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756Y1 - 천장 판재 고정구 - Google Patents

천장 판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756Y1
KR200162756Y1 KR2019970025957U KR19970025957U KR200162756Y1 KR 200162756 Y1 KR200162756 Y1 KR 200162756Y1 KR 2019970025957 U KR2019970025957 U KR 2019970025957U KR 19970025957 U KR19970025957 U KR 19970025957U KR 200162756 Y1 KR200162756 Y1 KR 200162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eiling plate
plate
slab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605U (ko
Inventor
우민형
Original Assignee
우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민형 filed Critical 우민형
Priority to KR2019970025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756Y1/ko
Publication of KR9700626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6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7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판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천장판재가 고정되는 천장슬래브의 수평 불균형을 보상하여 천장판재의 수평을 유지하며, 천장판재를 고정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간소화하여 천장판재를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천장슬래브(50)에 매설되며 높낮이가 조절되며 하부에 천장판재(60)가 고정되는 판재고정부(3)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천장판재의 수평유지가 용이하고, 천장판재를 천장슬래브에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며, 천장판재의 고정작업이 특별한 기술력을 요하지 않으므로 단순 작업자에 의하여서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어 인건비가 절감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장판재 고정구
본 고안은 천장판재 고정구(A device of a ceiling board fix)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판재가 고정되는 천장슬래브의 수평 불균형을 보상하여 천장판재의 수평을 유지하며, 천장판재를 고정하기 위한 준비작업을 간소화하여 천장판재를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판재는 천장슬래브의 하부에 결합되어 단열 및 방음 역할을 함과 더불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상과 같은 천장판재의 중량은 약 20 Kg 정도이므로 단순한 접착 재를 이용한 하여 천장슬래브에 고정시키지 않고 목재틀 시공공법 또는 경량철골 시공공법에 의하여 견고하게 천장슬래브에 고정시키고 있다.
여기서, 상기 목재틀 시공공법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슬래브(50) 타설시 고정목(21)을 일체로 타설하고, 상기 천장슬래브(50)에 일체로 타설된 고정목(21)에 수평목(22)을 타카핀 또는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 후 상기 수평목(22)에 천장판재(60)를 타카핀 도는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므로 천장판재(60)의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경량철골 시공공법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슬래브(50) 타설시 일체로 타설된 고정목에 나사못 등으로 고정하거나 앙카볼트(31)로 브래킷(32)을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32)에 고정멤버(33)를 결합시킨 후 상기 고정멤버(33) 하부에 천장판재(60)를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므로 천장판재(60)의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목재틀 시공공법과 경량철골 시공공법은 천장슬래브(50)의 수평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 천장판재(60)의 수평유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목재틀 시공공법은 천장슬래브(50)에 매설된 고정목(21)이 천장슬래브(50)의 경화과정에서 발생되는 습도의 변화에 의하여 뒤틀리고 휘어져 고정 설치된 천장판재(60)가 서로 어긋나거나 뒤틀리며, 천장슬래브(50)의 수평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천장판재(60)의 수평유지가 용이하지 못한 한편, 천장판재(60)와 천장슬래브(50) 사이에 수평목(22)의 두께로 인하여 약 40mm 이상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천장의 높이가 낮아져 지하실과 같이 천장의 높이가 낮은 곳에서는 공간 활용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경량철골 시공방법은 천장슬래브(50)에 천공을 하고 여기에 앙카볼트(31)를 박은 후 브래킷(32)과 고정멤버(33)를 고정하여야 하므로 그 시공이 매우 복잡 난해하고, 천장판재(60)와 천장슬래브(50) 사이에 상기 브래킷(32)과 고정멤버(33)의 설치공간으로 인하여 약 50mm 이상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천장의 높이가 낮아져 지하실과 같이 천장의 높이가 낮은 곳에서는 공간 활용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판재가 고정되는 천장슬래브의 수평 불균형을 보상하여 천장판재의 수평을 유지하며, 천장판재의 고정작업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천장슬래브에 매설되는 매설부와 상기 매설부에 높이조절수단을 매개로 결합된 판재고정부로 구성된 것으로, 천장판재의 수평유지와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목재틀 시공에 따른 시공상태 단면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경량 철골 시공에 따른 시공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측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시공상태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매설부 1a: 걸림턱
2 : 높이조절부
2a,2b: 높이조절봉 2d: 걸림턱
3 : 판재고정부 3a: 공구결합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측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시공상태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천장판재(60)를 천장슬래브(5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부(1)와 높이조절부(2) 및 판재고정부(3)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매설부(1)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며 천장슬래브(50) 타설시 상기 천장슬래브(50)에 매설되어 일체로 타설된 것으로, 높이조절부(2)를 통하여 전달되는 약 20Kg 가량의 천장판재(60) 하중에 의하여 천장슬래브(50)에서 이탈되지 않게 상부의 직경에 대비하여 하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되어 하부에는 높이조절부(2)가 나사 결합됨과 더불어 하부로 이탈되지 않게 한 걸림턱(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매설부(1)에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부(2)는 하부에 판재고정부(3)가 결합되어있는 것으로, 천장슬래브(50)와 천장판재(60) 사이의 간격에 따라 나사 체의 높이조절봉(2a,2b)이 다단으로 나사 결합되고 상기 높이조절봉(2a,2b)들의 상단에는 나사 결합된 높이조절봉(2a,2b)들이 하부로 완전히 이탈되지 않게 걸림턱(2d)을 각기 형성하되 재질은 모두 합성수지 재 또는 금속재이나 최하위의 높이조절봉(2b)은 금속 재의 접시머리 나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2)의 최하위 높이조절봉(2b)에 결합되는 판재고정부(3)는 상기 최하위 높이조절봉(2b)을 형성하는 접시머리나사와 억지 끼워 맞춤 결합되고, 하면은 천장판재(60)의 고정이 용이하게 평면으로 이루어져 천장판재(60)의 고정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천장판재(60)를 고정시키는 나사못 또는 타카핀이 일정한 지지력을 가지며 결합되어 있도록 일정한 두께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는 한편, 하부 중앙에는 높낮이 조절시 회동공구가 결합되는 공구결합구(3a) 구비되되 주로 높이조절부(2)의 최하위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봉(2b)의 머리부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설치 및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천장슬래브(50) 타설시 3X6 규격의 천장판재(60)에 8 개가 위치되게 거푸집에 배치를 한 후 철근을 조립하고 여기에 시멘트를 타설하여 상기 본 고안이 천장슬래브(50)와 일체로 매설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일제로 매설되어 있는 천장슬래브(50)의 하부에 수평을 잡기 위한 먹줄을 설치한 후 전동드릴 또는 드라이버와 같은 회동공구를 판재고정부(3)의 중앙에 형성된 공구결합구에 결합하여 판재고정부(3)를 회동시켜 먹줄과 수평을 이룰 때까지 하강시킨다.
이상과 같이 판재고정부(3)가 수평 하게 하강되면 천장판재(60)를 나사못 또는 타카핀으로 상기 판재고정부(3)에 고정하므로 천장판재(60)의 고정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된다.
또한, 천장판재(60)를 천장슬래브(50)에 완전히 밀착시켜 천장공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 고안이 천장슬래브(50)에 매설된 상태로 천장판재(60)를 나사못 또는 타카핀으로 판재고정부(3)에 고정시키므로 천장판재(60)의 고정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천장슬래브의 수평이 불 균일하여도 천장판재의 수평유지가 용이하고, 천장판재를 천장슬래브에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며, 천장판재의 고정작업이 특별한 기술력을 요하지 않으므로 단순 작업자에 의하여서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어 인건비가 절감된다.
특히, 목재틀 시공방법에서 발생하는 습도의 변화에 따른 천장판재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경량철골 시공방법과 같이 천장판재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준비작업이 없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이 단순화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천장판재(60)를 천장슬래브(5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천장슬래브(50)에 매설시 이탈되지 않게 외주면이 구배지게 형성된 매설부(1)를 형성하고, 상기 매설부(1)의 하측에서 높낮이 조절되게 나사 결합되는 높이조절부(2)를 매개로 매설부(1)와 결합되면서 하부에 천장판재(60)가 결합되는 판재고정부(3)를 형성하되 상기 판재고정부(3)의 하부에는 회동공구의 결합을 위한 공구결합구(3a)가 형성된 천장판재 고정구.
KR2019970025957U 1997-09-13 1997-09-13 천장 판재 고정구 KR200162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957U KR200162756Y1 (ko) 1997-09-13 1997-09-13 천장 판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957U KR200162756Y1 (ko) 1997-09-13 1997-09-13 천장 판재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605U KR970062605U (ko) 1997-12-11
KR200162756Y1 true KR200162756Y1 (ko) 1999-12-15

