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344Y1 - A drink cup - Google Patents

A drink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344Y1
KR200165344Y1 KR2019980008304U KR19980008304U KR200165344Y1 KR 200165344 Y1 KR200165344 Y1 KR 200165344Y1 KR 2019980008304 U KR2019980008304 U KR 2019980008304U KR 19980008304 U KR19980008304 U KR 19980008304U KR 200165344 Y1 KR200165344 Y1 KR 200165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olid ice
contents
suppor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3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32040U (en
Inventor
김정배
Original Assignee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배 filed Critical 김정배
Priority to KR2019980008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344Y1/en
Publication of KR199800320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04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344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맥주나 음료 등의 내용물에 얼음이 희석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섭취할 때까지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을 시원함과 아울러, 원 자체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한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에 관한 것으로, 이는 내용물을 담아 줄 수 있도록 합성비닐재로 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시원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형얼음컵(20)과; 상기 고형얼음컵이 삽입되어 받쳐지어 안전하게 세워짐은 물론,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받침 부(30)와; 상기 받침 부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형얼음컵으로부터 녹아 내리는 물을 흡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흡수 부(4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컵.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tents of beer or beverage to be kept at a constant temperature until the contents are ingested without diluting the ice, so that the contents are cool and solid ice that allows you to feel the original taste. It relates to a cup for a drink, which includes a container (10) made of synthetic vinyl material to contain the contents; And a solid ice cup 20 to keep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state to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cool; And the solid ice cup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stand, as well as the support portion 30 to drink the contents in a state held by the hand; Drinking cups using a solid 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absorbing portion 40 to absorb the water melted from the solid ice cup in a state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Description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컵Drinking Cup with Solid Ice

본 고안은 주로 호프 등을 판매하는 업소에서 맥주나 음료를 마실 때 사용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맥주나 음료 등의 내용물에 얼음이 희석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섭취할 때까지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을 시원함과 아울러, 원 자체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한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inly relates to a beverage cup using solid ice, which is used to drink beer or beverages in a business that sells hops, and in particular, until the contents are ingested without diluting the ice in the contents of beer or bever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up using solid ice, which is able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cool the contents as well as the original taste of the original.

일반적으로 맥주나 음료 또는 생수를 마실 때에는 컵에 내용물을 담아준 상태에서 내용물을 섭취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컵은 보편적으로 유리, 금속 및 합성수지를 제질로 하여 사용용도에 따라 크기와 형태를 분리시켜 수용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when drinking beer, beverages, or bottled water, the contents are ingested in the cups, and these cups are generally made of glass, metal, and synthetic resin, and separated into sizes and shapes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I'm doing it.

상기와 같이 내용물을 담아주는 컵에 있어 주류를 판매하는 업소 즉, 생맥주(호프)를 판매하는 업소에서는 내용물을 량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를 갖는 호프용컵을 별도로 사용하게 된다.In the cup containing the contents as described above, businesses that sell liquor, that is, businesses that sell draft beer (Hope) will use a separate cup for hops having different siz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contents.

예를들어 생맥주는 맥주자체의 온도와 신선도에 따라 맛의 차이가 결정됨에 따라 보관되어 있는 내용물은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주게되고, 내용물이 담겨지는 컵 또한 낮은 온도를 유지시켜 주었다가 상기 컵에 내용물을 담아주더라도 컵에 의해 내용물의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내용물이 시원함과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용물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상태에서 섭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For example, the draft beer has a different tast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freshness of the beer itself, so that the contents are always kept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the cup containing the contents is also kept at a low temperature. Even if the contents are contained,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is not increased by the cup so that the contents are kept cool and constant temperature, so that the contents can be ingested in a state where the taste of the contents can be felt as it i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컵은 보관 시에만 낮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가 내용물을 담아줄 때부터 상기의 내용물을 완전히 섭취할 때까지 실내에 그대로 방치되어 있어 실내의 높은 온도를 갖고있는 열기에 의해 컵과 내용물의 온도가 서서히 높아져 내용물 자체의 신선도와 맛을 느낄 수 없는 상태에서 섭취하게 된다.However, the cup is kept at a low temperature only when it is stored, and is left in the room until the contents are completely consumed until the contents are completely ingested.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ed to consume in a state that can not feel the freshness and taste of the contents themselves.

