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392Y1 - Flowerpot having a ventilator - Google Patents

Flowerpot having a venti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392Y1
KR200170392Y1 KR2019990016839U KR19990016839U KR200170392Y1 KR 200170392 Y1 KR200170392 Y1 KR 200170392Y1 KR 2019990016839 U KR2019990016839 U KR 2019990016839U KR 19990016839 U KR19990016839 U KR 19990016839U KR 200170392 Y1 KR200170392 Y1 KR 200170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pot
membrane
ventilation membran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83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철
Original Assignee
이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철 filed Critical 이기철
Priority to KR2019990016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39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392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 밑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크기 및 그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 복수개의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통풍막이 화분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은 난초, 서양난 및 관엽식물을 재배하거나 또는 일반 장식소품 등으로 사용되는 소정 형상을 가지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높이와 폭에 비례하여 상기 화분의 밑면부로부터 소정 높이(H)에 위치하며, 소정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통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통풍막과, 상기 통풍막과 밑면부 중간에 형성된 소정 너비를 가지는 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따라 화분 밑면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통풍막을 통해 순환됨으로서, 원할한 통풍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ted plant formed with a ventilation membrane which is formed integral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ventilation membrane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openings are formed regardless of the size and shap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pot, the pollen membrane formed inside In a flowerpot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used to grow orchids, orchids and houseplants, or as a general decorative accessory,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of the flowerpot in proportion to the height and width of the flowerpot, A plurality of ventilation opening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are formed and comprises a ventilation membran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er pot, and a sp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med in the middle of the ventilation membrane and the bottom portion, and thus flows in from the bottom of the pollen. As air is circulated through the ventilation membrane, it is possible to expect a smooth ventilation effect. have.

Description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FLOWERPOT HAVING A VENTILATOR}Flower pot formed inside the ventilation membrane {FLOWERPOT HAVING A VENTILATOR}

본 고안은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 밑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소정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통풍구멍을 가지는 통풍막이 화분 내주면에 일체로 성형되어 원할한 통풍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en formed inside the ventilation membrane, and more specifically, a ventilation membrane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pot is integrally mol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nt to achieve a desired ventilation function. It relates to a pollen formed inside the ventilation membrane to make.

근래, 화분은 조경 인테리어에 이용하거나 소품류 등에 사용되면서 집안 분위기를 바꾸기 위한 어느 정도의 인테리어 효과를 가미함과 아울러 실내에서의 공기정화와 습도유지, 그리고 차광 효과 및 잎사귀의 빛깔이나 모양을 관상하기 위한 관엽식물 등을 기르는데 있어, 가족들의 정서 함양에 도움이 되는 잇점이 있는 등의 다양한 이유 등으로 인하여 가정 등에서의 화분을 가꾸는 사용 빈도가 증가추세에 있다.Recently, potted plants are used in landscaped interiors or small items to add some interior effect to change the atmosphere of the house, and to observe the air purification and humidity in the room, and to observe the shade and color of leaves and leaves. In growing houseplants, the use of pollen at home is increasing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the benefit of helping families to improve their emotions.

이와같이 실내/실외에 관엽식물이나 장식효과를 주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 화분을 도 1 및 A-A단면도를 도 2에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0)은 나무나 꽃을 심기 위한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밑면부(12)에는 통상적으로 통풍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개의 구멍(14)이 형성되어 있으며, 화분(10) 내부에 자갈 등의 물질이 채워져 있는 상태에서 그 구멍(14)을 통해 상기 화분 내부로 공기 통풍이 원할하게 수행되도록, 상기 구멍(14) 상부에 그물모양 또는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는 원추형의 덮개(16)가 밀착된다. 그리고 화분 밑면은 그 화분이 놓여지는 장소의 바닥면과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개수의 다리부(18) 또는 그 밑면의 일정 개소가 돌출/형성되어, 화분 밑면과 바닥면을 소정 높이로서 이격시키게 되며, 그 이격된 공간을 통해 통풍기능이 수행된다.1 and A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otted plant used to give an indoor or outdoor plant or decoration effect in this way, as shown in Figure 2, as shown, the potted plant 10 has a predetermined shape for planting trees or flowers It is made of, the bottom portion 12 is formed with one hole 14 so as to perform a normal ventilation function, the hole 14 in a state in which a substance such as gravel is filled in the pot 10. The conical cover 16, which is formed in a net shape or a plurality of groove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hole 14 so that air ventilation is smoothly performed through the pot. And the bottom of the pot is a predetermined number of leg portions 18 or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ttom protruding / formed in order to prevent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ce where the pot is placed, the bottom of the pot and the bottom surfac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Ventil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pace.

