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986Y1 - 어린이승용차 - Google Patents

어린이승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986Y1
KR200171986Y1 KR2019990018518U KR19990018518U KR200171986Y1 KR 200171986 Y1 KR200171986 Y1 KR 200171986Y1 KR 2019990018518 U KR2019990018518 U KR 2019990018518U KR 19990018518 U KR19990018518 U KR 19990018518U KR 200171986 Y1 KR200171986 Y1 KR 200171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car
molding machine
synthetic resin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홍기
Original Assignee
강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홍기 filed Critical 강홍기
Priority to KR2019990018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9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9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내의 의자에 앉아 발로 지면을 밀어 자동차를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제의 어린이승용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징은, 여러단위체의 작은부피로 분할하여 대형의 성형기를 갖추지 못한 완구제조업체에서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데 있다.
종래에도 하부차체(1)와 상부차체(2)를 결합하여서 된 어린이승용차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도3과 같이 하부차체(1)는 의자(1-4)와 받침판(1-5)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차체(2)는 전면창(2')과 천정 및 측면창부분을 합성수지제성형기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제조하게 됨으로 부피가 매우 큰 합성수지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대형의 성형기가 아니고서는 하부차체(1)와 상부차체(2)를 일체로 성형할 수 없기 때문에 외국의 완구제조업체에 비하여 영세한 국내완구업체에선 생산하지 못하고 있는 실증에 놓여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차체(1)및 상부차체(2)를 일체로 제조하여서 된 어린이승용차는 수입하게 됨으로 인하여 많은 외화를 낭비하고 있는 실증에 놓여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차체(1)와 상부차체(2)로 형성하여 되는 것에 있어서,
하부차체(1)는 전면단위차체(1-1), 양측면단위차체(1-2)(1-3), 의자(1-4),받침판(1-5)으로 분할하고, 상부차체(2)는 상측면 단위차체(2-1)(2-2)로 분할 성형하여 볼트(6)및 너트(7)로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서,
부피가 큰합성수지제품을 성형할 수 있는 대형의 성형기를 갖추지 못한 완구제조업체에서도 어린이승용차를 제조할 수 있도록하여 저렴가로 널리 제공할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수입으로 인한 외화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린이 승용차{CHILDREN CAR}
본 고안은 자동차내의 의자에 앉아 발로 지면을 밀어 자동차를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제의 어린이승용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징은, 여러단위체의 작은부피로 분할하여 대형의 성형기를 갖추지 못한 완구제조업체에서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데 있다.
종래에도 하부차체(1)와 상부차체(2)를 결합하여서 된 어린이승용차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도3과 같이 하부차체(1)는 의자(1-4)와 받침판(1-5)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차체(2)는 전면창(2')과 천정 및 측면창부분을 합성수지제성형기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제조하게 됨으로 부피가 매우 큰 합성수지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대형의 성형기가 아니고서는 하부차체(1)와 상부차체(2)를 일체로 성형할 수 없기 때문에 외국의 완구제조업체에 비하여 영세한 국내완구업체에선 생산하지 못하고 있는 실증에 놓여 있으며,
이에 따라 하부차체(1)및 상부차체(2)를 일체로 제조하여서 된 어린이승용차는 수입하게 됨으로 인하여 많은 외화를 낭비하고 있는 실증에 놓여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차체(1)와 상부차체(2)로 형성하여 되는 것에 있어서,
하부차체(1)는 전면단위차체(1-1), 양측면단위차체(1-2)(1-3), 의자(1-4),받침판(1-5)으로 분할하고, 상부차체(2)는 상측면 단위차체(2-1)(2-2)로 분할 성형하여 볼트(6)및 너트(7)로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서,
부피가 큰합성수지제품을 성형할 수 있는 대형의 성형기를 갖추지 못한 완구제조업체에서도 어린이승용차를 제조할 수 있도록하여 저렴가로 널리 제공할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수입으로 인한 외화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분리도
도3은 종래의 제품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차체
1-1 : 전면단위차체
1-2,1-3 : 측면단위차체
1-4 : 의자
1-5 : 받침판
2 : 상부차체
2' : 전면창
2-1,2-2 : 상측면단위차체
3 : 출입문
4 : 뒷문
5,5' :앞뒤바퀴
6 : 볼트
7 : 너트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분리도로서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3)과 뒷문(4)및 앞뒤바퀴(5)(5')를 유착한 하부차체(1)와 전면창(2')을 형성한 상부차체(2)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하부차체(1)는 전면단위차체(1-1), 양측면단위차체(1-2)(1-3)와 의자(1-4)및 받침판(1-5)으로 분할하고 상부차체(2)는 상측면단위차체(2-1)(2-2)로 분할형성하여 볼트(6)및 너트(7)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제조에 따라서는 하부차체(1)와 상부차체(2)의 분할부는 대형성형기가 아니더라도 성형하기에 알맞는 크기로 분할부를 달리하여 분할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8은 핸들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출입문(3)을 열고 차내로 들어가 의자(1-4)에 앉아 발로 지면을 밀어 앞으로 전진시켜 승용차의 놀이를 하게 되는 것으로서,
본원의 하부차체(1)는 전면단위차체(1-1), 측면단위차체(1-2)(1-3)와 의자 (1-4)및 받침판(1-5)의 작은부피로 분할되고 상부차체(2)는 상측면단위차체(2-1) (2-2)의 작은부피로 분할되었으므로 대형의 성형기가 없는 완구제조업체에서도 저렴가로 제조하여 널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하부차체(1)와 상부차체(2)를 적은부피로 분할 제조하여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였으므로 대형의 성형기가 없는 완구제조업체에서도 저렴가로 제조하여 널리 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 수입으로 인한 외화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출입문(3)과 뒷문(4)및 앞뒤바퀴(5)(5')를 유착한 하부차체(1)와 전면창(2')을 형성한 상부차체(2)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하부차체(1)는 전면단위차체(1-1), 양측면단위차체(1-2)(1-3)와 의자(1-4)및 받침판(1-5)으로 분할하고 상부차체(2)는 상측면단위차체(2-1)(2-2)로 분할형성하여 볼트(6)및 너트(7)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어린이 승용차.
KR2019990018518U 1999-09-02 1999-09-02 어린이승용차 KR2001719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518U KR200171986Y1 (ko) 1999-09-02 1999-09-02 어린이승용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518U KR200171986Y1 (ko) 1999-09-02 1999-09-02 어린이승용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986Y1 true KR200171986Y1 (ko) 2000-03-15

