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109Y1 - Formative structure for bridge - Google Patents

Formative structure for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109Y1
KR200175109Y1 KR2019990022745U KR19990022745U KR200175109Y1 KR 200175109 Y1 KR200175109 Y1 KR 200175109Y1 KR 2019990022745 U KR2019990022745 U KR 2019990022745U KR 19990022745 U KR19990022745 U KR 19990022745U KR 200175109 Y1 KR200175109 Y1 KR 200175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pipe
bracket
hou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7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알
Priority to KR2019990022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10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109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난간측에 병설하는 조형 구축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체 하중을 지지하여 교량에 부정합 외력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면서 여러 가지 장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교량용 조형 구축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eling structure installed on the railing side of a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eling structure for a bridge that supports various loads and prevents misaligned external forces from being applied to the bridge.

본 고안은 교량의 측단에 입설되는 중앙포스트;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에 입설되는 브라켓과, 슬리트가 형성되어 브라켓이 삽입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크램프가 이격되어 설치되고; 천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이 양측에 부착되고, 핀홀에 삽입되는 지지볼트가 원통베어링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구가 중앙포스트에 얹혀서 부착되고; 하우징에 삽입되고, 고정구의 고정브라켓에 장볼트로 결착되고; 와이어가 장볼트와 원통베어링에 묶여서 장설되는 것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entral post that is placed on the side end of the bridge; A plurality of clamps comprising a plate, a bracket mounted on the plate, and a housing in which the slits are formed to insert the bracke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ixing brackets formed with perforations are attached to both sides, and fasteners for fastening the support bolts inserted into the pinholes through the cylindrical bearings are mounted on the center post;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fastened to the fixing bracket of the fixture with long bolts; It consists of wires tied to long bolts and cylindrical bearings.

따라서, 본 고안은 교량의 미감을 향상시키며, 견고한 설치와 더불어 교량측에 부정합의 외력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며, 교량에 부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식물 등도 손쉽게 이에 부착하여 적절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적인 고안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esthetics of the bridge, and ensures that the rigid installation is prevented from applying the external force of misalignment to the bridge side, and the effective design such that various decorations that can be attached to the bridge can be easily attached to it and properly supported. to be.

Description

교량용 조형 구축물{Formative structure for bridge}Formative structure for bridge

본 고안은 교량의 난간측에 병설하는 조형 구축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체 하중을 지지하여 교량에 부정합 외력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면서 여러 가지 장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교량용 조형 구축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eling structure installed on the railing side of a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eling structure for a bridge that supports various loads and prevents misaligned external forces from being applied to the bridge.

교량은 강이나 하천을 이어서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로로서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차 대형화되어, 현재는 육지와 섬간을 이어주는 교량(연육교)까지 시공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앞으로의 발전도 무궁하다 할 수 있다.The bridge is a road that allows passage through rivers and rivers, and it is gradually enlarg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now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bridge (running bridge) connecting land and islands. .

그러나, 교량의 대형화와 더불어 이용자에게 안락감과 색다른 흥취를 양양시 킬 수 있는 미학적인 면에서의 교량설계도 점차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는데, 본 고안도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이루어진 다목적 구축물이다.However, with the enlargement of bridges, Yangyang will provide comfort and fun to users. Bridge design in terms of aesthetics that can be applied is also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the present design is also a multi-purpose building in response to this trend.

즉, 본 고안은 교량의 양측 난간측에 병설되어 구축되는 것으로서 교량의 미감을 향상시키고자 안출되었으며, 견고한 설치와 더불어 교량측에 부정합의 외력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는 자체 구조를 가지며, 특히 교량에 부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식물등도 손쉽게 이에 부착하여 적절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안출된 고안으로 이를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bridge by being installed on both side rails of the bridge, and has its own structure that prevents misalignment from being applied to the bridge side. Various decorations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design devised to be able to properly support it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1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부 발췌 상태도 및 단면도,2 is an excerpt state an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도 3은 도 1의 B부 발췌 상태도 및 단면도,3 is an excerpt state an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B of FIG.

도 4는 도 1의 C부 발췌 상태도 및 단면도,4 is an excerpt state an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C of FIG.

도 5는 도 1의 D부 발췌 확대단면도,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cerpt D of FIG.