상기와 같이 원추형의 덮개(16)가 상기 구멍에 씌어져 있는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잎사귀의 빗깔이나 모양을 관상하기 위한 난초 및 고무나무 따위의 관엽식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원추형의 덮개(16) 외면부로부터 상기 그물모양 또는 다수개의 홈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자갈 등을 채우거나, 이에 토양 등을 적정 비율로서 화분내에 채우게 된다. 이후, 상기 화분(10) 하부의 이격된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구멍(14) 및 원추형의 덮개(16)를 통해 내부공기와의 통풍이 이루어진다.When the user wishes to grow an orchid and a rubber plant such as an orchid and a rubber tree to observe the raindrops or shapes of the leaves from the state in which the conical cover 16 is covered in the hole as described above, the conical cover is first used. (16) To fill the gravel or the lik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at can not escape through the net-shaped or a plurality of grooves from the outer surface portion, or to fill the soil in the pot at an appropriate ratio. Thereafter, the air introduced from the spaced space below the flower pot 10 is vented with the internal air through the hole 14 and the conical cover 16.

그러나, 상기한 종래 화분구조는 통풍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원추형의 덮개(16)가 별도로 필요함으로써, 화분 외의 추가 비용이 발생됨과 아울러 그 원추형의 덮개(16)를 분실하였을 경우에는 화분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분실 시에 해당 화분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4)에 맞는 원추형의 덮개를 별도로 구입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llen structure requires a conical cover 16 to perform a ventilation function separately, so that additional costs other than the pollen are generated and when the conical cover 16 is lost, it functions as a flower po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properly utilized, and also had a difficulty in purchasing a separate cover of the conical shape to fit the hole 14 formed in the pot when lost.

또한, 그 화분내부에 자갈 등을 채우게 되는 경우에, 상기 자갈 등이 원추형의 덮개(16) 상부 외면으로부터 균일하게 채워지지 않는 경우에는 그 원추형의 덮개(16)가 어느 한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화분 밑면부(12)에 형성된 구멍(14)과 일치되지 않으므로써, 자갈 등이 그대로 그 구멍을 통해 빠져나가는 다른 문제점이 있고, 그에 따라 자갈 등을 채울 때 사용자가 상기 원추형의 덮개(16)를 손으로 고정시킨 후 작업을 해야 함으로써 번거로운 점이 발생되었다.In addition, when the gravel or the like is filled with the inside of the pot, if the gravel and the like are not evenly filled from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conical cover 16, the conical cover 16 is pushed in either direction and the flower pot is pushed.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the gravel or the like does not escape through the hole as it does not coincide with the hole 14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12, so that when the user fills the gravel or the like, the user can handle the conical cover 16. The work has to be done after fixing it, which is annoying.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크기 및 그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 복수개의 통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통풍막이 화분 밑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H)에 위치, 화분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purpose is that the ventilating membran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of the potted plant, a plurality of ventilation openings are formed regardless of the size and shape, It is to provide a pollen formed inside the ventilation membrane to be integrally form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은, 난초, 서양난 및 관엽식물을 재배하거나 또는 일반 장식소품등으로 사용되는 소정 형상을 가지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의 높이와 폭에 비례하여 상기 화분의 밑면부로부터 소정 높이(H)에 위치하며, 소정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통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통풍막과, 상기 통풍막과 밑면부 중간에 형성된 소정 너비를 가지는 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ollen formed inside the ventilation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potted plant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used for growing orchids, western eggs and houseplants or general decorative accessories, the height of the potted A ventilation membrane which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of the pot in proportion to its width, and has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an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t, and between the ventilation membrane and the bottom por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med in.

바람직하기로, 상기 통풍막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풍구의 크기,형상 및 개수는 상기 화분의 크기에 따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ize, shape and number of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formed in the ventilation membra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t.

선택적으로, 상기 통풍막은 상기 화분 밑면부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ptionally, the ventilation membrane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bottom of the pot.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기 통풍을 위한 별도의 원추형의 덮개가 필요없음에 따라 화분 내부에 적재되는 자갈 등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원추형의 덮개가 밀려나가는 등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고, 화분 하단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의하여 원할한 통풍효과가 나타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need for a separate conical cover for air ventilation can eliminate the problem of the conical cover is pushed out due to the imbalance such as gravel loaded in the pot, By the space portio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ot can be a smooth ventilation effect.

