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183Y1 - A earphone device having a cord-retainer - Google Patents

A earphone device having a cord-re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183Y1
KR200164183Y1 KR2019990014156U KR19990014156U KR200164183Y1 KR 200164183 Y1 KR200164183 Y1 KR 200164183Y1 KR 2019990014156 U KR2019990014156 U KR 2019990014156U KR 19990014156 U KR19990014156 U KR 19990014156U KR 200164183 Y1 KR200164183 Y1 KR 200164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wiring
earphone
circuit boar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15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백호
Original Assignee
조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백호 filed Critical 조백호
Priority to KR2019990014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18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183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나 핸드폰 등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이어폰 장치의 이어폰 코드 중간부분에 이어폰 코드감이를 부설하여 필요에 따라 이어폰 코드를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풀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코드감이가부착된 이어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the earphone cord coil to the middle part of the earphone cord of the earphone device which is commonly used in portable audio players and mobile phones. In providing an earphone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코드 스톱퍼(15)가 양측면에 장착되는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폰측과 잭측의 배선을 회로패턴으로 접속하는 회로기판(20)과, 일단은 고정축으로서 상기 회로기판 상에 고정되고 타단은오픈되는 코드감이용 스파이럴 스프링(30,30')과,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표면을따라 부착되며 스파이럴 스프링의 고정단측에는 회로결선용 다수의 배선핀(35,35')이 마련되고 스파이럴 스프링의 오픈단측에는 컨넥터(38,38')가 마련되는 다수의 배선용 스트라이프(37,37')를 가지는 와이어링 필름(31,31')과, 상기 컨넥터(38,38')에 각각 접속되어 배선용 스트라이프와 회로기판 상의 패턴을 통해 상호 접속되는 폰측 및 잭측 이어폰 코드(32,32')와, 하우징 커버(13)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using (10) in which the cord stopper (15) is mounted on both sides, a circuit board (20) disposed in the housing for connecting the phone side and the jack side wiring in a circuit pattern, and one end Spiral springs 30 and 30 'for cording, which are fixed on the circuit board as fixed shafts and open at the other end, are attached along the surface of the spiral springs, and a plurality of wiring pins for circuit connection are provided on the fixed ends of the spiral springs 35 and 35 'and a wiring film 31 and 31' having a plurality of wiring stripes 37 and 37 'provided with connectors 38 and 38' on the open end of the spiral spring, and the connector ( 38 and 38 ', and the phone-side and jack-side earphone cords 32 and 32',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wiring stripe and a pattern on a circuit board, and a housing cover 13, respectively.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휴대형 음향기기용 이어폰 장치의 코드의 보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This invention has a unique effect of facilitating the storage and management of the cord of the earphone device for a portable audio device.

Description

코드감이가 부착된 이어폰 장치{A earphone device having a cord-retainer}Earphone device with cord sense {A earphone device having a cord-retainer}

본 고안은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나 핸드폰 등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폰 코드의 중간부분에 이어폰 코드감이를 부설하여 필요에 따라 이어폰 코드를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풀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코드감이가 부착된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device commonly used in portable audio players or mobile phones, and in particular, by placing an earphone cord wrap in the middle part of the earphone cord, the cord wrap can be stored or unwound as needed. It relates to an earphone device attached.

핸드폰이나 휴대형 헤드폰 스테레오 기기와 같은 음향기기에는 그들의 일측부위에 대부분 이어폰 잭이 마련되어 있어, 필요시 이어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하거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게 하고 있다.Sound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portable headphone stereos are mostly equipped with earphone jacks on one side of the device, allowing the user to make phone calls or listen to audio when needed.

휴대형 음향기기용 이어폰은 상당한 길이(대략 1m 내외)의 이어폰 코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는 그의 보관이 불편하고 쉽게 꼬여지는 문제가 있어 이어폰 코드의 단선을 초래하게 된다.Since earphones for portable audio devices have earphone cords of considerable length (approximately 1m or so), their storage is inconvenient and easily twisted when not in use, resulting in disconnection of earphone cords.