도 6은 도 1의 E부 발췌 확대상태도이다.Figure 6 is an enlarged state diagram of the excerpt E part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중앙포스트1: center post

11 : 포스트 플레이트 12 : 앵커볼트 13 : 앵글11: Post Plate 12: Anchor Bolt 13: Angle

14 : 볼트14: Bolt

2 : 크램프2: clamp

21 : 플레이트 211 : 앵커볼트 22 : 브라켓21 plate 211 anchor bolt 22 bracket

23 : 하우징 231 : 슬리트 232 : 힌지브라켓23: housing 231: slits 232: hinge bracket

233 : 지축 24 : 장볼트 25 : 너트233: axis 24: long bolt 25: nut

3 : 파이프3: pipe

31 : 분할파이프 32 : 후쿠 33 : 홀더31: Split pipe 32: Fuku 33: Holder

34 : 만입부 35 : 만출부34: indent 35: indent

4 : 와이어4: wire

41 : 인장수단 411 : 아이볼트 412 : 양측너트41: tension means 411: eye bolt 412: both side nuts

42 : 크립42: creep

5 : 가드레일5: guardrail

51 : 레일천공 52 : 포스트천공51: perforated rail 52: post perforated

6 : 고정구6: fixture

61 : 원통베어링 62 : 장볼트 63 : 지지볼트61: cylindrical bearing 62: long bolt 63: support bolt

64 : 너트 65 : 고정브라켓 651 : 천공64: nut 65: fixing bracket 651: punched

66 : 핀홀 67 : 십자핀 671 : 통공66: pinhole 67: cross pin 671: through hole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설치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부를 발췌하여 확대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F-F선 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1의 B부를 발췌하여 일부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확대상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G-G선 일부단면 확대도이다.Figure 1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entir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n enlarged state diagram showing the portion A of Figure 1, Figure 2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ure 2a, Figure 3a is a portion B of Figure 1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GG line of FIG. 3A.

본 고안은, 교량의 측단에 앵커볼트(12)에 의하여 입설되는 중앙포스트(1); 앵커볼트(211)들로 고착되는 플레이트(21)와, 상기 플레이트(21)에 입설되는 브라켓(22)과, 중심선을 따라 슬리트(231)가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22)이 삽입되는 하우징(23)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크램프(2)가 상기 중앙포스트(1)와 소정 거리씩 이격되어 설치되고; 중앙에 천공(65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65)이 일렬이상씩 다수단으로 양측에 부착되고, 앞뒷면으로는 핀홀(66)이 상하 다수 천공되어 상기 핀홀(66)에 삽입되는 지지볼트(63)가 원통베어링(61)을 관통하여 너트(64)로 체결 되는 고정구(6)가 상기 중앙포스트(1)의 상단에 얹혀서 부착되고; 상기 크램프(2)의 하우징(23)에 그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구(6)의 고정브라켓(65)을 내입하고 장볼트(24, 62)로 관통되어 결착되고; 상기 파이프(3)에 내장되는 와이어(4)가 소정 장력을 가지고 양단이 장볼트(24)와 원통베어링(61)에 묶여서 장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ost (1) to be entered by the anchor bolt 12 on the side end of the bridge; A plate 21 fixed to the anchor bolts 211, a bracket 22 mounted on the plate 21, and a slit 231 are formed along a center line to insert the bracket 22 into the housing 22. A plurality of clamps (2) comprising 23)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post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xing bracket 65 having a perforation 651 formed in the center is attached to both sides by a plurality of lines or more in a row, and a support bolt 63 is inserted into the pinhole 66 by a plurality of pinholes 66 perforated up and down. ) Penetrates the cylindrical bearing (61) and fastens with the nut (64). A fixture (6)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ral post (1);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3 of the clamp 2,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65 of the fixture 6 and penetrated through the long bolts 24 and 62; The wire 4 embedded in the pipe 3 has a predetermined tension, and both ends thereof are tied to the long bolt 24 and the cylindrical bearing 61 to be installed.

도 2c는 도 1의 A부를 발췌하여 확대상태로 도시한 본 고안의 또다른 구성상태도이다.Figure 2c i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an enlarged state extracting part A of FIG.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크램프(2)가 앵커볼트(211)들로 고착되는 플레이트(21)와, 상기 플레이트(21)에 입설되는 브라켓(22)과, 상기 브라켓(22)과 지축(233)으로 힌지연결되는 힌지브라켓(232)이 부착되어 타단에 파이프(3)가 삽입되는 하우징(23)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lamp (2) is a plate 21 is fixed to the anchor bolts (211), the bracket 22 mounted on the plate 21, the bracket 22 and the support shaft 233 Hinge bracket 232 is hinged to be attached to the () is preferabl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housing 23 is inserted into the pipe (3) at the other end.

도 4a는 본 고안의 또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 1의 C부 발췌 확대상태도로서, 내부의 요부를 알 수 있도록 일부를 절개하였다.Figure 4a is an enlarged state of the excerpt C portion of Figure 1 showing yet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internal cut to know.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4)의 중앙에 와이어(4)를 당겨주는 인장수단(41)이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ension means 41 for pulling the wire 4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wire 4.

