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234Y1 - 빗내장형휴대용젤스프레이 - Google Patents

빗내장형휴대용젤스프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234Y1
KR200165234Y1 KR2019990014136U KR19990014136U KR200165234Y1 KR 200165234 Y1 KR200165234 Y1 KR 200165234Y1 KR 2019990014136 U KR2019990014136 U KR 2019990014136U KR 19990014136 U KR19990014136 U KR 19990014136U KR 200165234 Y1 KR200165234 Y1 KR 200165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mb
gel
selectively
mov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재
Original Assignee
김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재 filed Critical 김정재
Priority to KR2019990014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2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2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빗 내장형 휴대용 젤 스프레이에 관한 것으로, 필요한 만큼의 젤을 저장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 빗을 내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능 향상으로 편리함을 주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내부에 젤 저장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젤 저장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젤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젤을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 외측으로 인출되는 빗 인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빗 내장형 휴대용 젤 스프레이{PORTABLE GEL SPRAY WITH COMB}
본 고안은 빗 내장형 휴대용 젤 스프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한 만큼의 젤을 저장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 빗을 내장하여 젤을 사용할 때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빗 내장형 휴대용 젤 스프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세팅용으로 사용되는 젤(GEL)은 고무튜브 또는 플라스틱 스프레이(용기)에 저장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프레이는 작은 것도 있으나 대부분 큰 것으로 제작되어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스프레이는 단순히 젤을 저장하는 기능만을 갖는 것으로 다양성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기에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필요한 만큼의 젤을 저장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 빗을 내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기능 향상으로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빗 내장형 휴대용 젤 스프레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내부에 젤 저장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젤 저장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젤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젤을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 외측으로 인출되는 빗 인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빗 인출수단은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걸림 유지될 수 있도록 그 상측에 탄성의 탄성후크를 갖는 이동레버와, 상기 이동레버의 걸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레버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이동레버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일부 노출되는 푸시버튼과, 상기 이동레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을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레버의 하측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레버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인출되는 빗과, 상기 인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는 마개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내부에 빗이 내장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내부에서 빗이 인출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
100:스프레이 110:본체
112:젤 저장부 114:격막
116:인출구 118:삽입홈
120:뚜껑 130:노즐
140:빗 인출수단 141:걸림턱
142:이동레버 142a:탄성후크
142b:돌기 143:스프링
144:푸시버튼 145:가이드 플레이트
145a:가이드홈 146:빗
147:마개 147a:록킹돌기
147b:록킹홈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 내장형 휴대용 젤 스프레이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내부에 빗이 내장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프레이 내부에서 빗이 인출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빗 내장형 휴대용 스프레이(100)는 크게 내부에 젤 저장부(112)가 형성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젤 저장부(112)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뚜껑(120)과, 상기 뚜껑(120)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젤 저장부(112)에 저장되어 있는 젤을 분사하는 노즐(130)과, 상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110) 외측으로 인출되는 빗 인출수단(1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본체(110)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10내지 15㎝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젤 저정부(112)가 형성되는 부분과 빗 인출수단(140)이 위치되는 부분으로 격막(114)에 의해서 양분되어 있다. 즉, 격막(114)을 중심으로 우측에는 젤이 저장되는 젤 저장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격막(114) 좌측에는 빗 인출수단(140)이 위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 바닥면에는 인출구(1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인출구(116)의 내측으로는 삽입홈(118)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뚜껑(120)은 본체(110)의 젤 저장부(112)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노즐(130)은 뚜껑(120)의 내측에 위치되어 본체(110)의 젤 저장부(112)에 저장되어 있는 젤을 본체(110) 외부로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빗 인출수단(140)으로는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118)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110)의 내부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141)에 걸림 유지되는 이동레버(142)와, 상기 이동레버(14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43)과, 상기 이동레버(142)의 걸림을 해제하는 푸시버튼(144)과, 상기 이동레버(14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45)와, 상기 인출구(116)를 통해서 인출되는 빗(146)과, 상기 인출구(11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마개(147)가 있다.
이동레버(142)는 상기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118)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110)의 내부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141)에 선택적으로 걸림 유지되는 바, 이동레버(142)의 상측에는 탄성후크(14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레버(142)의 하측에는 빗(146)이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143)은 상기 이동레버(142)의 걸림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레버(14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동레버(142)를 항상 하방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푸시버튼(144)은 상기 이동레버(142)의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것으로, 푸시버튼(144)의 일부분은 본체(1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나머지 일부는 이동레버(142)의 탄성후크(142a)와 연접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푸시버튼(144)을 누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후크(142a)가 탄성 변형되면서 뒤로 젖혀지고 이 상태에서 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레버(142)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45)는 상기 이동레버(14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35)의 돌기(142b)가 가이드홈(145a)을 따라 하방 이동함에 따라 이동레버(142)가 원만하게 하방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빗(146)은 상기 이동레버(132)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레버(142)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형성된 인출구(116)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마개(147)는 상기 인출구(116)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록킹돌기(147a)/록킹홈(147b)에 의해서 본체(1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젤 스프레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뚜껑(120)을 열고 본체(110)의 젤 저장부(112)내에 필요한 만큼의 젤을 부어 넣는다. 그 다음, 뚜껑(120)을 다시 닫고 필요시에 노즐(140)을 눌러서 젤을 필요한 양 만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빗(146)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푸시버튼(144)을 누르면 푸시버튼(144)의 끝단이 이동레버(142)의 탄성후크(142a)를 화살표(A) 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이렇게 누르는 힘에 의해서 이동레버(142)의 탄성후크(142a)가 화살표(A)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이때, 이동레버(142)의 탄성후크(132a)의 걸림이 해제되며, 이와 동시에 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의해서 이동레버(142)가 하방으로 힘을 받는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레버(142)의 돌기(142b)는 가이드홈(145a)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이동레버(142)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동레버(142)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는 빗(146)이 인출구(116)를 통해서 본체(11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렇게 빗(146)이 본체(110) 외측으로 완전히 인출되면 본체(110)를 손잡이로 하여 젤사용과 함께 빗(146)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빗(146)을 본체(110)내에 수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빗(146)의 끝단을 삽입홈(118)내로 밀어 넣으면 빗(146)을 미는 힘에 의해서 스프링(143)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빗(146)이 삽입홈(118)내로 삽입된다. 이때, 이동레버(142)도 상측으로 밀려서 이동레버(142)의 탄성후크(142a)가 걸림턱(141)에 걸림된다(도 2참조). 이렇게 이동레버(142)의 탄성후크(142a)가 걸림턱(141)에 걸림 유지됨에 따라 빗(146)이 본체(110)의 삽입홈(118)내에 내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빗(146)이 삽입홈(118)내에 삽입되면 마개(147)를 눌러 닫어 본체(110) 바닥을 밀폐시킨다. 이때, 마개(147)는 탄성 변형되면서 록킹돌기(147a)가 록킹홈(147b)에 결합되어 인출구(116)를 차단한다. 즉 마개(147)는 록킹돌기(147a)와 록킹홈(137b)의 결합으로 본체(110) 바닥에 고정될 수 있는 바, 힘을 주어 상방으로 누르면 누르는 힘에 의해서 마개(147)가 어느정도 탄성 변형되고 이때, 록킹돌기(147a)가 록킹홈(137b)에 삽입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마개를 힌지 결합시켜서 마개의 분실을 방지할 수도 있고, 빗을 브러쉬 타입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필요한 만큼의 젤을 저장하여 간편하게 휴대하여 필요시에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본체 내부에 빗을 내장하여 둠으로써 젤사용과 함께 빗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그 내부에 젤 저장부(112)가 형성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젤 저장부(112)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뚜껑(120);
    상기 뚜껑(120)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젤 저장부(112)에 저장되어 있는 젤을 분사하는 노즐(130); 및
    상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110) 외측으로 인출되는 빗 인출수단(140)으로 이루어지는 빗 내장형 휴대용 젤 스프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 인출수단(140)은,
    상기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118)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110)의 내부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141)에 선택적으로 걸림 유지될 수 있도록 그 상측에 탄성의 탄성후크(142a)를 갖는 이동레버(142);
    상기 이동레버(142)의 걸림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레버(14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143);
    상기 이동레버(142)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의 외측으로 일부 노출되는 푸시버튼(144);
    상기 이동레버(14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45a)을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145);
    상기 이동레버(142)의 하측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레버(142)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형성된 인출구(116)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인출되는 빗부재(146); 및
    상기 인출구(116)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마개(147)로 이루어지는 빗 내장형 휴대용 젤 스프레이.
KR2019990014136U 1999-07-16 1999-07-16 빗내장형휴대용젤스프레이 KR200165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136U KR200165234Y1 (ko) 1999-07-16 1999-07-16 빗내장형휴대용젤스프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136U KR200165234Y1 (ko) 1999-07-16 1999-07-16 빗내장형휴대용젤스프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5234Y1 true KR200165234Y1 (ko) 2000-02-15

