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382Y1 - 생화 보호용 꽃 꽂이대 - Google Patents

생화 보호용 꽃 꽂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382Y1
KR200170382Y1 KR2019990015183U KR19990015183U KR200170382Y1 KR 200170382 Y1 KR200170382 Y1 KR 200170382Y1 KR 2019990015183 U KR2019990015183 U KR 2019990015183U KR 19990015183 U KR19990015183 U KR 19990015183U KR 200170382 Y1 KR200170382 Y1 KR 2001703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flowers
present
ca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윤
Original Assignee
김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윤 filed Critical 김동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3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3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하게 꽃 꽂이대에 생화를 끼워 넣고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꽃 꽂이대에 삽입된 생화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며, 꽃 봉우리를감싸고 있는 꽃 케이스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꽃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꽃으로부터 꽃 케이스의 높이를 적당하게 조절하여 꽃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취향에 따라 다각적으로 미적 감각을 연출시킬 수 있도록 본 고안은, 상면에 꽃 봉우리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는 요입홈이 있고 저면에 고정관이 연결된 보조구와, 상기 보조구의 하부에 조립되며 중앙에 구멍이 있고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절개된 절취편들을 가진 꽃 케이스와, 상기 보조구의 고정관 하단에 끼워지는 대롱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생화 보호용 꽃 꽂이대.{FLOWER ARRARGMENT STALK FOR NATURAL FLOWER}
본 고안은 꽃 꽂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이동시와 장식 중에생화를 보호할 수 있는 생화 보호용 꽃 꽂이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훼단지에서 재배된 생화는 타지의 구매자에게 운송되는 도중과 전시 중에 서로 밀착되면서 생화가 시들거나 모양이 손상되기 쉽다. 따라서, 제품의 질과 단가가 저하되고 농가의 소득에 막대한 손실을 가져오는 요인이 된다. 이로서 생화의 원상태의 싱싱함과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지로서 깔때기 형상을 만들어 생화의 하부에 끼운 다음, 줄기에는 철사를 대고 상기 깔때기 하단에서부터 종이테이프를 감아 포장되는 것으로 생화를 보호할 수 있는 종래의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식은, 작업 공정이 까다롭고 포장을 위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관계로 많은 인건비가 지출되며, 상기 포장은 해체할 수 없이 관상용으로서도 포장된 상태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본 출원인과 동일인으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4118호(생화보호용 꽃 꽂이대)가 출원된 바 있는데, 이는 꽃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변화됨이 없이 항상 일정한 형태로만 유지시킬 수 있게 된 것으로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 없으며 또한 꽃의 고정력이 약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게 꽃 꽂이대에 생화를 끼워 넣고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꽃 꽂이대에 삽입된 생화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며 원상태로 보호할 수 있는 생화보호용 꽃 꽂이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꽃 봉우리를 감싸고 있는 꽃 케이스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꽃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꽃으로부터 꽃 케이스의 높이를 적당하게 조절하여 꽃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취향에 따라 다각적으로 미적 감각을 연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에 꽃 봉우리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는 요입홈이 있고 저면에 고정관이 연결된 보조구와, 상기 보조구의 하부에 조립되며 중앙에 구멍이 있고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절개된 절취편들을 가진 꽃 케이스와, 상기 보조구의 고정관 하단에 끼워지는 대롱으로 구성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화 보호용 꽃 꽂이대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화 보호용 꽃 꽂이대의 중앙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보조구 12:고정관
14:돌출턱 16,24:절취편
20:꽃 케이스 22:구멍
30:대롱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생화 보호용 꽃 꽂이대의 저면을 보인 것으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생화의 하부로부터 먼저 끼워지게 되고 생화 꽃봉우리의 하부를 견고히 고정시키게 되는 보조구(10)와, 상기 보조구의 외부에 조립되어 꽃봉우리의 형상을 보호 유지시키는꽃 케이스(12)와, 상기 꽃 케이스의 하부로 생화의 줄기가 끼워지는 대롱(14)으로 본체(10)가 구성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보조구(10)는, 상부가 꽃봉우리의 하부가 안착될 수있게 만곡부를 가지는 요입홈(18)이 있고 중앙 하부로 고정관(12)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12)의 중앙 외부에는 둘레면을 따라 돌출턱(14)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소정의 길이로 절취되면서 각 절취편(16)들이 중앙으로 오므라져 있다. 즉 상기 절취편(16)들은 고정관(12)의 하단에서 연장된 것으로 상광하협으로 되고 성형시에 상기 절취편(16)들의 상단부분을 내측으로 굴곡시킨다.
다음, 컵 형상으로서 저면 중앙에 구멍(22)이 있고, 상기 보조구(10)의 고정관(12) 하부가 끼워져 조립되는 꽃 케이스(20)는, 상기 구멍(22)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절취하여 절취편(24)들을 형성시킨 것으로 보조구(10)와 꽃케이스(20)의 조립시, 상기 고정관(12)이 구멍(22)으로 끼워지고 고정관(12)의 돌출턱(14)이 꽃 케이스(20)의 구멍(22)을 통과할 때 상기 절취편(24)들이 아래로 밀리면서 구멍(22)을 확장시키게 되어 상기 고정관(12)의 상부 위치로 쉽게 이동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구(10)의 고정관(16) 하부 즉, 돌출턱(14) 이하 하부로는 원통형 대롱(30)이 끼워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제2도는 본 고안 꽃 꽂이대의 중앙 단면도이고, 생화가 꽂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측에서부터 생화의 줄기 하단부를 끼워 넣어 줄기는 대롱(30)에, 그리고 꽃은 꽃 케이스(20)에 각각 안치된 상태로 생화가 보호되게 된다. 여기서, 생화의 줄기가 보조구(10)의 절취편(16)을 통과 시에 상기 절취편(16)들은 아래로 밀리면서 벌어지게 되고 줄기를 쉽게 통과시키게 되나 탁력적으로 오무려지는 힘을 가진 절취편들은 삽입된 줄기를 역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잡아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구(10)의 고정관(12)으로 끼워진 꽃 케이스(20)는 돌출턱(14)의 상측에서 이동이 되게 된 것으로 절취편(24)들의 탄성력에 의해 소정의 고정력을 가지고 있게 되며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스스로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를 지키고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꽃 꽂이대에 끼워진 생화는 보조구(10)의 상면 요입홈(18)으로 꽃 봉우리가 안치된 상태에서 외측 꽃 케이스(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어 꽃의 상부를 꽃 케이스(20)의 상단으로 노출시키거나 꽃의 크기에 따라 꽃 케이스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꽃 꽂이대의 본체 내부로 간단하게 삽입시켜 포장이 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화훼단지 내에서 작업자는 본체를 소지하고 재배된 생화를 절단함과 동시에, 즉시 본체 내부로 생화를 끼워 넣어 포장을 완료시킬 수 있게 됨으로 포장을 위한 별도의 공정을 줄일 수 있고, 수요자는 사용용도에 따라 본체에 생화가 삽입된 상태로 꽃꽂이를 하거나 또는, 상기 본체로부터 생화를 쉽게 빼내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본체에서 꽃 케이스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꽃의 크기와 모양에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꽃과 꽃 꽂이대의 조화도를 높일 수 있으며, 꽃 케이스 내부의 보조구는 꽃 봉우리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키며 생화의 원상태로 보존시켜 준다.

