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075Y1 - 곤봉 - Google Patents

곤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075Y1
KR200173075Y1 KR2019990020084U KR19990020084U KR200173075Y1 KR 200173075 Y1 KR200173075 Y1 KR 200173075Y1 KR 2019990020084 U KR2019990020084 U KR 2019990020084U KR 19990020084 U KR19990020084 U KR 19990020084U KR 200173075 Y1 KR200173075 Y1 KR 200173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core material
core
club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수
채태화
Original Assignee
이한수
채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수, 채태화 filed Critical 이한수
Priority to KR2019990020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0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0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 F41B15/0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봉술의 연마 및 경기에 적절히 쓰일 수 있게 됨은 물론, 궁극적으로는 봉술의 보급을 확대시킬 수 있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가벼운 중량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심재(2)와, 상기 심재(2)가 끼워지도록 구비되며 충격력을 흡수 완화시킬 수 있도록 발포성 부재로 이루어진 탄성피(10)와, 상기 탄성피(10)를 손잡이부(10)와 타격부(12)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하며 탄성피(10)가 심재(2)와의 결합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가압하는 복수개의 링(14)(16)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곤봉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곤봉{Cudgel}
본 고안은 곤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봉술격투기 및 호신격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곤봉에 관한 것이다.
봉술(棒術)은 동양 일부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전래되어진 격투무술(格鬪武術)의 일종으로, 지역에 따라 긴 봉을 이용하거나 비교적 짧은 두 개의 봉을 이용하기도 한다.
특히 길이가 짧은 두 개의 봉을 이용하는 봉술로는 근래에 국내에서 개발된 태극봉과 같은 것이 있는데, 이러한 태극봉은 일정한 규칙안에서 경기(競技)를 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호신(護身)을 위해 연마(鍊磨)할 수도 있으므로 저변확대의 일로에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봉술에 이용되는 길이가 짧은 봉은 대나무로 제조되기도 하며,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은 형태의 단단한 목재의 곤봉(棍棒)(18)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곤봉은 보통, 손잡이부(20)와 타격부(22)로 구분할 수 있는 형태로, 육모방망이와 같이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만들어지기도 하였으며, 근래의 경찰봉과 같이 둥글게 만들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곤봉은, 봉술 및 태극봉 등의 연마 및 경기시에 피가해자에게 심한 타격력을 가하게 되므로 피가해자의 부상을 심화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서 태극봉 등과 같은 봉술의 연마 및 경기를 원만히 행할 수 없게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심한 타격력을 가하지 않게 되어 피가해자를 부상시킬 염려가 없으며, 이에 따라서 태극봉과 같은 봉술의 연마 및 경기에 적절히 쓰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취급이 쉬워 널리 쓰일 수 있게 됨으로써 태극봉과 같은 봉술의 보급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곤봉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곤봉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곤봉을 나타내기 위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곤봉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곤봉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곤봉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곤봉에 내재된 일반적인 방울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심재
4, 6 : 마개
8 : 방울
10, 12 : 탄성피
14, 16 : 링
W : 격벽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벼운 중량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심재와, 상기 심재가 끼워지도록 구비되며 충격력을 흡수 완화시킬 수 있도록 발포성 부재로 이루어진 탄성피와, 상기 탄성피를 손잡이부와 타격부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하며 탄성피가 심재와의 결합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부분 가압하는 복수개의 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곤봉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심재가, 다수개의 방울이 내재되는 중공체로 형성되고, 그 양측단부가 음의 방출이 용이한 구조의 마개에 의해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곤봉을 제공한다.
또한, 중공체로 이루어진 상기 심재는, 그 내부 중앙에 음의 방출이 용이하도록 구멍이 뚫린 격벽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탄성피의 손잡이부와 타격부는, 색상이 대조적으로 다른 별개의 것으로 형성되어 링들에 의해 심재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 3과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심재(2)와 탄성피(10)(12) 및 링(14)(16)으로 구성된 곤봉에 관련된다.
한편, 상기 심재(2)는 가벼운 중량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는데, 다수개의 방울(8)이 내재되는 상태에서 그 양단부가 마개(4)(6)에 의해 막히는 중공체로서, 내부 중앙의 위치에 격벽(W)이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손잡이부(10) 측의 심재(2) 단부에 결합되는 마개(4)와, 격벽(W)에는 구멍이 각각 뚫려 있어 방울의 울림음이 외부로 쉽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탄성피(10)(12)는 심재(2)가 끼워지도록 구비되며 충격력을 흡수 완화시킬 수 있는 발포성 부재로 이루어져 링(14)(16)에 의해 손잡이부(10)와 타격부(12)로 구획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탄성피(10)(12)에 링(16)을 끼워 구비하게 됨으로써, 탄성피(10)(12)가 심재(2)와의 결합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피(10)(12)를 심재(2)에 가압하게 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피(10)(12)의 손잡이부(10)와 타격부(12)는, 색상이 대조적으로 다른 별개의 것으로 형성되어 링(14)(16)들에 의해 심재(2)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링(14)(16)은 각각 다수개가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개의 군으로 이루어져 비교적 짧은 구간을 갖는 손잡이부(10)의 양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손잡이부(10)와 타격부(12)의 구획 부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여금 손잡이부(10)와 타격부(12)를 동시에 심재(2)로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격벽(W)에 의해 구획된 타격부(12)에 상응하는 부위의 심재(2) 내부에 구비된 상기 다수개의 방울(8)들은 도 6에서와 같이 중공형태의 구체(B1)와, 이 구체(B1)에 내재된 구슬(B2)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곤봉은 그 손잡이부(10)를 잡고 원심력을 작용시키면서 타격부(12)로 피가해자를 타격하게 될 때, 다수개의 방울(8)이 타격부(12)의 끝 부분으로 몰려 타격부(12)의 끝 부분에 무게감이 실리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타격감을 줄 수 있게 되며, 큰 힘으로 타격하여도 중량이 가볍고 탄성피(10)에 의해 충격력이 완화되므로 피가해자를 크게 부상시키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탄성피(10)가 목재와 달리 부드럽고 가시 등이 없는 형태로 되어 있어 심한 마찰력에 의해 피가해자의 피부를 손상시키거나 가시에 의해 찔리지 않게 되며, 다수개의 방울(8)에 의해 발생되어 격벽(W) 및 일측마개(4)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소리에 의한 음향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곤봉은, 사용자에게 타격감을 줄 수 있으면서도 타격력 및 마찰력에 의한 피가해자의 부상 소지를 줄일 수 있게 되고, 무게가 가벼워 취급이 쉬우며, 이에 따라서 봉술의 연마 및 경기에 적절히 쓰일 수 있게 됨은 물론, 궁극적으로는 태극봉과 같은 봉술의 보급을 확대시킬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가벼운 중량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심재;
    상기 심재가 끼워지도록 구비되며 충격력을 흡수 완화시킬 수 있도록 발포성 부재로 이루어진 탄성피;
    상기 탄성피를 손잡이부와 타격부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하며 탄성피가 심재와의 결합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부분 가압하는 복수개의 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곤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가,
    다수개의 방울이 내재되는 중공체로 형성되고, 그 양측단부가 음의 방출이 용이한 구조의 마개에 의해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곤봉.
  3. 제 2항에 있어서, 중공체로 이루어진 상기 심재는, 그 내부 중앙의 위치에 음의 방출이 용이하도록 구멍이 뚫린 격벽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곤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피의 손잡이부와 타격부는,
    색상이 대조적으로 다른 별개의 것으로 이루어져 링들에 의해 심재와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곤봉.
KR2019990020084U 1999-09-17 1999-09-17 곤봉 KR200173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084U KR200173075Y1 (ko) 1999-09-17 1999-09-17 곤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084U KR200173075Y1 (ko) 1999-09-17 1999-09-17 곤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075Y1 true KR200173075Y1 (ko) 2000-03-15

