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822Y1 - 랜턴이달린모자 - Google Patents

랜턴이달린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822Y1
KR200168822Y1 KR2019990014763U KR19990014763U KR200168822Y1 KR 200168822 Y1 KR200168822 Y1 KR 200168822Y1 KR 2019990014763 U KR2019990014763 U KR 2019990014763U KR 19990014763 U KR19990014763 U KR 19990014763U KR 200168822 Y1 KR200168822 Y1 KR 200168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tern
cap
socket
socket hous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성
Original Assignee
임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성 filed Critical 임창성
Priority to KR2019990014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8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822Y1/ko
Priority to EP00115025A priority patent/EP1072204A3/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Abstract

본 고안은 랜턴이 달린 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야간에 낚시나 각종 작업을 하기 위하여는 휴대용 조명기구를 한손으로 들고 다른 한손으로만 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불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모자 챙의 중앙 상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랜턴부와, 모자 캡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배터리부와, 상기 랜턴부와 전원배터리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연결수단 및, 상기 랜턴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 오프시키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것만으로써 사용자의 시선과 랜턴부의 조사 방향이 항상 일치하게 되어 두손을 이용하여 작업을 간편하고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랜턴부의 조사 방향을 수평과 수직 하방 및 이들 사이의 임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랜턴이 달린 모자{LANTERN ATTACHED CAP}
본 고안은 랜턴(Lantern)이 달린 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간 낚시나 야간 또는 어두운 장소에서의 작업시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랜턴이 달린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랜턴 등의 휴대용 조명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야간에 낚시를 하거나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한손으로는 랜턴 등의 휴대용 조명기구를 들고 원하는 조명 부위를 비추면서 다른 한손으로만 미끼를 끼우거나 작업을 하게 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성이 저하되며 불안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머리에 착용하는 소위 헤드 랜턴과 상의 주머니 등에 걸어서 착용하는 걸이형 랜턴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헤드 랜턴은 밴드를 이용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것으로 전원이 되는 배터리가 수납된 별도의 배터리 박스를 허리에 차는 것이므로 사용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랜턴과 배터리를 허리에서 머리에 이르는 기다란 전선으로 연결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활동에 지장을 받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걸이형 랜턴은 그 조명 방향이 착용자의 시선 방향과 일치하지 않게 되며, 더욱이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밑으로 숙여져 조명 방향이 밑을 향하게 되어 정확한 조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머리에 착용하는 것만으로써 간편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랜턴이 달린 모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명 방향이 항상 착용자의 시선 방향과 일치되면서도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어 작업을 더욱 간편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랜턴이 달린 모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 방향을 조절하여 더욱 편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랜턴이 달린 모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1은 본 고안에 의한 랜턴이 달린 모자의 제1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측면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랜턴부와 모자 챙의 결합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종단측면도.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랜턴커버와 소켓하우징의 결합 관계를 보인 것으로,
도 7은 종단측면도.
도 8은 도 7의 D-D선 단면도.
도 9는 소켓하우징을 수직 하방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보인 종단측면도.
도 10은 램프와 소켓의 분해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E-E선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F-F선 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G-G선 단면도.
도 14는 도 10의 H-H선 단면도.
도 15는 소켓몸체와 단자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 종단측면도.
도 16은 소켓몸체와 외부접접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 종단측면도.
도 17은 스위칭수단의 구조 및 작동을 보인 부분 종단측면도.
도 18은 도 15의 부분 확대도.
도 19 내지 도 21은 전원배터리부를 보인 것으로,
도 19는 전원배터리부의 종단측면도.
도 20은 배터리 케이스의 분해 종단측면도.
도 21은 배터리 케이스의 저면도.
도 22 내지 도 33은 본 고안에 의한 랜턴이 달린 모자의 제2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22는 측면도.
도 23은 정면도.
도 24는 저면도.
도 25는 평면도.
도 26은 랜턴부가 부착된 챙의 부분 확대 저면도.
도 27은 랜턴부의 분해 단면도.
도 28은 랜턴부의 종단 측면도.
도 29는 도 28의 I-I선 단면도.
도 30은 도 28의 J-J선 단면도.
도 31은 랜턴부의 스위칭 작동을 보인 종단 측면도.
도 32는 전원배터리부의 장착 상태를 보인 종단 측면도.
도 33은 전원배터리부의 부분 분해 횡단 평면도.
도 34 및 도 35는 본 고안에 의한 랜턴이 달린 모자의 제3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34는 랜턴부가 부착된 챙의 부분 확대 저면도.
도 35는 소켓하우징을 수직 하방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보인 종단 측면도.
도 36은 전원배터리부의 변형례를 보인 횡단 평면도.
도 37은 전원배터리부의 다른 설치 예를 보인 종단 측면도.
도 38은 전원배터리부의 또 다른 설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9 내지 도 42는 전원배터리부의 배치 예를 보인 평면도.
도 43 내지 도 54는 랜턴부와 전원배터리부의 여러 배치 예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캡부 12 : 챙
13,16 : 소켓하우징 작동공 14 : 스위치놉 노출공
100 : 랜턴부 110 : 랜턴커버
120 : 소켓하우징 130 : 소켓
140 : 램프 200 : 전원배터리부
310 : 전선 340 : 고정접점
410 : 스위치놉 420 : 가동접점
500 : 랜턴부 510 : 랜턴커버
520 : 소켓하우징 521 : 소켓부
530 : 램프 700,720 : 전선
800 : 고정접점 810 : 스위치놉
820 : 가동접점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자 챙의 중앙 상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랜턴부와, 모자 캡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배터리부와, 상기 랜턴부와 전원배터리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연결수단 및, 상기 랜턴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 오프시키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이 달린 모자가 제공된다.
