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294Y1 - Stapler with a punch - Google Patents

Stapler with a pun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294Y1
KR200173294Y1 KR2019990020659U KR19990020659U KR200173294Y1 KR 200173294 Y1 KR200173294 Y1 KR 200173294Y1 KR 2019990020659 U KR2019990020659 U KR 2019990020659U KR 19990020659 U KR19990020659 U KR 19990020659U KR 200173294 Y1 KR200173294 Y1 KR 200173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tapler
hole
punch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6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태정
Original Assignee
최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정 filed Critical 최태정
Priority to KR2019990020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29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294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25C5/0214Combined stapling and punch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25C5/0221Stapling tools of the table model type, i.e. tools supported by a table or the work during operation
    • B25C5/0242Stapling tools of the table model type, i.e. tools supported by a table or the work during operation having a pivoting upper leg and a leg provided with an anvil supported by the table or work
    • B25C5/025Stapling tools of the table model type, i.e. tools supported by a table or the work during operation having a pivoting upper leg and a leg provided with an anvil supported by the table or work the plunger being manu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테이플러기능과 펀치기능을 갖고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펀치 겸용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nch stapler combined with a stapler function and a punch function to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본 고안의 구성상 특징은 후단부 양쪽에 벽면(11)을 갖는 베이스(10)와, 철침을 수용하는 피더(20)와, 상기 베이스(10)의 벽면(11) 외측으로 후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종이에 철침을 박기 위하여 손으로 누르게 되는 레버(30)로 구성된 통상의 스테이플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후단부 저면에는 수직공(12)을 형성하고 양쪽 벽면(11)의 하단부에는 일측에서 종이를 삽입할 수 있도록 슬릿(14)을 형성하고, 상기 피더(20)는 상기 레버(30)에 제1축설공(31)을 형성하여 축설하고 상기 레버(30)는 상기 벽면(11)에 제2축설공(15)을 형성하여 레버축(32,32')으로 축설하는 한편, 하단부에 인선(41)을 형성한 플런저(40)를 더 구비하여 상단은 상기 레버(30)의 저면과 대면하고 하단은 상기 수직공(12)으로 입출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양쪽 벽면(11) 사이에 스프링(43)으로 탄설하며,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 펀칭된 종이조각을 모으는 수집통(50)을 더 구비함으로써,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여 종이를 펀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structur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base 10 having the wall surface 11 at both rear ends, the feeder 20 for accommodating the iron needle, and the rear end portion can be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wall surface 11 of the base 10. In the conventional stapler consisting of a lever 30 is pressed by hand to put a needle on the paper, in the bottom end of the base 10 to form a vertical hole (12) and the lower end of both wall surfaces (11) A slit 14 is formed to insert a paper from one side, and the feeder 20 forms a first shaft hole 31 in the lever 30 to be laid out and the lever 30 is the wall surface 11. ) And a second plunger hole (15) formed in the lever shaft (32, 32 '), while the plunger (40) having a cutting line (41) formed at the lower end, the upper end of the lever 30 It faces the bottom and the bottom is a spring (43) between the both walls 11 in a state that can enter and exit the vertical hole (12) Sulfonic, and to by further comprising a collector 50 to collect punched paper scraps to a lower portion of the base 10, by using a stapler to punching the paper.

Description

펀치겸용 스테이플러 {Stapler with a punch}Punch Stapler {Stapler with a punch}

본 고안은 사무용구로서 종이를 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스테이플러기능과 펀치기능을 갖고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펀치 겸용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ironing paper as office equipment, and has a stapler function and a punch function, and relates to a punch combined stapler which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본 출원은 본 출원인의 199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19023호 및 1997년 실용신안등록출원 4723호의 우선권주장출원입니다.This application is a priority application for the Applicant's 1998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19023 and 1997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4723.

스테이플러는 여러 장의 종이에 철침을 박아 제책(製冊)할 때 사용되며 펀치는 여러 장의 종이에 구멍을 뚫어 끈 등으로 제책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대부분의 사무실에 비치하여 두고 자주 사용된다.The stapler is used to staple several sheets of paper and punches, and the punch is used to punch holes in several sheets of paper and use it as a strap.

그런데 상기와 같은 스테이플러와 펀치가 동체(同體)로 되어 있지 않아서, 이들 물품을 별도로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으며 보관할 때나 사용할 때에도 불편한 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stapler and the punch are not made of a fuselag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conomic burden of separately purchasing these items, and there are inconveniences when storing or using them.

본 고안은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고 보관과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스테이플러에 펀치기능을 부가한 펀치 겸용 스테이플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nch combined stapler with a punch function to reduce the economic burden and convenience for storage and use.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1 to 5 are diagram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부품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compon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을 스테이플러로 사용되는 상태 단면도.Figure 2 is a state cross-sectional view used as a sta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3은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3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을 펀치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used as a punch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5는 종이를 삽입하기 위한 슬릿이 전방에 형성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lit for inserting a paper is formed in front.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펀치기능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6 and 7 are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used as a punch function.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을 스테이플러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본 고안을 펀치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8 to 10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tapler, and FIG. 10 is shown in FIG. 9.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punch.

도 11은 제3실시예에서 펀치기능을 변형한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unch function is modified in the third embodiment;

도12 내지 도14는 본 고안을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12 to 14 is a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2는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주요 구성부품의 분해 사시도.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jor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은 도12에 도시한 본 고안을 스테이플러로 사용하는 상태 단면도.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2 is used as a stapler. FIG.

도14는 도12에 도시한 본 고안을 펀치로 사용하는 상태 단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2 as a punch;

도15 내지 도17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15 to 17 is a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5는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주요 구성부품의 분해 사시도.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jor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6은 도15에 도시한 본 고안을 스테이플러로 사용하는 상태 단면도.Fig. 16 is a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5 as a stapler.

도17은 도15에 도시한 본 고안을 펀치로 사용하는 상태 단면도.Fig. 17 is a state sectional view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5 as a punch;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베이스 11; 벽면 12; 수직공 13; 스토퍼10; Base 11; Wall 12; Vertical hole 13; stopper

13a; 장공 14; 슬릿 15,15'; 제2축설공 16; 성형대13a; Long hole 14; Slit 15,15 '; Second snow laying 16; Molding

17; 플랜지 18; 스커트 19; 걸림턱 20; 피더17; Flange 18; Skirt 19; Hanging jaw 20; Feeder

21; 피더축 30; 레버 31; 제1축설공 32,32'; 레버축21; Feeder shaft 30; Lever 31; First snow laying hole 32, 32 '; Lever shaft

33; 구멍 34; 누름편 35; 슬라이드공33; Hole 34; Push piece 35; Slide ball

36; 개구부 37; 고정공 40; 플런저 41; 인선36; Opening 37; Fastener 40; Plunger 41; Edge

42; 홈 43; 스프링 44; 고정링 45; 브라켓42; Home 43; Spring 44; Retaining ring 45; Brackets

46; 관통공 50; 수집통46; Through hole 50; Collector

본 고안의 구성상 특징은 후단부 양쪽에 벽면(11)을 갖는 베이스(10)와, 철침을 수용하는 피더(20)와, 상기 베이스(10)의 벽면(11) 외측으로 후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종이에 철침을 박기 위하여 손으로 누르게 되는 레버(30)로 구성된 통상의 스테이플러에 있어서,The structur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base 10 having the wall surface 11 at both rear ends, the feeder 20 for accommodating the iron needle, and the rear end portion can be rotated to the outside of the wall surface 11 of the base 10. In the conventional stapler, which is composed of a lever 30 that is coupled and pressed by hand to penetrate the paper,

