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057Y1 - 점화기구 - Google Patents

점화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057Y1
KR200172057Y1 KR2019990020970U KR19990020970U KR200172057Y1 KR 200172057 Y1 KR200172057 Y1 KR 200172057Y1 KR 2019990020970 U KR2019990020970 U KR 2019990020970U KR 19990020970 U KR19990020970 U KR 19990020970U KR 200172057 Y1 KR200172057 Y1 KR 200172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main body
ignition
locking memb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사
Original Assignee
이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사 filed Critical 이영사
Priority to KR2019990020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0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0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16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 F23Q2/164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ig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34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화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부(22)를 형성하고 전단부(26)에는 관통설치구(24)를 형성하는 받침부재(12) 및 덮개부재(10)를 포함하는 본체(14)와, 상기 본체(14)의 내부 공간부(22)에 설치되는 가스통(16)과, 상기 가스통(16)과 연통되는 튜브(20)와, 상기 튜브(20)와 연통하여 끝단부가 본체(14)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금속노즐(28)과, 상기 가스통(16)의 측부에 설치되며 점화선(36)을 구비한 스파크발생기구(30)와, 상기 스파크발생기구(30)를 가압하여 스파크를 발생할 수 있도록 스파크발생기구(30)의 가압부(34)를 내부에 포함하며 본체(14)의 외부로부터 가압되도록 설치되는 트리거(32) 및 상기 트리거(32)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축(4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토출관(18)을 가스통(16)으로부터 일정길이 인출하여 튜브(20)로 가스를 공급하는 개방부재(50)와, 상기 받침부재(12)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66)에 지지되어 상기 트리거(32)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상하 슬라이딩되는 잠금부재(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화기구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58)의 측부에는 상기 받침부재(12)의 내부 공간부(22)에 지지되어 상기 잠금부재(58)의 슬라이딩을 저지하기 위한 보조잠금수단(9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점화기구{Ignitor}
본 고안은 점화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나 유아들이 손쉽게 화염을 발생시키지 못하도록 보조잠금수단이 더 구비된 점화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 모기향, 영업용 가스스토브 또는 기타 열기구등에 점화하기 위하여 성냥이나 휴대용 라이터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성냥은 점화에 따른 신뢰성이 적어 점화에 실패할 확률이 높다. 또한 휴대용 라이터는 라이터에서 발생한 화염과 손가락의 거리가 가까우며, 더욱이 대부분의 경우 점화시 라이터를 숙여야 하므로 위로 치솟는 화염에 의해 손가락에 화상을 입힐 위험성이 있다. 또한 인화성이 강한 연료 예컨데 가스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열기구에 가스라이터를 사용하여 점화하기란 매우 위험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부담감을 갖게한다. 특히 대부분의 식당에서 사용되는 버너등에 솥이나 용기를 올려놓은 상태로 점화를 수행하려면, 먼저 가스 콕을 개방함과 동시에 화염이 발생되는 라이터등의 점화수단을 가스가 분출 되고 있는 버너에 근접시켜 화염을 발생하여야 하므로 매우 위험하고 화재의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1998-13489의 「점화기구」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점화기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상기 점화기구는 전단부에 화염구(82)를 통하여 화염이 분출하는 화염보호팁(42)이 설치되며, 대략 중간부에는 화염을 발생하기 위한 트리거(32)를 구비한다. 상기 트리거(32)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거치하여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전면이 만곡되어 있으며, 트리거(32)가 가압됨으로써 스파크발생기구(30)가 작동하여 화염을 발생시킨다(도 3 참조). 또한 본체(14)의 측면에는 감시창(56)이 형성되어 본체(14)내에 설치된 가스통(16)내 가스 잔량을 감시할 수 있다. 아울러 트리거(32)가 가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14)의 측면에 잠금부재(58)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부재(58)는 장공(66)내에서 상하로 승강운동함에 따라 트리거(32)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또한 점화기구의 본체(14) 상부에는 가스량조절레버(54)가 설치되어 가스량조절레버(54)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염보호팁(42)의 선단으로부터 분출되는 화염의 크기를 조절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60은 본체(14)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점화기구를 벽에 걸어둘 수 있도록 마련된 걸이수단이다.