상기 랜턴부는 상시 모자의 챙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하거나 모자의 챙에 대해 평행 상태와 밑으로 향하는 상태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랜턴부는 모자의 챙에 하나 또는 그 이상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배터리부는 모자의 캡부 중앙 상면과 좌우 양측 외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한 곳 또는 그 이상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턴부의 배치와 전원배터리부의 배치를 조합하여 다양한 상태로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랜턴이 달린 모자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랜턴이 달린 모자를 보인 것으로, 11은 캡부이고, 12는 챙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부(11)가 여러 장의 포제편(11a)을 봉착하여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하고, 챙(12)이 내부에 합성수지 등의 심재(12a)와 이 심재(12a)의 상하면에 포제(12b)를 접합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캡부와 챙으로 이루어지는 어떠한 형태의 모자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서 11b는 캡부(11)를 구성하는 포제편(11a)의 봉합선이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챙(12)의 중앙 상면에 장착되는 랜턴부(100)와, 상기 캡부(11)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전원배터리부(200)와, 상기 랜턴부(100)와 전원배터리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연결수단 및, 상기 랜턴부(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 오프시키는 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랜턴부(100)는 상기 챙(12)의 중앙 상면에 고정되는 랜턴커버(110)와, 상기 랜턴커버(110)의 내부에 내장되는 소켓하우징(120)과, 상기 소켓하우징(12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소켓(130)과, 상기 소켓(130)에 끼워지는 램프(140)와, 상기 램프(140)의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반사경(150)과, 상기 반사경(150)의 전방에 설치되는 투명보호창(160) 및, 상기 반사경(150)과 투명보호창(160)을 소켓하우징(120)에 결합하기 위한 선단캡(1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랜턴커버(110)는 하면과 전면이 개방된 대략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챙(12)의 중앙에 형성된 소켓하우징 작동공(13)의 상부를 덮는 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랜턴커버(110)의 후단부 내측에는 후술하는 전원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전선(310)을 고정하기 위한 전선고정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랜턴커버(110)는 금속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챙(12)의 소켓하우징 작동공(13) 주위에서 밑에서 위로 관통하는 고정나사(111)를 랜턴커버(110)의 주벽 하면에 체결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리벳 체결 방법이나 접착제 의한 접착 방법 또는 초음파 또는 고주파 접합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랜턴커버(110)의 주벽 저면에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이 돌기를 챙(12)의 소켓하우징 작동공(13) 주위에 위에서 밑으로 관통시킨 후 용융 확대시키는 것에 의하여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상기 챙(12)이 합성수지로 형성된 경우 챙(12)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랜턴커버(11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랜턴커버(110)의 후단측 내주면 양측에는 소켓하우징(12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하우징(120)은 전,후방이 개방된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선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2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중앙에 통공(123)이 형성된 격벽(122)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22)의 전면에는 원통형 소켓지지돌기(124)가 형성되고 후면에는 기판장착홈(125)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하우징(120)의 후단측 외주면 양측에는 힌지돌기(126)가 형성되어 이 힌지돌기(126)를 상기 랜턴커버(110)의 후단측 내주면 양측에 형성된 힌지홈(113)에 끼우는 것에 의해 소켓하우징(120)이 챙(12)과 평행을 이루는 대략 수평 상태(도 7)와 챙(12)에 대해 대략 직각을 이루는 직각 상태(도 9)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홈(113)과 힌지돌기(126)는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소켓하우징(120)과 그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의 자중에 의하여 임의로 회동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소켓하우징(120)의 외주면 하부에는 후술하는 스위칭수단의 스위치놉(Switch Knob)(4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놉 안내장공(1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130)은 상기 소켓하우징(120)에 삽입되는 비도전성 재질로 된 소켓몸체(131)와, 상기 소켓몸체(131)에 삽입되는 도전성 재질의 한 쌍의 단자(132,133)와, 상기 소켓몸체(131)를 감싸며 상기 한 쌍의 단자(132,133)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접점(13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단자(132,133)는 램프(140)의 리드(141,142)들이 삽입되는 리드삽입편(132a,133a)과, 상기 리드삽입편(132a,133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원접속편(132b,133b)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드삽입편(132,133)은 대략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램프(140)의 리드(141,142)들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소켓몸체(131)는 상기 단자(132,133)의 리드삽입편(132a,133a)이 삽입 고정되는 단자고정홈(131a,131b)과, 상기 단자고정홈(131a,131b)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접속편(132b,133b)이 도출되는 통공(131c,131d)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자고정홈(131a,131b)은 격벽(131e)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131c,131d)은 소켓몸체(131)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131f)에 의해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상기 전원접속편(132b,133b)은 조립하기 전에는 도 10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상으로 펴진 상태로 되며, 소켓몸체(131)에 조립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되어 일측 단자(132)의 전원접속편(132b)은 상기 소켓몸체(131)의 주면 후단에 밀착되고 타측 단자(133)의 전원접속편(133b)은 상기 지지돌기(131f)의 후단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외부접점(134)은 전방이 개방되고 중앙에 관통공(134b)이 형성된 후단면(134a)을 가지는 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단면(134a)은 상기 단자(132)의 전원접속편(132b)에 접속되며, 상기 관통공(134b)에는 상기 단자(133)의 전원접속편(133b)이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관통된다.
상기 외부접점(134)은 그 선단부에 고정편(134c)이 형성되어 이 고정편(134c)을 상기 소켓몸체(131)의 플랜지부(131g)에 형성된 고정공(131h)에 끼운 후 절곡하는 것에 의하여 소켓몸체(131)에 고정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부접점(134)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스위칭수단의 가동접점(420)이 '오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오프유지용 돌기(134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320)이 삽입 장착된 기판장착홈(125)에는 인쇄회로기판(320)을 보호하기 위한 후단캡(180)이 씌워진다.
한편, 상기 소켓하우징(120)의 내주면 일측(도시례에서는 상측)에는 위치결정돌기(128)가 형성되고 소켓몸체(130)의 플랜지부(131g) 외주면 일측(도시례에서는 상측)에는 상기 위치결정돌기(128)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홈(131i)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경(150)과 투명보호창(160) 및 선단캡(170)은 통상적인 손전등에서 사용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선단캡(170)의 내주면에는 상기 소켓하우징(120)에 형성된 수나사부(121)에 체결되는 암나사부(17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단캡(170)의 전면에는 내측플랜지부(172)을 제외하고 투사공(173)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플랜지부(172)와 투명보호창(160)의 사이에는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190)이 끼워진다.
상기 전원배터리부(200)는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부(11)의 중앙부 내면에 고정되며 저면에는 배터리 출입구(213)가 형성된 배터리 케이스(210)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210)의 배터리 출입구(213)를 개폐하는 덮개(220)로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210)는 통상적으로 배터리(B)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의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며, 단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으나 하면에 개방된 상 케이스(211)와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에는 상기 배터리 출입구(213)가 형성된 하 케이스(212)로 분리 형성하여 접착하여 배터리 출입구(213)만 개구된 상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 케이스(211)와 하 케이스(212)를 접착함에 있어서는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초음파나 고주파 접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케이스(211)의 내부에는 배터리(B)의 양단극이 접촉되는 배터리접점(214,215)이 구비된다.
