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514Y1 - 조립식 완구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완구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514Y1
KR200173514Y1 KR2019990020268U KR19990020268U KR200173514Y1 KR 200173514 Y1 KR200173514 Y1 KR 200173514Y1 KR 2019990020268 U KR2019990020268 U KR 2019990020268U KR 19990020268 U KR19990020268 U KR 19990020268U KR 200173514 Y1 KR200173514 Y1 KR 200173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fixing
shape
hole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민
Original Assignee
송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민 filed Critical 송석민
Priority to KR2019990020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5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10)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상부몸체(11)의 외부로 표현되는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20)가 구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외부에 하부몸체(12)의 외부에 표현되는 장식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30)로 구성됨으로서, 완구에 페인트를 사용하지 않아 칠이 벗겨져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페인트의 유해성분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며, 또한 기존 제품과의 차별을 두어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조립식 완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완구의 결합구조{assembling structure of a toy}
본 고안은 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 및 분해하여 사용하는 조립식 완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 완구는,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어린이들의 장난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어린이들의 시각을 자극하는 화려한 색상으로 많이 만들어져, 어린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갖고 싶어하는 충동과 가지고 놀고 싶은 마음을 만들고 있다.
이러한 블록 완구는, 화려한 색상으로 처리된 여러개의 외부 부품을 조립하면서 외형을 완성하는 것으로, 이의 대표적인 것으로 로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로보트의 조립이 완성되면,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해 스티커 같은 것으로 얼굴이나 팔, 다리에 스티커를 부착하여 장식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록 완구는, 페인트 칠을 사용하여 미관을 좋게 하는 반면에, 사용중에 페인트 칠이 벗겨져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페인트의 유해성분인 납 등이 사용자의 입을 통해 몸속에 침투하므로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경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완구에 페인트를 사용하지 않아 칠이 벗겨져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페인트의 유해성분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조립식 완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부몸체의 외부로 표현되는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와; 상기 몸체의 외부에 하부몸체의 외부에 표현되는 장식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며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상부몸체
12: 하부몸체 20: 제1고정부
21: 제1고정부재 22: 제2고정부재
23: 지지부재 30: 제2고정부
31: 제1장식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상부몸체(11)와 하부몸체(12)를 결합하여 구비된 몸체(10)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상부몸체(11)의 외부로 표현되는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20)가 구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외부에 구비되어 하부몸체(12)의 외부에 표현되는 장식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30)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10)는, 외부로 관통되며 어떤 모양의 형상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제1관통공(111)과 제2관통공(112)이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공(111)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113)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턱(113)의 상부 내측에 고정공(114a)이 구비된 리브(114)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끼움공(115)이 구비된 상부몸체(11)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1)의 끼움공(115)에 대향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끼움돌기(121)가 구비되고, 내부에 돌출된 지지돌기(122)가 구비되며, 외부로 관통된 제1,2,3장식공(123)(124)(12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공(114a)과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돌기(126)가 구비된 하부몸체(12)가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20)는, 일측면에 제1고정돌기(211)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상부몸체(11)의 제1관통공(1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볼과 혀 형상의 모양으로 구비된 제1고정부재(21)가 구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21)의 상부 일측면에 제2고정돌기(221)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상부몸체(11)의 제2관통공(1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눈과 코 형상의 모양으로 구비된 제2고정부재(22)가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21)와 제2고정부재(22)를 지지하며 제1고정돌기(211)와 제2고정돌기(22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된 제1고정공(231)과, 제2고정공(232)이 구비되고, 상부에 관통된 지지공(233)이 구비된 지지부재(23)는, 상부 양측에 뿔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30)는, 상기 하부몸체(12)의 제1장식공(123)에 끼워지는 제1장식돌기(311)가 대향하게 구비된 제1장식부재(31)가 구성되고, 상기 제2장식공(124)에 끼워지는 제2장식돌기(321)가 대향하게 구비된 제2장식부재(32)가 구성되며, 상기 제3장식공(125)에 끼워지는 제3장식돌기(331)가 구비된 제3장식부재(33)는 꼬리 모양으로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통된 제1,2관통공(111)(112)과 내측에 지지턱(113)이 구비된 상부몸체(11)에, 일측에 제1고정돌기(211)가 구비되고 볼과 혀 모양의 형상으로 구비된 제1고정부재(21)를 상기 상부몸체(11)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턱(113)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키면, 상부몸체(11)의 제1관통공(111)에 끼워진다. 이때, 제1고정부재(21)는볼과 혀 형상의 모양으로 구비되어 있어 외부에서 볼 때 볼과 혀 모양으로 보여지며, 또 일측에 제2고정돌기(221)가 구비되고 눈과 코 모양의 형상으로 구비된 제2고정부재(22)를 상기 제1고정부재(21)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키면, 상부몸체(11)의 제2관통공(112)에 끼워진다. 이때, 제2고정부재(22)는 눈과 코 형상의 모양으로 구비되어 있어 외부에서 볼 때 눈과 코 모양으로 보여진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고정된 제1,2고정부재(21)(22)의 제1,2고정돌기(211)(221)와 제1,2고정공(231)(232)을, 상기 상부몸체(11)의 리브(114)와 지지공(233)을 동일선상으로 위치하여 상부 양측에 뿔 모양으로 구비된 지지부재(23)를 결합한다.