상기 잠금부재(58)는 점화기구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트리거(32)가 강한 외력에 의해서도 가압되지 않도록 로킹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즉, 가스가 외부로 분출되지 못하도록 하고, 스파이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결국 화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미국이나 일본과 같은 선진국들은 각종 점화기구로 인한 어린이나 유아들의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상기 잠금부재(58)와 같은 안전수단이 반드시 채용되어야 하는 설치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향후 우리나라 또한 이러한 법적장치가 마련되어 질 것으로 알려진다. 이는 어린이나 유아들이 상기 점화기구를 장난감 총이나 놀이기구로 생각하고 트리거를 가압할 경우 화염이 발생되어 화상을 입거나 주위의 다른 사람에게 화상을 입힐 우려가 있고, 커텐 등에 옮겨 붙어 대형 화재로 이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잠금부재(58)는 단순히 상하작용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잠금과 해제 동작이 수행된다. 이는 어린이나 유아들이 손쉽게 잠금부재(58)를 조작하여 트리거(32)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점화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및 대형화재 발생의 문제점이 수반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보조잠금수단을 더 구비시켜 어린이나 유아들이 손쉽게 잠금상태를 해제하지 못하도록 하여 화상이나 대형 화재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는 점화기구를 제공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점화기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기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기구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기구의 스파크 발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기구의 스파크발생기구와 트리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기구에 있어서, 가스통내의 가스를 토출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와 보조잠금수단의 잠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와 보조잠금수단의 잠금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Ⅸ-Ⅸ'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10은 Ⅹ-Ⅹ'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덮개부재 12... 받침부재
14... 본체 16... 가스통
18... 토출관 19... 고정와셔
20... 튜브 22... 공간부
24... 관통설치구 26... 전단부
28... 금속노즐 30... 스파크발생기구
31... 경사면 32... 트리거
34... 가압부 36... 점화선
37... 홈 39... 단부
40... 돌기부 42... 화염보호팁
44...노즐관통구 46...내부팁
48... 회동축 50... 개방부재
52... 관통구 54... 가스량조절레버
55... 레버관통구 56... 감시창
58... 잠금부재 60... 걸이수단
61... 돌기 62... 자석
64... 설치구 66... 장공
68... 손잡이부 70... 연장부
72,74... 지지턱 76... 가압부
78... 인출부 80... 지지판
82... 화염구 84... 걸림턱
86...충전구 90... 보조잠금수단
91... 푸시돌기 92... 스톱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기구는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전단부에는 관통설치구를 형성하는 받침부재 및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는 가스통과, 상기 가스통과 연통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와 연통하여 끝단부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금속노즐과, 상기 가스통의 측부에 설치되며 점화선을 구비한 스파크발생기구와, 상기 스파크발생기구를 가압하여 스파크를 발생할 수 있도록 스파크발생기구의 가압부를 내부에 포함하며 본체의 외부로부터 가압되도록 설치되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토출관을 가스통으로부터 일정길이 인출하여 튜브로 가스를 공급하는 개방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에 지지되어 상기 트리거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상하 슬라이딩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화기구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의 측부에는 상기 받침부재의 내부 공간부에 지지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슬라이딩을 저지하기 위한 보조잠금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잠금수단은 상기 받침부재의 내부 공간부에 설치되어 탄성바이어스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푸시돌기와, 상기 몸체의 측부에 단차를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트리거가 가압되지 않도록 로킹된 잠금부재를 어린이나 유아들이 손쉽게 조작하여 해제하지 못하도록 보조잠금수단을 더 구비시킴으로써 한 손으로는 잠금부재를 해제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보조잠금수단을 해제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 성인들에 비해 기구 조작지능이 낮은 어린이나 유아들이 잠금상태를 해제하지 못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화염에 의한 화상의 위험성과 화염이 실내의 커텐 등에 옮겨 붙어 대형화재로 이어지는 위험성을 방지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기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기구는 전단부에 화염구(82)를 통하여 화염이 분출하는 화염보호팁(42)이 설치되며, 대략 중간부에는 화염을 발생하기 위한 트리거(32)를 구비한다. 