상기 베이스(10)의 후단부 저면에는 수직공(12)을 형성하고 양쪽 벽면(11)의 하단부에는 일측에서 종이를 삽입할 수 있도록 슬릿(14)을 형성하고, 상기 피더(20)는 상기 레버(30)에 제1축설공(31)을 형성하여 축설하고 상기 레버(30)는 상기 벽면(11)에 제2축설공(15)을 형성하여 레버축(32,32')으로 축설하는 한편, 하단부에 인선(41)을 형성한 플런저(40)를 더 구비하여 상단은 상기 레버(30)의 저면과 대면하고 하단은 상기 수직공(12)으로 입출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양쪽 벽면(11) 사이에 스프링(43)으로 탄설하며,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 펀칭된 종이조각을 모으는 수집통(50)을 더 구비함으로써,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여 종이를 펀칭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 vertical hole 1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ar end of the base 10, and a slit 14 is formed at the lower ends of both wall surfaces 11 so that paper can be inserted from one side, and the feeder 20 is the lever. The first shaft hole 31 is formed and laid in the 30, and the lever 30 forms the second shaft hole 15 in the wall 11 to be laid in the lever shafts 32, 32 ′. In addition, the lower end further includes a plunger 40 having a cutting line 41 formed thereon, the upper end of which faces the bottom of the lever 30 and the lower end of the both sides of the wall 11 in the state that can be entered into the vertical hole 12 It is equipped with a collecting tank 50 for collecting the paper pieces punch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10, and the spring 43 between the), so that the paper can be punched using a stapler.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 구성부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을 스테이플러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을 펀치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종이를 삽입하기 위한 슬릿이 전방에 형성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to 5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used as a stapler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s used as a punch, and FIG. 5 is a state in which a slit for inserting paper is formed in front Side view.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And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을 스테이플러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본 고안을 펀치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8 to 10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stapler, and FIG. 10 is shown in FIG. 9.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ed the state used as a punch for this invention shown.

또한, 도 11은 제3실시예에서 펀치기능을 변형한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unch function is modified in the third embodiment.

본 고안은 스테이플러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기본적으로 베이스(10)와 피더(20)와 레버(30) 구비하고, 여기에 부가적으로 플런저(40)와 수집통(50) 등을 구비하여 펀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수집통(50)은 플라스틱재로 만들며, 이 수집통(50)을 제외한 여타 부품들은 금속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provided with a base 10, a feeder 20 and a lever 30, so as to have a stapler function, and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plunger 40 and a collecting container 50 to provide a punch function. Do it. The collection container 5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other components except the collection container 50 are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에 예시한 바와같이, 베이스(10)의 후단부 양쪽에는 일반적인 스테이플러에 있는 것과 같은 벽면(11)을 가지고 있다. 이 벽면(11)의 앞쪽에는 내향으로 절곡된 걸림턱(19)이 형성되어 피터(20)의 선단이 성형대(16)에 근접되었을 때 또는 종이에 철침이 박히기 직전에 피터(20)의 후측 하단 양쪽이 걸리게 된다.As illustrated in FIG. 1, both rear ends of the base 10 have wall surfaces 11 as in a typical stapler. In front of the wall 11, a locking jaw 19 bent inwardly is formed so that the tip of the Peter 20 is close to the forming table 16 or just before the iron is imbedded in the paper. The rear bottom will be caught on both sides.

물론, 상기한 걸림턱(19)은 브라켓(45)이나 베이스(10)의 일부를 변형시키거나 별도의 금속편을 베이스(10)에 고착시키는 방법으로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게 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locking jaw 19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by deforming a part of the bracket 45 or the base 10 or by fixing a separate metal piece to the base 10.

벽면(11)에 형성된 제2축설공(15)에는 레버(30)가 레버축(32)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레버축(32)은 단면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 레버축(32)이 끼워지는 레버(30)의 구멍(33)도 타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제2축설공(15)은 서로 다른 위치와 높이로 형성된 2개의 타원형 구멍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다시말해서 제2축설공(15)의 타원형 구멍은 레버축(32) 단면의 장축길에 상당하고 두 타원형 구멍을 연결하는 통로의 폭은 레버축(32) 단면의 단축길이에 상당하도록 함으로써 의도적으로 레버(30)를 움직이면 레버축(32)이 통로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레버(30)의 작동시에는 레버축(32)의 위치가 자연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The lever 30 is connected to the lever shaft 32 to the second shaft snow hole 15 formed in the wall surface 11. Here, the lever shaft 32 is elliptical in cross section, and the hole 33 of the lever 30 into which the lever shaft 32 is fitted is also elliptical, and the second shaft snow holes 15 have different positions and heights. Two oval holes formed as are connected to one. In other words, the elliptical hole of the second shaft hole 15 corresponds to the long axis leng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lever shaft 32, and the width of the passage connecting the two elliptical holes corresponds to the short lengt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lever shaft 32 intentionally. By moving the lever 30, the lever shaft 32 can be moved along the passage, and when the lever 30 is operated, the position of the lever shaft 32 is naturally suppressed from being changed.

그리고 레버(30)에는 베이스(10)에 축설하기 위한 레버(30)측 구멍(33)의 앞쪽에 피더(20)의 후단을 축설하기 위한 제1축설공(31)을 폭방향으로 형성하고 이 제1축설공(31)에는 피더축(21)을 사용하여 피더(20)를 베이스(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In the lever 30, a first shaft hole 31 for forming the rear end of the feeder 20 i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in front of the lever 30 side hole 33 for laying on the base 10. The feed shaft 2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10 using the feeder shaft 21 in the first shaft hole 31.

이 제1축설공(31)은 호형상의 장공으로 형성하여 피더(20)가 걸림턱(19)에 걸린 후 철침이 종이에 박히는 동안에 레버(30)를 누름에 따른 피터(20)의 투영길이차에 상당하는 길이를 흡수하여 주게 된다.The first shaft hole 31 is formed as an arc-shaped long hole so that the projection length of the Peter 20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lever 30 while the feeder 20 is caught by the catching jaw 19 and the iron needle is stuck in the paper. It will absorb the length equivalent to the car.

수직공(12)은 대략 제1축설공(31)과 제2축설공(15)의 중간위치에 대응되도록 베이스(10)의 후단부 저면에 원형의 구멍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한 것으로, 바람직하기로는 후술하는 플런저(4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원형으로 형성한다.The vertical hole 12 is formed by forming a circular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base 10 so as to correspond approximately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now holes 31 and 15, preferably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lunger 40 to be described later.