Family

ID=1958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084U KR200173075Y1 (ko) 1999-09-17 1999-09-17 곤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0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1978A (en) Game bat
US5676611A (en) Foraminous shell foam football
US8241153B2 (en) Sports activity device
US3759518A (en) Foot impellent toy
US9937399B1 (en) Shuttlecock
US5290031A (en) String protector for a racket frame
US6237918B1 (en) Ring and ball tossing game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the same
US3990699A (en) Game bat
US4928977A (en) Thrown and bounced toy having a hand grip terminating in high bounce balls
US3923304A (en) Surface ball game and apparatus
US5160147A (en) Toy ball game set
US20030069096A1 (en) Ball racket with bumper guard
KR200261717Y1 (ko) 다용도 라켓
KR200173075Y1 (ko) 곤봉
US5253874A (en) Adhesive filament and membrane racquet
US20230201672A1 (en) Pickle ball
US2369145A (en) Game racket
US2484475A (en) Shuttlecock
US20050143202A1 (en) Projectile catching and throwing toy
US6840867B1 (en) Billiard cue tip
KR200259331Y1 (ko) 곤봉
IE903890A1 (en) Game apparatus for hitting a missile
KR200376653Y1 (ko) 제기볼
KR200371428Y1 (ko) 응원용 글러브.
KR19980058354U (ko) 연습용 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