상기 트리거(32)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거치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전면이 만곡되어 있으며, 트리거(32)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후술할 스파크발생기구(도 3의 30)가 작동하여 화염을 발생시킨다. 또한 본체(14)의 측면에는 감시창(56)이 형성되어 본체(14)내에 설치된 가스통(도 3의 16)내 가스 잔량을 감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점화장치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트리거(32)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가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14)의 측면에 잠금부재(58)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부재(58)는 장공(66)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장공(66)은 본체(14)의 내부에서 트리거(32)의 걸림턱(도 6의 84)에 접하고, 잠금부재(58)가 장공(66)내에서 상하로 승강운동함에 따라 트리거(32)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잠금부재(58)의 측부에는 후술되는 보조잠금수단(90)이 마련되는데, 이는 상기 잠금부재(58)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푸시돌기(91)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점화기구의 본체(14) 상부에는 가스량조절레버(54)가 설치되어 가스량조절레버(54)를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염보호팁(42)의 선단으로부터 분출되는 화염의 크기를 조절한다. 또한 본체(14)의 후단부에는 걸이수단(60)이 설치되는데, 상기 걸이수단(60)은 본 점화기구를 벽에 걸어둘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이다. 상기 본체(14)는 프라스틱재질로 구성하고, 화염보호팁(42)는 금속재질의 부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기구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점화기구는 크게 받침부재(12)와 덮개부재(10) 및 화염보호팁(42)을 구비한다. 상기 덮개부재(10)와 받침부재(12)는 대칭의 형상을 가지며 상호 결합함으로써, 내부에 공간부(22)를 형성하며, 대략 손잡이부(68)와 연장부(70)로 구분할 수 있다. 아울러, 받침부재(12)내에는 후술할 구성요소들을 공고히 장착할 수 있도록 그리고, 덮개부재(10)가 받침부재(12)에 결합가능하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다. 특히, 본 점화기구를 사용시 가스통(16)이 본체(14)의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고 자기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또한 제작조립시 가스통(16)을 받침부재(12)에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가스통(16)의 테두리부는 다수의 돌기부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덮개부재(10)의 외측면에는 자성이 강한 자석(62)이 설치된다. 상기 자석(62)은 본 점화기구를 냉장고나 기타 자성을 가진 벽에 부착하여 임시로 보관하기 위한 것이며, 부착되는 본 점화기구 자체로서 장식효과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덮개부재(10) 외측면의 대략 중간부에 설치한다. 상기 자석을 한 개 이상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자석(62)의 측부에는 감시창(56)이 마련된다. 상기 감시창(56)은 본체(14) 내부에 설치된 가스통(16)내의 가스 잔량을 외부에서 직접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덮개부재(10)와 받침부재(12)의 양측면에 형성된 장공으로 마련되되, 덮개부재(10)와 받침부재(12)가 결합하였을 때 내부에 설치된 가스통(16)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가스통(16)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하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한다.
상기 덮개부재(10)와 받침부재(12)의 연장부(70)의 전단부(26)에는 지지턱(72,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턱(72,74)은 화염보호팁(42)과 내부팁(46)을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한 것으로서, 지지턱 72의 외주면은 화염보호팁(42)의 내주면 하단과 접촉하며, 지지턱 74의 외주면은 내부팁(46)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내부팁(46)의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전단부(26)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관통설치구(24)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설치구(24)는 후술할 금속노즐(28)을 설치하도록 마련한 것으로서, 금속노즐(28)과 튜브(20)의 결합부위가 끼워지며, 금속노즐(28)의 선단이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다.
