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832Y1 - 약주입구가 내장된 젖병 - Google Patents

약주입구가 내장된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832Y1
KR200173832Y1 KR2019980006858U KR19980006858U KR200173832Y1 KR 200173832 Y1 KR200173832 Y1 KR 200173832Y1 KR 2019980006858 U KR2019980006858 U KR 2019980006858U KR 19980006858 U KR19980006858 U KR 19980006858U KR 200173832 Y1 KR200173832 Y1 KR 200173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powdered milk
medicine
open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025U (ko
Inventor
양현중
Original Assignee
양현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현중 filed Critical 양현중
Priority to KR2019980006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832Y1/ko
Publication of KR19980025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0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53Syringes, pipettes or oral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61J11/008Protecting caps
    • A61J11/0085Protecting caps with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 유아에게 약을 먹일 때 사용하는 약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유아가 분유를 먹는 도중에 투여약이 순간적으로 흡입되게 하여 용이하게 약을 먹일 수 있도록해 유아가 울거나 짜증을 내지 않도록 하는 약주입구가 내장된 젖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분유병용기 상측의 투입구에 젖꼭지가 끼워진 뚜껑이 체결되 유아가 분유를 빨아먹을 수 있게 구성된 분유병에 있어서, 분유병용기의 저면에 내측으로 함몰되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고 관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하부에 커버가 부착되는 연질의 패킹과, 패킹의 삽입공에 끼워져 분유병용기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저면에 개폐 가능한 공기유입공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젖꼭지에 이르게 길쭉한 주입호스가 끼워져 외경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약주입구과, 뚜껑 상부에 결합되 젖꼭지가 접히도록 하여 내용물의 유출을 차단하게 경사판이 형성된 상부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유아가 분유를 먹고 있는 와중에 순간적으로 약을 주입해 흡입하도록 하여 분유와 함께 삼키게해 별다른 저항 없이 자연스럽게 먹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약주입구가 내장된 젖병
본 고안은 어린 유아에게 약을 먹일 때 사용하는 약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유아가 분유를 먹는 도중에 투여약이 순간적으로 흡입되게 하여 용이하게 약을 먹일 수 있도록해 유아가 울거나 짜증을 내지 않도록 하는 약주입구가 내장된 젖병에 관한 것이다.
저항력이 발달되지 않은 유아는 질병의 발병률이 높고, 특히 환절기에는 공기가 탁하고 기온의 변화가 심해 호흡기 질환성 질병인 감기에 걸리기 쉬워 부모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계절이다.
일단 질병에 걸린 유아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주사로 약을 투여하거나 또는 물약 및 가루약을 먹이게 되는데, 주사로 약을 투여하는 경우는 부모가 유아를 직접 안고 달래는 와중에 간호원이 짧은 시간에 주사를 놓고 아파서 우는 유아를 달래면 그만이지만, 반면에 물약이나 가루약을 유아에게 먹이기란 매우 까다롭다.
물약은 병에 담겨져 공급되고 별도로 스푼이 첨부되 약을 먹일 수 있게 하거나 투여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근래는 스푼 대용으로 작은 용기가 공급되 유아가 용기내의 약을 빨아먹을 수 있도록 하거나 부모가 강제로 용기내의 약을 유아의 입속에 주입시켜 먹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유아는 먹고 있는 모유나 분유의 맛에 익숙해져 있는 상태이므로 입맛에 맞지 않은 약이 입속에 들어오면 삼키지 않고 뱉거나 토하게되 요를 버리고 유아를 씻겨야 하며 투여약을 낭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가루약은 물이나 물약에 적당량을 타서 상기 물약을 먹이는 방법으로 유아에게 먹이므로 별차이점 없이 어려운 실정이며, 유아를 잡고 강제적으로 먹이게 되면 울면서 몸부림이 심해 약을 흘리게 되고 입속의 약을 토해 투여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게 되며 부모 혼자서는 먹일 수 없어 피로를 한층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유아가 약을 먹을 때 뱉거나 토하는 일 없이 간편하게 먹일 수 있도록 하여 약의 투여량을 파악할 수 있고 무엇보다 부모의 피로를 덜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분유병용기 상측의 투입구에 젖꼭지가 끼워진 뚜껑이 체결되 유아가 분유를 빨아먹을 수 있게 구성된 분유병에 있어서,
분유병용기의 저면에 내측으로 함몰되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끼워지고 관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하부에 커버가 부착되는 연질의 패킹과, 패킹의 삽입공에 끼워져 분유병용기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저면에 개폐 가능한 공기유입공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젖꼭지에 이르게 길쭉한 주입호스가 끼워져 외경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약주입구과,
뚜껑 상부에 결합되 젖꼭지가 접히도록 하여 내용물의 유출을 차단하게 경사판이 형성된 상부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유아가 분유를 먹고 있는 와중에 순간적으로 약을 주입해 흡입하도록 하여 분유와 함께 삼키게해 별다른 저항 없이 자연스럽게 먹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
도 3 내지 도 4 는 본 고안인 약주입구의 요부를 나타낸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인 약주입구에 공기 유입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상부커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 투입구 3. 뚜껑 4. 젖꼭지
5. 개구부 7. 경사판 10. 패킹
12. 삽입공 14. 커버 20. 약주입구
21. 걸림판 22. 삽입구 23. 주입호스
25. 공기유입공 26. 눈금 30. 슬라이드도어
31. 개폐구 32. 슬라이드판
분유를 먹고 있는 와중에 순간적으로 유아의 입속에 약을 주입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한 도 1 과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의 투입구(2)에 젖꼭지(4)가 끼워진 뚜껑(3)이 체결되 유아가 분유를 빨아먹을 수 있도록 구성된 분유병용기(1)의 저면에 내측으로 함몰되 인입되게 관통되는 개구부(5)를 형성한다.