슬릿(14)은 양쪽 벽면(11)의 뒤쪽에 형성하여 종이를 후방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하거나, 도 5에서와 같이 양쪽 벽면(11)의 앞쪽에 형성하여 전방에서 종이를 삽입할 수 있도록 편의에 따라 제작할 수 있다. 이 슬릿(14)의 깊이는 일측에서 보았을 때 수직공(12)이 형성된 위치 보다 깊게 형성하여야 한다.The slits 14 are formed at the rear of both wall surfaces 11 so that the paper can be inserted from the rear side, or as shown in FIG. 5, formed at the front of both wall surfaces 11 so that the paper can be inserted from the front side. Can produce accordingly. The depth of this slit 14 should be formed deep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vertical hole 12 is viewed from one side.

예시한 플런저(40)는 통상적인 펀치에서 구비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하단에는 원호 형태의 인선(41,刃先), 즉 칼날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플런저(40)의 외주면에는 홈(42)이 형성되어 고정링(44)과 코일형 스프링(43)을 끼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Exemplary plunger 40 is the same as that provided in a conventional punch, and the lower edge is formed with an arc-shaped edge 41, that is, a blade. A groove 4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nger 40 so that the fixing ring 44 and the coil spring 43 can be fitted.

본 고안에서는, 상하면에 각각 수직관통공(46)이 형성된 박스형의 브라켓(45)을 구비하여 상기한 플런저(40)를 기능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브라켓(45)의 내부에 스프링(43)을 개재한 상태에서 수직관통공(46)을 통하여 플런저(40)를 삽입한 후 고정링(44)을 플런저(40)의 외주면에 끼워 고정함으로서 스프링(43)에 의해 플런저(40)를 상향으로 탄지시키며 플런저(40)의 상단은 레버(30)의 후단부 저면을 상향으로 탄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플런저(40)의 하단이 수직공(12)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브라켓(45)을 베이스(10)의 양측 벽면(11)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브라켓(45)을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베이스(10)의 양측 벽면(11)의 하단부를 내향으로 절곡하여 플랜지(17)를 형성하여 이 플랜지(17)에 브라켓(45)의 저면이 안착되도록 하고 브라켓(45)의 상단부는 벽면(11)의 상단에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box-shaped bracket 45 having vertical through holes 46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so that the plunger 40 can be functionally installed. As shown in FIG. 3, the plunger 40 is inserted through the vertical through hole 46 through the spring 43 in the bracket 45, and then the fixing ring 44 is inserted into the plunger 40. By fix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unger 40 is held upward by the spring 43,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40 is to hold the bottom of the rear end of the lever 30 upward. Then, the bracket 45 is inserted between both side walls 11 of the base 1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40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hole 12. As shown in FIG. 3, in order to reliably couple the bracket 45, the lower ends of both side wall surfaces 11 of the base 10 are bent inward to form a flange 17, and the bracket 17 is formed on the flange 17.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bottom of the 45 to be seated and to weld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45 to the upper end of the wall surface 11.

수집통(50)은 베이스(10)의 크기에 맞는 형태로써 쉽게 베이스(10)에 쉽게 탈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 수집통(50)은 펀칭된 종이조각을 모으고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시한 바와같이 베이스(10)의 저면 둘레에 일정 높이의 스커트(18)를 형성하여 이 스커트(18) 부위에 수집통(50)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llecting container 50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easily detached to the base 10 in a shape that fits the size of the base 10. The collecting container 50 collects and collects the punched pieces of paper, and forms a skirt 18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round the bottom of the base 10 as illustrated, and collects the piece of paper at the skirt 18.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fix the cylinder 50.

이러한 구조로 된 제1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사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ving such a structure as follows.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을 스테이플러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30)를 움직여서 레버축(32)이 제2축설공(15)의 상측 구멍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초기에 레버(30)는 스프링(43)의 탄성력을 받는 플런저(40)에 의하여 레버(30)가 상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레버(30)가 상향으로 지지된 상태에서는 플런저(40)의 하단은 항상 슬릿(14)보다 높은 위치에서 대기중인 상태에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as a stapler, the lever shaft 32 should be moved in the state where the lever shaft 32 is located in the upper hole of the second shaft hole 15 by moving the lever 30. Initially, the lever 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30 is upwardly supported by the plunger 40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3, and the plunger 40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lever 30 is upwardly supported. The lower end of is always in a waiting stat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lit 14.

이와같은 상태에서 통상적인 스테이플러의 사용법과 마찬가지로 피더(20)를 레버(30)에 내재시킨 상태에서 베이스(10)의 선단에 있는 성형대(16)에 종이를 올려놓고, 레버(30)를 누르면 피터(20)가 하강하다가 피터(20)의 선단이 성형대(16)에 근접되었을 때 또는 종이에 철침이 박히기 직전에 피터(20)의 후측 하단 양쪽이 걸림턱(19)에 걸리게 된다. 이때, 피더(20)의 선단은 성형대(16)에 정위치 되고 레버(30)를 더 누르면 누름편(34)이 철침을 눌러 종이에 박히게 한다. 이와같이 철침이 종이에 박히는 동안에는 걸림턱(19)에 의하여 회전이 저지되고 레버(30)를 누름에 따라 피더(20)의 투영길이가 늘어 나는 만큼 피더축(21)이 제1축설공(31)에서 후방으로 밀려나서 철심이 박히는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게 된다.In this state, in the state in which the feeder 20 is embedded in the lever 30, the paper is placed on the forming table 16 at the tip of the base 10, and the lever 30 is pressed in the same manner as a normal stapler. When the Peter 20 descends and the tip of the Peter 20 approaches the forming table 16 or just before the paper is imbedded, both rear lower ends of the Peter 20 are caught by the catching jaw 19. 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feeder 20 is positioned on the forming table 16 and presses the lever 30 further so that the pressing piece 34 is pressed into the paper by pressing the iron needle. In this way, while the needle is stuck in the paper, the rotation is inhibited by the locking jaw 19, and as the projection length of the feeder 20 increases as the lever 30 is pressed, the feeder shaft 21 is the first shaft hole 31. It will be pushed back from the to maintain the exact position of the iron core.

한편, 레버(30)를 누름에 따라 스프링(43)이 압축되면서 플런저(40)도 하강하여 수직공(12)을 통과하지만 종이에 철침을 박는데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레버축(32)의 위치상 스토퍼(13)가 레버(30)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도 않는다. 종이에 철침을 박은 후에 레버(3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43)이 탄성복원력으로 플런저(40)의 상단이 레버(30)를 상향으로 밀어주어 레버(30) 및 피더(20)는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spring 43 is compressed as the lever 30 is pressed, the plunger 40 is also lowered to pass through the vertical hole 12, but the position of the lever shaft 32 is not impeded at all to impinge on the paper. The upper stopper 13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30. After removing the force applied to the lever 30 after sticking the paper, the spring 43 i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40 pushes the lever 30 upwards, so that the lever 30 and the feeder 20 It will be in the standby state.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을 펀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30)를 움직여서 레버축(32)이 제2축설공(15)의 하측 구멍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초기에 레버(30)는 스프링(43)의 탄성력을 받는 플런저(40)에 의하여 레버(30)가 상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레버(30)가 상향으로 지지된 상태에서는 플런저(40)의 하단은 항상 슬릿(14)보다 높은 위치에서 대기중인 상태에 있게 된다.4 and 5, whe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s a punch, the lever shaft 32 is moved to the lower hole of the second shaft hole 15 by moving the lever 30. Should be used at Initially, the lever 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30 is upwardly supported by the plunger 40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3, and the plunger 40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lever 30 is upwardly supported. The lower end of is always in a waiting stat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lit 14.