화염보호팁(42)은 내부에 내부팁(46) 및 금속노즐(28)의 선단을 수납하고, 연소중 금속노즐(28)의 선단에 위치한 화염이 외부로부터 산소를 원활히 공급받도록 측면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화염보호팁(42)은 도전성인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날카로운 선단을 갖는 돌기부(40)가 마련된다. 상기 돌기부(40)는 관통설치구(24) 및 노즐관통구(4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금속노즐(28)과 인접하도록 형성하여, 스파크발생기구(30)의 작동시 금속노즐(28)과 돌기부(40)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스파크를 발생한다. 내부팁(46)은 지지턱(74)을 내부에 포함하며, 본체의 선단에 구비되고 금속노즐(28)을 관통시키며 지지하기 위한 노즐관통구(44)가 형성된다. 따라서 금속노즐(28)에 형성된 화염은 내부팁(46)의 외부와 화염보호팁(42)의 내부에 존재하게 된다.
받침부재(12)에는 가스통(16)과 상기 가스통(16)과 연결된 튜브(20), 점화수단, 점화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트리거(32)등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통(16)은 가스를 내부에 저장한 밀폐용기로서 일단에 토출관(18)이 설치되며 후단부에는 가스의 재충전을 위한 충전구(86)가 마련된다. 상기 충전구(86)를 통해 외부로부터 가스를 재충전 하기 위하여 손잡이부(68)의 후단부에는 관통구(52)를 설치하여 공지의 가스 공급수단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관통구(52)는 외부로부터 충전구(86)측으로 충전노즐(미도시)이 정확히 도달할 수 있도록 적정 직경을 가지고 충전노즐을 가이드한다. 상기 토출관(18)은 일단이 가스통(16)의 내부와 연통되며 타단이 튜브(20)와 연결되어, 화살표 c의 방향으로 토출관(18)을 잡아 당기면 토출관(18)을 통하여 가스가 토출된다. 상기 토출관(18)의 외주면에는 고정와셔(19)가 설치되어 후술할 개방부재(도 5의 50)에 의해 화살표 c의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튜브(20)는 플렉시블한 비닐재질의 관으로서, 튜브(20)의 일단은 토출관(18)과 연결되고 타단은 전단부(26)측으로 연장되어 금속노즐(28)이 끼워진다. 상기 금속노즐(28)은 가스통(16)으로부터 토출된 가스가 분출하는 분출구이며 가스가 분출하는 순간, 동시에 후술되는 점화선(36)의 전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돌기부(40)에서 발생한 스파크에 의해 화염이 생성되어, 마치 금속노즐(28)로부터 화염이 분출하는 것처럼 관찰된다. 아울러 토출관(18)의 단부에는 공지의 가스량조절레버(54)가 설치된다. 상기 가스량조절레버(54)는 토출관(18)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하고, 레버가 본체의 상부에 형성한 레버관통구(55)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사용자가 레버(54)를 조절하여 가스통(16)으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금속노즐(28)은 본체의 전단부(26)에 형성된 관통설치구(24)에 설치된다. 즉, 튜브(20)와 금속노즐(28)의 결합부위가 관통설치구(24)내에 끼워지며, 이 때 금속노즐(28)의 끝단부는 본체의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된다.
