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540Y1 - 자전차의 추진장치 - Google Patents

자전차의 추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540Y1
KR200175540Y1 KR2019990024064U KR19990024064U KR200175540Y1 KR 200175540 Y1 KR200175540 Y1 KR 200175540Y1 KR 2019990024064 U KR2019990024064 U KR 2019990024064U KR 19990024064 U KR19990024064 U KR 19990024064U KR 200175540 Y1 KR200175540 Y1 KR 200175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haft
right pedals
chain gear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환
조현일
Original Assignee
김세환
조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환, 조현일 filed Critical 김세환
Priority to KR2019990024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5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 페달을 밟아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전차의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페달을 유착한 자전차의 크랭크는 길이를 길게 할 수 없는 필연적인 구조상의 문제로 크랭크의 길이가 짧아 자전차의 추진에 있어 많은 힘의 소모로 쉽게 피로가 쌓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적은 힘을 들여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안이 여러종류 공지되어 있으나, 이들 역시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었을 뿐 적은 힘으로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체(1)에 고정한 축받이(3)에 체인기어(4)와 체인기어(5)를 축(9)으로 유착하여 체인기어(5)는 뒤바퀴체인기어(7)와 체인(8)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축받이(3)의 일측에는 축받이(3')를 차체(1)에 고정하는 한편, 연결봉(1')으로 연결하여 체인기어(6)를 축(10)으로 유착하여 체인기어(4)와 체인(8)으로 연결하고 축(10)의 양측에는 고정캠판(11)(11')의 편심부에 뚫은 구멍(11B)을 끼워 고정캠판(11)(11')과 차체(1)를 고정하고 고정캠판(11)(11')의 구멍(11B) 외부로 노출된 축(10)의 양단에는 수개의 롤러(14)(14')(14')(14'')를 핀(15)으로 유착한 페달간슬라이더홀더(13)(13')의 구멍(130)을 끼워 고정하여 롤러(4)(4')및 롤러(4')(4'')의 사이에는 좌,우페달(17)(17')이 유착되고 돌기(160)를 형성한 좌,우페달간(16)(16')을 이동자유롭게 끼우고,
상기의 좌,우페달간(16)(16')에 고정한 안내핀(18)은 고정캠판(11)(11')의 안내홈(11A)에 끼워 안내홈(11A)을 따라 회전되는 안내핀(18)에 의하여 좌,우페달간(16)(16')을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좌,우페달(17)(17')을 발로 밟을 수 있는 위치에 놓여지면 좌,우페달간(16)(16')은 축(10)에서 최대로 길이가 길어지게하여 적은 힘으로 자전차의 전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전차의 추진장치{DRIVE DIVER OF BICYCLE}
본 고안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 페달을 밟아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전차의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페달을 유착한 자전차의 크랭크는 길이를 길게 할 수 없는 필연적인 구조상의 문제로 크랭크의 길이가 짧아 자전차의 추진에 있어 많은 힘의 소모로 쉽게 피로가 쌓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적은 힘을 들여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안이 여러종류 공지되어 있으나, 이들 역시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었을 뿐 적은 힘으로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체(1)에 고정한 