개구부(5)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10)이 끼워지는데 젖꼭지(4)와 같은 연질의 재질을 사용하여 저면에서 개구부(5)에 강제적으로 오므려 끼울 수 있게 하며 상부에는 걸림턱(11)을 형성해 빠지지 않게 하고 그 하측에 끼움홈(13)을 형성해 개구부(5)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한다.
또한 중앙에는 상하 관통되게 삽입공(12)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밀폐되게 착탈 가능한 커버(14)가 부착되며 커버(14)의 상부면에 돌출부(15)를 형성해 결합시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패킹(10)이 구성된다.
패킹(10)의 삽입공(12)에 밀폐되게 끼워져 분유병용기(1)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결합되는 약주입구(20)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외경이 형성되고 외주에 눈금(26)이 표시되 내부에 주입된 량을 알 수 있게 되고 상측에 좁은 삽입구(22)가 형성되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가늘고 길쭉한 주입호스(23)가 착탈 가능케 끼워지며 주입호스(23)는 삽입구(22)에 끼워져 젖꼭지(4)에 이르게 된다.
약주입구(20)의 하측에는 걸림판(21)이 면적이 넓게 형성되 패킹(10)의 삽입공(12)에 끼워질시 걸림판(21)이 내측에 걸려 결합되게 하고 걸림판(21)의 저면 중앙에는 개폐 가능한 공기유입공(25)이 형성되 약주입구(20)의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약주입구(20)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본 고안의 방법은 도 3 내지 도 5 와 같이 저면에 공기유입공(25)이 형성되고 이 공기유입공(25)을 개폐하는 슬라이드도어(30)가 장착되는 것으로, 슬라이드도어(30)는 손가락으로 밀수 있는 개폐구(31)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공기유입공(25)을 차단할 수 있는 슬라이드판(32)이 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걸림판(21)의 저면엔 상기 슬라이드도어(30)의 슬라이드판(32) 양측단이 끼워져 이송되는 슬라이드홈(24)이 슬라이드판(32)의 길이보다 길게 양측에 형성되 공기유입공(25)을 개폐 가능케 하여 슬라이드도어(30)의 작동으로 약주입구(20)내에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분유병을 흔들거나 넘어트렸을 경우 젖꼭지(4)의 배출공으로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젖꼭지(4)에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뚜껑(3)의 상부에 끼워지는 상부커버(6)의 내측에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사판(7)을 형성하여 뚜껑(3)에 상부커버(6)를 결합할시 경사판(7)에 젖꼭지(4)가 접촉되 접히도록 하여 내용물이 배출공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결합 및 작용은 먼저 분유병용기(1)의 개구부(5)에 패킹(10)을 오므려 강제로 끼운 후, 하측의 커버(14)를 열고 삽입공(12)에 약주입구(20)을 끼우게 되는데 이때 약주입구(20)의 내부에는 하측의 공기유입공(25)을 차단하고 상측의 삽입구(22)로 약이 투입되 눈금(26)에 의해 주입량이 파악되며 주입호스(23)가 삽입구(22)에 끼워져 결합된다.
약주입구(20)을 삽입공(12)에 밀어 끼우면 하부가 넓어지는 외경에 의해 연질의 패킹(10)이 벌어지며 개구부(5)와 약주입구(20)의 외주면에 밀착되 밀폐되고 걸림판(21)이 패킹(10)의 하측에 결합되고 커버(14)가 그 아래에 체결되는데 커버(14)의 돌출부(15)가 패킹(10)의 하부에 끼워져 밀폐를 도모하게 된다.