도 1은 일반적인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pot,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wer pot formed inside the ventilation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B-B단면도이고,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막이 화분 밑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ventilation membran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C-C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2 : 밑면부, 104 : 화분외면,102: bottom portion, 104: pollen outer surface,

102a, 104a, 106a : 통풍구,102a, 104a, 106a: vent,

106 : 통풍막, 108 : 공간부106: ventilating membrane, 108: space par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100)은 어느 하나의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화분 밑면부(102)에 외부 공기와 화분 내부 공기와의 통풍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된 통풍구(102a) 및 화분 외면(104)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풍구(104a)와, 상기 화분 밑면부(102)로부터 소정 높이(H)에 위치하며 형태 및 크기에 제약을 받지않는 복수개의 통풍구(106a)가 형성된 통풍막(106)이 그 화분 내면에 일체로 성형되며, 그 통풍막(106)과 밑면부(102) 사이에는 소정 너비로 이루어지는 공간부(108)가 제공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llen formed inside the ventilation memb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BB of Figure 3, as shown therein is a pollen 100 formed inside the ventilation membrane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04a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er pot 102 to be formed to perform a ventilation function between the outside air and the inside of the flower pot; The ventilation membrane 106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of the pot 102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06a that are not limited in shape and size. A space 108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provided between the 106 and the base 102.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분내에 설치된 통풍막이 화분 밑면부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5의 C-C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통풍막(106)이 화분 밑면부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성형된 것을 알수 있으며, 이는 상기 화분의 크기가 도 2에 도시된 화분보다 상대적으로 적음에 따라 화분 밑변부로부터 일정 높이에 따른 공간부가 존재하지 않아도 충분하게 공기의 흐름에 따른 통풍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ntilation membrane installed in the pot close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5 CC, Likewise, it can be seen that the ventilating membrane 106 shown in FIG. 2 is formed at approximately the same position as the bottom of the pot, which is fixed from the bottom of the pot as the size of the pot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pot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the ventil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can be sufficiently performed even if there is no space according to the height.

즉, 화분 높이에 따라 상기 통풍막(106)의 위치가 조절된다는 것이다.That is, the position of the ventilation membrane 106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ot.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에 따른 작용을 도 3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3 to 6 the effect of the pollen formed in the ventilation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여기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 도 3 및 도 4와 도 5 및 도 6의 통풍기능은 상호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도 3 및 도 4에 따른 작용만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 in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entilation functions of FIGS. 3 and 4 and 5 and 6 are similar to each oth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and only the operations according to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먼저, 자갈 등을 화분 내부에 채우게 되는 바, 그에 따라 그 자갈은 상기 통풍막(106) 상단부로부터 쌓이게 되고 아울러 필요한 경우 토양 등을 적정 비율로서 상기 자갈과 함께 채울수 있다. 이때 통풍막(106)에 형성된 통풍구(106a) 뿐만 아니라 외면(104)에 형성된 통풍구(104a)의 직경은 화분(100)내에 채워지는 각종 성분의 평균 직경보다 작아야 함은 물론이며, 만약 상기 자갈 등이 통풍구(104a,106a)의 직경과 유사하여 그 통풍구(104a,106a)를 밀폐시키게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화분(100)을 흔들어 주는 등의 작업에 따라 원할한 통풍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다.First, the gravel is filled in the pot, and thus the gravel is accumul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ventilation membrane 106, and if necessary, the soil and the like can be filled with the gravel at an appropriate ratio.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ventilation holes 104a formed in the outer surface 104 as well as the ventilation holes 106a formed in the ventilation membrane 106 should be smaller than the average diameter of various components to be filled in the flower pot 100. When the air vents 104a and 106a are closed to have a diameter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air vents 104a and 106a,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m and shake the flower pot 100 smoothly. Make sure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화분(100)내에 소정 물질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외면(104)에 형성된 통풍구(104a) 뿐만 아니라 밑면부(102)에 형성된 통풍구(102a) 및 공간부(108)를 매개하여 통풍막(106)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풍구(106a)로 유입됨으로써, 원할한 통풍이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predetermined material is filled in the flower pot 100 as described above, the ventilation holes 104a formed on the outer surface 104 as well as the ventilation holes 102a and the space 108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02 are ventilated. By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vent holes 106a formed in the membrane 106, smooth ventilation is achieved.