상기 하 케이스(212)의 하판 선단측 내면에는 선단걸림홈(216)이 형성되고, 후단 양측에는 후단걸림홈(217)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220)의 선단에는 상기 선단걸림홈(216)에 걸리는 선단걸림돌기(222)가 형성된 후크(221)가 형성되고 후단 양측에는 상기 후단걸림홈(217)에 걸리는 후단걸림돌기(2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210)를 캡부(11)의 중앙부 내면에 고정하기 위한 전원배터리부 고정수단으로서는 상 케이스(211)를 나사나 리벳 등에 의하여 직접 캡부(11)의 중앙부 내면에 고정할 수도 있으나 캡부(11)의 중앙부 내면에 일측(도시례에서는 전방측)이 개방된 포켓(231)과, 상기 포켓(231)의 개방단을 개폐하는 덮개편(232)을 형성하여 전원배터리부(200)를 포켓(231)에 삽입한 후 덮개편(232)을 덮어 전원배터리부(20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켓(231)은 캡부(11)를 구성하는 포제편(11a)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착용자가 전원배터리부(200)에 의한 정수리 압박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쿠션이 좋은 재질, 예컨대 스폰지 등의 쿠션재가 부착된 포제 등을 사용함으로써 착용시 전원배터리부(200)에 의하여 착용자의 정수리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켓(231)과 덮개편(232)는 캡부(11)에 재봉에 의하여 봉착하는 것이다.
상기 포켓(231)과 덮개편(232)은 벨크로 패스너(233,234)를 사용하여 붙이고 땔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연결수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케이스(210)의 전극편(214,215)에 각각 연결되어 전방측으로 인출되는 전선(310)과, 상기 소켓하우징(120)의 후단부에 형성된 기판장착홈(125)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전선(3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3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20)의 중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소켓고정돌기(124)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단자(133)의 전원접속편(133b)에 접촉되는 탄성접점(33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320)의 일측 가장자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소켓지지돌기(124)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고정접점(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선(310)은 그 양단이 상기 배터리 케이스(210)의 전극(214,215)과 인쇄회로기판(320)의 회로패턴(도시되지 않음)에 납땝 연결되는 것으로, 캡부(11)의 내면과 챙(12)의 하면을 통해 배선할 수도 있으나, 도 1, 도 2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부(11)를 구성하는 포제편(11a)의 내부와 상기 챙(12)의 심재(12a)와 포제(12b)의 사이를 통하여 배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선(310)의 도중에는 코드부싱(Cord Bushing)(311)이 결합되며, 상기 랜턴커버(110)의 후단측 내부에는 상기 코드부싱(311)에 삽입되는 전선고정홈(112)이 형성된다.
도시례에서는 상기 탄성접점(330)이 원추형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스위칭수단은 도 4,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켓하우징(120)의 스위치놉 안내장공(127)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스위치놉(410)과, 상기 스위치놉(410)에 고정되어 상기 외부접점(134)과 고정접점(340)을 전기적으로 단속하는 가동접점(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놉(410)은 상기 스위치놉 안내장공(12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부(411)와, 상기 안내부(4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소켓하우징(120)의 외주면 하부도 돌출되는 놉부(412)로 구성된다.
상기 가동접점(420)은 그 좌우 방향 폭을 스위치놉 안내장공(127)의 좌우 방향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가동접점(420)은 상기 안내부(411)에 고정나사(421)로 체결 고정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실시례의 랜턴이 달린 모자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132,133)를 그 전원접속편(132b,133b)이 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소켓(130)의 전방으로부터 소켓몸체(131)의 단자고정홈(131a,131b)을 통해 삽입하여 전원접속편(132b,133b)이 통공(131c,131d)에 삽입되어 후단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리드삽입편(132a,133a)이 리드고정홈(131a,131b)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전원접속편(132b,133b)의 돌출단부를 절곡하여 전원접속편(132b)의 절곡부는 소켓몸체(131)의 주벽 후단면에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전원접속편(133)의 절곡부는 소켓몸체(131)의 지지돌기(131f)의 후단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단자(132,133)에 결합된 소켓몸체(131)에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접점(134)을 씌우면서 그 고정편(134c)을 상기 소켓몸체(131)의 플랜지부(131g)에 형성된 고정공(131h)에 끼운 후 그 돌출단부를 절곡하는 것에 의하여 소켓몸체(131)에 외부접점(134)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전원접속편(132a)의 절곡부는 외부접점(134)의 후단면(134a)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전원접속편(133a)의 절곡부는 외부접점(134)의 후단면(134a)에 형성된 관통공(134b)을 통해 관통되어 외부접점(134)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상기 소켓하우징(120)의 스위치놉 안내장공(127)에 스위치놉(410)의 안내부(411)를 삽입하고 소켓하우징(120) 내에 가동접점(420)을 삽입하여 가동접점(420)을 관통하는 고정나사(421)를 안내부(411)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소켓하우징(120)에 스위칭수단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수단의 가동접점(420)은 그 좌우 방향 폭이 스위치놉 안내장공(127)의 좌우 방향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위칭수단 전체가 임의로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210)의 배터리접점(214,215)에 전선(310)의 일단을 납땜 연결하고, 전선(310)의 타단은 인쇄회로기판(320)을 납땜 연결하여 배터리 케이스(210)는 캡부(11)의 중앙부 내면에 봉착된 포켓(231)에 삽입하고 덮개편(232)을 덮은 상태에서 전선(310)은 캡부(11)를 구성하는 포제편(11a)의 봉합선(11b)과 챙(12)의 심재(12a)와 포제(12b)사이에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320)을 소켓하우징(120)의 기판장착홈(125)에 삽입하고, 상기 소켓하우징(120)의 전방으로부터 탄성접점(330)을 삽입하여 탄성접점(330)을 인쇄회로기판(320)에 납땜 연결하며, 기판장착홈(125)에 후단캡(180)을 씌워 인쇄회로기판(320)이 보호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선(310)에 결합되어 있는 코드부싱(311)을 소켓하우징(120)에 형성된 전선고정홈(112)에 끼움으로써 전선(310)이 임의로 유동하거나 앞뒤로 당겨지는 일이 없게 되도록 한다.
소켓(130)과 단자(132,133) 및 외부접점(134)의 조립체를 소켓하우징(120)의 내부에 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상기 단자(132)의 전원접속부(132b)와 접속된 외부접점(134)의 외주면은 상기 스위칭수단의 가동접점(420)에 접촉되고, 외부접점(134)의 후단면(134a)에 형성된 관통공(134b)을 관통한 단자(133)의 전원접속부(133b)는 상기 탄성접점(330)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때 소켓하우징(120)의 내주면과 소켓몸체(131)의 플랜지부(131g)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결정돌기(128)과 위치결정홈(131i)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켓하우징(120)에 대한 소켓몸체(131)의 결합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며, 조립후 소켓하우징(120)에 대한 소켓(130)의 결합 상태가 임의로 변하지 않게 된다.