특히, 겨울철의 경우 사람이 추위를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히터 및 난로 등과 같은 가열수단에 의해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게 되어있어 상기 실내의 온도에 의해 내용물의 온도가 쉽게 높아져 짧은 시간 내에 내용물을 섭취한다 하더라도 내용물 자체의 온도를 그대로 유지시켜 줄 수가 없어 애주가로서는 내용물 자체의 신선도와 맛을 느끼지 못한 상태에서 주류를 마실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In particular, in winter, in order to prevent people from feeling cold, the temperature of the room is increased by heating means such as a heater and a stov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 is easily increased by the temperature of the room, and the contents are ingested within a short time. Because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itself could not be maintained, the liquor had no choice but to drink alcoholic beverages without feeling the freshness and taste of the contents itself.

또한, 상기의 컵은 한번 사용하고 버려지는 것이 아니고 깨끗이 세척한 뒤 재차 사용하는 것으로서, 세척이 깨끗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 즉, 여성이 사용한 컵에는 립스틱이 묻게되고, 상기의 립스틱이 완전히 세척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혐오감 및 비위생적인 느낌을 주게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the cup is not used and discarded once, but is washed again and then used again. When the washing is not done in a clean state, that is, the cup used by a woman gets lipstick and the lipstick is not completely washed. There was a flaw, such as giving the user a sense of disgust and unsanitary.

그리고, 콜라 및 사이다 등과 같은 탄산음료를 마실 때에는 음료를 시원한 상태에서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료 자체에 얼음을 투입시켜 상기 얼음에 의해 음료가 시원해지도록 한 상태에서 음료를 섭취하게 되는데, 이때 음료에 투입되어 있는 얼음이 녹아 음료에 희석됨에 따라 음료의 농도가 낮아져 음료자체의 맛을 상실한 상태에서 마시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when drinking carbonated beverages such as cola and cider, the beverage is ingested in a state in which ice is added to the beverage itself so that the beverage can be cooled in a cool state. As the ice is melted and diluted in the beverage, the concentration of the beverage is lowered, such that the drink is lost in the taste of the beverage itself.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이 담겨지는 컵을 고형얼음을 이용하여 내용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하여 얼음에 의해 내용물 자체의 신선도와 온도를 그대로 유지시켜 내용물의 신선도와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컵을 재 사용하는 일이 없어 청결함을 유지시켜 안심하고 마실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contents to be contained in the cup containing the contents using the solid ice to maintain the freshness and temperature of the contents itself by ice, and to feel the freshness and taste of the contents as it is The goal is to keep the cup clean so you can drink it with confiden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주류가 아닌 음료를 닫아 마실 때에는 얼음이 내용물에 직접적으로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시원한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농도가 낮아지지 않아 음료자체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ose the non-alcoholic beverage to keep the cool state even when the ice is not directly added to the contents, and the concentration is not lowered, so you can feel the taste of the beverage itself. The purpose is to make it.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용기 20 : 고형얼음컵10 container 20 solid ice cup

21 : 통 공 30 : 받침 부21: barrel 30: support

31 : 받침 컵 32 : 단 턱31: saucer cup 32: chin

33 : 지지 편 34 : 걸림 홈33: support piece 34: locking groove

35 : 손잡이 40 : 흡수 부35: handle 40: absorption

41 : 받침 편 42 : 관통 공41: base piece 42: through ball

43 : 스폰지 44 : 삽입 홈43: sponge 44: insertion groov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담겨지는 내용물의 량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를 갖고 있는 상태에서 합성 비닐재를 재질로 하여 내용물이 담겨질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얇은 두께를 갖는 용기(10)를 형성하고, 상기의 용기가 상부로부터 씌워지도록 하여 용기 내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이 실온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시원함을 그대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형얼음컵(20)을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고형얼음컵의 바닥 면 중앙에 통 공(21)을 형성시켜 내면으로부터 녹아 내리는 물이 통 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synthetic vinyl material in a state having different siz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content contained A container 10 having a thin thickness with an open upper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contents can be contained, and the container is covered from the top so tha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can be kept cool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at room temperature. To form a solid ice cup 20, wherein the through-hole 2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id ice cup is formed so that the water melted from the inner surfac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hole.