개구부(5)가 저면의 내측으로 함몰되 형성되므로 패킹(10)과 약주입구(20)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분유병용기(1)가 바닥에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분유병용기(1)에 분유를 타서 유아에게 먹이게 되며 유아가 분유를 먹는 와중에 패킹(10)의 커버(14)를 열고 슬라이드도어(30)의 개폐구(31)를 밀어 공기유입공(25)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면 유아가 분유를 빠는 흡입력으로 약주입구(20)내의 약이 빨려 순간적으로 흡입되 삼키는 것이며 분유와 함께 흡입되 유아가 저항 없이 자연스럽게 먹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판(32)이 공기유입공(25)을 밀폐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공기가 약주입구(20)내로 유입되지 못해 내부의 약이 주입호스(23)로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자주 먹는 분유와 함께 먹일 수 있어 약먹이는 시간을 맞출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유아가 분유를 먹고 있는 와중에 순간적으로 약을 주입해 흡입하도록 하여 분유와 함께 삼키게해 별다른 저항 없이 자연스럽게 먹일 수 있어 약의 낭비를 막고 약을 흘리거나 토하지 않게 되며 약먹는 시간과 투여량을 지킬 수 있으며 부모의 피로를 덜어 주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분유병용기(1) 상측의 투입구(2)에 젖꼭지(4)가 끼워진 뚜껑(3)이 체결되 유아가 분유를 빨아먹을 수 있게 구성된 분유병에 있어서,
    분유병용기(1)의 저면에 내측으로 함몰되 형성되는 개구부(5)와,
    상기 개구부(5)에 끼워지고 관통되는 삽입공(12)이 형성되며 하부에 커버(14)가 부착되는 연질의 패킹(10)과,
    패킹(10)의 삽입공(12)에 끼워져 분유병용기(1)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저면에 개폐 가능한 공기유입공(25)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젖꼭지(4)에 이르게 길쭉한 주입호스(23)가 끼워지며 외경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눈금(26)이 표시된 약주입구(20)과,
    뚜껑(3) 상부에 결합되 젖꼭지(4)가 접히도록 하여 내용물의 유출을 차단하게 경사판(7)이 형성된 상부커버(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주입구가 내장된 젖병.
KR2019980006858U 1998-04-25 1998-04-25 약주입구가 내장된 젖병 KR200173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858U KR200173832Y1 (ko) 1998-04-25 1998-04-25 약주입구가 내장된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858U KR200173832Y1 (ko) 1998-04-25 1998-04-25 약주입구가 내장된 젖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25U KR19980025025U (ko) 1998-07-25
KR200173832Y1 true KR200173832Y1 (ko) 2000-06-01

Family

ID=1953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858U KR200173832Y1 (ko) 1998-04-25 1998-04-25 약주입구가 내장된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8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902B1 (ko) * 2004-10-21 2006-09-19 이선재 약 먹이는 젖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025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3915A (en) Medicated pacifier
KR920000109B1 (ko) 투약용 뚜껑이 달린 컵
US7753886B2 (en) Medicine dispensing system
US5129532A (en) Pediatric-medicinal dispensing system
WO2012052853A2 (en) Oral dosing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medication
US20150290089A1 (en) Vented pacifier
US20060155331A1 (en) Pacifier for administering flavour substances
US20070194060A1 (en) Dosing Dummy
KR101373476B1 (ko) 유아용 투약주사기
US4959051A (en) Dual chambered oral dosage delivery container
KR200173832Y1 (ko) 약주입구가 내장된 젖병
ES2325231T3 (es) Envase desechable para bebidas.
KR20060032135A (ko) 경구 섭취용 고형 성형물의 연하용 수용체, 그 수용체용용기 및 연하 방법
WO2009033202A1 (en) Liquid medication dispensing device for a child
US20050125038A1 (en) Unit for delivering a single dosage of a liquid medicine
KR200407106Y1 (ko) 뚜껑이 구비된 유아용 투약기
US20040006303A1 (en) Oral medicine delivery apparatus
KR200188621Y1 (ko) 유아용 투약기
US20050040054A1 (en) Dispensing aid for administering medications to infants.
CN211461281U (zh) 婴儿喂药器
KR19980017602U (ko) 유아용 투약용기
CN213822588U (zh) 一种婴幼儿用口服液瓶
CN210301750U (zh) 一种儿童颗粒剂喂药器
KR850003203Y1 (ko) 투약용 약숫가락
WO2001021133A1 (en) W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