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771Y1 - 자막재표시기능을갖는자막디코더 - Google Patents

자막재표시기능을갖는자막디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771Y1
KR200163771Y1 KR2019990013623U KR19990013623U KR200163771Y1 KR 200163771 Y1 KR200163771 Y1 KR 200163771Y1 KR 2019990013623 U KR2019990013623 U KR 2019990013623U KR 19990013623 U KR19990013623 U KR 19990013623U KR 200163771 Y1 KR200163771 Y1 KR 200163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title
caption
signal
data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빅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빅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빅셀
Priority to KR2019990013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7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7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되는 자막 디코더(closed c아파트ion decoder)는 자막 정보가 포함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자막 정보를 분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자막 표시를 위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OSD) 신호를 발생하여 비디오 신호에 혼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수신된 자막 정보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현재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전의 자막을 화면상에 다시 재표시(re-display) 시킬 수 있다. 화면상에 표시되는 자막의 행수는 여러 행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자막이 표시되는 화면상의 위치 또한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자막 디코더는 개인용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데이터 처리 장치의 저장 장치에 자막 정보를 저장하거나 프린터를 통해 자막 정보를 프린트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막 재표시 기능을 갖는 자막 디코더{CLOSED C아파트ION DECODER HAVING CLOSED C아파트ION RE-DISPLAY FUNCTION}
본 고안은 자막(closed c아파트ion) 정보가 포함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자막 정보를 분리해 낸 후 다시 비디오 신호(video signal)에 자막 이미지 신호를 혼합함으로 화면상에 자막이 표시되도록 한 자막 재표시 기능을 갖는 자막 디코더(closed c아파트ion decoder)에 관한 것이다.
자막 디코더는 자막정보가 포함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자막 정보를 분리하고, 다시 자막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되는 문자 이미지 신호를 비디오 신호에 혼합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자막이 표시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막 디코더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장치로서 제공되고 있으며 청각 장애자나 어학 학습자 등에 의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자막 방송은 대부분 2 또는 3행의 문자열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각에 의해 문자 언어를 인식하는 속도는 청각에 의해 음성 언어를 인지하는 속도보다 느리다. 그러므로, 자막 방송에서 시청자가 자막을 모두 읽기도 전에 다음 자막이 표시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게다가, 한번 지나간 자막은 다시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시청자가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을 놓친 경우에는 다시 반복해서 볼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자막 방송에서 자막이 표시되는 부분은 화면 하단의 일정 영역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또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즉, 영상 자체에 포함된 문자 정보는 대부분의 방송에서 화면의 하단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자막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는 영상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이미지와 자막정보가 겹쳐져서 시청이 곤란한 경우마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자막 방송은 청각 장애자나 외국어 학습자 등에게 많은 유용함을 제공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자막 방송의 시청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만약, 자막이 여러 행으로 표시될 수 있다면 시청자는 자신의 읽는 속도에 적합하게 자막 행수를 조정함으로서 자막 방송을 보다 효과적으로 시청할 수 있을 것이다. 한번 지나간 자막을 다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면 읽지 못한 중요한 자막을 반복해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화면상의 원하는 위치에 자막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면 시청자는 보다 효과적으로 자막 방송을 시청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자막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출력하여 저장, 편집 및 프린트 할 수 있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자막 방송을 시청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단순한 자막 표시뿐 아니라 보다 효과적으로 자막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여러 기능을 갖는 자막 디코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자막을 여러 행으로 화면상의 원하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는 자막 디코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나간 자막을 다시 화면에 재 표시할 수 있고, 자막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출력하여 저장, 편집 및 프린트 할 수 있는 자막 디코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막 디코더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막 디코더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자막 디코더를 튜너, 텔레비전 및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한 것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3의 튜너와 자막 디코더 및 텔레비전이 상호 연결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막 디코더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막디코더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자막 디코더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자막 디코더 110: 발광다이오드
120: 기능 버튼 스위치 125: 전원 버튼 스위치
130: 전원 입력 단자 140: 비디오 신호 입력 단자
145: 비디오 신호 출력 단자 150: 시리얼 커넥터