Family

ID=1958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518U KR200171986Y1 (ko) 1999-09-02 1999-09-02 어린이승용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9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12249D1 (de) Seifenblasen erzeugender reitwagen
CA2398737A1 (en) Children's wagon with improved removable walls
USD468544S1 (en) Bouncer seat with toy bar
US3629968A (en) Toy vehicle
USD529319S1 (en) Seat for child car seat
KR200171986Y1 (ko) 어린이승용차
USD492830S1 (en) Twin grocery cart seat
USD319906S (en) Shopping cart with seat
US4466215A (en) Miniature toy vehicle assembly
US4678451A (en) Interfitting toy vehicle body and chassis
USD528832S1 (en) Child car seat
USD463663S1 (en) Upright luggage case
USD356761S (en) Combination stroller and trailer for infants and children
USD348157S (en) Child's rocking dinosaur
USD367197S (en) Cushion for a shopping cart child seat
USD436145S1 (en) Toy vehicle
USD263456S (en) Shopping cart with child seat
USD454936S1 (en) Children's playground sandbox in the shape of a pumpkin
USD432186S (en) Children's vehicle
USD521618S1 (en) Child/adult toilet seat
USD301091S (en) Rocking chair
USD344639S (en) Built in baby/child car seat
USD426893S (en) Combined baby bottle and toy
ATE538001T1 (de) Kinderfahrzeug mit audiovisueller vorrichtung
USD1018078S1 (en) Modular children's furni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