그리고, 상기 고형얼음컵(20)이 삽입되어 받쳐주어 고형얼음컵이 안전하게 세워지고 편리하게 잡고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받침 부(20)즉, 고형얼음컵(20) 하단부가 삽입되어 하단 외주 연 부가 얹혀질 수 있도록 내주 면에 단 턱(32)이 형성된 받침 컵(31)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 컵의 상면에 일체로 하여 고형얼음컵의 외측을 잡아줄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지지 편(33)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 편의 상단 외면에 밴드(도시되지 않음)가 걸려 지지 편이 외부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홈(34)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지지관중 어느 하나의 지지 편 외면에 일체로 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5)로 형성하여 된다.Then, the solid ice cup 2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20, that is, the solid ice cup is securely erect and conveniently hold the contents to drink the contents,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solid ice cup 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eripheral edge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33 to form a support cup 3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upper portion can be mounted, and to hold the outside of the solid ice cup integrally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cup. And a catching groove 34 to prevent the support piece from being caught by the band (not shown)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iece, and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tubes. It is formed by the handle 35 so that it can be held by the hand.

그리고, 상기 받침 컵(31) 내부에 삽입되어 고형얼음컵(20)으로부터 녹아 흘러내리는 물을 흡수시켜 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흡수 부(40)를 형성하여 되는 것이다.Then, the absorbing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cup 31 to absorb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solid ice cup 20 so as to prevent the water from spilling.

이때, 상기의 흡수 부(40)는 물이 흡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얇은 판상으로되어 있다가 물이 원활히 흡수되고, 상기 흡수되는 량에 따라 부피가 부풀어져 물이 쏟아지지 않게 되는 천연펄프를 압축시켜 사용하게 것이다.At this time, the absorbing portion 40 is a thin plate in the state that the water is not absorbed, but the water is smoothly absorbed, compresses the natural pulp that the volume is inflated according to the absorbed amount so that water does not spill Will us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컵(31)의 내부에 흡수 부(40)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고형얼음컵(20)을 받침 컵(31)내에 삽입시켜 주게되면 고형얼음컵(20)의 하단 외주 면이 받침 컵(31)의 내부 면에 돌출 되어 있는 단 턱(32)에 걸쳐지게 됨과 아울러, 외면이 지지 편(33)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에 있게된다.First, as shown in FIG. 2, when the absorbing portion 40 is positioned inside the cup 31, the solid ice cup 20 is inserted into the cup 31.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20) spans the step jaw 32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31, and the outer surface is supported and fixed by the support piece 33.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고형얼음컵(20)의 내부에 상부로부터 용기(10)를 삽입시켜 주게되는데, 이때 상기 용기(10)의 크기가 고형얼음컵(20)의 내주 면의 지름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되어있어 이들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container 10 is inserted into the solid ice cup 20 from the top, wherein the size of the container 10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lid ice cup 20. So that they stay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10)내에 내용물(얼음, 음료 등)을 담아준 상태에서 받침 부(3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있는 손잡이(35)를 잡고 내용물을 마시게 되는데, 이때 용기(10)내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은 용기(10)와 접촉되어 있는 고형얼음컵(20)의 차가운 온도가 전도되어 내용물이 시원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실온의 온도에 구애됨이 없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내용물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고 오히려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일어나 내용물을 완전히 마실 때까지도 시원함을 그대로 유지시켜 주게 됨과 아울러, 내용물(맥주)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above state, while holding the contents (ice, beverages, etc.) in the container 10, while holding the handle 35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ortion 30 to drink the contents, the container 10 )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inside of the solid ice cup 20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10 is inverted so that the contents remain cool, even if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ithout being bound to the room temperatur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does not increase, but rather the temperature is lowered to keep the cool as it is until you drink the contents completely, and you can feel the taste of the contents (beer) as it is.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내용물을 섭취하는 도중 실온의 높은 온도에 의해 고형얼음컵(20)이 서서히 녹아 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고형얼음컵(20)의 외부로부터 녹아 내린 물은 받침 컵(31)으로 직접 흘러내려 이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흡수 부(40)에 흡수되고, 내부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바닥 면 중앙에 형성된 통 공(21)을 흡수 부(40)로 흡수되도록 되어있어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받침 컵(31)을 기울여 주더라도 고형얼음컵(20)으로부터 녹아 내린 물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아 안심하고 내용물을 마실 수 있게되는 것이다.During the intake of the contents in the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solid ice cup 20 is gradually melted into water by the high temperature of the room temperature, wherein the water melted from the outside of the solid ice cup 20 to the support cup 31. Directly flows down and is absorbed by the absorbing portion 40 contained therein, and water flowing down from the inside is absorbed by the absorbing portion 40 through the through-hole 2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to support the contents. Even if the cup 31 is tilted, the water melted from the solid ice cup 20 does not flow to the outside so that the contents can be safely drink.

