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029Y1 -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 - Google Patents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029Y1
KR200165029Y1 KR2019970000095U KR19970000095U KR200165029Y1 KR 200165029 Y1 KR200165029 Y1 KR 200165029Y1 KR 2019970000095 U KR2019970000095 U KR 2019970000095U KR 19970000095 U KR19970000095 U KR 19970000095U KR 200165029 Y1 KR200165029 Y1 KR 200165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nail clipper
pressing member
bla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165U (ko
Inventor
송유성
Original Assignee
송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성 filed Critical 송유성
Priority to KR2019970000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029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1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0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Landscapes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톱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손톱의 주변 살갗이 보풀어서 생긴 지저분한 허무래기를 정리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칼날이 구성된 손톱깍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는, 서로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로 구성된 손톱깍기본체(14)의 각각의 일측단부면에 형성된 칼날(10)과, 상기 칼날(10)이 서로 접촉되어서 절단작용을 수행하도록 본체(14)를 작동시키는 누름부재(12)와, 상기 누름부재(1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봉(1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는 종래 사용되는 손톱깍기의 대향위치에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
본 고안은 손톱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손톱의 주변 살갗이 보풀어서 생긴 지저분한 허무래기를 정리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칼날이 구성된 손톱깍기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손톱 및 발톱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성장하며 손, 발톱사이에 때가 끼어서 위생상 좋지 않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깍아주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손, 발톱을 깍기 위하여 손톱깍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손톱깍기는 그것의 구조상 단단한 각질의 손, 발톱을 깍기 용이하지만 손톱, 또는 발톱의 주변에 형성된 살갗이 부풀어서 형성된 허무래기를 깍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허무래기를 깍기 위하여 끝이 날카로운 칼을 이용하거나 또는 가위와 같은 절단부재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미세한 부분까지 허무래기를 정리하는데에는 한계점이 노출되었으며, 칼을 사용하다가 부상을 입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톱 또는 발톱주변의 살갗이 부풀어서 형성된 허무래기를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는, 서로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로 구성된 손톱깍기본체(14)의 각각의 일측단부면에 형성된 칼날(10)과, 상기 칼날(10)이 서로 접촉되어서 절단작용을 수행하도록 본체(14)를 작동시키는 누름부재(12)와, 상기 누름부재(1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봉(1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는 종래 사용되는 것으로서, 절단면, 누름부재, 및 고정봉으로 구성된 손톱깍기의 대향위치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 10 : 칼날
10a : 단부 12 : 누름부재
12a : 단부 14 : 손톱깍기본체
16 : 고정봉 18 : 누름부재
20 : 절단면 22 : 고정봉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는 손톱 또는 발톱의 주변에 살갗이 부풀어서 생긴 허무래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단부의 상, 하측에 서로 접촉되면서 허무래기를 절단할 수 있는 칼날을 장치한 것이다. 상기 칼날은 상하위치에서 누름작용에 의하여 중심으로 이동하여 커팅작용을 수행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본체(14)의 단부에 한 쌍의 칼날(10)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칼날(10)은 특히 그것의 외측단부(10a)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손톱 또는 발톱의 미세한 부분, 즉 종래 칼날이나 손톱깍기의 절단면이 도달하지 않는 부분까지 본 고안의 칼날(10)이 도달하여서 허무래기정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칼날(10)은 날이 상하 수직으로 형성되어서 허무래기를 절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4)에 형성된 한 쌍의 칼날(1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누름부재(12)가 사용된다. 누름부재(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4)의 일측상부표면에 고정봉(14)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고정봉(14)의 상부측, 즉 누름부재(12)와 연결되는 단부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어서 누름부재(12)의 단부(12a)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것은 종래 손톱깍기에서 사용되는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측은 회동이 가능하며, 고정봉(16)의 하부측은 이탈되지 않도록 머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도 역시 종래 손톱깍기와 유사한 결합방식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손톱 또는 발톱의 허무래기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허무래기를 칼날(10)의 사이에 끼워준후에 누름부재(12)를 눌러줌으로서 간단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미세부분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칼날(10)의 단부를 사용함으로서 용이하게 허무래기를 정리할 수 있는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와 종래 사용되는 손톱깍기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사용되는 절단면(20), 고정봉(22), 및 누름부재(18)으로 구성되는 손톱깍기의 대향위치에 본 고안의 칼날(10)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손톱이나 발톱과 같은 각질부분은 종래의 손톱깍기를 사용하여 제거한 후에 본 고안에 칼날(10)을 사용하여 허무래기를 정리함으로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3도는 제2도의 손톱깍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고정봉(16)의 하부측 단부에 머리가 형성되어서 이탈이 방지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손톱 또는 발톱주변의 살갗이 부풀어서 형성된 허무래기를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