이 상태에서 피더(20)를 레버(30)에 내재시킨 상태에서 벽면(11)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형성된 슬릿(14)에 종이를 삽입하여 놓고 레버(30)를 누르면 스프링(43)이 압축되면서 플런저(40)의 인선(41)이 종이를 관통시키면서 베이스(10)의 수직공(12)을 통과하게 되고, 천공된 종이조각은 수집통(50)으로 낙하되어 모이게 된다. 한편, 레버(30)를 누름에 따라 스프링(43)이 압축되고 피더(20)가 베이스(10)에 닿기 전에 스프링(43)이 완전히 압축되어 레버(30)의 과도한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 즉, 스프링(43)이 레버(30)에 대하여 스토퍼 역할을 하게되어 피더(20)의 선단이 베이스(10)의 성형대(16)에 닿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스테이플러 기능이 보류됨으로 펀치기능으로 사용할 때에는 철침을 낭비하는 일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스프링(43)이 스토퍼역할을 하게 되는 것은 레버축(32)의 위치를 하방으로 이동시켰기 때문이며, 이와같이 스프링(43)에 의하지 않더라도 주변 부품을 적절히 변형시켜 스토퍼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레버(30)를 최대한도로 눌렀을때 레버(30)의 뒤쪽 하단부가 베이스(10)의 상면에 닿게 설계할 수도 있다.In this state, the feeder 20 is embedded in the lever 30 in the state in which the paper is inserted into the slit 14 formed in the front or rear of the wall 11, pressing the lever 30, the spring 43 is compressed The cutting edge 41 of the plunger 40 passes through the vertical hole 12 of the base 10 while penetrating the paper, and the perforated pieces of paper fall into the collecting container 50 to be collected. On the other hand, as the lever 30 is pressed, the spring 43 is compressed and the spring 43 is completely compressed before the feeder 20 reaches the base 10 to prevent excessive rotation of the lever 30. That is, the spring 43 acts as a stopper with respect to the lever 30, so that the tip of the feeder 20 does not touch the forming table 16 of the base 10, and consequently, the stapler function is suspended, thereby providing a punch function. When used, it avoids wasting needles. Of course, the spring 43 acts as a stopper because the position of the lever shaft 32 is moved downward, and thu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topper function by appropriately deforming peripheral parts even if the spring 43 is not used. For example, when the lever 30 is pressed to the maximum, the rear lower end of the lever 30 may be designed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0.

종이를 펀칭한 후에 레버(3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43)의 탄성복원력으로 플런저(40)가 상승하여 그 하단의 인선(41)이 수직공(12)을 빠져나가 슬릿(14) 위에 위치하므로 천공시킨 종이를 슬릿(14)에서 빼낼 수 있게 되고, 플런저(40)의 상승과 함께 레버(30) 및 피더(20)가 상승되어 대기상태로 됨으로 종이를 펀칭하는 용도로 계속 사용할 수 있다.After punching the paper, the force applied to the lever 30 is removed, and the plunger 40 is rai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43 so that the edge 41 of the lower end 41 exits the vertical hole 12 and the slit 14 is removed. Since it is located above, the perforated paper can be taken out of the slit 14, and the lever 30 and the feeder 20 are raised to stand by the rise of the plunger 40 so that the paper can be continuously used for punching the paper. have.

이와같이, 본 고안은 스테이플러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30)를 움직여서 레버축(32)이 제2축설공(15)의 상측 구멍에 위치하도록 하면 되고, 펀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30)를 움직여서 레버축(32)이 제2축설공(15)의 하측 구멍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하면 된다. 그리고 펀칭되어 수집통(50)에 모인 종이조각은 수집통(50)을 베이스(10)에서 탈거하여 처리하면 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may move the lever 30 when the stapler is to be used as a stapler so that the lever shaft 32 is positioned at the upper hole of the second shaft hole 15, and when the punch is to be used as a punch, the lever 30 It is good to use it in the state which the lever shaft 32 is located in the lower hole of the 2nd shaft hole 15 by moving (). Then, the pieces of paper punched and collected in the collection container 50 may be removed by processing the collection container 50 from the base 10.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그 구조가 대부분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와 특별히 다른 부분은 통상의 스테이플러와 같이 제2축설공(15')이 단일한 원형 구멍으로 형성하여 레버(30)를 축설하고 레버축(32')도 원형단면을 갖도록 하는 대신에, 베이스(10)에 스토퍼(13)를 설치하여 펀치기능으로 사용할 때 스토퍼(13)를 이용하여 레버(30)의 회전을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 다르다.Sinc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A part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s that the second shaft hole 15 'is formed as a single circular hole like the conventional stapler so that the lever 30 is laid out and the lever shaft 32' also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opper 13 is installed on the base 10 and used as the punch function, the stopper 13 can be us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ever 30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도 6에 예시한 바와같이, 스토퍼(13)는 여러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벽면에 경사상의 장공(13a)을 형성하고 이 장공(13a)에 핀종류로 된 스토퍼(13)를 이탈되지 않도록 끼워 결합시켰으며 후술하는 바와같이 기능에 따라 변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stopper 13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long hole 13a is formed on the wall, and the stopper 13 of the pin type is separated from the long hole 13a. It is fitted so as not to interlock, and can be displaced according to a function as described below.

제2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사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s follows.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을 스테이플러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토퍼(13)를 장공(13a)의 하측으로 이동시켜 놓은 상태로 사용하여야 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as a stapler, the stopper 13 should be used in a state in which it is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ng hole 13a.

초기에 레버(3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스프링(43)의 탄성력을 받는 플런저(40)에 의하여 레버(30)가 상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레버(30)가 상향으로 지지된 상태에서는 플런저(40)의 하단은 항상 슬릿(14)보다 높은 위치에서 대기중인 상태에 있게 된다.Initially, the lever 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30 is upwardly supported by the plunger 40 which is subjected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3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lever 30 is upward. In the supported state,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40 is always in a waiting stat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lit 14.

