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613Y1 - 변기용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용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613Y1
KR200165613Y1 KR2019990016209U KR19990016209U KR200165613Y1 KR 200165613 Y1 KR200165613 Y1 KR 200165613Y1 KR 2019990016209 U KR2019990016209 U KR 2019990016209U KR 19990016209 U KR19990016209 U KR 19990016209U KR 200165613 Y1 KR200165613 Y1 KR 200165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moisture
pipe
odo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선
Original Assignee
김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선 filed Critical 김경선
Priority to KR2019990016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용변 후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용변 후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변기의 볼 상부측에 위치하고, 대향측 단부는 상기 변기의 배출관부에 연결되어 악취 및 습기 또는 배출관부를 막고 있는 오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중앙부위에 하단부가 관통설치되며, 그 상단부에 구동모터와 송풍팬을 구비하여 외부 공기를 상기 흡입관측으로 강제 유입시켜 관체내에 압력차를 발생하도록 하며, 그 압력차에 의해 상기 흡입관측으로 악취 및 습기 또는 오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관이 갖추어진 것으로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습기 및 악취 또는 오물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흡입관과, 구동부가 장착된 연결관이 별도로 구성되어 습기에 의한 구동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동시에 전기적인 단락 현상을 방지하며, 동시에 악취 및 습기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변기용 흡입장치{SUCTION DEVICE FOR TOILET BOWL}
본 고안 변기용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습기 그리고 배출관을 막고 있는 각종 오물을 흡입 제거하여 청결하고 위생적인 실내를 형성하며,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변기용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식 양변기는 사용시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습기가 화장실내로 확산되어 용변 중 불쾌감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용변 후에도 악취가 실내에 남아 있어 다음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동시에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등 불결하고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악취 및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바, 그 일예로는 국내 실용신안 등록공고 제123327호의 양변기용 악취제거장치가 있다.
이러한 장치는 모터 및 팬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는 휠터를 거쳐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흡입통과, 휘어짐이 용이하고 흡입공이 다수개 천공된 두가닥의 흡입관이 좌판의 저면에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악취제거장치는 모터가 좌판의 직하부측에 부착됨으로써 소음이 심하고,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에 별도의 연결구가 구비되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연결관의 배관에 따른 외관이 불량한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단순히 악취 및 습기 제거에는 어느 정도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구조상 그 외의 기능은 가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그러한 악취제거장치는 공기흡입 경로상에 모터와 송풍팬이 장착되어 모터 흡입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로 인해 쇼트 현상이 발생하고, 모터의 고장률이 대단히 높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공기 및 습기의 흡입경로를 제공하는 관체와, 구동부가 장착되는 관체를 별도로 구성하여 습기로 인한 구동부의 부식 및 단락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며, 동시에 변기의 배출관을 막고 있는 오물을 상기 흡입경로를 통해 제거할 수 있는 변기용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악취 및 습기 그리고 오물을 흡입 배출시키는 흡입관과, 구동부가 장착된 연장관을 가지며, 구동부에 의해 두개의 관체 사이에 압력차를 발생시켜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습기 그리고 변기가 막혔을 때 배출관내의 오물을 제거할 수 있는 변기용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용변 후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용변 후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변기의 볼 상부측에 위치하고, 대향측 단부는 상기 변기의 배출관부에 연결되어 악취 및 습기 또는 배출관부를 막고 있는 오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중앙부위에 하단부가 관통설치되며, 그 상단부에 구동모터와 송풍팬을 구비하여 외부 공기를 상기 흡입관측으로 강제 유입시켜 관체내에 압력차를 발생하도록 하며, 그 압력차에 의해 상기 흡입관측으로 악취 및 습기 또는 오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관이 갖추어진 것으로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습기 및 악취 또는 오물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흡입관과, 구동부가 장착된 연결관이 별도로 구성되어 습기에 의한 구동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동시에 전기적인 단락 현상을 방지하며, 동시에 악취 및 습기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이 장착된 양변기의 일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양변기의 일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참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변기 11 : 볼