본체(14)의 후단부에 마련된 관통구(52)의 측부에는 걸이수단(60)이 설치된다. 상기 걸이수단(60)은 본 점화기구를 벽면등에 걸어 보관하기 위하여 마련한 것으로서, 받침부재(12)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돌기(61)에 의해 설치되고, 받침부재(12)와 덮개부재(10)가 결합함에 의해 장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가스통(16)의 토출관(18)의 측부에는 회동축(48)이 마련된다. 상기 회동축(48)은 개방부재(50)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하여 마련한 것으로서, 받침부재(12)의 내측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48)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개방부재(50)에는 설치구(64)가 마련된다. 상기 설치구(64)는 개방부재(50)의 대략 중앙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구멍으로서 회동축(48)에 끼워져 회동축(48)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한 것이다. 개방부재(50)에는 상기 설치구(64)를 중심으로 양측에 가압부(76)와 인출부(78)가 마련된다. 상기 가압부(76)는 트리거(32)의 경사부(31)에 의해 가압되어, 개방부재(50)를 회전시키는 회전토오크를 인가받는 것이며, 가압부(76)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는 인출부(78)는 토출관(18)을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잡아당겨 인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출부(78)의 하부에 홈(79)이 형성되어, 상기 홈(79)의 내부에 토출관(18)을 삽입하고 고정와셔(19)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개방부재(50)가 트리거(32)로부터 가압력을 받아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인출부(78)가 고정와셔(19)를 가압하여 토출관(18)을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인출하여 가스를 발생한다.(도 6 참조)
상기 회동축(48)의 측부에는 트리거(32)가 설치된다. 상기 트리거(32)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거치하여 가압함으로서, 점화를 수행하는 부재로서 내부에 스파크발생기구(30)가 설치된다. 상기 스파크발생기구(30)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공지의 기구로서, 가압을 하면 전기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상기 스파크발생기구(30)는 트리거(32)의 내부에 가압부(도 5의 34)가 삽입되어 가압되고, 타단은 지지판(8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트리거(32)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하면, 스파크발생기구(30)는 지지판(8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가압되어 스파크를 일회 발생한다. 트리거(32)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없애면 트리거(32)는 스파크발생기구(30)내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처음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상기 스파크발생기구(30)와 연결된 점화선(36)은 전단부(26)측으로 연장되어 단부(39)가 지지턱(72)에 대응되는 받침부재(12)의 하단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점화선(36)의 단부(39)는 지지턱(72)에 대응되는 받침부재(12)의 하단에 형성된 홈(37)에 걸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화선(36)은 비닐로 피복되어 있으며, 단부(39)는 피복이 되어 있지 않아, 전기가 이동하는 금속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피복이 되어있지 않은 점화선(36)의 단부(39)는 화염보호팁(42)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즉, 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이 되어 있지 않은 점화선(36)의 단부(39)는 계속하여 화염보호팁(42)의 내주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고, 스파크발생기구(30)가 작동하는 순간, 금속노즐(28)과 상호 작용하여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본체 내부에는 스파크발생기구(30)를 포함하는 하나의 폐회로가 구성되며, 상기 폐회로는 스파크발생기구(30)와, 점화선(36)과, 금속노즐(28)과, 화염보호팁의 돌기부(4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기구의 스파크발생기구와 트리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점화기구의 트리거(32)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가압하면, 트리거(32)의 내부에 삽입된 스파크발생기구(30)의 가압부(34)는 가압되며, 스파크발생기구(30)에 대해서 진퇴운동한다. 