이와같은 상태에서 통상적인 스테이플러의 사용법과 마찬가지로 피더(20)를 레버(30)에 내재시킨 상태에서 베이스(10)의 선단에 있는 성형대(16)에 종이를 올려놓고, 레버(30)를 누르면 피더(20)의 선단이 성형대(16)에 닿은 후에 피더(20)에 수용된 철침이 종이에 박히게 된다. 이때 레버(30)를 누름에 따라 스프링(43)이 압축되면서 플런저(40)도 하강하여 수직공(12)을 통과하지만 종이에 철침을 박는데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스토퍼(13)도 레버(30)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도 않는다.In this state, in the state in which the feeder 20 is embedded in the lever 30, the paper is placed on the forming table 16 at the tip of the base 10, and the lever 30 is pressed in the same manner as a normal stapler. After the tip of the feeder 20 touches the forming table 16, the iron needle accommodated in the feeder 20 is embedded in the paper. At this time, as the spring 43 is compressed as the lever 30 is pressed, the plunger 40 also descends to pass through the vertical hole 12, but the stopper 13 also stops the lever 30 without impeding the paper.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종이에 철침을 박은 후에 레버(3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43)이 탄성복원력으로 플런저(40)의 상단이 레버(30)를 상향으로 밀어주어 레버(30) 및 피더(20)는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After removing the force applied to the lever 30 after sticking the paper, the spring 43 i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40 pushes the lever 30 upwards, so that the lever 30 and the feeder 20 It will be in the standby state.

그리고 7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을 펀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토퍼(13)를 장공(13a)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사용하면 된다.And, as shown in 7,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as a punch, the stopper 13 may be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ng hole 13a and used.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초기에 레버(30)는 스프링(43)의 탄성력을 받는 플런저(40)에 의하여 레버(30)가 상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레버(30)가 상향으로 지지된 상태에서는 플런저(40)의 하단은 항상 슬릿(14)보다 높은 위치에서 대기중인 상태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lever 30 is initially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30 is upwardly supported by the plunger 40 which is subjected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3, and the lever 30 is upward. In the supported state,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40 is always in a waiting stat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lit 14.

이 상태에서 피더(20)를 레버(30)에 내재시킨 상태에서 벽면(11)에 형성된 슬릿(14)에 종이를 삽입하여 놓고 레버(30)를 누르면 스프링(43)이 압축되면서 플런저(40)의 인선(41)이 종이를 관통시키면서 베이스(10)의 수직공(12)을 통과하게 되고, 천공된 종이조각은 수집통(50)으로 낙하되어 모이게 된다. 한편, 레버(30)를 누름에 따라 소정 각도에서 레버(30)의 하단이 스토퍼(13)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어 레버(30)의 선단은 베이스(10)와 일정각도로 유지하게 된다. 즉, 피더(20)의 선단이 베이스(10)의 성형대(16)에 닿지 않게 됨으로 스테이플러 기능이 보류되고 결과적으로 펀치기능으로 사용할 때에는 철침을 낭비하는 일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종이를 펀칭한 후에 레버(3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43)이 탄성복원력으로 플런저(40)가 상승하여 그 하단의 인선(41)이 수직공(12)을 빠져나가 슬릿(14) 위에 위치하므로 천공시킨 종이를 슬릿(14)에서 빼낼 수 있게 되고, 플런저(40)의 상승과 함께 레버(30) 및 피더(20)가 상승되어 대기상태로 됨으로 종이를 펀칭하는 용도로 계속 사용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feeder 20 is embedded in the lever 30 in a state in which paper is inserted into the slit 14 formed on the wall 11, and pressing the lever 30, the spring 43 is compressed while the plunger 40 While passing through the paper 41 is passed through the vertical hole 12 of the base 10, the perforated pieces of paper fall to the collecting container 50 is collected. Meanwhile, as the lever 30 is pressed, rotation of the lower end of the lever 30 is prevented by the stopper 13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tip of the lever 30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ase 10. That is, since the tip of the feeder 20 does not touch the forming table 16 of the base 10, the stapler function is suspended, and as a result, the use of the punch function is prevented from wasting the needle. After removing the force applied to the lever 30 after punching the paper in this way, the spring 43 is rai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plunger 40 is raised so that the edge 41 of the lower end exits the vertical hole 12 and the slit 14 Since the perforated paper can be taken out of the slit 14, the lever 30 and the feeder 20 are raised to stand-by state as the plunger 40 is raised, and thus the paper can be continuously used for punching the paper. Can be.

이와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스테이플러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스토퍼(13)를 장공(13a)의 하측에 위치시킨 상태로 사용하면 되고, 펀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토퍼(13)를 장공(13a)의 상측에 위치시킨 상태로 사용하면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opper 13 is to be positioned below the long hole 13a when the stapler is to be used, the stopper 13 is long when the puncher is to be used as a punch.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use it in the state located above (13a).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대부분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으나, 제 2실시예에서와 다른 점은 벽면(11)에 장공(13a)이 형성되지 않으며 별도의 스토퍼(13)를 구비하지 않는 대신에, 레버(30)의 후단부 양측면에 슬라이드공(35)를 형성하고 이 슬라이드공(35)에 누름핀(61)을 축설하여 이 누름핀(61)의 위치에 따라 펀치기능과 스테이플러기능을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변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but the difference from the second embodiment is that the long hole 13a is not formed on the wall 11 and has a separate stopper 13. Instead of this, the slide holes 3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lever 30, and the push pins 61 are laid in the slide holes 35 so that the punch fun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push pins 61 are adjusted. It is provided with a function converting means which can convert and use a stapler function.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한 슬라이드공(35)은 제1축설공(31)과 구멍(33) 사이에 레버의 상면에 인접되도록 장공형태로 형성되며, 누름핀(61)은 플런저(4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공(35)에 끼워지고 일단은 나비너트(62)로 나사체결된다. 한편, 플런저(40)는 예시한 바와같이 상단면을 납작하게 형성하여 누름핀(61)과의 접촉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8, the slide hole 35 is formed in a long hole shap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between the first shaft hole 31 and the hole 33, and the push pin 61 has a plunger ( 40 is inserted into the slide hole 35 so that it can be located above the one end is screwed into the butterfly nut (62). On the other hand, the plunger 40 preferably forms a flat top surface as illustrated so that the contact with the push pin 61 is made stable.

이러한 구성상의 차이점을 제외한 여타 구성요소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같이 슬라이드공(35)에서 누름핀(61)의 위치를 변동시켜 사용하면 된다.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may be used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push pin 61 in the slide hole 35 as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을 스테이플러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누름핀(61)을 슬라이드공(35)의 일측단에 위치시켜 놓고, 필요에 따라 나비너트(62)를 조여 누름핀(61)을 고정시켜 놓은 상태로 레버(30)를 누르면 스테이플러기능이 발휘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9, whe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apler, the pressing pin 61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slide hole 35, and tightening the butterfly nut 62 as necessary When the lever 30 is pressed while the pin 61 is fixed, a stapler function is exhibited.

그리고 본 고안을 펀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누름핀(61)을 슬라이드공(35)의 중간에 위치시켜 놓고, 필요에 따라 나비너트(63)를 조여 누름핀(62)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레버(30)를 누르면 된다. 이때 레버(30)를 누르면 누름핀(61)이 플런저(40)의 상단을 가압하게 되어 펀치기능이 발휘된다. 이때 레버(30)를 최대한 누르면 플런저(40)의 상단, 즉 머리부가 브라켓(45)의 상단에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고, 누름편(34)은 철침을 가압하기 직전상태가 되어 스테이플러의 기능은 발휘되지 않게된다.And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as a punch, as shown in Figure 10, the pressing pin 61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slide hole 35, and tightening the butterfly nut 63, if necessary, the pressing pin The lever 30 is pressed in the state which fixed 62 so that it might not move. At this time, when the lever 30 is pressed, the push pin 61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40 to exert a punch function. At this time, pressing the lever 30 as much as possible,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40, that is, the head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45 so that it is no longer lowered, the pressing piece 34 is in a state just before pressing the iron needle to the function of the stapler Will not be exercised.