이러한 이어폰 코드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는데, 그들 중의 하나로서 198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6710호를 들 수있다.Many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earphone cord, and one of them is 1988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16710.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코드보관 케이스의 내부에 코드감이용 릴을 설치하고 이 릴의 몸통부를 관통시켜 이어폰 코드를 배치한 후 코드보관 케이스의 외측에마련된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폰측의 코드와 잭측의 코드를 동시에 감아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폰측과 잭측의 코드를 당겨 코드보관 케이스에 감겨진 이어폰 코드를 원하는 길이로 풀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by installing a cord feeling reel in the inside of the cord storage case, through the body of the reel to place the earphone cord, and then rotate the handle on the outside of the cord storage case cord of the phone side and the jack side cord At the same time, it can be rolled up and stored at the same time, and if necessary, the cords of the phone side and the jack side can be pulled and the earphone cord wound on the cord storage case can be unrolled to a desired length.

그러나 이 기술은 구조적인 면에서 간단하기는 하지만 이어폰 코드를 코드보관 케이스내에 감아 말아 넣기 위해 손잡이를 수회 내지 수십회 돌려야하는 불편이따르게 되고, 또한 폰측 코드나 잭측 코드에서 여분이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코드감이 조작전에 코드보관 케이스를 이어폰 코드의 정중앙에 위치시킬 것이 요구된다.However, while the structure is simple in structure, it is inconvenient to rotate the handle several times or tens of times to wrap the earphone cord into the cord storage case. The sense is required to place the cord storage case in the very center of the earphone cord prior to manipulation.

또 다른 선행기술로 19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6272호가 있다. 이 선행기술에서는 헤드폰 스테레오의 기능버튼과 코드 로킹버튼이 설치된 리모콘 본체와, 상기 리모콘 본체에 마련된 이어폰 보호캡부와, 상기 이어폰 보호캡부에 설치된 이어폰코드 권선장치와, 감겨진 이어폰 코드를 자체의 탄력으로 로킹하고 외부 압력으로 로킹이 해제되는 이어폰 코드 로킹장치를 포함하는 이어폰 코드 권선장치 내장 리모콘을 제시하고 있다.Another prior art is 1994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6272. In the prior art, a remote control body provided with a function button and a cord locking button of a headphone stereo, an earphone protective cap portion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body, an earphone cord winding device provided on the earphone protective cap portion, and a wound earphone cord as its own elasticity A remote control with a built-in earphone cord winding device including an earphone cord locking device for locking and unlocking by external pressure is provided.

그러나 이러한 이어폰 코드 권선장치 내장 리모콘 기술은 단지 코드의 권선기능에만 초점이 맞추어 졌을뿐, 실제 코드의 전기적인 배선은 전혀 고려하고 있지않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실시 불가능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However, the remote control technology with the built-in earphone cord winding device is focused only on the winding function of the cord, and it can not be practically implemented because the electrical wiring of the cord is not considered at all.

그 이유는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바깥둘레를 따라 이어폰 코드가 감겨지게 되는 데, 이때 이어폰 잭측과 연결된 부분의 코드가 꼬이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어, 쉽게 이어폰 코드의 단선을 초래하게 된다.The reason is that the earphone cord is wou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pring by us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At this time, the cord of the part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side cannot be twisted, which leads to disconnection of the earphone cord.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에 감겨지기 시작하는 부분의 이어폰 코드를 가동접점으로 설계하여야 하는 데, 스프링의 복원 여부에 따라 해당부위의 반경이 변하게 되므로 가등접점에 대응할 고정접점의 설계는 매우 고려되어 설계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avoid this, the earphone cord of the part that starts to be wound on the spring should be designed as a movable contact.The radius of the corresponding part changes depending on whether the spring is restored, so the design of the fixed contact corresponding to the temporary contact should b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there is a problem.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나 핸드폰과 같은 음향기기에 사용되는 이어폰 장치의 이어폰 코드 중간부분에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한 이어폰 코드감이를 부설하여 필요에 따라 이어폰 코드를 감아 보관하거나 또는 풀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어폰 코드의 관리 부주의에 의한 코드꼬임 및 코드엉킴이나 코드단선 현상을 방지하고 보유관리를 편리하게 한 코드감이가 부착된 이어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earphone cord coil us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in the middle part of the earphone cord of the earphone device used for the portable audio player or the audio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arphone device with a cord sense that prevents cord kinking, cord entanglement or cord breakage due to careless management of earphone cords, and facilitates maintenance management.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 장치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evice.