도 4b 및 도 4c는 본 고안의 또다른 구성으로서 도 4a의 H-H선 단면확대도이다.4B and 4C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H-H of FIG. 4A a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3)가 2개 이상의 분할파이프(31)로 나누어져서 각각의 단부에는 서로 결합되는 후쿠(32)와 홀더(33)로 되어 체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ipe 3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plit pipes 31, and each end thereof is fastened to a Fuku 32 and a holder 33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

도 3c는 본 고안의 또다른 구성으로서 도 3a의 I부 발췌확대 상태도이며, 내부의 요부를 알 수 있도록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하였다.Figure 3c is an enlarged state of the excerpt I portion of Figure 3a a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by cutting a part to know the main part inside.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3)의 고정구(6) 접속부위가 만입부(34)와 만출부(35)를 형성하여 틈을 가지고 대향되게 2개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파이프(3, 3)의 양측의 각 만출부(35, 35, 35, 35)에 각 단부가 삽지되어 체결되는 중앙에 통공(671)을 가지는 십자핀(67)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nnection part of the fixture 6 of the pipe 3 forms an indentation 34 and an inlet 35, and is divided into two to face each other with a gap, and the divided pipe 3, It is more preferable if it is comprised by the cross pin 67 which has the through-hole 671 in the center where each end part is inserted and fastened to each protruding part 35, 35, 35, 35 of both sides of 3).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고안의 일 구성에 의하면, 중앙포스트(1)는 교량의 측단에 앵커볼트(12)에 의하여 입설되는 것으로 원형·원통형·타원형·장방형등 어떠한 형태의 파이프라도 중앙포스트(1)로 사용 될 수 있으며, 중앙포스트(1)의 하단에 장방형의 포스트플레이트(11)를 부착하여 이 포스트플레이트(11)의 각 모서리부위에서 앵커볼트(12)를 체결하는 방식이 견고한 설치의 일예로 제시될 수 있으며, 중앙포스트(1)의 길이는 구축물 전체의 규모에 따라 미감이 창출될 수 있는 적절한 높이로 선정되는데, 통상적으로는 교량용 난간보다는 수배이상의 높이로 하므로서 다수의 파이프(3)가 완만하고 안정된 느낌을 주면서 손쉽게 연결되게 되며, 도 1의 D부를 발췌하여 단면도로 확대도시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포스트(1)의 하단부에는 교량난간의 가드레일(5)과 앵글(13)을 게재시켜 볼트(14)체결을 하는 구조를 채용하면 높이 입설되는 중앙포스트(1)일지라도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다수의 크램프(2) 각각은 앵커볼트(211)들로 고착되는 플레이트(21)와, 상 기 플레이트(21)에 입설되는 브라켓(22)과, 중심선을 따라 슬리트(231)가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22)이 삽입되는 하우징(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포스트(1)와 소정 거리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후술하는 파이프(3)가 상기 하우징(23)내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게 하는데, 하우징(23)의 내주는 파이프(3)의 외주가 강입되는 형상·구조이므로 추가적인 체결 없이도 충분한 결착력을 얻을 수 있으며, 게다가 하우징(23)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으로도 접촉 길이를 크게하여 결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3)의 외주에서 파이프(3)와 브라켓(22)의 중심을 관통하여 장볼트(24)가 삽입·결착되므로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와 같이 결착된 상태에서는 브라켓을 관통하는 장볼트(24)가 힌지축으로 작용되어 하우징(23)은 플레이트(21)로부터 슬리트(231)길이에 상응하는 왕복스윙(Swing)이 가능하며 이는 파이프(3)에 작용될 수 있는 외력을 해소시키게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포스트(1)의 상단에 얹혀서 부착되는(가장 전형적인 부착방식은 볼트체결 또는 용접이나 양자모두를 사용하는 방식임) 고정구(6)에는 중앙에 천공(65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65)이 일렬이상씩 다수단으로 양측에 부착되어서 각단의 브라켓(65)들이 각각 후술하는 파이프(3)마다 체결되도록 되는데 그 체결방법은 후술하며, 또 고정구(6)의 앞뒷면으로는 핀홀(66)이 상하 다수 천공되어 상기 핀홀(66)에 삽입되는 지지볼트(63)가 원통베어링(61)을 관통하여 너트(64)로 체결되는 구조인데, 지지볼트(63)의 길이는 고정구(6)의 두께보다 약간 길게하므로서 너트(64)체결부위만이 고정구(6)의 타면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지지볼트(63)에 형성되는 나선도 상기 돌출부만 형성시켜서 지지볼트(63)에 외장되는 원통베어링(61) 과의 면 접촉을 도모하여 마찰력을 최소화시킴이 바람직하며, 원통베어링(61)은 내경이 상기 지지볼트(63)의 외경보다 약간 작아서 지지볼트(63)를 축으로 회전 자제하여 베어링(61)의 외주에 묶여지는 와이어(4)가 비틀림을 받아도 이를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크램프(2)의 하우징(23)에 삽착되어 상기 고정구(6)까지를 이어주며 장착되는 파이프(3)도 중공체이기만 하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적용이 가능하며(도 3에서는 단면상 사각형만을 예시함), 파이프(3)의 양단중 일단은 상기 크램프(2)의 하우징(23)내에 삽입되고, 타단은 고정구(6)의 고정브라켓(65)이 내입되고, 각각 장볼트(24, 67)로 관통되어 결착되도록 하였으며, 이때 브라켓(22, 65)들은 하나 이상이 파이프(3)내에 장입되도록 하였는데, 바람직하기는 2개가 대칭으로 각각 파이프(3)의 내면에 면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모멘트를 최소화하고 지지력을 최대화 할 수 있으며, 예컨대 파이프(3)마다 각각 내입되는 브라켓(22, 65)을 2개씩으로 한 경우 크램프(2)측의 장볼트(24)는 하우징(23)-파이프(3)-브라켓(22)-브라켓(22)-파이프(3)-하우징(23)순으로 관통하고, 고정구(6)측의 장볼트(67)는 파이프(3)-브라켓(65)-브라켓(65)-파이프(3)순으로 관통하여 너트(25, 64)로 결착되게 되어 모멘트도 없으면서 공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게 되며, 후술하는 와이어(4)는 일단이 브라켓(22-22)사이인 장볼트(24)에 묶여지므로 장볼트(24)의 상기부분에는 나선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은 당연하고, 파이프(3)의 외주에는 소켓 등이 안착되도록 하여 전구를 부착하면 멋있는 야경을 연출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전선은 파이프(3)의 내면에 수납시키므로서 미려한 외관을 보장하면서 전선 등의 보호에도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4)는 상기 파이프(3)에 내장되어 소정 장력을 가지고 양단이 장볼트(24)와 지지볼트(63)의 외주에 있는 원통베어링(61)에 묶여서 장설되는 것으로 상기 장력에 의해 크램프(2)와 고정구(6)간의 결속력을 보다 향상시키게 되며, 장볼트(24) 및 원통베어링(61)에 묶는 방식은 와이어(4)를 고리형(외눈형)으로 묶어서 고리안으로 장볼트(24)와 원통베어링(61)을 관통시키는 방식이 작업상 편리하나, 와이어(4)에 소정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장볼트(24) 또는 원통베어링(61)중 어느 한쪽과는 당겨서 묶어주도록 하여야 한다.According to on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ost (1) is installed in the side end of the bridge by the anchor bolt 12 can be used as the central post (1) of any type of pipe, such as round, cylindrical, oval, rectangular. In addition, a method of fastening the anchor bolts 12 at each corner of the post plate 11 by attaching a rectangular post plate 11 to the bottom of the central post 1 may be presented as an example of a solid installation. The length of the central post 1 is selected to an appropriate height that can create aesthetic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ntire structure. Usually, the length of the central post 1 is several times higher than that of a bridge railing, so that a plurality of pipes 3 are gentle and stable. It is easily connected while giving, as shown in FIG. 5, which is enlarged in cross-sectional view by extracting the portion D of FIG. 1, the guard rail 5 and the angle (1) of the bridge railings at the lower end of the central post (1). By adopting a structure for fastening the bolts 14 by placing 3), it is possible to firmly support even the central post 1 that is placed vertically.