이상과 같이 스테이플러기능과 펀칭기능을 선택적으로 발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stapler function and the punching function can be selectively exerted, and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s not described is the same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제4실시예><Fourth Example>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본 고안의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대부분 유사하며, 다만 기능변환수단을 변형하여 적용한 점에서 다르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ly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except that the functional conversion means is modified and applied.

도 1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변환수단은 레버(30)의 후단 상면에 사각형의 개구부(36)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36)와 대응되는 레버(30)의 양측면에는 고정공(37)을 형성하여, 중간에 바퀴(63)가 달린 누름핀(62)을 개구부(36)와 고정공(37)을 통하여 설치한 것이다. 이때 바퀴(63)의 상부는 개구부(36)를 통하여 레버(30)의 외부로 돌출되고 하단은 플런저(4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바퀴(63)는 고정공(37)에 축설된 누름핀(62)과 동체로서 레버(3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플런저(40)는 예시한 바와같이 상단면을 납작하게 형성하여 누름핀(61)과의 접촉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1, the function conver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ectangular opening 36 o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lever 30 and fixing holes on both sides of the lever 30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36. (37) is formed, and the pressing pin 62 with the wheel 63 in the middle is provided through the opening 36 and the fixing hole 37. 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63 protrudes out of the lever 30 through the opening 36 and the lower end of the wheel 63 may be positioned above the plunger 40, while the wheel 63 is fixed to the fixing hole 37. As the push pin 62 and the fuselage, it is possible to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ever 30. Of course, the plunger 40 preferably forms a flat top surface as illustrated to ensure stable contact with the push pin 61.

이와같은 기능변환수단을 제외한 여타 구성요소는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제3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바퀴(63)의 위치를 변동시켜 사용하면 된다.The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function converting means have the same structure as in the third embodiment, and may be used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wheel 63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as in the third embodiment.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을 스테이플러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바퀴(63)를 개구부(36)의 한쪽편으로 밀어서 플런저(40)의 상측에서 벗어나도록 위치시켜 놓고(가상선으로 도시함), 레버(30)를 누르면 스테이플러기능이 발휘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1,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as a stapler, the wheel 63 is pushed to one side of the opening 36 to be positioned away from the upper side of the plunger 40 (virtual line) The stapler function is exerted when the lever 30 is pressed.

그리고 본 고안을 펀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퀴(62)를 개구부(36)의 중간으로 이동시켜 플런저(40)의 상측에 위치시켜 놓은 상태에서 레버(30)를 누르면 된다. 이때 레버(30)를 누르면 바퀴(63)가 플런저(40)의 상단을 가압하게 되어 펀치기능이 발휘된다. 이때 레버(30)를 최대한 누르면 플런저(40)의 상단, 즉 머리부가 브라켓(45)의 상단에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고, 누름편(34)은 철침을 가압하기 직전상태가 되어 스테이플러의 기능은 발휘되지 않게된다.And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as a punch, as shown in Figure 11, the lever (30) in a state in which the wheel 62 is moved to the middle of the opening 36 and positioned above the plunger 40. Press. At this time, when the lever 30 is pressed, the wheel 63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40 to exert a punch function. At this time, pressing the lever 30 as much as possible,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40, that is, the head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bracket 45 so that it is no longer lowered, the pressing piece 34 is in a state just before pressing the iron needle to the function of the stapler Will not be exercised.

이상과 같이 스테이플러기능과 펀칭기능을 선택적으로 발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stapler function and the punching function can be selectively exerted, and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components not described is the same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먼저, 도12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본 고안의 제5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다른점은 레버(30)의 구멍(33)과 제1축설공(31)과의 사이에 형성된 제3축선공(70)에 누름핀(71)을 구비하고, 벽면(11)의 앞쪽에 브라켓(45)을 일체로 형성하고, 제1축설공(31)과 브라켓(45)사이에 스프링(72)를 위치하여 그 누름핀(71)을 기준점으로 레버(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점이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레버축(32)이 제2축설공(15)의 상측에 위치할때 스테이플러로 사용할 수 있고 하측에 위치할때 펀치로 사용할 수 있으나 제5실시예에서는 그 반대이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third axis hole 70 is formed between the hole 33 of the lever 30 and the first shaft hole 31. The push pin 71 is provided, the bracket 45 is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wall surface 11, and the spring 72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haft hole 31 and the bracket 45 so as to press the pin. This is a point at which the lever 30 can rotate with reference point 71. 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lever shaft 32 may be used as a stapler when the lever shaft 32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shaft hole 15, and may be used as a punch when positioned below, but the reverse is the fifth embodiment.

이러한 구조로 된 제5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사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having such a structure as follows.

도13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을 스테이플러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30)를 움직여서 레버축(32)이 제1축설공(15)의 하측 구멍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초기에 레버(30)는 스프링(72)의 탄성력을 받는 누름핀(71)에 의하여 레버(30)가 상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레버(30)가 상향으로 정지된 상태에서는 플런저(40)역시 스프링(43)의 탄성력을 받아 그 하단은 항상 슬릿(14)보다 높은 위치에서 대기중인 상태에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as a stapler, the lever shaft 32 should be moved in a state where the lever shaft 32 is located in the lower hole of the first shaft hole 15 by moving the lever 30. Initially, the lever 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30 is upwardly supported by the push pin 71 under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2, and the plunger 40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lever 30 is stopped upward. Also, under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3, the lower end is always in a waiting stat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lit 14.

이와같은 상태에서 통상적인 스테이플러의 사용법과 마찬가지로 피더(20)를 레버(30)에 내재시킨 상태에서 베이스(10)의 선단에 있는 성형대(16)에 종이를 올려놓고, 레버를 누르면 피더(20)가 하강하다가 피더(20)의 선단이 성형대(16)에 근접되었을 때 또는 종이에 철침이 박히기 직전에 피더(20)의 후측 하단 양쪽이 걸림턱(19)에 걸리게 된다. 이때, 피더의 선단은 성형대(16)에 정위치 되고 레버(30)를 더 누르면 누름편(34)이 철침을 눌러 종이에 박히게 된다. 이와같이 철침이 종이에 박히는 동안에는 걸림턱(19)에 의하여 회전이 저지되고 레버(30)를 누름에 따라 피더(20)의 투영길이가 늘어 나는 만큼 피더축(21)이 제1축설공(31)에서 후방으로 밀려 나서 철심이 박히는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게 된다.In this state, in the state in which the feeder 20 is embedded in the lever 30 in a state similar to the use of a stapler, the paper is placed on the forming table 16 at the tip of the base 10, and when the lever is pressed, the feeder 20 The lower end of the feeder 20 is caught by the catching jaw 19 when the tip of the feeder 20 approaches the forming table 16 or just before the needle is imposed on the paper. At this time, the tip of the feeder is positioned on the forming table 16 and the pressing piece 34 is pressed into the paper by pressing the lever 30 further. In this way, while the needle is stuck in the paper, the rotation is inhibited by the locking jaw 19, and as the projection length of the feeder 20 increases as the lever 30 is pressed, the feeder shaft 21 is the first shaft hole 31. It will be pushed back to keep the iron core in position exactly.