즉, 스파크발생기구(30)는 지지판(80)에 의해 지지되므로, 트리거(32)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가압하면 가압부(34)가 스파크발생기구(30)의 본체에 대해 근접하고, 가압력을 제거하면 스파크발생기구(30) 내부의 스프링에 의해 이격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화기구에 있어서, 가스통내의 가스를 토출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트리거(32)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가압하면, 개방부재(50)는 트리거(32)의 경사면(31)에 의해 가압되어 화살표 d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출관(18)을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인출하여 가스통(16)내의 가스가 튜브(20)내로 토출하도록 한다. 상기 토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가스량조절레버(54)를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재와 보조잠금수단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12)의 측면에 잠금부재(58)가 설치된다. 상기 잠금부재(58)는 일정한 높이를 가진 장공(66)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며, 가압에 따른 트리거(32)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이와 더불어, 어린이나 유아들이 상기 잠금부재(58)를 손쉽게 조작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지 못하도록 받침부재(12)의 내부 즉, 잠금부재(58)의 측부에 보조잠금수단(9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잠금수단(90)은 탄성바이어스 가능하도록 받침부재(12)의 돌기부에 결합되는 몸체(90a)와, 상기 몸체(90a)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받침부재(12)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푸시돌기(91)와, 상기 푸시돌기(91)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90a)의 일측부에 단차로 돌출형성되어 잠금부재(58)의 슬라이딩을 저지하기 위한 스톱퍼(92)를 구비한다. 상기 스톱퍼(92)는 잠금부재(58)의 잠금시에 장공(66)의 상측에 위치되어 잠금부재(58)의 슬라이딩을 저지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92)는 잠금부재(58)의 해제시 푸시돌기(91)의 가압에 의해 잠금부재(58)의 전방으로 전진되어 잠금부재(58)의 슬라이딩을 자유롭게 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점화기구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트리거(32)를 가압하면, 트리거(32)로부터 가압력을 받은 개방부재(50)가 토출관(18)을 인출하여 가스를 발생하고, 발생된 가스는 튜브(20)내를 유동하여 금속노즐(28)을 통과하여 외부로 분출된다. 이와 동시에 트리거(32)에 의해 가압되는 스파크발생기구(30)는 금속노즐(28)과 돌기부(40)사이에 스파크를 발생시키고, 동시에 분출되는 가스를 점화하여 화염을 발생한다. 트리거(32)를 계속 가압하면, 토출관(18)이 계속 개방된 상태로 있으므로, 화염은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점화기구의 사용을 종료하기 위해서 트리거(32)에 가하던 가압력을 제거하면, 트리거(32)는 스파크발생기구(30)내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처음의 위치로 이동하여 토출관(18)을 밀폐함으로써, 가스공급을 차단하고 화염을 소거한다.
한편,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잠금부재와 보조잠금수단의 동작상태는 우선,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32)의 가압을 저지시키기 위해 상기 잠금부재(58)를 장공(66)의 내부에서 화살표 e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시키면, 잠금부재(58)에 의해 트리거(32)의 걸림턱(84)이 걸려 트리거(32)는 화살표 b의 방향으로 가압되지 않아 결국 점화가 수행될 수 없다. 이 때, 보조잠금수단(90)의 스톱퍼(92)는 탄성바이어스되어 장공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잠금부재(58)는 스톱퍼(92)에 걸려 더 이상 상방으로 진행되지 못하도록 강제된다.
반대로,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58)를 상부로 다시 이동시켜 트리거(32)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푸시돌기(91)를 누름과 동시에 다른 한손으로는 잠금부재(58)를 상방으로 올린다. 따라서, 푸시돌기(91)에 의해 눌려진 보조잠금수단(90)의 몸체(90a)는 받침부재(12)의 전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들어올려진다. 이에 따라, 스톱퍼(92) 또한 전방으로 들어올려져 잠금부재(58)의 진행을 자유스럽게 한다. 그러므로, 잠금부재(58)는 상방으로 슬라이딩되고, 트리거(32)의 걸림턱(84)에 걸리지 않게 되어 결국 트리거(32)를 화살표 b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계속적으로 점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점화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잠금부재(58)를 e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만 하면 앞서 도시된 도 9에서와 같이 스톱퍼(92)는 몸체(90a)의 탄성바이어스에 의해 장공의 상측 즉, 잠금부재(58)의 상측면에 위치됨으로써 잠금부재(58)의 이동을 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점화기구는 종래의 잠금부재와 함께 보조잠금수단을 더 채용함으로써 어린이나 유아들이 잠금부재를 손쉽게 조작하여 해제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설계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점화기구는 트리거가 가압되지 않도록 로킹된 