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lamps 2 includes a plate 21 fixed to the anchor bolts 211 and an upper plate 21. The bracket 22 is placed on the plate 21, and the slits 231 are formed along the center line and the housing 23 into which the bracket 22 is inserted, a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post (1) Since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ipe 3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housing 23.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23 may be sufficiently formed without additional tightening since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pe 3 is indented. The binding force can be obtained, and the length of the housing 23 can also be increased to improve the binding force by increasing the contact length.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ipe 3 and the bracket 22 are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23. Since the long bolt 24 is inserted and bound through the center of the rod, it can be firmly supported. In the bound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long bolt 24 penetrating the bracket acts as a hinge axis, so that the housing 23 plays. A reciprocating swing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lits 231 from the tread 21 is possible, which relieves external forces that may be applied to the pipe 3. In addition, the fixing bracket 65 having a perforation 65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astener 6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er post 1 (the most typical method of attaching is bolt fastening or welding or both). ) Is attached to both sides in multiple stages in a row or more, so that the brackets 65 at each end are fastened to each pipe 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astening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bolt 63 inserted into the pinhole 66 is fastened by the nut 64 through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holes,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bolt 63 is fixed to the fixture 6. The nut 64 is fastened to the other side of the fastener 6 by being slightly longer than the thickness thereof, and the helix formed on the support bolt 63 is also formed on the support bolt 63 to form a cylindrical bearing that is external to the support bolt 63. (61)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frictional force by the surface contact with the cylindrical bearing 61, the inner diameter of the bearing 61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bolt 63, so as to refrain from rotating the support bolt 63 to the axis of the bearing 61 Even if the wire 4 which is ti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is twisted, it can be eliminated. In addition, the pipe 3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3 of the clamp 2 and continues up to the fixture 6 so that the pipe 3 can be applied as long as it is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is a hollow body. Only one end of both ends of the pipe (3)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3 of the clamp (2), the other end is fitted with a fixing bracket 65 of the fastener 6, each of the long bolts 24, 67), and the brackets 22 and 65 are inserted into the pipe 3, and preferably two or more brackets are symmetrical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3, respectively. Can be minimized and the supporting force can be maximized. For example, when two brackets 22 and 65 are inserted into each pipe 3, the long bolts 24 on the clamp 2 side are made of a housing 23-pipe ( 3)-Bracket (22)-Bracket (22)-Pipe (3)-Housing (23) in order The long bolt 67 on the side of the fastener 6 passes through the pipe 3, the bracket 65, the bracket 65, the pipe 3, and is bound by the nuts 25 and 64 without any moment. It is possible to achieve a firm coupling, since the wire 4 to be described later is tied to the long bolt 24 between the brackets (22-22) so that the spiral is not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long bolt 24 Of course,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pe (3) so that a socket, etc. can be mounted to create a nice night view by attaching a light bulb, and even in this case, the wire is stor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3) to ensure a beautiful appearance, You will be able to protect yourself. And, The wire 4 is embedded in the pipe 3 and has a predetermined tension, and both ends thereof are tied to the cylindrical bearing 61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ng bolt 24 and the support bolt 63 to be installed.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2) and the fixture 6 is further improved, and the method of tying the long bolt 24 and the cylindrical bearing 61 is to bind the wire 4 in an annular shape (outer eye shape) to make the long bolt 24 into the ring. And the way to penetrate the cylindrical bearing 61 is convenient, but in order to impart a predetermined tension to the wire 4, it should be pulled and tied to either one of the long bolt 24 or the cylindrical bearing 61.