다음, 상기 소켓몸체(131)에 결합된 단자(132,133)의 리드삽입편(132a,133a)에 램프(140)의 리드(141,142)를 삽입하고, 반사경(150)을 씌운 다음, 상기 수나사부(121)와 암나사부(171)를 이용하여 투명보호창(160)이 끼워진 선단캡(170)을 체결한다.
이때, 상기 투명보호창(160)과 선단캡(170)의 내측플랜지부(172)의 사이에는 패킹(190)이 끼워져 있으므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소켓하우징(120)의 후단측 외주면 양측에 형성된 힌지돌기(126)를 랜턴커버(110)의 후단측 내주면 양측에 형성된 힌지홈(113)에 끼우는 것에 의하여 전체적인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조립 순서는 반드시 상술한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 조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배터리 케이스(210)에 배터리(B)를 수납함에 있어서는 배터리 케이스(210)를 포켓(231)에서 인출한 상태에서 덮개(220)의 선단부, 즉 후크(221)가 형성된 부분을 위로 눌러 후크(221)의 선단걸림돌기(222)가 배터리 케이스(210)의 선단걸림홈(216)에서 빠지도록 한 상태에서 덮개(220)을 후방으로 밀면 배터리 케이스(21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그 양측벽이 약간 벌어지면서 후단걸림돌기(223)가 후단걸림홈(217)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배터리 출입구(213)을 개방할 수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배터리 케이스(210)에 배터리(B)를 넣고 덮개(220)를 배터리 케이스(210)의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밀어넣으면 후크(221)의 선단걸림돌기(222)가 선단걸림홈(216)에 근접하였을 때 후크(221)가 자체 탄성에 의하여 위로 약간 휘어졌다가 복귀하면서 그 선단걸림돌기(222)가 선단걸림홈(216)에 끼워지게 됨과 동시에 후단걸림돌기(223)가 후단걸림홈(217)에 근접하였을 때 배터리 케이스(210)의 양측벽에 자체 탄성에 의해 약간 벌어졌다가 후단걸림돌기(223)가 후단걸림홈(217)에 일치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배터리 케이스(210)의 양측벽에 탄성 복귀하면서 후단걸림돌기(223)가 후단걸림홈(217)에 끼워지게 되어 덮개(220)는 배터리 출입구(213)을 막은 상태로 잠기게 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B)가 삽입된 배터리 케이스(210)을 포켓(231)에 삽입하고 덮개편(232)을 덮은 상태에서 스위칭수단의 스위치놉(410)을 후방으로 밀면 이에 결합된 가동접점(420)의 양단이 외부접점(134)과 고정접점(340)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배터리(B)의 전원이 배터리접점(214), 전선(310), 인쇄회로기판(320)의 패턴, 고정접점(340), 가동접점(420), 외부접점(134), 단자(132), 램프(140)의 리드(141), 램프(140)의 필라멘트, 리드(142), 단자(133), 탄성접점(330), 인쇄회로기판(320)의 패턴, 전선(310), 배터리접점(215)을 통해 폐회로를 구성하면서 램프(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램프(140)가 점등되고, 램프(140)에서 방사되는 빛은 반사경(150)에 의해 반사되어 투명보호창(160)을 통해 조사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하우징(120)이 챙(12)과 평행을 이루는 수평 상태에서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게 되면, 램프(140)와 반사경(150)과 투명보호창(160) 및 선단캡(170)이 전방을 향하게 되고, 램프(140)에서 방사되는 빛은 전방을 향해 조사(照射)되며, 랜턴부(100)가 챙(12)의 중앙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빛의 조사 방향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일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바라보는 피사체를 정확하게 조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랜턴부(100)가 챙(12)의 중앙 상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시선을 상하, 좌우로 돌릴 때 랜턴부(100)에 의한 조사 방향이 함께 돌아가므로 사용자의 시선과 빛의 조사 방향이 항상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예컨대 야간 낚시를 하는 과정에서 미끼를 끼우거나 낚아 올린 어류를 바늘에서 빼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이 아래를 향하는 경우에는 소켓하우징(120)의 선단부를 밑으로 당기면 도 9의 가상선 표시와 같이 랜턴커버(110)에 형성된 힌지홈(113)과 소켓하우징(120)에 형성된 힌지돌기(126)을 중심으로 하여 소켓하우징(120) 전체가 하향 회동하여 램프(140)에서 방사된 빛의 조사 방향이 밑을 향하게 되므로 그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의 가상선 표시는 하방으로 90°회동시킨 상태만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수평 상태와 수직 상태 사이에서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램프(140)를 소등하는 경우에는 스위치놉(410)을 전방으로 밀면 가동접점(420)의 후단부가 고정접점(340)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램프(140)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어 램프(140)가 소등된다.
이때, 상기 가동접점(420)의 선단부를 외부접점(134)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오프유지용 돌기(134d)를 넘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외부의 충격을 받더라도 가동접점(420)이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어 전원이 오프된 상태로 유지되면서도 사용자가 스위치놉(410)을 후방으로 밀었을 때 비로소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원배터리부(200)를 구성하는 배터리 케이스(210)가 수납되는 포켓(231)은 스폰지 등의 쿠션재가 부착된 포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터리 케이스(210)과 배터리(B)의 무게에 의한 정수리의 압박감이 최소화되어 편안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챙(12)에 소켓하우징 작동공(13)을 형성하지 않고, 소켓하우징(120)은 통과할 수 없고, 스위치놉(410)만 노출될 수 있는 스위치놉 노출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소켓하우징(120)이 항상 챙(12)과 평행한 상태로만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22 내지 도 33은 본 고안에 의한 랜턴이 달린 모자의 제2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22 내지 도 25에서 11은 모자(10)의 캡부이고, 12는 창이다.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챙(12)의 중앙 상면에 장착되는 랜턴부(500)와, 상기 캡부(11)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전원배터리부(600)와, 상기 랜턴부(500)와 전원배터리부(6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연결수단 및 상기 랜턴부(5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 오프시키는 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챙(12)에는 스위칭수단의 후술하는 스위치놉(810)이 노출되는 스위치놉 노출공(14)과, 후술하는 마개(516)가 끼워지는 통공(15)이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놉 노출공(14)의 횡단면 크기는 후술하는 소켓하우징(520)의 횡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랜턴부(500)는 상기 챙(12)의 중앙 상면에 고정되는 랜턴커버(510)와, 상기 랜턴커버(510)의 내부에 내장되는 소켓하우징(520)과, 상기 소켓하우징(520)에 삽입되는 램프(530)와, 상기 램프(530)의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반사경(540)과, 상기 반사경의 전방에 설치되는 투명보호캡(5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랜턴커버(510)는 하면과 전면이 개방된 대략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챙(12)의 중앙 상면에 결합된다.
