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862Y1 - 부표(float)의 자석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부표(float)의 자석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862Y1
KR200173862Y1 KR2019990020700U KR19990020700U KR200173862Y1 KR 200173862 Y1 KR200173862 Y1 KR 200173862Y1 KR 2019990020700 U KR2019990020700 U KR 2019990020700U KR 19990020700 U KR19990020700 U KR 19990020700U KR 200173862 Y1 KR200173862 Y1 KR 200173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holde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벽
Original Assignee
한기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벽 filed Critical 한기벽
Priority to KR2019990020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8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8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 및 시수, 저수조 등 물탱크에 사용되는 수위 계측기에 있어서, 부표(FLOAT)의 자석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석을 끼워 고정시키는 자석 매입용 홀더의 상하 고정편을 단관 외주면에 용접시켜 수월하게 자석의 극성을 서로 대향시키면서 견고하게 고정시킴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본 고안은 내하방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자석 매입용 홀더의 상하단에 상하 받침판을 형성시키고, 상기 자석 매입용 홀더 상하단 각각을 연설 시켜 상하 고정편을 일체로 형성하며, 자석을 상기 공간부에 끼운 후 원통형 단관 외주면에 상기 자석을 면접시키고, 상기 상하 고정편을 단관 외주면에 스폿트 용접하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표(FLOAT)의 자석 고정구조 {Magnectic Fixing Structure of Float}
본 고안은 정수 및 시수, 저수조 등 물탱크에 사용되는 수위 계측기에 있어서, 부표(FLOAT)의 자석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탱크내의 액체레벨을 검지하여 액체가 일정한 레벨에 이를 때 밸브 등의 구동기구를 구동 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이때 사용하는 부표 레벨 센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심 파이프(40)에 부표(50)를 끼워 액체의 레벨에 따라 부표(50)가 승하강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부표(50)는 도 9a - 도 9d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착 테이프(60)에 각각의 자석(20)을 서로 동일한 극성이 대향 되게 위치시킨 후 원통형 단관(30)의 외주면 양측면에 상기 자석(20)이 위치되도록 접착 테이프(60)를 감아 일차적으로 상기 접착 테이프(60)로 자석(20)을 단관(30) 외주면에 고정시키고, 이차적으로 접착 테이프(60) 외주면에 동선(70)을 묶은 후 동선(70) 끝단을 납댐 처리하여 자석(20) 각각이 단관(30) 외주면에 서로 동일한 극성으로 대향된 상태로 고정시키며, 이와같이 자석(20)이 고정된 단관(30)의 상하단을 부표 하우징 상하 구멍에 고정한 후 하우징 상,하부 및 중간부분을 용접 처리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중심 파이프(40)에 상기 단관(30)이 끼워져 부유상태에 따라 단관(30), 자석(20), 하우징(50')으로 구성된 부표(50)가 승하강 하게 되고, 이때 중심 파이프(40)내에 일정 간격 설치된 리드 스위치(80)에 승하강하는 자석(20)이 근접되면 해당 리드 스위치(80)가 동작된다. 이와같은 구성의 종래 부표 (50)는 자석(20)의 극성이 서로 대향(N극과 N극)되게 하여 척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리드 스위치(80)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고, 자석(20)을 고정시킬 수 있으나, 자석(20)의 극성을 맞추기 위해 접착 테이프(60)에 자석(20)을 임의 위치에 올려놓고 단관(30)으로 접착 테이프(60)를 감아 자석(20)을 단관(30) 외주면에 접착 시켜야할 뿐 아니라 동선(70)으로 다시 접착 테이프(60)를 묶는 등 완전 수작업에 의한 자석의 고정 방법이어서 비능률적이고, 이에따라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어 부표제작에 드는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특히, 자석(20)의 극성을 맞추기 위해 접착 테이프(60)의 면에 자석(20)을 정확하게 위치 시켜야 하나, 정확한 위치에 자석(20)을 놓을 수도 없을 뿐 아니라 단관(30)으로 자석(20)이 놓여진 접착 테이프(60)를 감을 때 자석(20)의 위치가 변경되어 리드 스위치(80)의 동작을 위한 정확한 척력이 발생 되지 않을 수도 있어 부표의 품질저하를 가져온다.