게다가, 본 고안에서는 파이프(3) 및 와이어(4)의 일단이 교량의 측부 바닥에 설치되는 크램프(2)에 결착되는 구조이므로 대형 교량이어서 측면에 여유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5)의 바깥쪽으로 비켜서 상기 크램프(2)를 부착시키므로서 파이프(3)와 가드레일(5)간의 간섭을 회피시킬 수 있으며, 여유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5 ; 교량용 난간)의 레일과 포스트의 중앙에 각각 천공을 하여 상기 와이어(4)가 내장된 파이프(3)가 레일천공(51)과 포스트천공(52)을 관통하도록 하는 것도 일책이나. 설치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전자의 설치법이 바람직하며, 여유공간이 없더라도 크램프(2)의 플레이트(21)를 교량의 측면에 용접을 하거나 브라켓 등을 인출하고 이에 부착시켜서 사용하면 가드레일(5)과 파이프(3)의 간섭을 충분히 회피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들 일지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음은 명백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e end of the pipe 3 and the wire 4 is bound to the clamp 2 installed on the side bottom of the bridge, when the large bridge has a free space on the side, as shown in FIG. 6A. Similarly,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pipe 3 and the guard rail 5 can be avoided by attaching the clamp 2 to the outside of the guard rail 5, and when there is no free space, as shown in FIG. 6B. Similarly, the rails of the guard rail 5 (bridge railings) and the centers of the posts are respectively drilled so that the pipe 3 having the wire 4 therein passes through the rail bores 51 and the post bores 52. It is also a book.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former is preferable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even if there is no free space, the plate 21 of the clamp 2 can be welded to the side of the bridge or a bracket or the like can be drawn and attached to the guard rail 5 and the pipe. It is clear that the interference of (3) can be sufficiently avoided, and even such variations do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 크램프(2)가 앵커볼트(211)들로 고착되는 플레이트(21)와, 상기 플레이트(21)에 입설되는 브라켓(22)과, 상기 브라켓(22) 과 지축(233)으로 힌지연결되는 힌지브라켓(232)이 부착되어 타단에 파이프(3)가 삽입되는 하우징(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하우징(23)의 외부에 부착되는 힌지브라켓(232)과 플레이트(21)의 위에 부착되는 브라켓(22)간에 지축(233)으로 힌지연결되어 하우징(23)의 스윙(Swing)이 훨씬 자재로우므로 파이프(3)가 어느 각도로도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본 추가구성은 상기 기본 구성에서와 같이 슬리트(231)가 필요 없으므로 하우징(23)의 강도가 상승하여 내구성도 향상된다. 게다가, 장볼트(24)는 파이프(3)와 하우징(23)을 동시에 관통하나, 상기한 브라켓(22)은 관통하지 않으므로 내부에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와이어(4)를 장볼트(24)에 묶는 작업이 손쉬워진다. 또한, 브라켓(22)이나 힌지브라켓(232)을 복수로 하면 모멘트를 줄여서 보다 강력한 연결을 도모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일지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음은 명백하다.According to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2 is a plate 21 is fixed to the anchor bolts 211, the bracket 22 mounted on the plate 21 and the bracket 22 The hinge bracket 232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233 is attached to the hinge shaft 233, and thus, the hinge bracket 232 and the plat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3 are formed. Since the swing of the housing 23 is hinged by the support shaft 233 between the brackets 22 attached to the top of the 21, the pipe 3 can be connected at any angle, and the present addition Since the configuration does not require the slits 231 as in the basic configuration, the strength of the housing 23 is increased to improve durability. In addition, the long bolt 24 penetrates the pipe 3 and the housing 23 at the same time, but since the bracket 22 does not penetrate, it is possible to secure a large space therein, so that the wire 4 is long bolted ( 24) is easy to tie. In addition, a plurality of brackets 22 or hinge brackets 232 may reduce the moment to achieve a more powerful connection, but it is apparent that such modifications do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와이어(4)의 중앙에 와이어(4)를 당겨주는 인장수단(41)이 추가되어 장착되는데, 가장 손쉬운 인장수단(41)으로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와이어(4, 4)와 손쉽게 결속되면서 나선을 가지는 1쌍의 아이볼트(411, 411)와 상기 아이볼트(411, 411)쌍이 양측에서 나합되는 양측너트(412)로 되는 것으로, 이는 양측너트(412)를 회전시키면 양측에 나합된 아이볼트(411, 411)들이 동시에 나입 또는 나출되도록 되어 와이어(4)의 전체길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경우의 운용방안으로는 최초설치시에는 와이어(4)의 소정장력을 지지할 수 있으면서 아이볼트(411, 411)간의 거리가 최대가 되도록 인장수단(41)을 설치하여야 추후 와이어(4)의 노후 등에 의한 큰연신량에 적응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tension means 41 for pulling the wire 4 is added to the center of the wire 4 is mounted, the easiest means for tension 41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one pair of eye bolts 411 and 411 having spirals and easily coupled with the respective wires 4 and 4 and both nut 412 where the pair of eye bolts 411 and 411 are screwed on both sides. By rotating both nut 412, the eye bolts 411 and 411 screwed to both sides are inserted or eject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overall length of the wire 4 can be easily adjusted.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tension means 41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ye bolts 411 and 411 can be maximized at the time of initial installation, while supporting the predetermined tension of the wire 4. Old age It is possible to adapt to a large amount of draw.