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979Y1 -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 - Google Patents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979Y1
KR200174979Y1 KR2019980006872U KR19980006872U KR200174979Y1 KR 200174979 Y1 KR200174979 Y1 KR 200174979Y1 KR 2019980006872 U KR2019980006872 U KR 2019980006872U KR 19980006872 U KR19980006872 U KR 19980006872U KR 200174979 Y1 KR200174979 Y1 KR 200174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lines
map
line
end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031U (ko
Inventor
박세준
Original Assignee
박세준
임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준, 임정남 filed Critical 박세준
Priority to KR2019980006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97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5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0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는 지도상에 해당 도로 및 해당하는 길의 시점과 종점 구분이 명확하도록 해당 블록을 나타내는 해당 도로의 양측면의 선을 선의 종류와, 선의 굵기 및 선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차등지게 인쇄하여서 해당 도로와 길의 시점 및 종점과 도로 구분이 매우 용이하여서 지도의 색인이 손쉬울 뿐만 아니라, 지도 전체가 미관상 깨끗하고 선명하여서 사용자가 쉽게 목적지를 파악할 수가 있으며, 지도 제작경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는 각종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나타내는 블록의 선들을 단색의 실선이나 점선, 쇄선 등으로 색상 인쇄하여 표기하거나, 선의 굵기를 서로 차등지게 색상 인쇄하여 표기하거나; 상기한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나타내는 블록의 선들을 청색, 적색, 흑색, 녹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된 실선이나 점선, 쇄선 등으로 색상 인쇄하여 표기하거나, 선의 굵기를 서로 차등지게 색상 인쇄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
본 고안의 지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지도상에 인쇄된 도로와 길 등의 도로별 이름을 나타내는 해당 블록의 선을 선의 종류와, 선의 굵기 및 선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인쇄하여서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용이하게 색인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형태의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는 번호를 붙여서 부호를 표기한 것이고, 국도나 지방도는 또 다른 부호로 표기되어 있으며, 지방도는 수백개가 붙여져 있어서 교통정보로서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의 일예로서, 어느 하나의 국도를 찾기 위하여서 번호별로 부여된 국도의 시점과 종점으로 이어지는 도로를 용이하게 구분해 보기는 매우 어렵다.
한국의 국도는 전국을 권역으로 하여 동서남북으로 번호를 정하여 교통정보로 활용하므로서 도로안내표시판에 도로번호들로 국도 노선을 안내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지도에서 해당도로번호의 시점과 종점이 어느 곳이며, 경유지의 교통정보를 파악할 수 없어서 지도를 사용하여서 전국의 국도 노선을 한눈에 파악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다.
특히, 국도에 있어서는 도로 번호별로 구분하여 볼 수 없는 특수한 문제점이 가중되어서 도로번호별로 구분해 보는데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으며, 이는 하나의 국도에 도로번호가 둘 또는 셋으로 중첩되는 곳이 너무 많고, 심지어 도로번호가 넷으로 중첩되는 곳도 몇 군데 있어서 지도에서 도로 번호별로 구분해 보기란 더욱 어려운 실정이었다.
그리고 기존의 지도에서는 해당 도로번호를 지도 표면에 자주자주 표시하여 도로를 구분해 볼 수 있도록 하였으나 꼭 같은 형태속에 도로번호가 반복적으로 표시되어 있고, 지도의 특성상 도로번호를 크게 인쇄할 수 없으므로 도로번호만 가지고는 판독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노선별로 식별이 어려우며, 오히려 필요이상의 노선번호를 자주 표기하므로서 지도가 복잡해지며, 노선번호를 표기하는 만큼 또 다른 지역의 교통정보를 지도에 표시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운전자들에게는 운전을 할 때 도로표시판에 안내된 도로 번호를 보고, 횡선지나 목적지를 파악하고 지도를 보고 해당 도로번호의 도로 횡선지가 어느곳인가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한 지도를 구비한다면, 신속하고 정확한 교통정보를 한눈에 얻을 수 있지만 개발된 지도는 그러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6-7964호와 같은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를 개발하였다.