본 고안은 부표를 구성하는 자석을 보다 수월하게 단관 외주면에 고정케 하므로써, 부표 제작작업의 공정을 크게 단축 시켜 생산성 향상에 따른 제조원가의 절감 및 품질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자석을 끼워 고정시키는 자석 매입용 홀더의 상하 고정편을 단관 외주면에 용접시켜 수월하게 자석의 극성을 서로 대향시키면서 견고하게 고정시킴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하방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자석 매입용 홀더의 상하단에 상하 받침판을 형성시키고, 상기 자석 매입용 홀더 상하단 각각을 연설 시켜 상하 고정편을 일체로 형성하며, 자석을 상기 공간부에 끼운 후 원통형 단관 외주면에 상기 자석을 면접시키고, 상기 상하 고정편을 단관 외주면에 스폿트 용접하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레벨 센서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자석 매입용 홀더의 저면도로서, 짧은 사각형의 자석이 매입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자석 매입용 홀더의 저면도로서, 긴 사각형의 자석이 매입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자석 매입용 홀더의 사시도
도 6은 사각형의 자석이 매입된 상태의 홀더 횡단면도
도 7은 사각형의 자석이 매입된 상태의 홀더 종단면도
도 8은 원통형의 자석이 매입된 상태의 홀더 종단면도
도 9a - 도 9d는 종래 원통형 단관에 자석을 고정 시키는 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자석 매입용 홀더 10', 10' : 절결편
11 : 공간부 12, 13 : 받침판 14,15 : 고정편
20 : 자석 30 : 원통형 단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도면설명과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본 고안은 내하방이 개방된 공간부(11)와, 상하부 각각에 자석이 받쳐지는 받침판(12)(13)과, 상기 상하부 받침판(12)(13) 일측부에 각기 연설시킨 상하부 고정편(14)(15)으로 구성한 자석 매입용 홀더(10)의 공간부(11)에 자석(20)을 끼우고,원통형 단관(30)외주면에 상기 자석(20)이 매입된 홀더(10)을 면접 시킨 후 상하부 고정편(14)(15)를 단관(30)외주면에 스폿트 용접시켜 자석을 고정 시키는 것이다. 상기에서, 자석 매입용 홀더(10)는 단관(30)외주면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2개 또는 3개 설치된다. 여기에서, 자석(20)의 극성 맞춤은 예컨데, N극이 바같측으로 위치하게 할 경우에는 S극을 홀더(10) 내측으로 위치시키면 된다. 그리고, 자석(20)의 형상은 원통형 자석(20)과 사각형의 긴 자석(20) 또는 사각형의 짧은 자석(20)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홀더(10)의 형상을 일측은 단면을 반원형으로 형성시켜 원통형의 자석(20)이 끼워질 수 있게하고, 타측 내부는 사각형의 공간부를 두어 사각형의 긴 자석(20)이 끼워질 수 있게한다. 만일, 짧은 사각형의 자석(20)을 끼울 경우에는 홀더(10)의 일측 각각에 형성한 절결편 (10')(10')각각의 내측으로 짧은 자석(20)을 끼운 후 상기 절결편(10')(10')을 밀어넣어 짧은 자석(20)이 상기 절결편(10')(10')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이와같이 자석(20)을 끼운 홀더(10)를 원통형 단관(30)에 고정 시킨 후 상기 단관(30)을 종래와 같이 하우징(50')상하부 구멍에 고정 시켜 부표(50)를 완성 시키게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자석 매입용 홀더(10)에 자석(2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끼운 후 상기 홀더(10)의 고정편(14)(15)을 원통형 단관(30)에 용접 시키므로써, 종래와 같이 접착 테이프나 동선 등과 같은 접착 및 묶음 작업이 불필요하여 부표제작 작업이 매우 수월해질 뿐 아니라 자석(20)이 홀더(10)에 끼워진 상태에서 홀더(10)가 단관(30)에 고정되고, 자석(20)이 받침판(12)(13)에 의해 상하 받쳐진 상태로 유지하므로 견고한 상태로 자석이 단관(30)에 고정되어 부표의 운반, 레벨 스위치 전체의 청소시 충격 등으로부터 자석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해소되고, 특히 홀더(10)에 자석(20)을 끼우는 것이어서, 보다 수월하게 자석(20)의 극성을 맞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석(20)끼움 시 자석(20)의 위치 변동이 없어 척력작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리드 스위치를 동작 시키는 부표내부의 자석을 홀더를 이용하여 손쉽고도 견고하게 단관 외주면에 고정 시키므로써, 부표 제작의 반 자동화를 가져 와 생산성을 높이고, 이에따라 부표제작 원가의 절감을 도모하고, 자석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부표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내하방이 