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721Y1 - 유리절단용 줄자 - Google Patents

유리절단용 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721Y1
KR200167721Y1 KR2019970025744U KR19970025744U KR200167721Y1 KR 200167721 Y1 KR200167721 Y1 KR 200167721Y1 KR 2019970025744 U KR2019970025744 U KR 2019970025744U KR 19970025744 U KR19970025744 U KR 19970025744U KR 200167721 Y1 KR200167721 Y1 KR 200167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tape measure
cutting
cut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649U (ko
Inventor
신기현
Original Assignee
신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현 filed Critical 신기현
Priority to KR2019970025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721Y1/ko
Publication of KR19990012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6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7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measuring force

Abstract

본 고안은 절단하고자 하는 유리의 절단폭을 마음대로 조정토록 하며 절단방향을 따라 유리절단날의 직선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유리를 일정한 절단폭으로 용이하게 절단하도록 함은 물론 별도의 보조도구가 전혀 필요없어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한 유리절단용 줄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유리를 직선으로 절단함에 있어서,
통상의 줄자케이스의 줄자 인출부 바로 하측에 유리단부에 밀착되는 밀착턱을 형성하고,
상기 줄자케이스의 인출부로 인출되는 줄자의 선단에는 상향 절곡된 절곡부 전방에 유리절단칼을 세팅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약 55°∼65°각도로 경사진 받침턱을 일체로 형성한 “┛”형 절곡편을 리벳팅하여서, 상기 줄자를 유리의 절단폭에 알맞게 인출하면서 유리를 절단토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밀착턱을, 줄자케이스의 인출부 부분을 전방으로 길게 연설하여 인출부가 형성된 손잡이 부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의 인출부 바로 하측에 수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줄자에는 상면에만 측정눈금을 형성할 것이 아니라 저면에도 역시 측정눈금을 형성하여 상면의 측정눈금은 유리절단시 사용하고 저면의 측정눈금은 제품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사용토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본 고안의 줄자케이스에 형성된 밀착턱에 유리단부를 밀착시키고 줄자를 재단할 절단폭의 크기를 선정한후 상기 줄자의 선단에 형성되는 받침턱에 유리절단칼을 세팅한다음 절단방향을 따라 유리를 직선방향으로 매우 간단하게 절단하도록 하여 절단폭의 선정을 줄자로된 줄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절단폭의 선정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절단날의 직선이동이 용이하여 유리를 일정한 절단폭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줄자의 상면과 저면 양측면에 측정눈금을 형성하여 유리의 절단은 물론 제품들의 크기를 재는 두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등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전체적인 구성 및 부피를 최소화함은 물론 두가지의 기능을 구유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절단용 줄자
본 고안은 절단하고자 하는 유리의 절단폭을 마음대로 조정토록 하며 절단방향을 따라 유리절단날의 직선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유리를 일정한 절단폭으로 용이하게 절단하도록 함은 물론 별도의 보조도구가 전혀 필요없어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한 유리절단용 줄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리절단칼들은 거의 모두가 공업용 다이아몬드와 같은 재질로된 절단날을 절단칼몸체 하단에 고정하여서된 것으로 이와같은 유리절단칼을 이용하여 유리를 직선 또는 곡선으로 절단하였는바, 이와같은 유리절단칼을 이용하여 비교적 길이가 긴 판유리를 직선으로 절단하고자 할 경우에 종래에는 줄자를 이용하여 절단폭에 맞추어 절단위치를 표시한다음 줄자를 치운후에 상기 절단위치에 직선자를 올려놓은다음 이를 따라 유리절단칼의 절단날을 직선으로 이동시키면서 절단작업을 수행하였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이 유리절단칼만을 이용하여 유리를 직선으로 절단할시에는 유리표면에 절단하고자 하는 절단폭에 맞추어 절단위치를 별도의 줄자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표시하여야만 하였으며, 상기 표시된 절단위치에 직선자를 정확하게 올려놓고 손으로 눌러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음 상기 유리절단칼을 이용하여 유리를 절단하여야 했으므로 상기 유리의 절단시 직선자를 움직이지 않고 정확하게 잡아주기가 어려워서 유리를 직선으로 자르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었다.
이와같은 예는 유리의 절단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커다란 문제는 없으나 절단길이가 길 경우에는 유리절단칼의 절단날이 수직으로 원활하게 안내되지 못하므로써, 절단후의 유리폭이 일정하지 않아 못쓰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지금까지 유리의 수직절단시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줄자케이스의 줄자인출부 바로 하측에 유리단부가 밀착되는 밀착턱을 형성하고, 상기 줄자 선단에는 유리절단칼을 세팅하는 받침턱을 구비한 “┛”형 절곡편 형성하여서된 유리절단용 줄자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본 고안의 줄자케이스에 형성된 밀착턱에 유리단부를 밀착시키고 줄자를 재단할 절단폭의 크기를 선정한후 상기 줄자의 선단에 형성되는 절곡편의 받침턱에 유리절단용 칼을 세팅한다음 절단방향을 따라 유리를 직선방향으로 매우 간단하게 절단하도록 하는 바와같이 절단폭의 선정을 줄자로된 줄자를 이용하여 매우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절단날의 직선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유리를 일정한 절단폭으로 용이하게 절단하도록 하는등 그 전체적인 구성 및 부피를 최소화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줄자의 상면과 저면 양측면에 측정눈금을 형성하여 유리의 절단은 물론 제품들의 크기를 재는 두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구유하도록 하여 사용을 편리하도록 함에 또다른 목적을 둔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줄자케이스 11 : 인출부
20 : 줄자 30 : 버튼
40 : 고리 100 : 밀착턱
150 : 손잡이부 200 : “┛”형 절곡편
210 : 절곡부 220 : 받침턱
300 : 유리 400 : 유리절단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리를 직선으로 절단 함에 있어서,
통상의 줄자케이스의 줄자인출부 바로 하측에 유리단부에 밀착되는 밀착턱을 형성하고,
