)의 고정판(5)을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발광부(4)에 구비된 발광다이오우드(9)들의 전면부에 배면(12)은 반원형이고, 정면(11)은 만곡면인 막대형 렌즈(10)를 설치하여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판독기(1)의 하우징(2) 저면 일측에 고정된 발광부(7)의 발광다이오우드(9)에서 투사된 빛이 렌즈(10)를 통해 피사체(13)의 표면에 투사되면 그 투사된 빛이 반사되어 거울(4)에 비춰지고, 그 거울(4)에 비춰진 반사광은 렌즈통(5)에 의해 CCD(6)에 상이 맺히도록 하여 그 상을 인쇄 및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발광부(7)는 하우징(2)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에 발광부(7)의 고정판(8)을 삽입한 후 나사로 하우징(2)과 고정판(8)을 체결 고정하는 것이므로 그 조립 및 분해가 매우 용이한 것일 뿐만 아니라, 부분적인 보수와 교환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발광부(7)의 기판에 발광다이오우드(9)를 다수개 구비함과 동시에 발광다이오우드(9)의 전면부에 정면(11)은 만곡면으로 구성되고, 배면(12)은 반원형으로 형성된 막대형 렌즈(10)를 설치함으로서 빛의 확산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광다이오우드(9)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렌즈(10)로 고르게 확산시킬 수 있음에 따라 피사체(13)의 엠보싱문자에는 그림자를 생기게 하고, 피사체(13)의 표면에 표현된 이미지에는 수평광을 공급하여 이미지와 엠보싱문자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을 정도로 판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의 저면 일측에 가이드레일을 형성하여 발광부의 고정판을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발광부에 구비된 발광다이오우드들의 전면부에 배면은 반원형이고, 정면은 만곡면인 막대형 렌즈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서 피사체에 투사되는 빛을 고르게 확산시켜 조도와 반사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사체의 표면에 표현된 이미지와 엠보싱문자를 동시에 만족그럽게 판독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

  1. 하우징(2)의 저면 일측에 발광다이오우드(9)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발광부(7)와, 상기 발광부(7)에서 투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피사체(13)와, 그 반사광을 CCD(6)로 반사시키는 거울(4)과, 상기 거울(4)의 대향측에 고정되어 입사된 빛을 판독하는 CCD(6)와, 상기 거울(4)의 반사광이 상기 CCD(6)에서 상이 맺히도록 하는 렌즈통(5)으로 구성된 판독기(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의 저면 일측에 가이드레일(3)을 형성하여 발광부(4)의 고정판(5)을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발광부(4)에 구비된 발광다이오우드(9)들의 전면부에 배면(12)은 반원형이고, 정면(11)은 만곡면인 막대형 렌즈(10)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용 렌즈구조.
KR2019970019650U 1997-07-24 1997-07-24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용 렌즈구조 KR200176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650U KR200176777Y1 (ko) 1997-07-24 1997-07-24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용 렌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650U KR200176777Y1 (ko) 1997-07-24 1997-07-24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용 렌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210U KR19990006210U (ko) 1999-02-18
KR200176777Y1 true KR200176777Y1 (ko) 2000-05-01

Family

ID=1950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650U KR200176777Y1 (ko) 1997-07-24 1997-07-24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용 렌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7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210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2657B2 (ja) 対象物検証装置、対象物検証プログラム、及び対象物検証方法
TW305035B (ko)
TWI504230B (zh) Image reading device
US20090218405A1 (en) Imaging System for Reading Mobile Device Indicia
JP2018026805A (ja) 情報読取装置
WO2004025365A1 (en) Enhanced shadow reduction system and related techniques for digital image capture
GB1501900A (en) Identification document and display unit therefor
KR950700579A (ko) 확대렌즈가 있는 개인용 크레디트 카드(Credit Card With Magnifying Lens)
MX9300091A (es) Terminal de tarjeta de datos con lector de caracter realizados y captura de firma.
PT1196885E (pt) Dispositivo para leitura de faixas de informacao com informacao codificada de forma optica
CN101551850A (zh) 码符号读取装置
CN110427919A (zh) 光学检测装置
US20060273172A1 (en) Insect repelling point of sale terminal
US3673416A (en) Hand held photo-optical reader for printed documents
CA2326300A1 (en) Rod-shaped light guide and illuminating device incorporating rod-shaped light guide
KR200176777Y1 (ko)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용 렌즈구조
US7948665B2 (en) Uniform illumination for camera based scanning devices
HK1002027A1 (en) Device for analysing information carriers of game forms
ATE358856T1 (de) Kartenlesevorrichtung mit beleuchtetem einsteckschlitz
KR200168487Y1 (ko)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용 조광장치
KR19990006208U (ko) 이미지와 엠보싱문자 판독기용 조명각도
ES1066675U (es) Dispositivo para la digitalizacion y autenticacion automaticas de documentos.
JP2018190367A (ja) 情報読取装置
ES2039141B1 (es) Expendedor automatico de tickets.
KR0138877Y1 (ko) 신용카드의 엠보스 문자 판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