이때, 상기 흡수 부(40)는 소재가 천연펄프로 되어 있어 흡수되는 물의 량에 따라 부피가 늘어나 많은 량의 물을 흡수 할 수 있게되어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absorbing portion 40 is made of a natural pulp material is to increase the volume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is absorbed is to be able to absorb a large amount of water.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고형얼음컵(20)으로부터 녹아 흘러내리는 물을 흡수시켜 주는 흡수 부(40)를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 턱(32)에 얹혀진 상태에서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 공(42)이 형성된 받침 편(41)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편의 관통 공(42)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단 외주 면 부에 삽입 홈(44)이 형성된 스폰지(43)를 형성하며, 받침 핀 상단 면에 위치하는 지점인 받침 컵(31) 일 측에 형성된 핀 공(36)을 관통시켜 상기 받침편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45)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is absorbed from the solid ice cup 20, the absorbing portion 40 to absorb the water flowing down in the state in which the stepped jaw 32 as shown in FIG. A support piece 41 having a through hole 42 is formed in the center so as to pass therethrough, and an insertion groove 44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42 of the support piece so as to be combined to absorb water. ) Is formed a sponge (43), the fixing pin 45 for penetrating the pin hole 36 formed on one side of the cup cup 31, which is a point loc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upport pin to be fixed to the support piece It can also be formed.

상기와 같은 구성은 받침 편(41)의 중앙에 관통되어 있는 관통 공(42)에 스폰지(44)의 상단 부에 형성된 삽입 홈(43)이 끼워지도록 하여 결합시켜 준 뒤 상기 받침 편(41)을 받침 컵(31)의 내부에 형성된 단 턱(32)에 걸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받침 컵(31)의 일 측에 형성된 핀 공(36)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 핀(45)이 받침 편(41)의 상면에 얹혀져 받침 편을 잡아주고 있으므로 상기의 받침편이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43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sponge 44 to the through hole 42 penetrat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piece 41, and then the support piece 41 Retaining pin (41) is fixed pin (45) fixed via pin ball (36) formed on one side of cup (31) in a state that spans the end jaw (32) formed inside of cup (31). I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 hold the backing piece so that the backing piece is not randomly releas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맥주나 각종의 음료를 마시기 위해 컵에 담아준 상태에서 실온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더라도 고형얼음컵에 의해 용기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이 시원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시원한 상태의 내용물을 마실 수 있게됨은 물론, 내용물(맥주)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ven after a certain time at room temperature in the state in the cup for drinking beer or various beverages,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y the solid ice cup keeps the cool state as it is It is possible to drink, of cours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feel the taste of the contents (beer) as it is.

Claims (5)