위와 같은 형태의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는 지도에 표기된 각각의 도로노선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인쇄하여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도로노선의 색상만 따라가면 그 도로의 시작지역과 끝지역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지도의 외곽선과 인접하여서 도로의 노선번호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형의 내부에 노선번호를 인쇄한 노선번호색인부를 구비하는 형태의 도로구분이 용이한 지도를 제공하는 매우 우수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술내용은 현재 시범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정부의 새로운 주소체계의 도로와 번지수 정비계획에 맞추어서 지도를 알맞게 제작하는데 번거로움이 따른다.
금반 정부에서는 전국의 복잡하게 얽혀있는 행정구역상의 주소지 지번과 가로 이름을 새롭게 정비하여서 선진국과 같은 새로운 주소체계를 만들고자 시범적으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등 4곳에 도로와 번지수를 새롭게 부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토지에 부여된 지번으로 토지와 건물을 관리하고, 주소로 사용하고 있으며 새주소(건물번호)제도는 토지와 건물을 분리하여 기존의 지번은 토지관리를 위해 그대로 사용하고, 새주소(건물번호)는 모든 도로에 명칭을 부여하고, 건물에는 해당 도로의 체계적번호를 부여하여 주소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새주소는 누구나 알기 쉽고 간단하게 표기되어야 하는데 예컨데,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청담공원 주변을 삼성로 청담공원길이라 부여하고, 새로운 주소체계를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청담공원길의 시작과 끝부분까지 번지수를 왼쪽은 홀수로, 오른쪽은 짝수로 부여하여서 새로운 주소의 번지 체계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청담공원길 1번지"로 신주소 체계로 바뀌고 있다.
새주소 제도가 시행되면 주소찾기가 쉬워져 주민생활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범죄 등 각종 재난과 사고에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주소를 기본으로 하는 각종 시설물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신개념의 주소와 번지체계를 인쇄한 지도책은 새로운 개념의 번지수에 알맞게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에 있는 청담공원길의 시점과 종점을 쉽게 색인하여 볼 수 있도록 지도상에 명확하게 표시하여 주어야만 사용자가 지도를 보고 손쉽게 청담공원길을 확인하여서 찾아갈 수가 있다.
그러나 개발된 모든 지도책의 지도(10)는 도 2 의 종래 기술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데,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 청담공원길(11)과, 큰말길(12)과, 솔모퉁이길(13) 등의 해당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사용자가 지도상에서 정확히 알 수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지도상에서 삼성로 청담공원길(11)과, 큰말길(12)과, 솔모퉁이길(13)의 시점과 종점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청담공원길(11)과, 큰말길(12)과, 솔모퉁이길(13)"을 여러 번 심지어 하나의 지도에서 하나의 길에 네 번 이상 반복하여 인쇄하여야만 한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형태의 지도(10)는 지도의 전체가 하나의 길을 여러 번 표기하는데 따라서 지도가 조잡하고 해당 도로의 색인이 용이하지 못하며, 미관상 좋지 못하고 조잡할 뿐만 아니라 지도가 깨끗하고 선명하지 못하여서 사용자가 쉽게 눈의 피로를 가져오며, 지도 제작상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고, 예컨데, 서울특별시 삼성로 청담공원길(11)과, 큰말길(12)과, 솔모퉁이길(13) 등 해당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신속하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는 지도상에 표기되는 해당 도로 및 길의 시점과 종점의 구분이 명확하도록 해당 도로의 블록의 선을 선의 종류와, 선의 굵기 및 선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차등지게 인쇄 표기하므로서, 해당 도로와 길의 시점 및 종점과 도로 구분이 매우 용이하여서 지도의 색인이 손쉬울 뿐만 아니라, 지도 전체가 미관상 깨끗하고 선명하여서 사용자가 쉽게 목적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지도 제작경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는 각종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나타내는 블록의 선들을 단색의 실선이나 점선, 쇄선 등으로 색상 인쇄하여 표기하거나, 상기한 선의 굵기를 서로 차등지게 색상 인쇄하여 표기하거나; 상기한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나타내는 블록의 선들을 청색, 적색, 흑색, 녹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된 실선이나 점선, 쇄선 등으로 색상 인쇄하여 표기하거나, 상기한 선의 굵기를 서로 차등지게 색상 인쇄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지도의 일부분을 도시한 표면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지도의 일부분을 도시한 표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도 2 : 청담공원길 3 : 큰말길