상기 랜턴커버(510)는 금속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턴커버(510)를 챙(12)에 결합함에 있어서는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랜턴커버(510)의 내부 하측에 복수 개(도면에서는 4개)의 보스(511)를 형성하고, 챙(12)의 저면에서 위로 관통하는 고정나사(512)를 상기 보스(511)에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랜턴커버(510)의 양측벽 내면에는 소켓하우징(52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돌기(5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랜턴커버(510)의 후단부 내측에는 하부로 개방된 전선고정홈(514)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고정홈(514)의 하부에는 마개(516)가 끼워진다.
상기 전선고정홈(514)에는 마개(516)를 고정하기 위하여 마개지지용 리브(515)가 형성되며, 상기 마개(516)에는 후술하는 전원연결수단의 전선접속구(74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517)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하우징(520)은 전,후방이 개방된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램프(530)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소켓부(521)가 일체로 형성되며, 선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부(522)가 형성되고, 후단부 주벽에는 후크공(523)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부(521)에 대응하는 주벽 일측에는 후술하는 스위칭수단의 스위치놉(8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놉 안내장공(5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부(521)의 후단부에는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720)을 결합하기 위한 기판결합돌기(5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하우징(520)의 후단부에는 상기 후크공(523)에 걸리는 탄성후크(527)를 가지는 후방캡(526)이 결합된다.
상기 후방캡(526)에는 후술하는 소켓측 전선(730)이 통과하는 전선통과공(52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부(521)의 하부측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고정접점(800)을 지지하기 위한 접점지지홈(528)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하우징(520)의 양측에는 상기 랜턴커버(510)의 내면에 형성된 힌지돌기(513)가 끼워지는 힌지홈(529)이 형성된다.
상기 램프(530)는 필라멘트가 내장된 벌브부(Bulb部)(531)와, 상기 필라멘트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단측 단자(532)와, 필라멘트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주측 단자(533) 및, 상기 외주측 단자(533)의 대략 중간부에 형성된 플랜지부(534)로 구성되는 통상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소켓부(521)는 전,후방으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선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램프(530)의 플랜지부(534)이후의 후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환형 램프안착홈(52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경(540)은 상기 램프(530)의 벌브부(531)가 삽입되며 내주면이 경면 처리된 통상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투명보호캡(550)은 선단 투광부(551)와 이 선단 투광부(551)에서 후방을 향해 원통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후단부가 개방된 원통부(552)를 가지는 캡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투명보호캡(550)은 선단 투광부(551)와 원통부(552)를 모두 투명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선단 투광부(551)만 투명하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투명보호캡(550)의 원통부(552) 내주면에는 상기 소켓하우징(520)의 선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522)에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5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켓하우징(520)과 투명보호캡(550) 사이에는 물과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O-ring)(554)이 끼워진다.
상기 전원배터리부(600)는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배터리 수납공간(611)을 가지는 배터리 케이스(610)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610)의 양단에 씌워지는 한 쌍의 마개(620,620)와, 상기 마개(620,62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배터리 수납공간(611)에 수납된 배터리(B)의 단부에 접촉되는 단자스프링(630,6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개(620,620)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610)의 양단 개구부를 막는 단면부(621,621)와, 상기 단면부(621,621)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배터리 케이스(610)의 양단측 외주면에 씌워지는 결합부(622,622)에 의하여 컵(Cup)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610)의 양단측 외주면에는 마개걸림홈(612,612)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620,620)의 결합부(622,622) 내면에는 상기 마개걸림홈(612,612)에 걸리는 걸림돌기(623,623)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610)의 양단측 외주면에는 배터리 케이스(610)의 외주면과 마개(620,620)의 결합부(622,622) 내주면 사이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640,640)이 삽입되는 오링홈(613,613)이 형성된다.
상기 마개(620,620)의 단면부(621,6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전원측 단자스프링(630,630)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고정돌기(624,624)와, 단면부(621,621)에는 전원측 단자스프링(630,630)에 납땜된 전원측 전선(700)을 도출하기 위한 전선도출공(625,6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610)를 모자의 캡부(11)에 결합함에 있어서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610)의 외주면 중앙부에 나사보스(614)를 형성하여 이 나사보스(614)를 캡부(11)의 내면에 밀착시키고, 캡부(11)의 외면에 상기 나사보스(614)에 대응하는 나사관통공(616)이 형성된 와셔(615)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나사관통공(616)을 통하여 관통되는 고정나사(617)를 나사보스(614)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한다. 상기 나사보스(614)의 주위에는 캡부(11)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환형돌기(618)가 형성된다. 상기 와셔(615)에는 미장용 캡(619)을 씌워 와셔(615)와 고정나사(617)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와셔(615)의 외주면에는 후크홈(615a)을 형성하고 상기 미장용 캡(619)의 내주면에는 후크(619a)를 형성하여 미장용 캡(619)을 와셔(615)에 씌웠을 때 후크(619a)가 후크홈(615a)에 끼워지면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연결수단은 상기 전원배터리부(600)의 마개(620,620)에 결합된 전원측 단자스프링(630,630)에 납땜되어 상기 마개(620,620)의 단면부(621,621)에 천공된 전선도출공(624,624)을 통해 인출되는 전원측 전선(700)과, 상기 랜턴부(500)의 소켓부(521)에 삽입되어 상기 램프(530)의 후단측 단자(532)에 접촉되는 소켓측 단자스프링(710)과, 상기 소켓부(521)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소켓측 단자스프링(710)이 납땜되는 인쇄회로기판(7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720)에 납땜되는 소켓측 전선(730)과, 상기 전원측 전선(700)과 소켓측 전선(730)을 접속시키는 한 쌍의 전선접속구(740,740)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측 전선(700)은 캡부(11)를 형성하는 포재편(11a)들의 봉합선(11b)에 삽입된 상태로 챙(12)측으로 인출되며, 챙(12)에서는 상,하부 포재편(12a,12b)의 사이를 통해 랜턴커버(510)의 전선고정홈(514)내부로 인출된다.
상기 소켓측 단자스프링(710)은 소켓측 전선(730)의 한 쪽 가닥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로 인쇄회로기판(720)에 납땜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20)에는 상기 소켓부(521)의 후단부에 형성된 기판결합돌기(525)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7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측 전선(700)과 소켓측 전선(730)은 두 가닥으로 되며, 소켓측 전선(730)의 두 가닥을 인쇄회로기판(720)에 납땜함에 있어서는 서로 전기적으로 통하지 않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납땜되며, 그 한 쪽 가닥은 상기 소켓측 단자스프링(710)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납땜된다.