도 3a와 도3b는 본 고안 장치에 적용된 스파이럴 스프링의 전개상태도이다.3a and 3b is a development state diagram of the spiral spring applied to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장치에 적용된 스파이럴 스프링의 수직단면도이다.Figure 4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spiral spring applied to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 : 하우징 11,11' : 코드 인입/인출홀10: housing 11,11 ': code entry / exit hole

12,12' :스토퍼 장착홈 13 : 하우징 커버12,12 ': Stopper mounting groove 13: Housing cover

14 : 기능키 인출홈 15 : 스토퍼14: function key withdrawal groove 15: stopper

20 : 회로기판 21 : 기능키 베이스20: circuit board 21: function key base

22 : 기능키 23,35,35' : 배선핀22: Function key 23,35,35 ': Wiring pin

24,25,25' : 핀홀 26,26' : 스프링 고정홈24,25,25 ': Pinhole 26,26': Spring fixing groove

30,30' : 스파이럴 스프링 31,31' : 와이어링 필름30,30 ': Spiral spring 31,31': Wiring film

32 : 폰측 코드 32' : 잭측 코드32: Phone side cord 32 ': Jack side cord

33 : 폰 34 : 잭33: Pawn 34: Jack

36,36' : 스프링 고정핀 37,37' : 스트라이프36,36 ': Spring fixing pin 37,37': Stripe

38,38' : 컨넥터38,38 ': Connec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드스톱퍼가 양측면예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폰측과 잭측의 배선을 회로패턴으로 접속하는 회로기판과, 일단은 고정축으로서 상기 회로기판 상에 고정되고 타단은 오픈되는 코드감이용 스파이럴 스프링과,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표면을 따라 부착되며 스파이럴 스프링의 고정단측에는 회로결선용 다수의 배선핀이 마련되고 스파이럴 스프링의 오픈단측에는 컨넥터가 마련되는 다수의 배선용 스트라이프를 가지는 와이어링 필름과, 상기 컨넥터에 각각 접속되어 배선용 스트라이프와 회로기판 상의 패턴을 통해 상호 접속되는 폰측 및 잭측 이어폰 코드와,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having a cord stopper mounted on both sides thereof, a circuit board disposed in the housing for connecting the phone side and the jack side wiring in a circuit pattern, and one end of which is fixed on the circuit board as a fixed shaft. Spiral spring for the cord sense and the other end is open, and attached along the surface of the spiral spring, a plurality of wiring pins are provided on the fixed end side of the spiral spring and a connector is provided on the open end side of the spiral spring It comprises a wiring film having a stripe, a phone-side and a jack-side earphone cord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interconnected via a pattern on a wiring board and a circuit board, respectively, and a housing cover.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장치의 내부구조를설명하기 위해 주요부분들을 분리시켜 놓은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s separated to expla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어폰 장치는 하우징(10)내에 회로기판(20)과 스파이럴 스프링(30,30')이 장착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음향기기의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콘 기능키(22)가 부가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As referred to herein, the earphon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ircuit board 20 and the spiral spring (30, 30 ') is mounted in the housing 10. If necessary, a remote control function key 22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remote control of the acoustic device.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is in detail.

하우징(10)의 양측면에는 코드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코드 인입/인출홈(11,11')과 상기 코드 인입/인출홈(11,11')을 통하여 인입되는 코드의 로킹을 위한 스토퍼(15) 설치용 스토퍼 장착홈(12,12')을 마련한다.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the cord inlet / outlet grooves 11 and 11 'for the inlet and outlet of the cord and the stopper 15 for the locking of the cord that is introduced through the cord inlet / outlet grooves 11 and 11'. ) Install stopper mounting grooves (12, 12 ') for installation.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20)에는 핀홀(25,25')과 스프링고정홈(26,26')이 마련되며, 부가적으로 리모콘 기능키의 부설을 위한 핀홀(24)이더 마련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2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pinholes 25 and 25 'and spring fixing grooves 26 and 26', and additionally pinholes 24 for laying remote control function keys. Ether can be arranged.

이 경우 하우징 커버(13)에는 기능키를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기능키 인출홈(14)을 마련한다.In this case, the housing cover 13 is provided with a function key drawing groove 14 for protruding the function keys to the outside.

상기 핀홀(24)에는 기능키(22)가 장착된 기능키 베이스(21)의 배선핀(23)을삽입 고정하여 이어폰 코드감이 장치에서 음향기기의 원격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pinhole 24 may insert and fix the wiring pin 23 of the function key base 21 on which the function key 22 is mounted to enable remote control of the acoustic device in the earphone cord sense device.

상기 스프링 고정홈(26)에는 스파이럴 스프링(30)의 일단, 즉 스프링 코일의센터측을 고정하고 핀홀(25)에는 이 스파이럴 스프링의 표면에 부착된 와이어링 필름(31)의 배선용 스트라이프 패턴을 접속한다.One end of the spiral spring 30, that is, the center of the spring coil is fixed to the spring fixing groove 26, and the pinhole 25 is connected to the wiring stripe pattern of the wiring film 31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piral spring. do.