4 : 솔모퉁이길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 1 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를 표시하며; 상기한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1)는 책과 같은 형태의 지도책이거나, 낱장과 같은 형태의 전지 지도일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지도(1)는 구성 설명의 편의상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지역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정부의 방침에 의하여 새로운 주소와 번지수가 부여된 것을 표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1)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해당 도로의 블록을 표시하는 양측면의 선(2, 3, 4)을 단색으로 선의 종류가 서로 다르게 인쇄 표기하거나, 상기한 선의 굵기를 서로 다르게 인쇄 표기하거나;
해당 도로의 블록을 표시하는 양측면의 선(2, 3, 4)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면서 선의 종류를 서로 다르게 인쇄하거나, 상기한 선의 굵기를 서로 다르기 인쇄 표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해당 도로의 블록을 표시하는 양측면의 선(2, 3, 4)을 예컨데,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울특별시 삼성로 청담공원길(2)의 경우, 삼성로의 청담공원길(2)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끝나는 부분까지 동일한 일점쇄선으로 인쇄하고, 큰말길(3)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끝나는 부분까지 동일한 실선으로 인쇄하며, 솔모퉁이길(4)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끝나는 부분까지 동일한 점선으로 인쇄 표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해당 도로의 블록을 표시하는 양측면의 선(2, 3, 4)은 해당 도로에 따라서 해당 도로의 양측면을 실선이나 점선 또는 일점쇄선, 이점쇄선 등 선의 종류가 서로 다르게 인쇄하거나, 상기한 선들의 굵기를 서로 차등지게 인쇄하거나;
해당 도로의 블록을 표시하는 양측면의 선(2, 3, 4)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하면서 선의 종류를 실선이나 점선 또는 일점쇄선, 이점쇄선 등 서로 다르게 인쇄하거나, 상기한 선들의 굵기를 서로 차등지게 인쇄 표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나타내도록 블록을 표시하는 양측면의 선(2, 3, 4)은 예컨데, 삼성로나 도산대로, 영동대로 등의 비교적 큰길에도 시점과 종점을 구분하도록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나타내도록 블록을 표시하는 양측면의 선(2, 3, 4)은 단색으로 선의 종류를 서로 다르게 인쇄 표기하거나, 선의 굵기를 서로 차등지게 하여서 해당 도로상에 도로 이름을 하나만 표기하여도 해당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명확하고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나타내도록 블록을 표시하는 양측면의 선(2, 3, 4)들을 다양한 색상 예컨데, 청색, 적색, 흑색, 녹색 등의 다양한 색상으로 된 실선이나 점선, 쇄선 등으로 색상 인쇄하여 표기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나타내도록 블록을 표시하는 양측면의 선(2, 3, 4)들은 다양한 색상으로 표기하면서 상기한 선 들의 굵기를 서로 차등지게 하여서 해당 도로를 따라서 도로의 양측면에 도로 이름을 하나만 표기하여도 해당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선을 따라가면서 명확하고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1)는 각종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나타내도록 블록을 표시하는 양측면의 선(2, 3, 4)들을 단색의 실선이나 점선, 쇄선 등으로 색상 인쇄하여 표기하거나, 상기한 선의 굵기를 서로 차등지게 색상 인쇄하여 표기하거나,
상기한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나타내도록 블록을 표시하는 양측면의 선(2, 3, 4)들을 청색, 적색, 흑색, 녹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된 실선이나 점선, 쇄선 등으로 색상 인쇄하여 표기하거나, 상기한 선들을 다양한 색상으로 표기하면서 선의 굵기를 서로 차등지게 색상 인쇄하여 표기하므로서,
지도의 해당 도로상에 도로 이름을 하나만 표기하여도 해당 도로의 양측면에 표시된 해당 도로의 블록의 선(2, 3, 4)을 따라가면서 선의 종류와, 선의 굵기 및 선의 색상으로 시점과 종점을 명확하고 용이하게 식별할 수가 있고, 하나의 지도에 청담공원길(2)이나 큰말길(3), 솔모퉁이길(4) 등 해당 도로의 이름을 하나만 인쇄하더라도 해당 도로 블록을 표시하는 선에 인쇄된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선의 색상이나 선의 종류 또는, 선의 굵기별로 따라가면서 해당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순간적으로 손쉽게 해당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색인할 수 있어서 그 실용성이 매우 우수하다.