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파이프(3)가 2개 이상의 분할파이프(31)로 나누어져서 각각의 단부에는 서로 결합되는 후쿠(32)와 홀더(33)로 되어 체결된 것으로, 도 4b 및 도 4c에는 2개의 분할파이프(31, 31)가 결합되어 하나의 중공체 파이프(3)로 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는데, 전체로서 하나의 중공체 파이프(3)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분할파이프(31)가 3개 이상으로 나누어진 것일지라도 사용이 가능하나, 소재비용의 상승 및 취급의 불편 때문에 바람직하기는 2개로 분할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분할 파이프(31)는 파이프(3)가 균등히(반으로) 분할된 것만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며, 홀더(33)와 후쿠(32)는 암수를 이루고 결합되는데 파이프(3)의 외주면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므로 단일체로된 파이프(3)와 동일한 외형을 가지게 되며, 이렇게 분할형 파이프(3)를 사용하는 경우 개방된 공간에서 와이어(4)를 설치하고 그후 와이어(4)를 수납하도록 분할형 파이프(3)를 설치할 수 있어서 시공의 편의를 기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3)의 형상은 단면이 사각형(도 4b에 예시)이거나 원형(도 4c에 예시)이거나 또는 다른 이형상의 파이프(3)일지라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ipe 3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plit pipes 31, and each end is composed of a Fuku 32 and a holder 33 which are joined to each other. 4B and 4C, two split pipes 31 and 31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one hollow pipe 3. As a whole, one hollow pipe 3 may be formed. If it can be used, even if the divided pipe 31 is divided into three or more, it is possible to use, but it is preferred to be divided into two because of the increase in material cost and handling inconvenience, wherein the split pipe 31 is a pipe ( 3) is not limited to being divided evenly (half), and the holder 33 and the fuku 32 are formed in the male and female, and are combined to form a male and female pipe 3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3. Have the same appearance as And, can talk to this dividing pipe (3) When using the construction convenience,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to install the dividing pipe (3) to then receiving the wire (4), the wire (4) in the open spac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ipe 3 can be applied even if the cross section is rectangular (illustrated in FIG. 4B), circular (illustrated in FIG. 4C), or other shaped pipe 3.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파이프(3)의 고정구(6) 접속부위가 만입부(34)와 만출부(35)를 형성하여 틈을 가지고 대향되게 2개로 분할되어 있는데, 즉, 파이프(3)의 고정구(6)와 접속되는 부위가, 도 3a의 우측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나누어지되 일단의 일면이 만입부(34)를 형성하면 대향하는 타단의 일면은 만출부(35)를 형성하는 식이며, 이때 일단은 2개 의 만입부(34, 34)와 2개의 만출부(35, 35)를 가지도록 형성시키고 이에 대향하는 타단은 상기와 역형상으로 하여야 접속이 가능하며, 이에다가 접속하는 방식은 중앙에 통공(671)을 가지는 십자핀(67)으로 상기 분할된 파이프(3, 3)의 양측의 각 만출부(35, 35, 35, 35)에 각 단부가 삽지되어 체결되도록 하였는데, 분할된 각 파이프(3, 3)에는 2개씩의 만출부(35, 35)가 형성되므로 십자핀(67)이 삽지되고 너트(64)등으로 체결되면 십자핀(67)을 축으로 상하 및 좌우측으로 벌어진 틈만큼 스윙이 자재롭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추가구성은 고정구(6)측에 접속되는 파이프(3)들이 전후좌우로 어느 정도 뒤틀려도 이를 자체로 흡수하여 다른 구성부분에 어떠한 응력도 전달하지 않아서 충분한 내구성을 보장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일예로서 파이프(3)를 사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원형이거나 타원형 또는 이형상의 파이프(3)일지라도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게다가, 만입만출부(34, 35)를 부드러운 곡선으로 하였으나 직선 또는 경사된 직선으로 끊어지게 하여도 구성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According to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nnection part of the fixture 6 of the pipe 3 forms an indentation 34 and an eruption portion 35 and is divided into two to face each other with a gap. That is, the part connected to the fixture 6 of the pipe 3 is divided into two,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3A and FIG. 3C, but when one end thereof forms an indentation 34, One side of the other end is a formula for forming the eruption part 35, in which one end is two It is formed to have indentations 34 and 34 and two protruding portions 35 and 35, a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indentation is connected to the inverted shape so that the connection is possible. Each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protruding portions 35, 35, 35, and 35 on both sides of the divided pipes 3 and 3 by means of a cross pin 67 having a cross section. 3) Since two protruding portions 35 and 35 are formed, the cross pin 67 is inserted, and when the cross pin 67 is fastened with the nut 64, the swing crosses the cross pin 67 up and down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aft. Become. In other words,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pipe (3) connected to the fixture (6) side to some extent twisted front and rear to absorb it by itself does not transmit any stress to the other components to ensure sufficient durability. In addition, although the pipe 3 is shown as a square in the figure as an example, it may be comprised similarly even if it is a round, elliptical, or heterogeneous pipe 3, Furthermore, the indentation part 34, 35 made a smooth curve, but is a straight line Or it can be configured to be broken by the inclined straight line, it is natural that such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교량의 양측 난간측에 병설되어 구축되는 것으로서 교량의 미감을 향상시키며, 견고한 설치와 더불어 교량측에 부정합의 외력이 작용되지 않도록 하는 자체 구조를 가지며, 특히 교량에 부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식물등도 손쉽게 이에 부착하여 적절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적인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bridge, and improves the aesthetics of the bridge, and has its own structure to prevent the external force of misalignment on the bridge side, and in particular, it can be attached to the bridge It is an effective design so that decorations can be attached to it easily and properly supported.