200: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 210: 원격 제어기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특징에 의하면, 자막 디코더는 자막 행수 증감, 자막 표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 스위치들과; 자막 데이터가 포함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추출하는 자막 분리 수단과;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 신호 분리 수단과; 상기 추출된 자막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자막 분리 수단으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받아들여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버튼 스위치의 스위치 입력에 응답하여 자막 행수 증감, 자막 표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조절된 행수에 해당되는 자막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독출하고, 조절된 화면 위치로 자막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자막 이미지 신호를 발생하는 자막 이미지 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비디오 신호와 상기 자막 이미지 신호를 혼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믹서회로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자막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 보다 소정 시간 앞서는 시간 동안의 자막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 수단에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데이터 처리 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외부 데이터 처리 장치로 상기 자막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버튼 스위치들이 설치되고, 상기 버튼 스위치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되는 무선의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원격 제어 수단과; 상기 원격 제어 수단과 무선으로 접속되어 무선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공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자막 디코더는 현재 표시되는 자막에 앞서 표시된 자막을 화면상에 재표시 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스위치와; 자막 데이터가 포함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추출하는 자막 분리 수단과;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 신호 분리 수단과; 상기 추출된 자막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자막 분리 수단으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받아들여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자막 분리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자막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버튼 스위치 입력에 응답하여 현재 화면상에 표시되는 자막보다 앞서 표시되었던 자막을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자막 이미지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현재 화면상에 표시되는 자막보다 앞서 표시되었던 자막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자막 이미지 신호를 발생하는 자막 이미지 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비디오 신호와 상기 자막 이미지 신호를 혼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믹서회로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데이터 처리 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외부 데이터 처리 장치로 상기 자막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스위치들이 설치되고, 상기 버튼 스위치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되는 무선의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원격 제어 수단과; 상기 원격 제어 수단과 무선으로 접속되어 무선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공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막디코더는 1)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막의 행수 및 위치를 조절하고, 2)시청중에 일정 분량의 자막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경우 앞서 표시된 자막을 화면에 재표시하고, 3)외부 장치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자막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전송된 자막정보는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화일로 저장, 편집 및 프린팅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막 디코더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막 디코더(100)는 전면에 3개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칭함)(110)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는 3개의 기능 버튼 스위치들(120)과 전원 버튼 스위치(125)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3개의 LED(110)는 전원 온/오프 상태, 영문 모드 상태, 국문 모드 상태를 각각 표시하고, 3개의 기능 버튼 스위치(120)는 하나의 모드 설정 버튼과 두 개의 업/다운 버튼 스위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모드 버튼 스위치는 영문 모드, 국문 모드, 자막 꺼짐, 다시 보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업/다운 버튼 스위치는 다시 보기 기능에서 자막의 상하 스크롤(up/down scroll), 자막 표시 위치의 상하 이동, 자막 행수의 증감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시청자는 이러한 기능 버튼 스위치들(120)을 사용하여 자막 디코더의 지나간 자막정보를 볼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의 자막 디코더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막 디코더(100)의 후면에는 전원 입력 단자(130), 비디오 신호 입력 단자(140), 비디오 신호 출력 단자(145)가 구비된다. 그리고 자막 데이터를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데이터 처리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시리얼커넥터(150)가 구비된다.
자막 정보가 포함된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신호 입력 단자(140)를 통해 입력되며, 자막 디코더(100)에 의해 자막 처리가 되어 비디오 신호 출력 단자(145)로는 자막 이미지가 포함된 비디오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시리얼커넥터(150)로 실시간으로 자막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시리얼통신을 사용하였으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여러 형태의 직렬/병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는 도 1의 자막 디코더를 튜너, 텔레비전 및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테나(210)에 연결된 튜너(200)는 자막 디코더(100)와 텔레비전(300)에 각각 유선 케이블로 연결되며, 안테나(210)를 통해 공중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채널의 비디오 신호를 자막 디코더(100)로 입력하고 오디오 신호는 텔레비전(300)으로 입력한다. 튜너(200)는 일반적인 비디오 테이프 리코더(Video Tape Recorder)를 사용할 수 있다. 자막 디코더(100)는 텔레비전(300)과 유선 케이블로 연결되고 개인용 컴퓨터(400)와는 시리얼 커넥터 케이블로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4에는 도 3의 튜너와 자막 디코더 및 텔레비전의 상호 연결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비디오 테이프 리코더(200)의 안테나 연결 단자는 외부 안테나(210)와 연결되고, 비디오 신호 출력 단자는 자막 디코더(100)의 비디오 신호 입력 단자와 연결되며, 오디오 신호 출력 단자는 텔레비전(300)의 오디오 신호 입력 단자와 연결된다. 그리고 자막 디코더(100)의 비디오 신호 출력 단자는 텔레비전(300)의 비디오 신호 입력 단자와 연결된다.