  1. 서로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로 구성된 손톱깍기본체(14)의 각각의 일측단부면에 형성된 칼날(10)과, 상기 칼날(10)이 서로 접촉되어서 절단작용을 수행하도록 본체(14)를 작동시키는 누름부재(12)와, 상기 누름부재(1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봉(1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
  2. 손톱을 절단하기 위한 한 쌍의 절단면(20)과, 상기 절단면(20)을 작동시키기 위한 누름부재(18)와, 상기 누름부재(18)를 고정하는 고정봉(22)을 포함하는 손톱 깍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20)의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로 구성된 손톱깍기본체(14)의 각각의 일측단부면에 형성된 칼날(10)과, 상기 칼날(10)이 서로 접촉되어서 절단작용을 수행하도록 본체(14)를 작동시키는 누름부재(12)와, 상기 누름부재(1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봉(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기.
KR2019970000095U 1997-01-07 1997-01-07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 KR200165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095U KR200165029Y1 (ko) 1997-01-07 1997-01-07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095U KR200165029Y1 (ko) 1997-01-07 1997-01-07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165U KR19980056165U (ko) 1998-10-15
KR200165029Y1 true KR200165029Y1 (ko) 2000-01-15

Family

ID=1949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095U KR200165029Y1 (ko) 1997-01-07 1997-01-07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0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165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1075A (en) Unitarily formed plastic soft tissue nipper
KR200165029Y1 (ko) 손톱허무래기정리용 손톱깍기
MA23597A1 (fr) Organe de contact avec la peau , ensemble de rasage le comprena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3955234A (en) Tool for dressing meat
KR101022248B1 (ko) 면도기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면도기
KR200209920Y1 (ko) 절단물 비산방지 손톱깎기
KR200306883Y1 (ko) 손톱 소제용 트리머
KR200202790Y1 (ko) 손톱깎이
KR100340931B1 (ko) 여러 모양의 절단날을 구비한 손톱깎이
KR200313461Y1 (ko) 신체의 굳은살 제거 겸용 일회용 면도기
KR0118169Y1 (ko) 굳은 살 제거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치솔
KR200202768Y1 (ko) 유아용 및 덧살 제거용 손톱깎기
KR200263473Y1 (ko) 굳은살 제거기
KR200379487Y1 (ko) 족집게형 털 깎이
KR200382300Y1 (ko) 손톱깎이
KR940001720Y1 (ko) 손톱 및 발톱 깎이
KR930005243Y1 (ko) 각질(角質) 제거구
JP2005143999A (ja) はさみ
KR960005498Y1 (ko) 손톱의 표피제거용 클립퍼
KR200263471Y1 (ko) 굳은살 제거기
KR200192484Y1 (ko) 여러 모양의 절단날을 구비한 손톱깎이
KR20170056392A (ko) 손톱 길이 조절구가 구비된 손톱깎이
KR950005016Y1 (ko) 손톱눈 깍이
KR200263449Y1 (ko) 굳은살 제거기
KR200428966Y1 (ko) 칼도마식 손톱깎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