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284Y1 - 모자의봉제구조 - Google Patents

모자의봉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284Y1
KR200163284Y1 KR2019990012869U KR19990012869U KR200163284Y1 KR 200163284 Y1 KR200163284 Y1 KR 200163284Y1 KR 2019990012869 U KR2019990012869 U KR 2019990012869U KR 19990012869 U KR19990012869 U KR 19990012869U KR 200163284 Y1 KR200163284 Y1 KR 2001632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hat
fabric
lining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계련
Original Assignee
강계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계련 filed Critical 강계련
Priority to KR2019990012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2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2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2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자의 봉제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머리수용부의 표면으로 봉제선이 노출되지 않도록하여 모자자체에 미려함이 부여되도록함과 동시에 자체 상품성이 극대화되도록함에 있으며, 또 다르게는 머리수용부의 내측면이 표면과 동일한 형태로 마감처리되도록하여 별도의 내피구성을 배제시키므로서 제작공정의 간소화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함과 동시에 제조원가또한 절감할 수 있는 모자의 봉제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모자챙과 다수개 천조각을 재봉하므로서 구성되는 머리수용부로 이루어지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머리수용부를 형성하는 원단으로 겉감과 안감이 일체로 결합된 이중직물지를 적용하되, 주 천조각의 봉제부로 겉감과 안감을 분리하므로서 형성되는 연결천수용홈을 구성시킨 상태에서, 연결천과 안감의 재봉부를 형성한 후, 이 재봉부를 상기 연결천수용홈에 수용시킨 상태로 겉감과의 재봉이 이루어지도록하여 주 천조각과 연결천의 결합부위로 봉제선이 노출되지않토록 한 모자의 봉제구조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모자의 봉제구조{TAILORING STRUCTURE OF A CAP}
본 고안은 모자의 봉제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자의 구성원단으로 이중직물지가 적용되며, 각 봉제부의 봉제결합이 이중직물지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도록하여 외부로 봉제선이 노출되지 않토록함과 동시에 내피의 구성을 배제시키므로서 외관상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음은 물론 제작공정 및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는 모자의 봉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帽子)라 함은 예의를 차리거나 또는 추위, 더위 또는 먼지를 막거나 그 밖의 필요에 따라 머리에 쓰도록 만든 쓰개로서 일생생활에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인바, 근래에 들어 산업발전에 힘입어 점차적으로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각자 개인의 일생생활에 관심을 갖게 되어 취미생활 또는 나들이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추세에 있는며, 이에 발맞쳐 다양한 종류의 모자가 개발되어 유통되어지고 있다.
한편, 이와같은 모자는 대개가 직물지를 그 구성재질로하여 봉제작업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며, 머리수용부의 전방부 또는 외둘레로 모자챙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인데, 이와같은 머리수용부는 구형상을 취하는 사람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돔형태를 취함에 따라 재단된 천조각을 재봉하므로서 구성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제까지 사용되었던 종래 모자는 박음질에 의한 직물의 봉제작업시점선형태로서 형성되는 봉제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었는데, 이와같은 봉제선은 모자의 전체적인 형상과는 별개로서 필수불가결적으로 생성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모자의 심미감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었으며, 특히 고급원단(순모 등)을 사용하는 모자(예:헌팅캡)의 제작시에는 모자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격하시키게 되므로 모자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결과가 초래되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 모자는 전술한 바와같이 봉제작업시 머리수용부의 외관을 위주로하여 그 봉제작업이 행하여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머리수용부의 내측면은 마감처리를 소홀히하게 되는데, 이렇게 부자연스럽게 마감처리되는 머리수용부의 내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내피를 결합하게 되었는바, 이와같은 이유로서 모자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내피는 모자의 제작공정수를 증가시켜 생산성을 절감시킬뿐만아니라 별도의 내피재를 사용함에 따른 원료비의 상승등의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모자의 봉제구조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머리수용부의 표면으로 봉제선이 노출되지 않도록하여 모자자체에 미려함이 부여되도록함과 