마찬가지로, 상기 스프링 고정홈(26')에는 스파이럴 스프링(30')의 일단, 즉스프링 코일의 센터측을 고정하고 핀홀(25')에는 이 스파이럴 스프링의 표면에 부착된 와이어링 필름(31')의 배선용 스트라이프 패턴을 접속한다.Similarly, one end of the spiral spring 30 'is fixed to the spring fixing groove 26', i.e., the center side of the spring coil, and the wiring hole 31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piral spring in the pin hole 25'. Wiring stripe pattern is connected.

이들 배선용 스트라이프 패턴은 절연성의 플레시블 필름으로 코딩되어지며,각각의 스파이럴 스프링(30)의 오픈단 측으로 인출된 와이어링 필름(31,31')의 단부에는 컨넥터(38,38')를 마련하고, 이들 컨넥터(38,38')에는 각각 폰(33)에 연결되는 폰측 코드(32)와 잭(34)에 연결되는 잭측 코드(32')를 접속한다.These wiring stripe patterns are coded with an insulating flexible film, and connectors 38 and 38 'are provided at ends of the wiring films 31 and 31' drawn to the open ends of the spiral springs 30, respectively. These connectors 38 and 38 'are connected to a phone side cord 32 connected to the phone 33 and a jack side cord 32' connected to the jack 34, respectively.

도 3a와 도3b는 각각 폰측 코드감이를 위한 스파이럴 스프링(30)과 잭측 코드감이를 위한 스파이럴 스프링(30')에 각각 복수의 배선용 스트라이프를 가지는 와이어링 필름(31,31')이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3A and 3B show wiring films 31 and 31 'each having a plurality of wiring stripes are attached to the spiral spring 30 for the phone side cord winding and the spiral spring 30' for the jack side cord winding, respectively. This is a development view to explain the state.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스파이럴 스프링(30)의 코일링 센터부가 되는일단에는 상기 회로기판(20)상에 마련된 스프링 고정홈(26)에 삽입되어 고정될 스프링 고정핀(36)이 마련되며, 이것에 의해 스파이럴 스프링(30)의 고정축이 형성되게 된다.As referred to herein, a spring fixing pin 36 to be inserted and fixed in a spring fixing groove 26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2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piral spring 30 to be the coiling center part. As a result, the fixed shaft of the spiral spring 30 is formed.

또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30)에 부착된 와이어링 필름(31)상의 배선용 스트라이프(37)도 상기 스프링 고정핀 주변에서 배선핀(35)을 통해 인출되어 회로기판(20)의 배선패턴에 고정 접속되게 된다.In addition, the wiring stripe 37 on the wiring film 31 attached to the spiral spring 30 is also drawn out through the wiring pin 35 around the spring fixing pin and fixedly connected to the wiring pattern of the circuit board 20. do.

마찬가지로, 스파이럴 스프링(30')의 코일링 센터부가 되는 일단에도 상기 회로기판(20)상에 마련된 스프링 고정홈(26')에 삽입되어 고정될 스프링 고정핀(36')이 마련되며, 이것에 의해 스파이럴 스프링(30')의 고정축이 형성되게 된다.Similarly, a spring fixing pin 36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spring fixing groove 26'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20 is also provided at one end of the spiral spring 30 'that is the coiling center portion. As a result, a fixed shaft of the spiral spring 30 'is formed.

또 스파이럴 스프링(30')에 부착된 와이어링 필름(31')상의 배선용 스트라이프(37')도 상기 스프링 고정핀 주변에서 배선핀(35')을 통해 인출되어 회로기판(20)의 배선패턴에 고정 접속되게 된다. 여기에서 이어폰측 배선용 스트라이프(37')가 3가닥인 것과는 달리 잭측 배선용 스트라이프(37')는 그 이상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는 음향기기의 원격조정을 위한 추가 배선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wiring stripe 37 'on the wiring film 31' attached to the spiral spring 30 'is also drawn out through the wiring pin 35' around the spring fixing pin to form the wiring pattern of the circuit board 20. It is fixedly connected. Here, the earphone-side wiring stripe 37 'is represented by more than three strands, since the earphone-side wiring stripe 37' includes more wiring for remote control of the acoustic device.