Claims (2)

  1. 상면에 꽃 봉우리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는 요입홈이 있고 저면에 고정관이연결된 보조구와;
    상기 보조구의 하부에 조립되며 중앙에 구멍이 있고 상기 구멍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절개된 절취편들을 가진 꽃 케이스와;
    상기 보조구의 고정관 하단에 끼워지는 대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생화보호용 꽃 꽂이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의 고정관 중앙 외부로는 돌출턱이 있고 저면부에는 절취편들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보호용 꽃 꽂이대.
KR2019990015183U 1999-06-19 1999-07-21 생화 보호용 꽃 꽂이대 KR20017038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283U KR19990037095U (ko) 1999-06-19 1999-06-19 생화보호용꽃꽂이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283U Division KR19990037095U (ko) 1999-06-19 1999-06-19 생화보호용꽃꽂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382Y1 true KR200170382Y1 (ko) 2000-02-15

Family

ID=195784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283U KR19990037095U (ko) 1999-06-19 1999-06-19 생화보호용꽃꽂이대.
KR2019990015183U KR200170382Y1 (ko) 1999-06-19 1999-07-21 생화 보호용 꽃 꽂이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283U KR19990037095U (ko) 1999-06-19 1999-06-19 생화보호용꽃꽂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37095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095U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1659A1 (en) Flower arrangement accessories
US20130047502A1 (en) Arrangement Device
USD407305S (en) Floral wrapper
ATE292585T1 (de) Vepackung für blumen mit einem langen stengel
AU3567601A (en) Multipurpose machine for close-row production for tree or shrub plantations suchas vineyards or orchards
USD467015S1 (en) Landscape trim
KR200170382Y1 (ko) 생화 보호용 꽃 꽂이대
USD359708S (en) Flower pot
JPH05504676A (ja) 花の茎及び頭の支持装置
USD367375S (en) Plant and flower stand
US20030089033A1 (en) Flower grouping organizer
USD457399S1 (en) Flexible Christmas tree and indoor plant watering funnel
KR200185086Y1 (ko) 생화 보호용 꽃꽂이대.
USD401139S (en) Floral wrapper
EP1972574A2 (en) Sheet for wrapping flowers
USD442883S1 (en) Support stand for Christmas trees and other trees and plants
USD404298S (en) Floral wrapper
USD443751S1 (en) Packaged confection
USD463319S1 (en) Container for displaying flowers, plants and bird seed
WO2004065252A3 (en) Wrapper with decorative extension and method
USD386115S (en) Flower tower
USD467357S1 (en) Lawn trim
USD404297S (en) Floral wrapper
KR200257550Y1 (ko) 꽃포장 용기
USD479921S1 (en) Plant and flower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