또한, 하부몸체(12)의 외부에 관통된 제1장식공(123)에는 제1장식돌기(311)가 구비된 제1장식부재(31)를 끼워 결합하고, 제2장식공(124)에는 제2장식돌기(321)가 구비된 제2장식부재(32)를 끼워 결합하며, 제3장식공(125)에는 제3장식돌기(331)가 구비되고, 꼬리 형상의 모양으로 구비된 제3장식부재(33)를 끼워 결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부몸체(11)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공(114a)과 외주에 구비된 다수개의 끼움공(115)을 하부몸체(12)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돌기(126)과 외주에 구비된 다수개의 끼움돌기(121)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여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된 몸체(10)는, 상기의 결합된 순서의 역순으로 분해할 수 있고, 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조립식 완구의 결합구조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부몸체의 외부로 표현되는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를 구성하며, 상기 몸체의 외부에 하부몸체의 외부에 표현되는 장식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로 구성함으로서, 완구에 페인트를 사용하지 않아 칠이 벗겨져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페인트의 유해성분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며, 또한 기존 제품과의 차별을 두어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여러 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장난감을 조립하거나 분해하여 사용하는 완구에 있어서,
    외부로 관통되며 어떤 모양의 형상으로 구비된 다수개의 제1관통공(111)과 제2관통공(112)이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공(111)의 하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턱(113)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턱(113)의 상부 내측에 고정공(114a)이 구비된 리브(114)가 구비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끼움공(115)이 구비된 상부몸체(11)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1)의 끼움공(115)에 대향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끼움돌기(121)가 구비되고, 내부에 돌출된 지지돌기(122)가 구비되며, 외부로 관통된 제1,2,3장식공(123)(124)(12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공(114a)과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돌기(126)가 구비된 하부몸체(12)로 구성된 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11)의 제1관통공(111)에 끼워지며, 볼과 혀 형상의 모양으로 구비된 제1고정부재(21)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11)의 제2관통공(112)에 끼워지며, 눈과 코 형상의 모양으로 구비된 제2고정부재(22)가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21)와 제2고정부재(22)를 지지하며 상부에 대향하게 뿔 모양의 형상으로 구비된 지지부재(23)가 구성된 제1고정부(20)와;
    상기 하부몸체(12)의 제1장식공(123)에 끼워지는 제1장식돌기(311)가 구비된 제1장식부재(31)가 구성되고, 상기 제2장식공(124)에 끼워지는 제2장식돌기(321)가 구비된 제2장식부재(32)가 구성되며, 상기 제3장식공(125)에 끼워지는 제3장식돌기(331)가 구비되며 꼬리 모양으로 형성된 제3장식부재(33)가 구성된 제2고정부(3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의 결합구조.
KR2019990020268U 1999-09-20 1999-09-20 조립식 완구의 결합구조 KR200173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268U KR200173514Y1 (ko) 1999-09-20 1999-09-20 조립식 완구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268U KR200173514Y1 (ko) 1999-09-20 1999-09-20 조립식 완구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514Y1 true KR200173514Y1 (ko) 2000-03-15

Family

ID=1958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268U KR200173514Y1 (ko) 1999-09-20 1999-09-20 조립식 완구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5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5350B1 (en) Ball with a jigsaw cover
US6439945B1 (en) Octopus-shaped built-up toy
KR200173514Y1 (ko) 조립식 완구의 결합구조
JPH0246956Y2 (ko)
US5938153A (en) Clone pops
US6648714B1 (en) Toy brick
US8257132B2 (en) Doll kit
CN211798775U (zh) 一种拼装玩具
JP2005342124A (ja) 組立玩具
CN216798692U (zh) 积木玩偶
CN217119329U (zh) 一种手指离心机
CN212395866U (zh) 一种拼装玩具
WO2022163087A1 (ja) 組立玩具
CN217409722U (zh) 组装玩具人偶和玩具套装
CN114130040B (zh) 积木玩偶
KR200378821Y1 (ko) 발광장치가 구비된 훌라우프
USD410547S (en) Kit for a combination plush toy and teether
CN210356030U (zh) 一种组装积木人仔
JP3218396U (ja) 玩具
JP5492678B2 (ja) 組み立て玩具
KR20170001230U (ko) 장식물이 부가된 칫솔
KR200237406Y1 (ko) 물안경
KR960005653Y1 (ko) 봉제완구의 뱃지 결합장치
KR200172897Y1 (ko) 입설다리 및 착탈가능한 장식구를 구비하는 칫솔
KR200232198Y1 (ko) 알파벳을 포함하는 입체식 조립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