동시에 자체 상품성이 극대화되도록함에 있으며, 또 다르게는 머리수용부의 내측면이 표면과 동일한 형태로 마감처리되도록하여 별도의 내피구성을 배제시키므로서 제작공정의 간소화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함과 동시에 제조원가또한 절감할 수 있는 모자의 봉제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모자챙과 다수개 천조각을 재봉하므로서 구성되는 머리수용부로 이루어지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머리수용부를 형성하는 원단으로 겉감과 안감이 일체로 결합된 이중직물지를 적용하되, 주 천조각의 봉제부로 겉감과 안감을 분리하므로서 형성되는 연결천수용홈을 구성시킨 상태에서, 연결천과 안감의 재봉부를 형성한 후, 이 재봉부를 상기 연결천수용홈에 수용시킨 상태로 겉감과의 재봉이 이루어지도록하여 주 천조각과 연결천의 결합부위로 봉제선이 노출되지않토록 한 모자의 봉제구조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자에 있어, 봉제부의 부분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내측면을 보인 저면도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자(헌팅캡) 2 : 머리수용부 3 : 모자챙
4 : 재봉부 5,5' : 봉제결합부 21 : 주 조각천
22 : 연결천 23 : 봉제부 24 : 테두리결합부재
231 : 안감 232 : 겉감 H : 연결천수용홈
S,S' :표면,내측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자에 있어, 봉제부의 부분 결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내측면을 보인 저면도로서 그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모자(1)의 형태에 따라 재단된 이중직물지를 일체된 형태로 재봉하여 머리수용부(2)가 구성되고, 이 머리수용부(2)의 전방부로 모자챙(3)을 재봉결합시키므로서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봉제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통상의 헌팅캡을 대표적인 실시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헌팅캡은 유럽 등지에서는 사냥을 하때 주로 사용되는 것이었으나, 근래에는 일상생활에서 범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머리수용부(2)의 전방으로 모자챙(3)이 구성되는 것인데,
이때, 상기 머리수용부(2)는 사람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돔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머리수용부(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원단을 머리수용부(2)의 형상에 맞게 재단해야하는데, 본 고안에 따른 봉제구조에 적용되는 원단은 동일한 천을 맞대는 형식을 일체화시켜 안감과 겉감이 구성되도록 한 통상의 이중직물지가 적용되며, 이러한 이중직물지 원단은 주 천조각(21)과 연결천(22)으로 재단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같이 재단된 주 천조각(21)과 연결천(22)은 재봉작업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인데, 이와같은 재봉작업은 주 조각천(21)의 일측과 타측으로 연결천(22)을 재봉연결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같이 우선 주 조각천(21)의 일측과 타측으로 구성되는 각 봉제부(23)의 안감(231)과 겉감(232)을 분리하여 연결천수용홈(H)을 형성시키고, 이 주 조각천(21)과 연결되는 연결천(22)의 결합부위로는 통상의 제재작업을 행한 상태에서, 재봉기를 이용한 재봉작업을 통해 상기 안감(231)과 연결천(22)이 맞닿는 형태로서 재봉부(4)를 형성한 후, 이 재봉부(4)를 수용홈(H)에 수용시킨 상태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용홈(H) 내부에서 겉감(232)과의 재봉작업을 행하므로서 주 조각천(21)과 연결천(22)의 재봉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렇게 주 조각천(21)과 연결천(22)의 결합을 마친 후에는 내측 테두리부위로 통상의 모자와 같이 테두리결합부재(24)를 재봉하므로서 머리수용부(2)가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자챙(3)은 전술한 헌팅캡의 전방부측 연결천(22)으로 결합되는 것인데, 이와같은 모자챙은 단추형상을 취하는 후크를 이용하여 이중구조로서 형성하거나, 필요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천(22)과 일체로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봉제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천(22)과 주 조각천(21)의 재봉부(4)로 형성되는 봉제선이 연결천수용홈(H)의 내부로 수용됨에 따라 머리수용부(2)의 표면(S)에 봉제선이 노출되지 않고, 그 봉제결합부(5)가 직선형태를 취함에 따라 외관상 미려함을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며, 특히 머리수용부(2)의 내측면(S')의 봉제결합부(5')또한 표면(S)과 같은형태 즉, 봉제선이 노출되지 않는 형태를 취함에 따라 별도로 내피를 결합시키는 마감처리공정을 배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위와같이 이중직물지를 이용하여 봉제선이 형성되는 부위를 연결천수용홈에 내장시킨 본 고안에 따른 봉제구조는 실시예로서 설명한 헌팅캡뿐만아니라 그 밖의 모자에도 적용하여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자의 봉제구조는 이중직물지의 적용함에 따라 형성되는 연결천수용홈으로 주 조각천과 연결천의 결합부위, 즉 봉제선이 형성되는 부위를 수용시키므로서 머리수용부의 표면으로 봉제선이 노출되지 않아 모자자체에 미려함이 배가함은 물론 이에따라 자체 상품성을 극대화한 효과를 갖는 것이며, 특히 머리수용부의 내측면이 표면과 동일한 형태로 마감처리되므로 별도의 내피구성을 배제시킬 수 있어, 제작공정의 간소화로 모자의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내피재를 사용하지않음에 따른 제조원가의 절감효과를 갖는 것으로, 생산자 및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고안이 것이다.