개방된 공간부(11)와, 상하부 각각에 자석이 받쳐지는 받침판 (12)(13)과, 상기 상하부 받침판(12)(13) 일측부에 각기 연설시킨 상하부 고정편 (14)(15)으로 구성한 자석 매입용 홀더(10)의 공간부(11)에 자석(20)을 끼우고, 원통형 단관(30)외주면에 상기 자석(20)이 매입된 홀더(10)을 면접 시킨 후 상하부 고정편(14)(15)을 단관(30)외주면에 스폿트 용접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FLOAT)의 자석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홀더(10)의 형상을 일측은 단면을 반원형으로 형성시키고, 타측 내부는 사각형의 공간부(11)를 두어 원통형의 자석(20), 사각형의 긴 자석 (20)이 끼워질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FLOAT)의 자석 고정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홀더(10)의 일측 상하 각각에 절결편(10')(10')을 형성하여 사각형의 짧은 자석(20)을 끼워 고정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부표(FLOAT)의 자석 고정구조.
KR2019990020700U 1999-09-27 1999-09-27 부표(float)의 자석 고정구조 KR200173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700U KR200173862Y1 (ko) 1999-09-27 1999-09-27 부표(float)의 자석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700U KR200173862Y1 (ko) 1999-09-27 1999-09-27 부표(float)의 자석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862Y1 true KR200173862Y1 (ko) 2000-03-15

Family

ID=1959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700U KR200173862Y1 (ko) 1999-09-27 1999-09-27 부표(float)의 자석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8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866B1 (ko) * 2017-03-24 2018-04-27 김태형 마그네틱 레벨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866B1 (ko) * 2017-03-24 2018-04-27 김태형 마그네틱 레벨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0735B2 (en) Vibration generator moving vibrator by magnetic field generated by coil and holder used in vibration-generator
EP1728546A3 (en) Submerged membrane cartrid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03201814A (zh) 继电器
EP2194632B1 (en) Electromagnet actuator
DE69510352D1 (de) Magnetspule für ein geschweisstes kraftstoffeinspritzventil von kleinem durchmesser
KR200173862Y1 (ko) 부표(float)의 자석 고정구조
DE69901596T2 (de) Geräuscharmer Transformator
US4075585A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the manufacture thereof
DE59406486D1 (de) Magnetventil
CA258628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change in a specific gravity of a fluid
JP4646782B2 (ja) 電磁安全弁
JPS57186312A (en) Bistable keep solenoid
KR200456638Y1 (ko) 전자접촉기의 코일단자 지지장치
JP3912602B2 (ja) 蓄電池用端子の製造方法
KR101038121B1 (ko) 수위감지센서
NO20033467D0 (no) Ikke-strukturell oppdriftstank
KR960035736A (ko) 음극선관 및 그 제조방법
US4075586A (en) Electromagnetic relay
JP4644610B2 (ja) 等電点電気泳動装置
US2442981A (en) Electrical switch structure
CA1101024A (en) Retaining means for securing a biasing magnet in a reed relay switching assembly
JP2784988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溶接用電極
KR890006989Y1 (ko) 플로우트 스위치
KR200287890Y1 (ko) 연료량 표시장치
KR790002102Y1 (ko) 쌍 안정극 전자 계전기(Bistable Polarized Re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