자막 디코더(100)에 의해 자막 처리된 비디오 신호는 텔레비전(300)으로 입력되고, 자막 데이터는 개인용 컴퓨터(400)로 입력된다. 이때, 개인용 컴퓨터(400)에서는 시리얼 통신 포트를 통해 자막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터미널 에뮬레이터(terminal emulator)가 구동 중이여야 한다. 터미널 에뮬레이터에 의해 수신된 자막 데이터는 텍스트 파일(text file)로 저장할 수 있으며, 편집, 수정 및 프린터(450)에 의한 프린팅을 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막 디코더의 세부적인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자막 디코더(100)는 다수개의 LED(100), 다수개의 버튼 스위치(120), 자막 분리기(closed c아파트ion separator)(130),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140), 동기 신호 분리기(synchronous signal separator)(150), OSD 제어부(On Screen Display Controller)(160), 롬(Read Only Memory)(170), 램(Random Access Memory)(175), 믹서(Mixer)(180) 및, 인터페이스(Interface)(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LED(100) 및 버튼 스위치(120)는 각각 마이크로프로세서(140)에 접속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140)는 버튼 스위치(120)의 입력을 받아들여 소정의 연산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하고, 이 제어신호에 따라 LED(100)는 자막디코더의 현재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자막 분리기(130)는 비디오 신호를 받아들이고 이로부터 자막 정보를 분리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140)로 입력한다. 이 실시예에서 자막 분리기(130)는 필립스(Philips)사의 자막 디코더 칩(closed c아파트ion decoder chip) SAA5252를 사용하였다.
롬(170)에는 자막으로 표시될 영문, 국문, 특수 문자등의 다양한 문자 폰트(character font)가 저장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40)는 자막 검출기(130)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에 해당되는 문자 폰트를 롬(170)으로부터 독출(Readout)하여 램(175)에 저장한다. 그리고 OSD 제어부(160)로 자막 표시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인터페이스(190)를 통해 외부 데이터 처리 장치로 자막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40)는 인텔(Intel)사의 89C51을 사용하였다.
램(175)에는 약 15분 가량의 자막 정보가 저장되며,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15분 가량의 자막 정보가 유지된다. 그러므로 시청자는 다시 보기 기능을 이용하여 이전 자막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동기 신호 분리기(150)는 비디오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40) 및 OSD 제어부(160)로 각각 제공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40) 및 OSD 제어부(160)는 각각의 자막 표시를 위한 각각의 제어 동작에서 상기 동기 신호를 사용한다. 즉, 수직/수평 동기 신호(vertical/horizontal synchronous signal)를 이용하여 자막이 표시될 위치에 자막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OSD 제어부(16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램(175)에 저장된 문자 폰트를 독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자막 이미지 신호(closed c아파트ion image)를 발생하여 믹서(180)로 출력한다. 믹서(180)는 비디오 신호에 OSD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자막 이미지 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한다. 이 실시예에서 OSD 제어부(160)는 실링스(Xilinx)사의 XC95108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자막 디코더(100)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에서 자막 정보를 분리하여 해당되는 자막 이미지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비디오 신호에 혼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시청자는 버튼 스위치(120)를 사용하여 자막의 행수, 표시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전 자막을 다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 장치를 자막 디코더(100)에 접속시켜 자막 데이터를 제공받아 데이터 처리 장치 내에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여 수정, 편집 및 프린트할 수 있음으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자막디코더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는 이것은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실시예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원격제어 기능이 내장시킨 자막디코더이고, 설명의 명료함을 위하여 제 1 실시예와 중복되거나, 설명된 내용은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원격 제어 기능을 갖는 자막 디코더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자막 디코더(100a)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200)와 무선으로 접속되는 원격 제어기(210)를 구비한다. 원격 제어기(210)에는 전원 버튼 스위치 및 복수개의 기능 버튼 스위치들을 구비하여, 각 버튼 스위치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되는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무선 신호로는 적외선 신호, 라디오 신호등의 다양한 무선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시청자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자막 행수 조절, 자막 위치 조절 및 자막 다시 보기 기능을 원격 제어기(210)를 사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 6의 자막 디코더의 세부적인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도 5에 도시된 회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2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40)에 접속되고, 원격 제어기(210)와 무선으로 접속된다.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수신부(200)는 원격 제어기(210)로부터 무선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40)로 제공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원격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기능, 예를 들어 자막의 행수 조절, 자막의 화면 위치 조절 및 자막 다시 보기 기능들을 제어한다.