Family

ID=1958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136U KR200165234Y1 (ko) 1999-07-16 1999-07-16 빗내장형휴대용젤스프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2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9696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spring-biased mirror
JP3276532B2 (ja) 容器用キャップ
KR200450995Y1 (ko) 펜슬형 화장품용기
KR100490872B1 (ko) 개폐가 용이한 용기
US20070151571A1 (en) Cosmetics case
KR20040096089A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US2951584A (en) One hand operated lipstick
KR101625329B1 (ko) 스틱형 화장품용기
KR200165234Y1 (ko) 빗내장형휴대용젤스프레이
KR200472284Y1 (ko) 수직 버튼식 개폐장치를 갖는 화장용기
JP2005046626A (ja) 撥ね出し引出しを備えた化粧コンパクト
KR20120005597U (ko) 립 글로스 용기
KR101784337B1 (ko) 쿠션 콤팩트 용기
KR100398162B1 (ko) 메니큐어 겸용 세척액 용기
KR102052996B1 (ko) 화장품 컴팩트 용기
KR200438510Y1 (ko) 콤팩트 케이스
KR200227220Y1 (ko) 브러시 수납식 화장품 케이스
KR200404621Y1 (ko) 뚜껑 개폐가 용이한 콤팩트
KR200421355Y1 (ko) 화장도구 인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0469838B1 (ko) 이미용도구
KR200306882Y1 (ko) 화장품 용기
KR200284389Y1 (ko) 이미용도구
KR200260197Y1 (ko) 메니큐어 겸용 세척액 용기
US20030145872A1 (en) Make-up set and cosmetic storage case
KR200494676Y1 (ko) 버튼식 헤어 염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