여기서, 상기 통풍구(106a)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2mm∼2Cm 정도이며, 그 형상은 원 또는 다각형상으로서, 통풍막(106)에 형성되는 개수는 1-20개 정도로서 화분에 적정 개수로서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size of the vent hole 106a is generally about 2 mm to 2 cm, the shape of which is circular or polygonal, and the number of the vent holes 106 is about 1-20, which can be formed as an appropriate number in the pot. hav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은 난초, 서양란 및 관엽식물 뿐만 아니라 실내/외 장식품으로서의 소품 기능을 제공하도록 그 크기 및 재질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바, 예컨대 통상적으로 그 크기에 따른 높이와 폭을 5㎝-100㎝정도로 하고, 또한 도자기, 토분, 세라믹 등의 여러 재질로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형상 또한 여러 형상으로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때 통풍막은 밑면부로부터 소정 높이에 제공됨과 아울러 해당 화분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ed in size and material to provide an accessory function as an indoor / outdoor ornaments as well as orchids, Western eggs and houseplants, for example, the height and width according to the size 5 It is about 100 cm and can also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eramics, clay powder, ceramics, and the like. The shape can also be expressed in various shapes, and at this time, the ventilation membrane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and the corresponding potted plant. I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즉,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에 따른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은 그 크기, 형태 등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로서,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따라서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That is,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size, shape, etc. of the pollen formed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should fall within the claims append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은 그 화분내부에 통풍기능을 수행하도록 다수개의 통풍구가 있는 통풍막이 상기 화분크기에 따라 밑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여 그 화분과 일체로 형성되는 바, 공기 통풍을 위한 별도의 원추형의 덮개가 필요없고, 이에따라 화분 내부에 적재되는 자갈 등의 불균형으로 인한 원추형의 덮개가 밀려나가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ollen formed in the ventilation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with the potted plant wit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lant to perform the ventilation function. It is formed as a bar,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onical cover for air ventilation, accordingly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conical cover is pushed out due to the imbalance of the gravel and the like loaded in the pot.

또한, 화분내부에 소정 너비를 가지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화분 밑면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통풍막을 통해 순환됨으로서, 원할한 통풍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a spac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in the pot, so that air flowing from the bottom of the pot is circulated through the ventilating membrane, thereby providing an advantageous ventilation effect.

Claims (3)

난초, 서양난 및 관엽식물을 재배하거나 또는 일반 장식소품 등으로 사용되는 소정 형상을 가지는 화분에 있어서,In the potted plant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used to grow orchids, orchids and house plants or as a general decorative accessory, 상기 화분의 높이와 폭에 비례하여 상기 화분의 밑면부(102)로부터 소정 높이(H)에 위치하며, 소정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복수개의 통풍구(106a)가 형성되고 상기 화분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통풍막(106)과,Located in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portion 102 of the pot in proportion to the height and width of the pot, a plurality of vents (106a)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is formed and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t Ventilation membrane 106, 상기 통풍막(106)과 밑면부(102) 중간에 형성된 소정 너비를 가지는 공간부(10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Pollen formed inside the ventilation membrane 106,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ace portion 108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med in the middle of the ventilation membrane 106 and the bottom portion (102).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풍막(106)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풍구(106a)의 크기,형상 및 개수는 상기 화분의 크기에 따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The size, shape and number of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106a) formed in the ventilation membrane (106) is a pollen formed inside the ventilation membrane, characterized in that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통풍막(106)은 상기 화분 밑면부(102)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막이 내부에 형성된 화분.The ventilation membrane 106 is a pollen formed inside the ventilation membran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bottom portion 102 of the pot.
KR2019990016839U 1999-08-16 1999-08-16 Flowerpot having a ventilator KR20017039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839U KR200170392Y1 (en) 1999-08-16 1999-08-16 Flowerpot having a venti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839U KR200170392Y1 (en) 1999-08-16 1999-08-16 Flowerpot having a ventil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392Y1 true KR200170392Y1 (en) 2000-02-15

Family

ID=1958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839U KR200170392Y1 (en) 1999-08-16 1999-08-16 Flowerpot having a venti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39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93U (en) 2015-07-06 2017-01-16 김유라 flowerpot for orchid cultiv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93U (en) 2015-07-06 2017-01-16 김유라 flowerpot for orchid cultivation
KR200484697Y1 (en) 2015-07-06 2017-10-18 김유라 flowerpot for orchid cultiv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1908A (en) Plant culture receptacle
US6058651A (en) Hanging plant apparatus
US6874278B2 (en) Planter for growing plants upside down
KR101881268B1 (en) flowerpot for orchid cultivation with ventilation body
KR200170392Y1 (en) Flowerpot having a ventilator
US20090119988A1 (en) Aerial plant planter
US2802305A (en) Flowerpot attachment
US6073393A (en) Elements for a plant container
KR102300711B1 (en) Flower pot having high airing efficiency
KR101012127B1 (en) Porcelain flower pots
CN2086047U (en) Flowerpot with water-retained function
KR0120126Y1 (en) Flower pots
JP2001000047A (en) Planting pot
KR200274703Y1 (en) A well-ventilated & Beautiful flowerpot with two-wall
KR200313507Y1 (en) a flowerpot
KR960001057Y1 (en) Flower-pots
CN2200285Y (en) Over-flowerpot
KR0120125Y1 (en) Multistage flower pots
US6385908B1 (en) Planter modification system
KR200328757Y1 (en) The aquarium added on flower bed
KR200322190Y1 (en) a port for nursing back bulb
KR200238295Y1 (en) All-purpose flowerpot
JPH0415101Y2 (en)
KR900001143Y1 (en) A flower-pot
JPH08298871A (en) Cultur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