한편, 레버(30)를 눌러도 누름핀(71)이 플런저의 머리를 벗어나 있어서 플런저(40)는 하강하지 않으므로 종이에 철침을 박는데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 종이에 철침을 박은 후에 레버(3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며 스프링(72)이 탄성복원력을 받는 레버(30)에 의하여 피더(20)는 상향으로 올라가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lever 30 is pressed, the push pin 71 is out of the head of the plunger, so that the plunger 40 does not descend,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at all with the needle. After the paper is nailed, the force applied to the lever 30 is removed, and the feeder 20 is lifted upward by the lever 30, which has the spring 72 to receiv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is in the standby state.

그리고, 도14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을 펀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30)를 움직여서 레버축(32)이 제1축설공(15)의 상측 구멍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초기에 레버(30)는 스프링(43)의 탄성력을 받는 플런저(40)에 의하여 레버가 상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레버(30)가 상향으로 지지된 상태에서는 플런저의 하단을 항상 슬릿(14)보다 높은 위치에서 대기중인 상태에 있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14, when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s a punch, the lever shaft 32 should be moved in a state where the lever shaft 32 is located in the upper hole of the first shaft hole 15 by moving the lever 30. do. Initially, the lever 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is supported upward by the plunger 40 which is elastically applied by the spring 43,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lever 30 is supported upward,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is always slit ( At the position higher than 14), it is in the waiting state.

이 상태에서 피더(20)를 레버(30)에 내재시킨 상태에서 벽면(11)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형성된 슬릿(14)에 종이를 삽입하여 놓고 레버(30)를 누르면 스프링(43)이 압축되면서 플런저(40)의 인선(41)이 종이를 관통시키면서 베이스(10)의 수직공(12)을 통과하게 되고, 천공된 종이조각은 수집통(50)으로 낙하되어 모이게 된다. 한편, 레버(30)를 누름에 따라 스프링(43)이 압축되고 피더(20)나 누름편(34)이 베이스(10)의 성형대(16)에 닿기 전에 스프링(43)이 완전히 압축되어 레버(30)의 과도한 회전을 저지하게 된다. 물론 스프링(43)이 스트퍼역할을 하게 되는 것은 레버축(32)의 위치를 상방으로 이동시켰기 때문이다.In this state, the feeder 20 is embedded in the lever 30 in the state in which the paper is inserted into the slit 14 formed in the front or rear of the wall 11 and press the lever 30, the spring 43 is compressed The cutting edge 41 of the plunger 40 passes through the vertical hole 12 of the base 10 while penetrating the paper, and the perforated pieces of paper fall into the collecting container 50 to be collected. On the other hand, as the lever 30 is pressed, the spring 43 is compressed and the spring 43 is completely compressed before the feeder 20 or the pressing piece 34 touches the forming table 16 of the base 10. To prevent excessive rotation of (30). Of course, the spring 43 serves as a stripper because the position of the lever shaft 32 is moved upward.

이와같이, 본 고안은 스테이플러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30)를 움직여서 레버축(32)이 제1축설공(15)의 하측 구멍에 위치하도록 하면 되고, 펀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30)를 움직여서 레버축(32)이 제1축설공(15)의 상측 구멍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면 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may move the lever 30 when the stapler is to be used as a stapler so that the lever shaft 32 is positioned at the lower hole of the first shaft hole 15, and when the punch is to be used as a punch, the lever 30 ) May b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shaft 32 is positioned in the upper hole of the first shaft hole 15.

<제6실시예><Sixth Example>

이하, 도15내지1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6실시예를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7.

본 고안의 제6실시예가 제5실시예와 다름 점은 베이스(10)의 후단을 좌우로 길게 하고, 브라켓(45)2개를 벽면(11)의 외측 좌우 베이스(10)위에 축설하며 누름핀(71)을 좌우 브라켓(45)의 관통공(46)거리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하고 베이스(10)에 수직공(12)도 2개를 형성하며,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fifth embodiment in that the rear end of the base 10 is lengthened to the left and right, and two brackets 45 are arranged on the outer left and right bases 10 of the wall 11 and the push pins. The length 71 can accommodate the distance of the through hole 46 of the left and right brackets 45, and two vertical holes 12 are formed in the base 10.

피더공(73)이 레버(30)의 타원형 레버축구멍(33)에 직접 결합되므로 제1축설공(31)과 걸림턱(19)이 필요 없고,Since the feeder ball 73 is directly coupled to the elliptical lever shaft hole 33 of the lever 30, the first shaft snow hole 31 and the locking jaw 19 are unnecessary.

스테이플러용 스프링(72)이 제5실시예에서는 누름핀(71)과 조우하나 제6실시예에서는 피더(20)의 저면과 조우하므로 누름핀(71)은 펀치로 사용할때만 스프링(43)의 탄력과 복원력을 받으며, 누름핀(71)이 피더(20)의 상부에 위치한다는 점이다.Since the stapler spring 72 encounters the push pin 71 in the fifth embodiment, but encounters the bottom surface of the feeder 20 in the sixth embodiment, the push pin 71 is resilient of the spring 43 only when used as a punch. Under pressure and restoring force, the push pin 71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feeder (20).

이러한 구조로 된 제6실시예에 따른 본 고안의 사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having such a structure as follows.

도16 및 17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을 스테이플러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느 레버(30)를 움직여서 레버축(32)이 제1축서공(15)의 하측 구멍에 위치하도록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한다.As shown in Figs. 16 and 17,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as a stapler, the lever 30 is moved to the lower hole of the first shaft hole 15 by moving the lever 30. shall.

그리고 본 고안을 펀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레버(30)를 움직여서 레버축(32)이 제1축설공(15)의 상측 구멍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한다.And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as a punch, the lever shaft 32 by moving the lever shaft 32 should be used in a state where it is located in the upper hole of the first shaft hole (15).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스테이플러기능과 펀치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보관과 사용이 편리하며,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제작원가가 저렴한 장점도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apler function and a punch function together, it is economical, convenient to store and use, and has a simple structure, which makes the manufacturing cost low.