축받이(3)에 체인기어(4)와 체인기어(5)를 축(9)으로 유착하여 체인기어(5)는 뒤바퀴체인기어(7)와 체인(8)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축받이(3)의 일측에는 축받이(3')를 차체(1)에 고정하는 한편, 연결봉(1')으로 연결하여 체인기어(6)를 축(10)으로 유착하여 체인기어(4)와 체인(8)으로 연결하고 축(10)의 양측에는 고정캠판(11)(11')의 편심부에 뚫은 구멍(11B)을 끼워 고정캠판(11)(11')과 차체(1)를 고정하고 고정캠판(11)(11')의 구멍(11B) 외부로 노출된 축(10)의 양단에는 수개의 롤러(14)(14')(14')(14'')를 핀(15)으로 유착한 페달간슬라이더홀더(13)(13')의 구멍(130)을 끼워 고정하여 롤러(4)(4')및 롤러 (4')(4'')의 사이에는 좌,우페달(17)(17')이 유착되고 돌기(160)를 형성한 좌,우페달간(16)(16')을 이동자유롭게 끼우고,
상기의 좌,우페달간(16)(16')에 고정한 안내핀(18)은 고정캠판(11)(11')의 안내홈(11A)에 끼워 안내홈(11A)을 따라 회전되는 안내핀(18)에 의하여 좌,우페달간(16)(16')을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좌,우페달(17)(17')을 발로 밟을 수 있는 위치에 놓여지면 좌,우페달간(16)(16')은 축(10)에서 최대로 길이가 길어지게하여 적은 힘으로 자전차의 전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설치도
도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작동도
도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1' : 연결봉
3,3' : 축받이
4,5,6 : 체인기어
7 : 뒤바퀴체인기어
8 : 체인
9,10 : 축
11,11' : 고정캠판
11A : 안내홈
11B : 구멍
12 : 고정간
13,13' : 페달간슬라이더홀더
130 : 구멍
14,14',14',14'' : 롤러
140 : 홈
15 : 핀
16,16' : 좌,우페달간
160 : 돌기
17,17' : 좌,우페달
18 : 안내핀
도1은 본 고안의 전체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작동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에 고정한 축받이(3)에 체인기어(4)와 체인기어(5)를 축(9)으로 유착하여 체인기어(5)는 뒤바퀴체인기어(7)와 체인(8)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축받이(3)의 일측에는 축받이(3')를 차체(1)에 고정하는 한편 연결봉(1')으로 연결하여 체인기어(6)를 축(10)으로 유착하고, 축(10)의 양측에는 안내홈(11A)을 형성한 고정캠판(11)(11')의 편심부에 뚫은 구멍(11B)을 끼워 고정캠판(11)(11')과 차체(1)를 고정간(12)으로 용접하여 고정하고,
고정캠판(11)(11')의 구멍(11B) 외부로 노출된 축(10)의 양단에는 홈(140)이 형성된 수개의 롤러(14)(14')(14')(14'')를 핀(15)으로 유착한 페달간슬라이더홀더(13)(13')의 구멍(130)을 끼워 고정하여 롤러(4)(4')및 롤러(4')(4'')의 사이에는 좌,우페달(17)(17')이 유착되고 돌기(160)를 형성한 좌,우페달간(16)(16')을 이동 자유롭게 끼우고,
상기의 좌,우페달간(16)(16')에 고정한 안내핀(18)은 고정캠판(11)(11')의 안내홈(11A)에 끼워 안내홈(11A)을 따라 회전되는 안내핀(18)에 의하여 좌,우페달간(16)(16')을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장에 앉아 좌,우발을 좌,우페달(17)(17')에 올려놓고 좌,우페달(17)(17')을 번갈아 밟게되면 좌,우페달간(16)(16')의 회전에 의하여 페달간슬라이더홀더(13)(13')와 축(10)도 회전하게됨과 동시에 축(10)에 고정된 체인기어(3')와 체인(8)으로 연결된 체인기어(3)도 회전하게되고,
체인기어(4)와 체인(8)으로 연결된 뒤바퀴체인기어(7)에 의하여 뒤바퀴는 회전되어 자전차는 전진하게 되는 바,
상기에 있어 좌,우페달(17)(17')은 페달간슬라이더홀더(13)(13')에 이동 자유롭게 끼워지고 안내핀(18)은 고정캠판(11)(11')의 안내홈(16')에 유착되었기 때문에 좌페달간(16)의 안내핀(18)이 고정캠판(11)의 안내홈(11A)을 따라 회전되어 좌페달(17)이 도3과 같이 발로 밟을 수 있는 위치에 왔을 때는 안내핀(18)은 축(10)에서 거리가 제일 먼고정캠판(11)의 안내홈(11A)의 부분에 위치하게됨과 동시에 좌페달간(16)은 도3의 실선화살표방향으로 길게 이동하게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좌페달(17)을 밟아 축(10)을 회전시켜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됨으로 적은 힘으로 추진시킬 수 있다.