상기 줄자케이스의 인출부로 인출되는 줄자의 선단에는 상향 절곡된 절곡부 전방에 유리절단칼을 세팅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약 55°∼65°각도로 경사진 받침턱을 일체로 형성한 “┛”형 절곡편을 리벳팅하여서, 상기 줄자를 유리의 절단폭에 알맞게 인출하면서 유리를 절단토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밀착턱을, 줄자케이스의 인출부 부분을 전방으로 길게 연설하여 인출부가 형성된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의 인출부 바로 하측에 전방면을 수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줄자의 상면과 저면 양측면에 측정눈금을 형성하여 유리의 절단은 물론 제품들의 크기를 재는 두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구유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줄자케이스(10) 내부에 스프링 등에 의해 탄설된 상태로 줄자(20)가 권취되어 있어 줄자(20)를 선택적으로 인출 또는 복귀시키면서 각종 제품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줄자케이스(10)의 줄자(20) 인출부(11) 바로 하측에 유리(300)단부에 밀착되는 밀착턱(100)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줄자케이스(10)의 인출부(11)로 인출되는 줄자(20)의 선단에는 상향 절곡된 절곡부(210) 전방에 유리절단칼(400)을 세팅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약 55°∼65°각도로 경사진 받침턱(220)을 일체로 형성한 “┛”형 절곡편(200)을 리벳팅하여서된 유리절단용 줄자를 구성하여서, 상기 줄자(20)를 유리의 절단폭에 알맞게 인출하면서 유리를 절단토록 하였다.
여기서, 본 고안은 줄자케이스(10)의 인출부(11) 부분을 전방으로 길게 연설하여 인출부(11)가 형성된 손잡이부(15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부(150)의 인출부(11) 바로 하측에 밀착턱(100)을 형성하며,
상기 줄자케이스(10)의 인출부(11)로 인출되는 줄자(20)의 선단에는 상향 절곡된 절곡부(210) 전방에 유리절단칼(400)을 세팅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약 55°∼65°각도로 경사진 받침턱(220)을 일체로 형성한 “┛”형 절곡편(200)을 리벳팅하여서, 상기 손잡이부(150)를 잡고 줄자(20)를 유리(300)의 절단폭에 알맞게 인출하면서 절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줄자(20)에는 상면에만 측정눈금을 형성할 것이 아니라 저면에도 역시 측정눈금을 형성하여 상면의 측정눈금은 유리절단시 사용하고 저면의 측정눈금은 제품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사용토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 고안의 유리절단용줄자를 구성하는 줄자케이스(10)를 손으로 잡고 줄자케이스(10)의 줄자(20) 인출부(11) 바로 하측에 형성한 밀착턱 (100)을 절단하고자 하는 유리(300)의 단부에 밀착시킨다음, 유리(300)의 절단폭에 맞추어 줄자(20)를 인출하면서 눈금을 확인하여 정확한 치수에 줄자(20)를 고정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절단폭의 세팅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절단폭의 세팅이 완료되면 첨부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줄자케이스(10)의 인출부(11)로 인출되는 줄자(20)의 선단에 고정설치된 절곡편(200)에 구비된 약 55°∼65°각도의 기울기각도로 형성된 받침턱(220)에 유리절단칼(400)을 받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음 줄자케이스(10)와 유리절단칼(400)을 동시에 절단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유리(300)를 절단하면 아주 간단히 유리(300)가 정확한 절단폭으로 절단된다.
한편, 상기 줄자케이스(10)에 손잡이부(150)를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줄자케이스(10)의 손잡이부(150)를 손으로 잡고 손잡이부(150)의 줄자(20) 인출부(11) 바로 하측에 형성한 밀착턱(100)을 유리(300)단부에 밀착시킨다음 유리(300)의 절단폭에 맞추어 줄자(20)를 인출하면서 정확한 치수에 줄자(20)를 고정한다음 줄자(20)의 선단에 고정설치한 절곡편(200)에 구비된 받침턱(220)에 유리절단칼(400)을 받쳐서 세팅한 다음 줄자케이스(10)의 손잡이부(150)를 손으로 잡고 유리절단칼(400)과 동시에 절단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유리(300)를 절단하면 유리(300)가 정확한 절단폭으로 매우 용이하게 절단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유리(300)의 절단이 모두 끝나고 나면 상기 줄자케이스(10)내부로 인출되었던 줄자(20)를 버튼(30)을 눌러서 복귀시킨다음 주머니에 넣어서 보관하거나 줄자케이스(10) 후방에 형성된 고리(40)를 이용하여 벽 등에 형성된 걸이구에 걸어놓으면 분실의 위험이 없이 보관 또한 매우 용이하다.
한편, 상기 줄자(20)의 상면과 저면 양측면에 측정눈금을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도면상으로 보면 상면의 측정눈금은 유리절단시 사용하고 저면의 측정눈금은 줄자케이스(10)를 뒤집은 다음 제품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줄자케이스의 줄자인출부 바로 하측에 유리단부가 밀착되는 밀착턱을 형성하고, 상기 줄자 선단에는 유리절단칼을 세팅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받침턱이 구비된 절곡편을 형성하여서 유리절단용줄자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본 고안의 줄자케이스에 형성된 밀착턱에 유리단부를 밀착시키고 줄자를 재단할 절단폭의 크기를 선정한후 상기 줄자의 선단에 고정설치되는 절곡편에 구비된 받침턱에 유리절단용칼을 세팅한다음 절단방향을 따라 유리를 직선방향으로 매우 간단하게 절단하도록 하여 절단폭의 선정을 줄자로된 줄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절단폭의 선정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절단날의 직선이동이 용이하여 유리를 일정한 절단폭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줄자의 상면과 저면 양측면에 측정눈금을 형성하여 유리의 절단은 물론 제품들의 크기를 재는 두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등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전체적인 구성 및 부피를 최소화함은 물론 두가지의 기능을 구유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한 등 실사용에 있어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신규하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통상의 줄자케이스(10)의 줄자(20) 인출부(11) 바로 하측에 유리(300)단부에 밀착되는 밀착턱(100)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줄자케이스(10)의 인출부(11)로 인출되는 줄자(20)의 선단에는 상향 절곡된 절곡부(210) 전방에 유리절단칼(400)을 세팅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약 55°∼65°각도로 경사진 받침턱(220)을 일체로 형성한 “┛”형 절곡편(200)을 리벳팅하여서, 상기 줄자(20)를 유리의 절단폭에 알맞게 인출하면서 유리를 절단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절단용 줄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자케이스(10)의 인출부(11) 부분을 전방으로 길게 연설하여 인출부(11)가 형성된 손잡이부(15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부(150)의 인출부(11) 바로 하측에 밀착턱(100)을 형성하며, 상기 줄자케이스(10)의 인출부(11)로 인출되는 줄자(20)의 선단에는 상향 절곡된 절곡부(210) 전방에 유리절단칼(400)을 세팅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약 55°∼65°각도로 경사진 받침턱(220)을 일체로 형성한 “┛”형 절곡편(200)을 리벳팅하여서, 상기 손잡이부(150)를 잡고 줄자(20)를 유리(300)의 절단폭에 알맞게 인출하면서 유리를 절단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절단용 줄자.
KR2019970025744U 1997-09-11 1997-09-11 유리절단용 줄자 KR200167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744U KR200167721Y1 (ko) 1997-09-11 1997-09-11 유리절단용 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744U KR200167721Y1 (ko) 1997-09-11 1997-09-11 유리절단용 줄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649U KR19990012649U (ko) 1999-04-15
KR200167721Y1 true KR200167721Y1 (ko) 2000-04-01