상기 스위칭수단은 도 26 내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720)에 납땜되어 상기 소켓측 전선(730)중 상기 소켓측 단자스프링(710)과 연결되지 않은 가닥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접점(800)과, 상기 소켓하우징(520)의 스위치놉 안내장공(524)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챙(12)에 형성된 스위치놉 노출공(14)을 통해 챙(12)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스위치놉(810)과, 상기 스위치놉(810)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접점(800)과 램프(530)의 외주측 단자(533)를 전기적으로 단속하는 가동접점(8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놉(810)과 가동접점(820)을 결합함에 있어서는 가동접점(820)을 관통하는 나사를 스위치놉(810)에 체결할 수도 있으나 합성수지로 된 스위치놉(810)에 금속재로 된 가동접점(82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위치놉(810)을 부분적으로 용융시켜 가동접점(820)에 스위치놉(810)이 융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접점(800)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켓부(521)의 접점지지홈(528)에 삽입 지지된다.
상기 가동접점(820)은 양단이 고정접점(800)과 램프(530)의 외주측 단자(533)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절곡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제2 실시례에 의한 랜턴이 달린 모자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도 27에 도시한 상태에서 램프(530)를 벌브부(531)가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소켓하우징(520)의 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그 후단측 단자(532)와 외주측 단자(533)의 후단 일부가 소켓부(521)에 삽입되도록 한다.
소켓하우징(520)의 전방측으로부터 반사경(540)을 끼워 램프(530)의 벌브부(531)가 반사경(540)에 의해 감싸지도록 한 다음 소켓하우징(520)의 선단부에 투명보호캡(550)을 결합한다. 이때, 소켓하우징(520)과 투명보호캡(550)은 수나사부(522)와 암나사부(553)의 나사체결에 의하여 결합되며, 그 사이에 오링(554)을 끼워 소켓하우징(520)의 선단부와 투명보호캡(550)의 사이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입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소켓측 전선(730)과 소켓측 단자스프링(710) 및 고정접점(800)이 납땜된 인쇄회로기판(720)을 소켓하우징(52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소켓부(521)의 후단부에 결합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720)은 인쇄회로기판(720)의 결합공(731)에 소켓부(521)의 기판결합돌기(525)에 의하여 정위치로 결합되며, 소켓측 단자스프링(710)은 소켓부(521)로 삽입되어 램프(530)의 후단측 단자(532)에 접촉된다.
소켓하우징(520)의 후단부에 후방캡(526)을 결합한다. 이때 후방캡(526)은 그 탄성후크(527)가 소켓하우징(520) 후단에 형성된 후크공(523)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소켓하우징(520)의 가동접점(820)을 스위치놉 안내장공(524)을 통하여 소켓하우징(520)에 삽입하여 그 일단은 상기 고정접점(800)에, 타단은 램프(530)의 외주측 단자(533)에 접촉하도록 함과 아울러 가동접점(820)이 결합된 스위치놉(810)을 스위치놉 안내장공(524)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소켓하우징(520)을 랜턴커버(510)에 삽입하여 소켓하우징(520)에 형성된 힌지홈(529)에 랜턴커버(510)의 내부에 형성된 힌지돌기(513)를 끼워 소켓하우징(520)을 랜턴커버(51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소켓측 전선(730)은 상기 후방캡(526)에 형성된 전선통과공(526a)을 통해 전선고정홈(514)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한편, 전원배터리부(600)는 도 32 및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610)에 형성된 나사보스(614)를 모자(10)의 캡부(11) 저면에 밀착시키고 이에 대응하는 캡부(11)의 상면에 와셔(615)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와셔(615)에 형성된 나사관통공(616)을 통해 고정나사(617)를 관통시켜 나사보스(614)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나사보스(614)의 주위에는 환형돌기(61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터리 케이스(610)가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와셔(615)에는 미장용 캡(619)을 씌워 와셔(615)와 고정나사(617)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이 살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와셔(615)와 미장용 캡(619)은 와셔(615)의 외주면에 형성된 후크홈(615a)와 미장용 캡(619)의 내주면에 형성된 후크(619a)에 의하여 결합된다.
배터리 케이스(610)에 배터리(B)를 수납함에 있어서는, 일측 마개(620)를 배터리 케이스(610)로부터 분리하여 그 마개(620)가 분리된 배터리 케이스(610)의 일측 개방단을 통하여 배터리(B)를 배터리 수납공간(611)에 수납하고, 다시 마개(620)를 씌운다. 배터리 수납공간(611)에 삽입된 배터리(B)의 양단은 전원측 단자스프링(630,630)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배터리(B)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다. 이때, 배터리 케이스(610)와 마개(620,620)는 캐터리 케이스(6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마개걸림홈(612,612)과 마개(620,620)의 결합부(622,622)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623,623)에 의하여 결합되어 임의로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배터리 케이스(610)의 양단측 외주면과 마개(620,620)의 결합부(622,622) 내면 사이에는 오링(640,640)이 끼워지므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상기 전원측 전선(700)은 상기 전원배터리부(600)의 일측 마개(620)에 형성된 전선도출공(624,624)을 통하여 도출되어 모자(10)의 캡부(11)를 형성하는 포재편(11a)의 봉합선(11b)에 삽입된 상태로 전선고정홈(514)에까지 인출된다.
상기 전원측 전선(700)과 소켓측 전선(730)은 전선접속구(740,740)에 의하여 접속한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소켓하우징(520)과 램프(530) 등이 결합된 랜턴커버(510)를 모자 챙(12)의 상면 선단측 중앙에 안착시키고, 챙(12)을 밑에서 위로 관통하는 고정나사(512)를 랜턴커버(510)의 보스(511)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랜턴부(500)를 챙(12)에 고정 결합한다. 상기 고정나사(512)는 리벳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놉(810)은 챙(12)의 스위치놉 노출공(14)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챙(12)에 형성된 통공(15)을 통하여 마개(516)를 상기 전선고정홈(514)에 삽입하여 마개지지용 리브(515)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랜턴커버(510)를 고정하는 고정나사(512)를 마개(516)에 관통시켜 보스(511)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랜턴커버(510)와 함께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선접속구(740,740)는 마개(516)에 형성된 지지편(517)에 지지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조립 순서는 반드시 상술한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립 조건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제2 실시례에 의한 랜턴이 달린 모자를 착용하게 되면 랜턴부(500)는 사용자의 시야 중앙에서 전방을 향하게 된다.
도 31의 가상선 표시와 같이 스위치놉(810)을 전방으로 밀면 가동접점(820)의 선단부는 램프(530)의 외주측 단자(533)에 접촉하지만 가동접점(820)의 후단부는 고정접점(800)에서 이탈되므로 전원배터리부(600)의 배터리 전원이 램프(530)에 인가되지 않게 된다.