내용물을 담아 줄 수 있도록 합성비닐재로 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시원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형얼음컵(20)과; 상기 고형얼음컵이 삽입되어 받쳐지어 안전하게 세워짐은 물론,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받침 부(30)와; 상기 받침 부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형얼음컵으로부터 녹아 내리는 물을 흡수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흡수 부(4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컵.A container 10 made of synthetic vinyl material so as to contain the contents; And a solid ice cup 20 to keep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state to be inserted into the container cool; And the solid ice cup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stand, as well as the support portion 30 to drink the contents in a state held by the hand; Drinking cups using a solid 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absorbing portion 40 to absorb the water melted from the solid ice cup in a state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고형얼음컵(20)의 내면으로부터 녹아 내리는 물이 고이지않고 외부로 원활히 흘러내릴 수 있도록 바닥 면 중앙에 통 공(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The beverage cup using solid 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ough-hole 2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id ice cup 20 so that water mel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olid ice cup 20 can flow smoothly to the outside. . 제1항에 있어서, 받침 부(30)는 고형얼음컵(20) 하단부가 삽입되어 하단 외주 연 부가 얹혀질 수 있도록 내주 면에 단 턱(32)이 형성된 받침 컵(31)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 컵의 상면에 일체로 하여 고형얼음컵의 외측을 잡아줄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지지 편(33)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 편의 상단 외면에 밴드가 걸려 지지 편이 외부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홈(34)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지지편중 어느 하나의 지지 편 외면에 일체로 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The bottom portion of the solid ice cup 20 is inserted into the bottom portion of the support cup 31 is formed with a support cup 31 is formed with a stepped jaw 32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lower outer peripheral edge is placed, A plurality of support pieces 33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cup so as to hold the outside of the solid ice cup, and the catching grooves 34 are form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iece to prevent the support pieces from spreading to the outside. ) And a cup for beverages using solid 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 handle (35) integrally with any one of the support piece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ieces to hold by hand. 제1항에 있어서, 흡수 부(40)는 물이 흡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얇은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가 물이 흡수되면 부피가 늘어나면서 물을 효율적으로 흡수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천연펄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컵.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bsorbing portion 40 is compressed to a thin thickness in the state that the water is not absorbed, but when the water is absorbed is formed of a natural pulp that can efficiently absorb the water as the volume increases Drinking cup using solid ice. 제1항에 있어서, 흡수 부(40)는 단 턱(32)에 얹혀진 상태에서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 공(42)이 형성된 받침 편(41)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편의 관통 공(42)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단 외주 연 부에 삽입 홈(44)이 형성된 스폰지(43)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컵.According to claim 1, Absorbing portion 40 forms a support piece 41 formed with a through hole 42 in the center so that water can pass in the state mounted on the end jaw 32, the through hole of the support piece The beverage cup using the solid 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o a sponge 43, the insertion groove 44 is formed in the upper outer peripheral edge so as to be coupled to the 42 to absorb the water.
KR2019980008304U 1998-05-19 1998-05-19 A drink cup KR20016534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304U KR200165344Y1 (en) 1998-05-19 1998-05-19 A drink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304U KR200165344Y1 (en) 1998-05-19 1998-05-19 A drink c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040U KR19980032040U (en) 1998-08-17
KR200165344Y1 true KR200165344Y1 (en) 2000-03-02

Family

ID=1953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304U KR200165344Y1 (en) 1998-05-19 1998-05-19 A drink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344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915A (en) * 2001-06-20 2001-07-27 안영희 Disposable cup containing a space for ice therein
KR20020034118A (en) * 2002-03-14 2002-05-08 김희정 Method of restrainig rise temperature of beer before drinking
KR100695282B1 (en) * 2005-11-04 2007-03-14 박창용 Ice bowl manufacturing apparatus
KR102220009B1 (en) * 2020-05-21 2021-02-24 정동근 Cooling cocktail beverage-manufactu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040U (en)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1720A (en) Constant temperature beverage cup
US7331194B2 (en) Coaster
US20190161257A1 (en) Domed Cup Lid for Holding an Inverted Can or Bottle
KR200165344Y1 (en) A drink cup
US20060091141A1 (en) Weighted drink holder
JPH09266842A (en) Ice drink cup auxiliary unit
KR200204688Y1 (en) Drink case for prompt cooling
KR200274408Y1 (en) a ice cocktail glass
US20130320027A1 (en) Cold drink cup
KR200412069Y1 (en) Double case
TWI832265B (en) Decanting device with chill-preserving functionality
KR200168661Y1 (en) Duplication cup structure
KR200188871Y1 (en) A container
AU2021100908A4 (en) Improved wine (beer) or beverage cooler bag ( Temperature maintaining bag)
KR200365407Y1 (en) Container for beer pitcher with cooling function
KR102192860B1 (en) Tumbler
KR100620327B1 (en) ICE ? Cool water keeping case
KR200309847Y1 (en) Duplex vessel for cooling
US20050139081A1 (en) Insulated sleeve for iced beverages
US20080083244A1 (en) Thermo-preserving container
KR200276214Y1 (en) Cup-type cap
KR200196125Y1 (en) Keep food in a soda bottle
KR200339512Y1 (en) Pads for cooling liquids in containers
KR200340429Y1 (en) Duplex receptacle which heatin freezing is possible
KR200282183Y1 (en) A opener structure of ca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