이 때 우페달(17')은 좌페달(17)과는 도3과 같이 반대쪽에 놓여지게되며 좌페달(11)의 좌페달간(16)이 도3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어 안내핀(18)이 축(10)과 최단거리의 안내홈(11A)의 부분에 위치하게되면 좌페달(17)도 축(10)과 최단거리에 놓여지게되며 반대로 우페달(17')은 축(10)에서 제일 먼거리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좌,우페달(17)(17')을 발로 밟을 때는 좌,우페달(17)(17')은 축(10)에서 멀어지게되고 좌,우페달(17)(17')을 발로 밟지 않는 공회전상태에서는 좌,우페달(17)(17')은 축(10)에서 매우 가까운 거리에 위치되도록 좌,우페달간(16)(16')을 이동구조로 구성하였으므로 자전차의 한정된 좁은 설치공간부에서 좌우페달간(16)(16')의 길이를 최대로 길게하여 지렛대원리를 이용한 매우 합리적으로 구성한 구조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 우수한 추진효율을 발휘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롤러(14)(14')(14')(14'')에는 홈(140)을 형성하고 좌,우페달간(16)(16')에는 돌기(160)를 형성하여 돌기(160)를 도5와 같이 홈(140)에 끼운 구조임으로 좌,우페달간(16)(16')은 매우 양호한 안정된 자세로 원활하게 이동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축(10)의 양측에다 롤러(14)(14')(14')(14'')를 유착한 페달간슬라이더홀더(13)(13')를 고정하고 상기의 페달간슬라이더홀더(13)(13')에다 좌,우페달(17)(17')을 유착한 좌,우페달간(16)(16')을 이동 자유롭게 끼워 좌,우페달간(16)(16')의 안내핀(18)을 고정캠판(11)(11')의 안내홈(11A)을 따라 회전되게 하여 좌,우페달(17)(17')이 발로 밟을 수 있는 위치에 왔을 때는 축(10)에서 좌,우페달(17)(17')의 거리가 제일 먼 길이로 좌,우페달간(16)(16')을 이동되게함으로서 적은 힘으로 자전거를 추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체(1)에 고정한 축받이(3)에 체인기어(4)와 체인기어(5)를 축(9)으로 유착하여 체인기어(5)는 뒤바퀴체인기어(7)와 체인(8)으로 연결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축받이(3)의 일측에는 축받이(3')를 차체(1)에 고정하는 한편 연결봉(1')으로 연결하여 체인기어(6)를 축(10)으로 유착하고, 축(10)의 양측에는 안내홈(11A)을 형성한 고정캠판(11)(11')의 편심부에 뚫은 구멍(11B)을 끼워 고정캠판(11)(11')과 차체(1)를 고정하고,
    고정캠판(11)(11')의 구멍(11B) 외부로 노출된 축(10)의 양단에는 수개의 롤러(14)(14')(14')(14'')를 핀(15)으로 유착한 페달간슬라이더홀더 (13)(13')의 구멍(130)을 끼워 고정하여 롤러(4)(4')및 롤러(4')(4'')의 사이에는 좌,우페달(17)(17')을 유착한 좌,우페달간(16)(16')을 이동자유롭게 끼우고,
    상기의 좌,우페달간(16)(16')에 고정한 안내핀(18)은 고정캠판(11)(11')의 안내홈(11A)에 끼워 안내홈(11A)을 따라 회전되는 안내핀(18)에 의하여 좌,우페달간(16)(16')을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자전차의 추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롤러(14)(14')(14')(14'')에 홈(140)을 형성하고 좌,우페달간(16)(16')에는 돌기(160)를 형성하여 돌기(160)를 홈(140)에 끼워서 된 자전차의 추진장치.
KR2019990024064U 1999-10-29 1999-10-29 자전차의 추진장치 KR200175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064U KR200175540Y1 (ko) 1999-10-29 1999-10-29 자전차의 추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064U KR200175540Y1 (ko) 1999-10-29 1999-10-29 자전차의 추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540Y1 true KR200175540Y1 (ko) 2000-03-15

Family

ID=19595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064U KR200175540Y1 (ko) 1999-10-29 1999-10-29 자전차의 추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5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6319B1 (en) Arm and leg powered bicycle
AU2001100244A4 (en) Scooter-like bicycle
WO1998051561A1 (en) Reversible drive device for bicycles
JP3101174U (ja) 自転車
KR200175540Y1 (ko) 자전차의 추진장치
KR20010031165A (ko) 선형 구동 장치
US20040000442A1 (en) Kinetic energy generating mechanism
KR20040097865A (ko) 수십가지 페달 링 방식의 자전거 드라이브 유닛
KR100355102B1 (ko) 자전차의 추진장치
KR101109291B1 (ko) 탈부착이 가능하며 전륜구동의 기어변속이 가능한 자전거
US7559264B2 (en) Linear reciprocating propulsion apparatus
KR100579530B1 (ko) 핸들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
KR200416158Y1 (ko) 자전거의 페달구동장치
EP1972533B1 (en) Multipurpose transmission mechanism for bicycle
WO2009051286A1 (en) Bicycle with handle rotatable back and forth
KR200267654Y1 (ko) 페달의 전후구동방식 자전거
KR930007285Y1 (ko) 자전차 페달의 수직작동 장치
CN113071593A (zh) 提高驱动力的踏板
KR200258783Y1 (ko) 스쿠터 모양의 자전거
KR101197157B1 (ko) 헬스 자전거
KR100464695B1 (ko) 페달의 전후구동방식 자전거
WO2006088299A1 (en) Linking device for high-occupancy cycle and ricksha
CN216710796U (zh) 一种送板机推板防呆机构
US20080190238A1 (en) Multipurpose transmission mechanism for bicycle
KR940007825Y1 (ko) 어린이용 자전거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