도 31의 실선 표시와 같이 스위치놉(810)을 후방으로 밀면 가동접점(820)은 선단부가 램프(530)의 외주측 단자(533)에, 후단부가 고정접점(800)에 접촉하게 되므로 전원배터리부(600)의 배터리 전원이 전원연결수단을 통해 램프(530)에 인가되어 램프(530)가 점등하게 되는 것이다.
점등된 램프(530)에서 방사된 빛의 조사 방향이 사용자의 시야 중앙에서 시선 방향을 향하게 되며, 사용자가 시선 방향을 상하, 좌우로 바꾸더라도 항상 시야 중앙에서 시선 방향을 향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바라보는 피사체를 정확하게 조명할 수 있게 된다.
본 제2 실시례에서는 소켓하우징(520)이 랜턴커버(510)에 대하여 힌지홈(529)과 힌지돌기(513)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나, 모자(10)의 챙(12)에 스위치놉(810)이 노출되는 스위치놉 노출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놉 노출공(14)의 횡단면 크기는 상기 소켓하우징(520)의 횡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켓하우징(520)은 챙(12)과 항상 평행을 이루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도 34 및 도 3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모자(10)의 챙(12)에 소켓하우징(520)의 횡단면 크기보다 큰 소켓하우징 작동공(16)을 형성하여 소켓하우징(520)이 힌지돌기(513)와 힌지홈(529)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램프(530)에서 방사된 빛의 조사 방향이 밑을 향하게 되므로 예컨대 낚시를 하는 과정에서 미끼를 끼우거나 낚아 올린 어류를 바늘에서 빼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이 밑을 향하는 경우에도 그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도록 한 것이며, 여타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제2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35에서는 소켓하우징(520)이 하방으로 90°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수평 상태와 수직 상태 사이에서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36은 본 고안에 의한 전원배터리부의 변형례를 보인 것으로, 본 변형례에서는 배터리 케이스(610)의 배터리 수납공간(611)에 하나의 배터리(B)가 수납되도록 한 것이며,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2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6에서 631은 일측 전원측 단자스프링(630)을 전원측 전선(700)의 한쪽 가닥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리드이다.
도 37은 전원배터리부(600)의 다른 설치 예를 보인 것으로, 본 설치 예에서는 내피(17)를 가지는 모자에 적용한 것으로, 상기 전원배터리부(600)를 캡부(11)와 내피(17)사이에서 상술한 제2 실시례에서와 같이 캡부(11)에 설치하고, 상기 내피(17)에는 슬라이드 패스너(17a)를 설치하여 전원배터리부(600)에 대한 배터리(B)의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여타 구성은 상술한 제2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37에서는 랜턴부는 생략하였다.
도 38은 전원배터리부(600)의 또 다른 설치 예를 보인 것으로, 본 설치 예에서는 캡부(11)의 외측면에 포킷(18)을 형성하여 이 포킷(18)에 전원배터리부(600)를 수납하고, 포킷(18)에 달린 덮개(18a)로 덮어서 전원배터리부(600)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 덮개(18a)는 밸크로 패스너(19)에 의하여 포킷(18)을 덮은 상태로 유지된다. 도 38에서는 랜턴부는 생략하였다.
도 39 내지 도 42는 전원배터리부(600)의 배치 예들을 보인 것으로, 도 39는 상술한 제2 실시례에서와 같은 전원배터리부(600)를 캡부(11)의 상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캡부(11)의 양측 외면에 포킷(18)과 덮개(18a)를 설치하여 이에 전원배터리부(600)를 수납하고 이들 3개소의 전원배터리부(600)를 전원연결수단에 의해 병렬로 연결한 것이며, 도 40은 전원배터리부(600)를 캡부(11)의 상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캡부(11)의 양측 외면과 후면에 포킷(18)과 덮개(18a)를 설치하여 이에 전원배터리부(600)를 수납하고 이들 4개소의 전원배터리부(600)를 전원연결수단에 의해 병렬로 연결한 것이고, 도 41은 캡부(11)의 양측 외면에 포킷(18)과 덮개(18a)를 설치하고 이에 전원배터리부(600)를 수납하여 이들 2개소의 전원배터리부(600)를 전원연결수단에 의해 병렬로 연결한 것이며, 도 42는 캡부(11)의 양측 외면과 후면에 각각 포킷(18)과 덮개(18a)를 설치하여 이에 전원배터리부(600)를 수납하고 이들 3개소의 전원배터리부(600)를 전원연결수단에 의해 병렬로 연결한 것이다.
도 43 내지 도 124는 랜턴부(500)와 전원배터리부(600)의 여러 가지 배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43 내지 도 124에서 랜턴부(A)는 상술한 제2 실시례에서와 같이 소켓하우징(520)이 챙(12)과 평행한 상태로 고정된 고정형을 보인 것이고, 랜턴부(B)는 상술한 제3 실시례에서와 같이 소켓하우징(520)이 챙(12)과 평행한 상태와 챙(12)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동형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 43 내지 도 54에서 전원배터리부(600)중 캡부(11)의 중앙에 설치된 것은 상술한 제2 실시례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된 것이고, 캡부(11)의 양측 외면과 후면에 설치된 것은 도 38과 같이 포킷(18)과 덮개(18a)를 설치하고 이에 전원배터리부(600)를 수납한 것을 보인 것이다.
또 도 43 내지 도 54에서 랜턴부(A,B)와 전원배터리부(600) 사이를 연결하는 선은 전원측 전선(700)을 보인 것이다.