잠금부재를 어린이나 유아들이 손쉽게 조작하여 해제하지 못하도록 보조잠금수단을 더 구비시킴으로써 한 손으로는 잠금부재를 해제하고 다른 한손으로는 보조잠금수단을 해제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 성인들에 비해 기구 조작지능이 낮은 어린이나 유아들이 잠금상태를 해제하지 못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화염에 의한 화상의 위험성과 화염이 실내의 커텐 등에 옮겨 붙어 대형화재로 이어지는 위험성을 방지하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상호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부(22)를 형성하고 전단부(26)에는 관통설치구(24)를 형성하는 받침부재(12) 및 덮개부재(10)를 포함하는 본체(14)와, 상기 본체(14)의 내부 공간부(22)에 설치되는 가스통(16)과, 상기 가스통(16)과 연통되는 튜브(20)와, 상기 튜브(20)와 연통하여 끝단부가 본체(14)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금속노즐(28)과, 상기 가스통(16)의 측부에 설치되며 점화선(36)을 구비한 스파크발생기구(30)와, 상기 스파크발생기구(30)를 가압하여 스파크를 발생할 수 있도록 스파크발생기구(30)의 가압부(34)를 내부에 포함하며 본체(14)의 외부로부터 가압되도록 설치되는 트리거(32) 및 상기 트리거(32)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축(4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토출관(18)을 가스통(16)으로부터 일정길이 인출하여 튜브(20)로 가스를 공급하는 개방부재(50)와, 상기 받침부재(12)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66)에 지지되어 상기 트리거(32)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상하 슬라이딩되는 잠금부재(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화기구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58)의 측부에는 상기 받침부재(12)의 내부 공간부(22)에 지지되어 상기 잠금부재(58)의 슬라이딩을 저지하기 위한 보조잠금수단(9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잠금수단(90)은,
    상기 받침부재(12)의 내부 공간부(22)에 설치되어 탄성바이어스되는 몸체(90a)와, 상기 몸체(90a)의 중앙에 형성되어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푸시돌기(91)와, 상기 몸체(90a)의 측부에 단차를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58)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스톱퍼(9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기구.
KR2019990020970U 1999-09-30 1999-09-30 점화기구 KR200172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970U KR200172057Y1 (ko) 1999-09-30 1999-09-30 점화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970U KR200172057Y1 (ko) 1999-09-30 1999-09-30 점화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057Y1 true KR200172057Y1 (ko) 2000-03-15

Family

ID=1959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970U KR200172057Y1 (ko) 1999-09-30 1999-09-30 점화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0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0521A (en) Injection igniter having a safety device
CA1280618C (en) Gas lighter equipped with a safety lock
US6077071A (en) Safety apparatus of barbecue lighter
US6527543B2 (en) Safety catch device for a gas burner
KR200239435Y1 (ko) 발화저지기능을갖는다목적가스라이터
ES2310994T3 (es) Encendedor utilitario.
KR100495621B1 (ko) 어린아이들은 켜기 어려운 다목적 가스라이타
JP3040821B2 (ja) 選択的に作動可能なライター
KR200202998Y1 (ko) 발화저지기능을 갖는 발화석 점화식 가스라이터
US20020197577A1 (en) Lighter with child resistant actuating lever
KR200202999Y1 (ko) 발화저지기능을 갖는 다목적 가스라이터
US6439879B1 (en) Safety gas burner
KR200172057Y1 (ko) 점화기구
CA2400932C (en) Utility lighter
AU2001238601A1 (en) Utility lighter
US6527542B1 (en) Child-proof safety device for eclipse lighter
US6296475B1 (en) Gas burner having synchronous ignition and gas supply functions
US6447287B1 (en) Safety gas lighter
US20100047729A1 (en) Lighter with childproof windshield
KR20000003351U (ko) 점화기구
US20100099053A1 (en) Structure of lighter with safety button
CN216716293U (zh) 一种便携式点火器
JPH0412355Y2 (ko)
EP1271055B1 (en) A child proof lighter
CN2591431Y (zh) 一种防儿童的安全点火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