도 4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30)에 와이어링 필름(31)이 부착된 상태의 수직단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와이어링 필름(31)내부의 배선용 스트라이프(37)가절연상태로 다수개 배열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4 illustrates a vertical cross-sectional structure in which a wiring film 31 is attached to the spiral spring 30, and a plurality of wiring stripes 37 inside the wiring film 31 are arranged in an insulated state. Is show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하우징(10)내에 장착되는 회로기판(20)상에 스파이럴 스프링(30)을 긴장 압축시켜 장착한 후 본 고안의 코드감이 장치를 조립한 다음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된 스토퍼(15)를 조작하여 코드 로킹을 해제시켜주게 되면, 스파이럴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어 있던 코드(32)가 말려들어가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이어폰에 연결된 코드(32)는 폰(33)의 바로 앞까지 스프링에 감겨져 하우징(10)내부에 저장되게 된다.First, the spiral spring 30 is tension-compressed and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0 mounted in the housing 10, and then the cord sen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nd then the stopper 15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is manipulated. When the cord locking is released, the cord 32 drawn out to the outsid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iral spring 30 is rolled up and wou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iral spring. Accordingly, the cord 32 connected to the earphone is wound around the spring to the front of the phone 33 and stored in the housing 10.

마찬가지로, 하우징(10)내에 장착되는 회로기판(20)상에 스파이럴 스프링(30')을 긴장 압축시켜 장착한 후 하우징 커버(13)를 조립한 다음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된 스토퍼(15)를 조작하여 코드 로킹을 해제시켜주게 되면, 스파이럴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외부로 인출되어 있던 잭측의 코드(32')가 말려들어가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잭으로 연결되는 코드(32')는 잭(33)의 바로 앞까지 스프링에 감겨져 하우징(10)내부에 저장되게 된다.Similarly, the spiral spring 30 'is tension-compressed and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0 mounted in the housing 10, the housing cover 13 is assembled, and then the stopper 15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is manipulated. When the cord locking is released, the cord 32 'on the jack side which has been drawn out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iral spring 30' is rolled up and wou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iral spring. Accordingly, the cord 32 'connected to the jack is wound around the spring to the front of the jack 33 and stored in the housing 10.

이와 같이 코드가 코드감이용 하우징(10)의 내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폰(33)또는 잭(34)을 잡아 당기게 되면 폰측 코드(32) 또는 잭측 코드(32')는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력을 이기고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스파이럴 스프링은 복원력을 보유하게 된다.When the cord is pulled out of the phone 33 or the jack 34 while the cord is stored inside the cording housing 10 as described above, the phone side cord 32 or the jack side cord 32 'overcomes the elasticity of the spiral spring and Withdrawn. At this time, the spiral spring has a restoring force.

이어폰의 코드를 적정 길이로 인출한 다음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코드 스토퍼(15)는 자동 로킹조건이 되어 이어폰 코드를 인출된 상태 그대로 유지한다.When the cord of the earphone is drawn out to an appropriate length and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cord stopper 15 becomes an automatic locking condition and maintains the earphone cord as it is.

이때, 폰측과 잭측 사이의 전기적 신호접속을 위한 배선은 와이어링 필름(31,31')상에 각각 마련된 배선용 스트라이프(37,37')과 회로기판(20)상의 배선패턴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case, the wiring for the electrical signal connection between the phone side and the jack side is made through the wiring strips 37 and 37 'provided on the wiring films 31 and 31' and the wiring patterns on the circuit board 20, respectively.

한편, 이어폰 코드를 하우징에서 길게 인출하여 사용한 후 보관하고자 하는경우에는 스토퍼(15)를 조작하여 로킹상태를 해제시켜주면 된다. 이때에는 압축된스파이럴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이어폰코드가 하우징 내부로 말려들어가게 저장되게된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keep the earphone cord pulled out of the housing after using it to operate the stopper 15 to release the locked state. At this time, the earphone cord is stored to be rolled into the housing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spiral spring.

상기 스토퍼에 의한 코드의 로킹 및 해제 구조는 일상적인 것으로 통상 자동줄자에 적용된 여러 로킹 및 해제 구조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주지된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에서는 그의 기재를 생략하고자 한다.The locking and releasing structure of the code by the stopper is a normal one, and any one of various locking and releasing structures applied to an automatic tape measure may be used. Since such a technique is well known, it is not described here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핸드폰이나 휴대용 오디오 플래이어에사용되는 이어폰의 코드를 필요에 따라 감고 풀어서 사용할 수 있어 이어폰 코드의꼬임이나 엉킴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관이 편리하게 되는 특유의 효과를 가져온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winding and unwinding the earphone cord used in a mobile phone or a portable audio player as necessary to prevent damage caused by twisting or tangling of the earphone cord, and the unique effect of convenient storage. Bring it.