그리고 다양한 정보가 인쇄된 지도의 표면이 선명하고 깨끗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도로와 번지 체계를 부여하는 각종 도로의 지면에 더 많은 정보를 인쇄할 수가 있으며, 사용자의 눈에 선명하게 각인될 수 있는 등의 일석 다조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1)는 지도상에 해당 도로 및 해당하는 길의 시점과 종점 구분이 명확하도록 해당 블록을 나타내는 양측면의 선을 선의 종류와, 선의 굵기 및 선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차등지게 인쇄하여서 해당 도로와 길의 시점 및 종점과 도로 구분이 매우 용이하여서 지도의 색인이 손쉬울 뿐만 아니라, 지도 전체가 미관상 깨끗하고 선명하여서 사용자가 쉽게 목적지를 파악할 수가 있으며, 지도 제작경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제반 특, 장점이 있다.

Claims (3)

  1. 각종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나타내도록 블록을 표시하는 양측면의 선(2,3,4)들을 단색으로 된 실선이나 점선 또는 일점쇄선, 이점쇄선 등 선의 종류가 서로 다르게 인쇄 표기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
  2. 각종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나타내도록 블록을 표시하는 양측면의 선(2,3,4)들을 청색, 적색, 흑색, 녹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된 실선이나 점선 또는 일점쇄선, 이점쇄선 등 선의 종류가 서로 다르게 인쇄 표기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
  3.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종 도로의 시점과 종점을 나타내도록 블록을 표시하는 양측면의 선(2,3,4)들은 선의 굵기를 서로 차등지게 색상 인쇄하여서 표기한 것이 특징인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
KR2019980006872U 1998-04-29 1998-04-29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 KR200174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872U KR200174979Y1 (ko) 1998-04-29 1998-04-29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872U KR200174979Y1 (ko) 1998-04-29 1998-04-29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31U KR19980025031U (ko) 1998-07-25
KR200174979Y1 true KR200174979Y1 (ko) 2000-04-01

Family

ID=1953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872U KR200174979Y1 (ko) 1998-04-29 1998-04-29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9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31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630852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nzeige von Informationen
GB2116349A (en) Apparatus for obtaining urban co-ordinates
US5549332A (en) Travel planner
US5190319A (en) Ticket for designating vehicle parking location
KR200174979Y1 (ko)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
KR200220981Y1 (ko) 도로 구분이 용이한 지도(a road division senseless map)
Treib Mapping experience
KR940000235Y1 (ko) 수첩 겸용 지도책
US1941777A (en) Indicator map
KR960007964Y1 (ko) 도로구분이 용이한 지도
US1327387A (en) Highway-masker
Akerman Selling maps, selling highways: Rand McNally's ‘blazed trails’ program1
Lauer Improvement in highway safety
KR200216219Y1 (ko) 도로가 입체 표현된 지도
US5375356A (en) Street sign with stripes
US662947A (en) Topographic map, chart, &c.
JPH082696Y2 (ja) 地 図
JP2524886Y2 (ja) 地 図
EP1017035A1 (en) Representation system for road maps
JP3008937U (ja) 地図用シール
KR200167520Y1 (ko) 향상된 편의성의 세분화된 생활 안내 지도
KR200259432Y1 (ko) 수첩 겸용 지도책
JPH078592Y2 (ja) 方角・場所表示マンホール蓋
CN100578571C (zh) 城市公交站点地图的标示方法
JPH0655160U (ja) 色別等時間帯地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