Family

ID=1951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744U KR200167721Y1 (ko) 1997-09-11 1997-09-11 유리절단용 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7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649U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174B1 (en) Combination scoring and marking apparatus for sheet goods and methods of use
KR100621155B1 (ko) 손가락 보호용 줄자
US8176640B2 (en) Media cutting device
US5012581A (en) Universal utility knife
US5283954A (en) Knife
US4987812A (en) Combination ruler and cutter guide
US20030009899A1 (en) Easy measurement tape
US20070173394A1 (en) Paper cutting device with a cutting blade unit and a folding line maker
US6434838B1 (en) Protective sheath for saw teeth of a handsaw
US6349479B1 (en) Ruler for guiding a blade and for providing shielding protection from the blade for the hand holding the ruler
US6298562B1 (en) Apparatus for the marking and cutting of construction materials
KR200167721Y1 (ko) 유리절단용 줄자
US2976614A (en) Measuring tape reel holder
US6425155B1 (en) Hand-held multifunctional tool to assist in decorating activities
KR102102598B1 (ko) 커터
JP2004131199A (ja) 粘着テープカッター
CN214924615U (zh) 具有钝刀结构的美工刀
CN111764148B (zh) 一种激光定位辅助划线的裁缝剪刀
EP0991506B1 (en) Cutting sheet material
KR200216517Y1 (ko) 유리절단용 평자
KR930006562Y1 (ko) 유리절단기
KR200262173Y1 (ko) 캇타칼 및 필기구 장치홈이 형성된 눈금자
KR200366804Y1 (ko) 눈금자를 구비한 커터칼
US3541693A (en) Cutting implement
KR800000802Y1 (ko) 종이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