Claims (5)

교량의 측단에 앵커볼트(12)에 의하여 입설되는 중앙포스트(1);A central post 1 which is entered by the anchor bolt 12 at the side end of the bridge; 앵커볼트(211)들로 고착되는 플레이트(21)와, 상기 플레이트(21)에 입설되는 브라켓(22)과, 중심선을 따라 슬리트(231)가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22)이 삽입되는 하우징(23)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크램프(2)가 상기 중앙포스트(1)와 소정 거리씩 이격되어 설치되고;A plate 21 fixed to the anchor bolts 211, a bracket 22 mounted on the plate 21, and a slit 231 are formed along a center line to insert the bracket 22 into the housing 22. A plurality of clamps (2) comprising 23)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post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중앙에 천공(65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65)이 일렬이상씩 다수단으로 양측에 부착되고, 앞뒷면으로는 핀홀(66)이 상하 다수 천공되어 상기 핀홀(66)에 삽입되는 지지볼트(63)가 원통베어링(61)을 관통하여 너트(64)로 체결되게 이루어지는 고정구(6)가 상기 중앙포스트(1)의 상단에 얹혀서 부착되고;A fixing bracket 65 having a perforation 651 formed in the center is attached to both sides by a plurality of lines or more in a row, and a support bolt 63 is inserted into the pinhole 66 by a plurality of pinholes 66 perforated up and down.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enter post (1) is a fastener (6) is made to pass through the cylindrical bearing (61) and fastened to the nut (64); 상기 크램프(2)의 하우징(23)에 그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구(6)의 고정브라켓(65)을 내입하고 각각 장볼트(24, 62)로 관통되어 결착되고;One end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3 of the clamp 2,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65 of the fastener 6 and penetrated through the long bolts 24 and 62, respectively; 상기 파이프(3)에 내장되는 와이어(4)가 소정 장력을 가지고 양단이 장볼트(24)와 원통베어링(61)에 묶여서 장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형 구축물.Bridge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4) embedded in the pipe (3) has a predetermined tension and both ends are tied to the long bolt 24 and the cylindrical bearing (6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램프(2)가 앵커볼트(211)들로 고착되는 플레이트(21)와, 상기 플레이트(21)에 입설되는 브라켓(22)과, 상기 브라켓(22)과 지축(233)으로 힌지연결되는 힌지브라켓(232)이 부착되어 타단에 파이프(3)가 삽입되는 하우징(23)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형 구축물.The plate 21 of claim 1, wherein the clamp 2 is fixed to the anchor bolts 211, a bracket 22 mounted on the plate 21, and the bracket 22; Bridge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bracket 232 is hinged to the support shaft 233 is attached to the housing 23 is inserted into the pipe (3) at the other end. 제 1항 또는 제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4)의 중앙에 와이어(4)를 당겨주는 인장수단(41)이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형 구축물.3. The building construction as claimed in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ing means (41) for pulling the wire (4)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wire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3)가 2개 이상의 분할 파이프(31)로 나누어져서 각각의 단부에는 서로 결합되는 후쿠(32)와 홀더(33)로 되어 체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형 구축물.3. The pipe (3)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3) is divided into two or more split pipes (31) and is joined to each end by a hook (32) and a holder (33). Molding construction for bridges.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3)의 고정구(6) 접속부위가 만입부(34)와 만출부(35)를 형성하여 틈을 가지고 대향되게 2개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파이프(3, 3)의 양측의 각 만출부(35, 35, 35, 35)에 각 단부가 삽지되어 체결되는 중앙에 통공(671)을 가지는 십자핀(67)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조형 구축물.3. The connection part of the fixture (6) of the pipe (3) according to claim 1 or 2 is formed into an indentation (34) and an indentation (35), and divided into two to face each other with a gap.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ross pin (67) having a through hole (671) in the center where each end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protruding portions (35, 35, 35, 35) on both sides of the pipe (3, 3) Modeling constructs.
KR2019990022745U 1999-10-21 1999-10-21 Formative structure for bridge KR20017510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745U KR200175109Y1 (en) 1999-10-21 1999-10-21 Formative structure for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745U KR200175109Y1 (en) 1999-10-21 1999-10-21 Formative structure for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109Y1 true KR200175109Y1 (en) 2000-03-15