Claims (2)

코드스톱퍼(15)가 양측면에 장착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폰측과 잭측의 배선을 회로패턴으로 접속하는 회로기판(20)과, 일단은 고정축으로서 상기 회로기판 상에 고정되고 타단은 오픈되는 코드감이용 스파이럴 스프링(30,30')과,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의 표면을 따라 부착되며 스파이럴 스프링의 고정단측에는 회로결선용 다수의 배선핀(35,35')이 마련되고 스파이럴 스프링의 오픈단측에는 컨넥터(38,38')가 마련되는 다수의 배선용 스트라이프(37,37')를 가지는 와이어링 필름(31,31')과, 상기 컨넥터(38,38')에 각각 접속되어 배선용 스트라이프와 회로기판 상의 패턴을 통해 상호 접속되는 폰측 및 잭측 이어폰 코드(32,32')와, 하우징 커버(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감이가 부착된 이어폰 장치.A housing 10 having cord stoppers 15 mounted on both sides thereof, a circuit board 20 disposed in the housing for connecting the phone side and the jack side wirings in a circuit pattern, and one end of which is fixed on the circuit board as a fixed shaft; And the other end is open spiral springs (30, 30 ') for the sense, and is attached along the surface of the spiral spring, a plurality of wiring pins (35, 35') for circuit connection is provided on the fixed end side of the spiral spring and spiral On the open end side of the springs are connected to the wiring films 31 and 31 'having a plurality of wiring stripes 37 and 37' provided with connectors 38 and 38 ', and to the connectors 38 and 38', respectively. Earphone device with cord sen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hone-side and jack-side earphone cord (32,32 ') and a housing cover (13) interconnected via a wiring stripe and a pattern on a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20) 상에 원격제어용 기능키(22)를 갖는 기능키 베이스(21)를 장착하고, 상기 기능키(22)는 하우징 커버(13)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감이가 부착된 이어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unction key base (21) having a function key (22) for remote control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0), and the function key (22) protrudes out through the housing cover (13). Earphone device with a cord sens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KR2019990014156U 1999-07-07 1999-07-16 A earphone device having a cord-retainer KR20016418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156U KR200164183Y1 (en) 1999-07-07 1999-07-16 A earphone device having a cord-re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027222 1999-07-07
KR2019990014156U KR200164183Y1 (en) 1999-07-07 1999-07-16 A earphone device having a cord-retai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222A Division KR100322997B1 (en) 1999-07-07 1999-07-07 A earphone device having a cord-re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183Y1 true KR200164183Y1 (en) 2000-02-15

Family

ID=26628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156U KR200164183Y1 (en) 1999-07-07 1999-07-16 A earphone device having a cord-re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18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6080B1 (en) Retractable cord device
US20020040945A1 (en) Retractable cable assembly
US7151912B1 (en) Cable retra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US5629826A (en) Retractable cord surge protector
KR101752771B1 (en) Automatic winding earphone wire
EP1451089A1 (en) Retractable cable assemblies and devices including the same
GB2322618A (en) Reeling device
KR20050004652A (en) Mobile phone with earphone winding apparatus therein
US20110003503A1 (en) Power supply wire receiving structure
KR200164183Y1 (en) A earphone device having a cord-retainer
US5655726A (en) Uni-directional cord take-up device
KR100322997B1 (en) A earphone device having a cord-retainer
KR101147853B1 (en) Apparatus for winding earphone code and string
US20090294308A1 (en) Protec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376631Y1 (en) Roll shaped device which a cable can be automatically wound around or drawn from
KR200221512Y1 (en) An automatic earphone case
US6682008B2 (en) Cable storage box
KR200262893Y1 (en) Earphone Cable and Plug Jack Case
KR20100033504A (en) Apparatus for cable winder of electric wire
KR200181930Y1 (en) Reel-type hand-free earphone set for use with portable phone
KR200200154Y1 (en) A necklace with earphones
KR200185633Y1 (en) Earphone/microphone for a mobile phone or cassete player
KR200185631Y1 (en) Apparatus for prevent earphone wire from entanglement
KR200355142Y1 (en) Stereo Earphone Storage Case
KR200237506Y1 (en) An ear phone assembly of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