Claims (1)

  1. 모자챙(3)과 다수개 천조각을 재봉하므로서 구성되는 머리수용부(2)로 이루어지는 모자(1)에 있어서,
    상기 머리수용부(2)를 형성하는 원단으로 겉감(232)과 안감(231)이 일체로 결합된 이중직물지를 적용하되, 주 천조각(21)의 봉제부(23)로 겉감(232)과 안감(231)을 분리하므로서 형성되는 연결천수용홈(H)을 구성시킨 상태에서, 연결천(22)과 안감(231)의 재봉부(4)를 형성한 후, 이 재봉부(4)를 상기 연결천수용홈(H)에 수용시킨 상태로 겉감(232)과의 재봉이 이루어지도록하여 주 천조각(21)과 연결천(22)
    의 결합부위로 봉제선이 노출되지않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자의 봉제구조
KR2019990012869U 1999-07-02 1999-07-02 모자의봉제구조 KR2001632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869U KR200163284Y1 (ko) 1999-07-02 1999-07-02 모자의봉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869U KR200163284Y1 (ko) 1999-07-02 1999-07-02 모자의봉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284Y1 true KR200163284Y1 (ko) 2000-02-15

Family

ID=1957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869U KR200163284Y1 (ko) 1999-07-02 1999-07-02 모자의봉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2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131B1 (ko) 2005-02-23 2006-06-08 주식회사 다다실업 이중구조 크라운을 가진 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131B1 (ko) 2005-02-23 2006-06-08 주식회사 다다실업 이중구조 크라운을 가진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8821A (en) Convertible head apparel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163284Y1 (ko) 모자의봉제구조
KR20210080653A (ko) 개량형 전통 복식 조립체
US6115841A (en) Necktie with attaching outwardly concealed eyeglass wiping device
CN101099606A (zh) 可更换汗带式吸湿排汗帽子
CN102342591A (zh) 一种可加长的羽绒服
CN208639645U (zh) 一种短袖polo衫
KR100879182B1 (ko) 털의 탈부착이 가능한 의류용 후드
CN212088108U (zh) 一种衣领可调的衬衫
KR200442778Y1 (ko) 방수겸용 당의앞치마
KR200180295Y1 (ko) 양면모자
US20050235395A1 (en) Cap having a visor with soft inner edge
CN217851420U (zh) 一种护手防晒polo衫
KR200354309Y1 (ko) 모자용 커버
CN210870014U (zh) 一种轻巧方便佩戴的两用围巾
KR200299552Y1 (ko) 이중천 우산
KR200272718Y1 (ko) 스판덱스 모자
CN214759196U (zh) 一种冒领结合型上衣
CN213604707U (zh) 一种女装发帽
RU2794013C1 (ru) Чалма,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ее применения
CN213486966U (zh) 一种双面双穿的双层面料外套
EP1038455A1 (en) Method for making a motorcyclist helmet and the helmet made thereby
KR200167650Y1 (ko) 투명창이 구비된 다운쟈켓
KR200210271Y1 (ko) 모자
JP3128985U (ja) リバーシブルサンバイザ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