Family

ID=19510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957U KR200162756Y1 (ko) 1997-09-13 1997-09-13 천장 판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7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580B1 (ko) 2018-08-10 2018-11-09 이덕진 천장판 지지용 수평고정장치
KR101917581B1 (ko) * 2018-08-10 2019-01-24 덕대건설 주식회사 천장판 지지용 수평고정장치를 이용한 천장판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528B1 (ko) * 1999-01-26 2001-09-26 김동수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 및 그 물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580B1 (ko) 2018-08-10 2018-11-09 이덕진 천장판 지지용 수평고정장치
KR101917581B1 (ko) * 2018-08-10 2019-01-24 덕대건설 주식회사 천장판 지지용 수평고정장치를 이용한 천장판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605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1371C (en) Wall base structure for light buildings
KR20180092677A (ko) 건축물 외장 마감재 고정구조
KR200162756Y1 (ko) 천장 판재 고정구
KR101990065B1 (ko) 강재 블럭을 이용한 pc 기둥 접합부
KR100795458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90122670A (ko) 브라켓을 이용한 천정틀 시설재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200231221Y1 (ko) 철근 배근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철근 받침대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KR200142434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KR200323015Y1 (ko) 천정패널용 행거와 슬래브 철근 공사를 동시에 수행하는 천정 시공 장치
JP3827907B2 (ja) べた基礎の施工方法
KR200317809Y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KR200234940Y1 (ko) 아파트 천장슬라브시공용 레벨봉
KR200234872Y1 (ko) 철근받침대
CN214615428U (zh) 一种型钢混凝土梁浇筑用吊装模板结构
KR200386937Y1 (ko) 클램프가 장착된 건축용 서포트
KR200354079Y1 (ko)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CN212656248U (zh) 一种沉箱预制板固定架
CN213952278U (zh) 地脚螺栓预埋调节整体控制体系
CN215406596U (zh) 一种在楼板上固定吊杆的装置
JPS6146127Y2 (ko)
CN219993214U (zh) 一种带预紧力的装配式圈梁加固结构
CN212053536U (zh) 一种复合外挂板的底部调平支撑结构
JP3101094U (ja) 自動販売機の杭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