이러한 랜턴부(500)와 전원배터리부(600)의 배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랜턴이 달린 모자에 의하면 통상적인 모자와 같이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램프를 점등시키면 사용자가 어느 방향을 주시하더라도 그 시선 방향과 빛의 조사 방향이 항상 일치하게 되어 야간 낚시나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의 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랜턴부가 챙의 중앙 상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되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빛의 조사 방향을 수평 방향과 수직 하방 및 그 사이의 임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방향을 주시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조명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랜턴부와 전원배터리부의 배치는 도시하고 상술한 배치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3)

  1. 모자 챙의 중앙 상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랜턴부와, 모자 캡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배터리부와, 상기 랜턴부와 전원배터리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연결수단 및, 상기 랜턴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 오프시키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이 달린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턴부는 상기 챙의 상면에 고정되는 랜턴커버와, 상기 랜턴커버의 내부에 내장되는 소켓하우징과, 상기 소켓하우징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에 끼워지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의 전방에 설치되는 투명보호창 및, 상기 반사경과 투명보호창을 소켓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한 선단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이 달린 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챙에 소켓하우징이 통과할 수 있는 소켓하우징 작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랜턴커버는 하면과 전면이 개방된 대략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켓하우징 작동공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소켓하우징은 상기 랜턴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소켓하우징 작동공을 통해 하방을 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이 달린 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배터리부는 상기 캡부에 고정되어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이 달린 모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수단은 상기 전원배터리부의 전원을 상기 랜턴부의 소켓에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은 모자 캡부를 구성하는 포제편의 봉합선의 내부와 모자 챙의 내부를 통해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이 달린 모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전원연결수단과 소켓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을 단속하는 가동접점과, 상기 소켓하우징에 설치되어 소켓하우징 작동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놉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이 달린 모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턴부는 상기 챙의 상면에 고정되는 랜턴커버와, 상기 랜턴커버의 내부에 내장되며 소켓부가 일체로 형성된 소켓하우징과, 상기 소켓부에 끼워지는 램프와, 상기 램프의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의 전방에 설치되는 투명보호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이 달린 모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수단은 상기 전원배터리부의 전원을 상기 랜턴부의 램프에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은 모자 캡부를 구성하는 포제편의 봉합선의 내부와 모자 챙의 내부를 통해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이 달린 모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배터리부는 상기 캡부에 고정되어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마개와, 상기 한 쌍의 마개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양단과 접촉되는 전원측 단자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이 달린 모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배터리부는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양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마개와, 상기 한 쌍의 마개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양단과 접촉되는 전원측 단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배터리부는 상기 캡부의 양측 외면과 후면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봉착되는 포킷에 수납되고, 상기 포킷은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이 달린 모자.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소켓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원연결수단과 램프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속하는 가동접점과, 상기 소켓하우징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챙에 형성된 스위치놉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스위치놉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이 달린 모자.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챙에 소켓하우징이 통과할 수 있는 소켓하우징 작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랜턴커버는 하면과 전면이 개방된 대략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켓하우징 작동공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소켓하우징은 상기 랜턴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소켓하우징 작동공을 통해 하방을 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이 달린 모자.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챙에는 상기 제11항에 의한 랜턴부와 상기 제12항에 의한 랜턴부가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씩 설치되며, 상기 캡부에는 상기 제9항에 의한 전원배터리부와 상기 제10항에 의한 전원배터리부가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턴이 달린 모자.
KR2019990014763U 1999-06-10 1999-07-23 랜턴이달린모자 KR200168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763U KR200168822Y1 (ko) 1999-06-10 1999-07-23 랜턴이달린모자
EP00115025A EP1072204A3 (en) 1999-07-23 2000-07-24 Cap having a lan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252 1999-06-10
KR19990010252 1999-06-10
KR2019990014763U KR200168822Y1 (ko) 1999-06-10 1999-07-23 랜턴이달린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822Y1 true KR200168822Y1 (ko) 2000-02-15

Family

ID=2663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763U KR200168822Y1 (ko) 1999-06-10 1999-07-23 랜턴이달린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822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0143S1 (en) 2014-05-23 2016-11-01 Michael Waters Beanie with means for illumination
US9526292B2 (en) 2005-05-17 2016-12-27 Michael Waters Power modules and headgear
US9526287B2 (en) 2011-12-23 2016-12-27 Michael Waters Lighted hat
US9568173B2 (en) 2011-12-23 2017-02-14 Michael Waters Lighted hat
US9585431B2 (en) 2007-12-18 2017-03-07 Waters Industries, Inc. Lighted hat
US9609902B2 (en) 2011-12-23 2017-04-04 Michael Waters Headgear having a camera device
US9872530B2 (en) 2010-04-30 2018-01-23 Michael Waters Lighted headgear and accessories therefor
US10159294B2 (en) 2012-12-19 2018-12-25 Michael Waters Lighted solar hat
US10791783B1 (en) 2019-05-16 2020-10-06 Waters Industries, Inc. Lighted headgear and accessories therefor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6292B2 (en) 2005-05-17 2016-12-27 Michael Waters Power modules and headgear
US9585431B2 (en) 2007-12-18 2017-03-07 Waters Industries, Inc. Lighted hat
US10716350B2 (en) 2010-04-30 2020-07-21 Michael Waters Lighted headgear and accessories therefor
US9872530B2 (en) 2010-04-30 2018-01-23 Michael Waters Lighted headgear and accessories therefor
US10117476B2 (en) 2010-04-30 2018-11-06 Michael Waters Lighted headgear and accessories therefor
US11478035B2 (en) 2010-04-30 2022-10-25 Michael Waters Lighted headgear and accessories therefor
US9568173B2 (en) 2011-12-23 2017-02-14 Michael Waters Lighted hat
US9526287B2 (en) 2011-12-23 2016-12-27 Michael Waters Lighted hat
US9609902B2 (en) 2011-12-23 2017-04-04 Michael Waters Headgear having a camera device
US10159294B2 (en) 2012-12-19 2018-12-25 Michael Waters Lighted solar hat
USD770143S1 (en) 2014-05-23 2016-11-01 Michael Waters Beanie with means for illumination
US10791783B1 (en) 2019-05-16 2020-10-06 Waters Industries, Inc. Lighted headgear and accessories therefor
US11206888B2 (en) 2019-05-16 2021-12-28 Waters Industries, Inc. Lighted headgear and accessories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8826Y1 (ko) 랜턴이달린모자
US11478035B2 (en) Lighted headgear and accessories therefor
US6824265B1 (en) Illuminated safety and work glasses
EP1072204A2 (en) Cap having a lantern
US6953260B1 (en) Convertible flashlight-headlamp
US7086749B1 (en) Headgear with forward illumination
US7234831B1 (en) Headgear with forward illumination
US6616293B2 (en) Lighted hat devices with rotatable switch feature
KR200168822Y1 (ko) 랜턴이달린모자
US5463539A (en) Miniature pocket flashlight with lens module and outer flexible sheath
AU2011101143A4 (en) Lighted hat
JP2001131818A (ja) ランタン付きの帽子
WO1998005055A1 (fr) Dispositif emetteur de lumiere, dispositif de douille et dispositif d'eclairage
US11421870B2 (en) Lighted display system with interchangeable cover element for a hat
US6991345B2 (en) Portable light source with mirror
KR200331201Y1 (ko) 후레쉬 모자
US11215330B1 (en) Power routing for illumination device
KR102121312B1 (ko) 휴대용 조명장치
US6161936A (en) Portable lighting device
US6752511B1 (en) Miniature hat light
US3074205A (en) Shiny nose toy
KR20080056420A (ko) 발열장갑
KR200232788Y1 (ko) 헤드랜턴의 구조
US20230200478A1 (en) Lighted Headgear and Accessories Therefor
KR200312899Y1 (ko) 화장품 케이스의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