12 : 배출관부 13 : 좌판
14 : 덮개 100: 흡입장치
110 : 구동부 120 : 흡입관
130 : 연장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양변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고안이 장착된 변기의 일측면도를 것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전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은 양변기(10)에 설치되는 기본적인 구성을 취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예에 불과하고, 다른 형태의 변기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양변기(10)는 반구의 볼(11)과, 사이펀 이론에 근거하여 배설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부(12)와, 상기 볼(11) 후방측에 힌지(17) 결합되어 회동하며 개폐되는 좌판(13) 및 덮개(14)로 구성되며 상기 볼(11)의 후방측에는 물탱크(15)가 갖추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흡입장치(100)는 상기 볼(11) 후방측으로 배설되는 흡입관(120)과, 상기 흡입관(120)과 연통하는 연장관(130)과, 그리고 상기 연장관내에 설치되는 구동부(11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흡입관(120)은 일측 단부에 흡입구(120)를 가지고 볼(11)의 후방측 상단부에 위치하는 즉 상기 좌판의 후방측으로 볼(11)의 상부에 배설되는 구조로, 경우에 따라서는 볼(11)의 상단부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흡입구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배출구(122)는 상기 변기의 배출관부(12)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120)은 합성수지 혹은 비철금속 등으로 제작되어 설치가 간편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배출관부(12) 내의 오물 제거시 쉽게 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연장관(130)은 흡입관(120)의 대략 중앙 부위에서 상부측으로 연장되며, 그 내부에는 구동모터(111)와, 이 모터(111)의 구동에 의해 회동하며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팬(112)으로 구성된 구동부(110)가 장착되며, 상기 구동부의 전방측에는 필터(113)가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연장부(130)의 상단은 개방된 상태로 송풍팬(112)의 작동시 외부 공기 흡입되도록함과 동시에 구동모터(111)를 냉각시키며, 상기 구동모터(111)는 연장관내에서 브라켓트(114)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장관(130)의 하단부 내경은 그 상부측 보다 작게 구성된 소경부로 이루어지며, 송풍팬(112)의 회동시 그 부위에서 압력차가 발생되도록함으로써, 대기압하의 악취 및 습기가 제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11)는 변기의 물탱크(15) 전면에 설치된 배출 손잡이(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손잡이(16)를 누름과 동시에 일정시간 동작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다른 형태 즉 도 4 와 같은 감지수단(101)에 의한 동작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변기의 좌판(13) 저면에 감지수단(101) 즉 마이크로 스위치를 부착하여 좌판(13)을 올리고 내림에 따라 신호가 출력되고, 그 신호는 타이머를 가지는 제어수단(102)에 입력되어 일정시간 모터(111)가 동작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 예로서는 상기 제어수단(102)에 수분 간격으로 모터가 동작되도록 신호를 입력하여 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모터(111)가 간헐적으로 연속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대신하여 광센서와 같은 다른 감지수단(101)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흡입관(120)과 연결관(130) 사이에서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악취 및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사용자가 배출 손잡이(16)를 누르면 이 배출 손잡이(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모터(111)가 작동한다.
모터(111)가 구동함에 따라 송풍팬(112)이 회동하며 공기를 흡입관측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연결관(130)의 하단 소경부(d)에서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며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대기압 하에 있는 볼(11) 상부측의 공기가 흡입구(121)를 통해 유입된다.
공기의 흡입과 동시에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자연스럽게 흡입구(121)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관(12)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구동부(110)가 악취 및 습기의 흡입이동경로 즉 흡입관(120)과는 전혀 다른 위치에 장착되어 있어 다른 용도 즉 변기(10)의 배출관(12)을 막고 있는 오물을 흡입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오물이 배출관(12)에 막혀 변기(10)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흡입관(120)의 흡입구(121)를 배출관부(12)내에 깊숙이 박은 상태에서 모터(111)를 구동시키면 배출관(12)을 막고 있는 오물이 흡입관(120)을 통해 빠져나와 막힘을 뚫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110)는 오물이나, 배수(排水)에 관계 없이 구이 가능하며, 오물제거 후 흡입관(120)만을 교환하여 재 사용이 가능한다.