Family

ID=1959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745U KR200175109Y1 (en) 1999-10-21 1999-10-21 Formative structure for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10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5109Y1 (en) Formative structure for bridge
US4057665A (en) Artificial tree structure
JPS603359A (en) Material for constructing scaffold
KR100359627B1 (en) Formative structure for bridge
KR101127638B1 (en) A ball shackles for insulator support
KR200234977Y1 (en) Truss Construct
PT1380696E (en) Modular barrier and method of erecting the same
JPH0738724Y2 (en) Fence pole mount
KR200359060Y1 (en) Removable Shade Tent
KR20020077788A (en) Truss Construct
KR200241455Y1 (en) tree supporter which can be adjusted
KR200251959Y1 (en) A flagpole fitting
KR950001687Y1 (en) Structure for fixing a fence-post
GB2347169A (en) Combined post clamp and bracket
RU2007103357A (en) COMPOUND ANCHOR BOLT AND METHOD FOR INSTALLING ANCHOR BOLT
JPH0246940Y2 (en)
CN2571216Y (en) Safety fastener
KR950026580A (en) Tent pole manufacturing method and structure
KR20070046295A (en) A post for fence
JPS5921239Y2 (en) chain link fence
JPH0533537Y2 (en)
JP2826505B2 (en) Strut fixing structure, strut fixing tool and strut fixing method
KR20230114070A (en) A supporter for a pepper-tree
US437050A (en) Fence-post
KR950001688Y1 (en) Fence using ti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