Claims (7)

후단부 양쪽에 벽면(11)을 갖는 베이스(10)와, 철침을 수용하는 피더(20)와, 상기 베이스(10)의 벽면(11) 외측으로 후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종이에 철침을 박기 위하여 손으로 누르게 되는 레버(30)로 구성된 통상의 스테이플러에 있어서,The base 10 having the wall surface 11 on both rear ends, the feeder 20 for receiving the iron needle, and the rear end portion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wall surface 11 of the base 10, and put the iron needle on the paper. In the conventional stapler consisting of a lever 30 which is pressed by hand for 상기 베이스(10)의 후단부 저면에는 수직공(12)을 형성하고 양쪽 벽면(11)의 하단부에는 일측에서 종이를 삽입할 수 있도록 슬릿(14)을 형성하고, 상기 피더(20)는 상기 레버(30)에 제1축설공(31)을 형성하여 축설하고 상기 레버(30)는 상기 벽면(11)에 제2축설공(15,15')을 형성하여 레버축(32,32')으로 축설하는 한편, 하단부에 인선(41)을 형성한 플런저(40)를 더 구비하여 상단은 상기 레버(30)의 저면과 대면하고 하단은 상기 수직공(12)으로 입출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양쪽 벽면(11) 사이에 스프링(43)으로 탄설함으로써,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여 종이를 펀칭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겸용 스테이플러.A vertical hole 1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ar end of the base 10, and a slit 14 is formed at the lower ends of both wall surfaces 11 so that paper can be inserted from one side, and the feeder 20 is the lever. The first shaft hole 31 is formed and laid in the 30, and the lever 30 forms the second shaft hole 15, 15 ′ on the wall 11 to the lever shafts 32, 32 ′. On the other hand, the plunger 40 having a cutting line 41 formed at the lower end is further provided, the upper end of which faces the bottom of the lever 30 and the lower end of both sides in the state that can enter and exit the vertical hole 12 A stapler for punc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aper is punched by using a stapler by coaling with a spring 43 between the wall surfaces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축(32)은 단면을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이 레버축(32)이 끼워지는 레버(30)의 구멍(33)도 타원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2축설공(15)은 서로 다른 위치와 높이로 형성된 2개의 타원형 구멍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겸용 스테이플러.The lever shaft 32 has an elliptical cross section, and the hole 33 of the lever 30 to which the lever shaft 32 is fitted is also elliptical, and the second shaft hole ( 15) is a punch stapl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of two oval holes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heights are connected to 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설공(15')을 단일한 원형 구멍으로 형성하여 레버(30)를 축설하고 상기 레버축(32')을 원형단면을 갖는 것을 사용하되, 상기 베이스(10)의 벽면(11)에 경사상의 장공(13a)을 형성하고 이 장공(13a)에 스토퍼(13)를 설치함으로서, 펀치기능으로 사용할 때 스토퍼(13)를 사용하여 상기 레버(30)의 회전을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겸용 스테이플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haft hole 15 'is formed into a single circular hole, and the lever 30 is laid out and the lever shaft 32'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By forming the inclined long hole 13a on the wall surface 11 of the crankshaft and installing the stopper 13 in the long hole 13a, the stopper 13 is used to stop the rotation of the lever 30 when the punch function is used. Punch stapler, characterized in that to be limited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0)의 후단부 양측면에 슬라이드공(35)를 형성하고 이 슬라이드공(35)에 누름핀(61)을 축설하여 이 누름핀(61)의 위치에 따라 펀치기능과 스테이플러기능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겸용 스테이플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ide holes (3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lever (30), and the push pins (61) are laid in the slide holes (35) to punch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ush pins (61). Punch stapler, characterized in that to convert the function and the stapler function to be used. 제1항에 있어서, 레버(30)의 후단 상면에 사각형의 개구부(36)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36)와 대응되는 레버(30)의 양측면에는 고정공(37)을 형성하며, 중간에 바퀴(63)가 달린 누름핀(62)을 구비하여 상기 바퀴963)가 개구부(36)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공(37)에 축설하여, 상기 바퀴(63)의 위치에 따라 펀치기능과 스테이플러기능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겸용 스테이플러.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end of the lever 30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opening 36, the fixing hole 37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ever 30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36, the wheel in the middle And a push pin 62 with 63, the wheel 963 is arranged in the fixing hole 37 so as to be located in the opening 36, the punch function and the stapl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wheel 63 A punch combined stapler, characterized by being converted and us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레버(30)의 구멍(33)과 제1축설공(31)과의 사이에 형성된 제3축설공(70)에 누름핀(71)을 장착하고, 벽면(11)의 제1축설공(31)과 벽면(11)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45)의 사이에 스프링(72)을 위치시켜 그 누름핀(71)을 기준점으로 레버(30)가 회전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겸용 스테이플러.The push pin 71 is attached to the third shaft hole 70 formed between the hole 33 of the lever 30 and the first shaft hole 31, and the first shaft hole of the wall 11 ( Combination punch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72 is positioned between the bracket 45 formed integr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31 and the wall surface 11 so that the lever 30 rotates around the push pin 71 as a reference point. Stapler.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10)의 후단을 좌우로 길게 하고, 브라켓(45) 2개를 벽면(11)의 외부 좌우 베이스(10)위에 축설하며, 누름핀(71)을 좌우 브라켓(45)의 관통공(46)거리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하며, 베이스(10)에 수직공(12)도 2개를 형성하므로서 동시에 2공을 펀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치 겸용 스테이플러.The rear end of the base 10 is extended to the left and right, two brackets 45 are arranged on the outer left and right base 10 of the wall surface 11, and the push pin 71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brackets 45. Punch stap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to accommodate the through-hole (46) distance, and can punch two holes at the same time by forming two vertical holes (12) in the base (10).
KR2019990020659U 1998-10-02 1999-09-27 Stapler with a punch KR20017329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659U KR200173294Y1 (en) 1998-10-02 1999-09-27 Stapler with a pun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19023 1998-10-02
KR2019980019023 1998-10-02
KR19990004723 1999-03-24
KR2019990004723 1999-03-24
KR2019990020659U KR200173294Y1 (en) 1998-10-02 1999-09-27 Stapler with a pun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294Y1 true KR200173294Y1 (en) 2000-03-15

Family

ID=2734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659U KR200173294Y1 (en) 1998-10-02 1999-09-27 Stapler with a pun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294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283B1 (en) * 2009-06-18 2011-12-07 김연이 a multipurpose puncher
KR101090281B1 (en) * 2009-06-18 2011-12-07 김연이 a multipurpose stap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283B1 (en) * 2009-06-18 2011-12-07 김연이 a multipurpose puncher
KR101090281B1 (en) * 2009-06-18 2011-12-07 김연이 a multipurpose stap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3995A (en) Hole punch assembly
US9732785B2 (en) Suction cup device
CA1317697C (en) Stapleless stapler
JPS6254697A (en) Borer
KR200173294Y1 (en) Stapler with a punch
JP3198434U (en) Punch and drilling blade
US6527157B1 (en) Stapler with punching unit
WO2000041859A1 (en) Hole punch reinforcer
US5906448A (en) Clipboard with hole punch
JPH0211184Y2 (en)
KR20130086320A (en) Fastening tool
EP1937445B1 (en) Invertible punch tool
JPH0461937A (en) Handy shredder
JPS634455Y2 (en)
KR19980068958U (en) Wrap cutting device
KR950003090Y1 (en) File for a binder having a punch
CN220945732U (en) Portable snap clamp with fastening function
KR200140862Y1 (en) Punch unit
CN215127353U (en) Coffee machine
GB2252525A (en) Perforating and securing together sheets
JPH0610582Y2 (en) Key top
JPS646240Y2 (en)
CN218804801U (en) Printer with adjustable paper bin width
JPH0728362Y2 (en) Simple lock device for drawer
US20140150617A1 (en) Hole punch with alignment ind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