도 5 는 상기 흡입관(120)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실시 예로써, 좌판(13)의 저면 전체에 흡입관(120a)을 배관하여 악취를 흡입제거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흡입관(120a)은 좌판(13)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절곡된 상태에서 다수의 흡입공(120b)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또한 도 6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형태는 상기 배출구(122)를 외부로 향하게 하여 악취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아파트 혹은 대형 건축물에 설치된 굴뚝으로 상기 배출구를 연통시켜 악취를 제거하는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악취 혹은 습기를 이동시키는 하나의 흡입관과, 이 흡입관과 연통되고 구동모터와 송풍팬으로 구성된 구동부가 갖추어진 연장관을 구비하여 구동부의 부식 혹은 습기에 의한 쇼트 현상을 방지하고, 악취 및 습기 제거 뿐만 아니라, 오물 및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종래의 악취제거장치와는 달리 흡입과, 구동부가 장착된 연장관이 별도로 제작됨으로써, 제작이 편리하고, 장기간 동안 구동부의 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누구나 쉽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한 고안인 것 이다.

Claims (3)

  1. 용변 후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변기의 볼 상부측에 위치하고, 대향측 단부는 상기 변기의 배출관부에 연결되어 악취 및 습기 또는 배출관부를 막고 있는 오물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중앙부위에 하단부가 관통설치되며, 그 상단부에 구동모터와 송풍팬을 구비하여 외부 공기를 상기 흡입관측으로 강제 유입시켜 관체내에 압력차를 발생하도록 하며, 그 압력차에 의해 상기 흡입관측으로 악취 및 습기 또는 오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연결관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흡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변기의 배출 손잡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출 손잡이를 누름에 따라 구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변기의 흡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변기의 좌판 저면에 갖추어진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광센서로 구성된 감지수단의 출력신호를 제어하여 타이머로 구성된 제어수단에 의해 일정시간 또는 간헐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변기의 흡입장치.
KR2019990016209U 1999-08-09 1999-08-09 변기용 흡입장치 KR200165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209U KR200165613Y1 (ko) 1999-08-09 1999-08-09 변기용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209U KR200165613Y1 (ko) 1999-08-09 1999-08-09 변기용 흡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613Y1 true KR200165613Y1 (ko) 2000-02-15

Family

ID=1958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209U KR200165613Y1 (ko) 1999-08-09 1999-08-09 변기용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6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091A (ko) * 2002-08-09 2004-02-14 조성현 탈취형 양변기
KR100941294B1 (ko) 2009-09-04 2010-02-11 권태윤 수세식 좌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091A (ko) * 2002-08-09 2004-02-14 조성현 탈취형 양변기
KR100941294B1 (ko) 2009-09-04 2010-02-11 권태윤 수세식 좌변기
WO2011028055A3 (ko) * 2009-09-04 2011-07-14 Kwon Tae Yoon 수세식 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36419B (zh) 一种厕所除臭系统
US20170009440A1 (en) Flush toilet with deodorizing function
KR200165613Y1 (ko) 변기용 흡입장치
KR100491641B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0492905Y1 (ko) 착탈식 냄새흡입부재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US7376982B1 (en) Toilet bowl venting apparatus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0306436Y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JP2010520958A (ja) トイレの改良
KR200442285Y1 (ko)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200438551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100660923B1 (ko) 핸드 크리너
JPH057344Y2 (ko)
KR200220437Y1 (ko) 수세식 좌변기의 냄새배출장치
CN107761886B (zh) 卫生间除水装置及其控制系统
KR200286778Y1 (ko) 시트를 겸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CN214245978U (zh) 一种除臭马桶
WO2000077312A1 (en) Toilet supplied with a fecal gas extractor
KR920000542Y1 (ko) 수세식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JP3298136B2 (ja) 乾燥機能付き便座
KR100440648B1 (ko) 탈취가 가능한 절수 장치
KR200330071Y1 (ko) 비데용 악취배출장치
KR200163403Y1 (ko) 악취제거용소변기의흡기장치
KR200243392Y1 (ko) 수세식 좌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