한편, 자막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 장치로 제공하는 경우 보다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자동 번역 시스템을 탑재하여 현재 입력되는 자막 데이터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고, 번역된 자막 데이터를 다시 자막 디코더(100)로 제공하여 번역된 자막이 화면에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즉, 영문 자막 방송의 경우 영문 자막을 국문으로 번역하여 국문 자막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실시예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자막 방송의 시청시 자막의 행수를 시청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자막이 표시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시간 동안의 자막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유지되므로 지나간 자막을 다시 볼 수 있다. 더욱이, 외부의 데이터 처리 장치로 자막 데이터가 출력되므로 자막 데이터를 저장, 편집 및 출력할 수 있다.

Claims (7)

  1. 자막 행수 증감, 자막 표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 스위치들과;
    자막 데이터가 포함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추출하는 자막 분리 수단과;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 신호 분리 수단과;
    상기 추출된 자막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자막 분리 수단으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받아들여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버튼 스위치의 스위치 입력에 응답하여 자막 행수 증감, 자막 표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조절된 행수에 해당되는 자막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독출하고, 조절된 화면 위치로 자막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자막 이미지 신호를 발생하는 자막 이미지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비디오 신호와 상기 자막 이미지 신호를 혼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믹서회로
    를 포함하는 자막 디코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데이터 처리 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외부 데이터 처리 장치로 상기 자막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디코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버튼 스위치들이 설치되고, 상기 버튼 스위치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되는 무선의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원격 제어 수단과;
    상기 원격 제어 수단과 무선으로 접속되어 무선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공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디코더.
  4. 현재 표시되는 자막에 앞서 표시된 자막을 화면상에 재표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 스위치와;
    자막 데이터가 포함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추출하는 자막 분리 수단과;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 신호 분리 수단과;
    상기 추출된 자막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자막 분리 수단으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받아들여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자막 분리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자막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버튼 스위치 입력에 응답하여 현재 화면상에 표시되는 자막보다 앞서 표시되었던 자막을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한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자막 이미지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2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현재 화면상에 표시되는 자막보다 앞서 표시되었던 자막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동기신호에 동기하여 자막 이미지 신호를 발생하는 자막 이미지 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비디오 신호와 상기 자막 이미지 신호를 혼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믹서회로
    를 포함하는 자막 디코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자막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 보다 소정 시간 앞서는 시간 동안의 자막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 수단에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디코더.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외부 데이터 처리 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상기 외부 데이터 처리 장치로 상기 자막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디코더.
  7. 제 4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스위치들이 설치되고, 상기 버튼 스위치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되는 무선의 원격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원격 제어 수단과;
    상기 원격 제어 수단과 무선으로 접속되어 무선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제공하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디코더.
KR2019990013623U 1999-07-12 1999-07-12 자막재표시기능을갖는자막디코더 KR200163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623U KR200163771Y1 (ko) 1999-07-12 1999-07-12 자막재표시기능을갖는자막디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623U KR200163771Y1 (ko) 1999-07-12 1999-07-12 자막재표시기능을갖는자막디코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771Y1 true KR200163771Y1 (ko) 2000-02-15

Family

ID=1958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623U KR200163771Y1 (ko) 1999-07-12 1999-07-12 자막재표시기능을갖는자막디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7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6201B1 (en) XDS enhancement system
KR100539520B1 (ko) 디지털 티브이(Digital TV)의 캡션 표시장치
EP2334063A1 (en) Picture output device and picture output method
US20070236613A1 (en) TV remote with image capability
EP1215897A2 (en) Display control for a monitor
KR20000036279A (ko) 자막 재표시 기능을 갖는 자막 디코더
KR200163771Y1 (ko) 자막재표시기능을갖는자막디코더
KR20010001725A (ko) 자막 그래픽 신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US20040148641A1 (en) Television systems
KR100242114B1 (ko) Osd기능을 이용한 자막방송 디지털 tv 수신 장치및 방법
KR100292358B1 (ko) 자막 신호의 제한적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JP2000115664A (ja) 情報表示システム
JPH06217199A (ja) キャプションデコーダ装置
KR100677749B1 (ko) Pip 표시 제어시스템
KR100499456B1 (ko) 캡션데이터처리장치
KR100296286B1 (ko) 한글자막방송의자막에러처리장치및방법
EP2996330A1 (en) Video player and video system
KR0181894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의 부가정보 전송방법 및 아이콘 표시방법
KR20000036293A (ko) 실시간 전자 사전을 갖는 자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56441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237243B1 (ko) 모드기억형 캡션영상장치
KR10061822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323680B1 (ko) 티브이의 문자표시장치 및 방법
KR100200131B1 (ko) 텔레비전의 osd일체화장치
KR100206115B1 (ko) 시청자 선택형 부가정보 화면 표시 일시정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00623

Effective date: 200110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