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930Y1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930Y1
KR200159930Y1 KR2019970029480U KR19970029480U KR200159930Y1 KR 200159930 Y1 KR200159930 Y1 KR 200159930Y1 KR 2019970029480 U KR2019970029480 U KR 2019970029480U KR 19970029480 U KR19970029480 U KR 19970029480U KR 200159930 Y1 KR200159930 Y1 KR 2001599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pport rod
coupled
suction body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096U (ko
Inventor
유동훈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70029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930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9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물질이 최초로 흡입되는 흡입체와 손잡이부가 마련된 연결파이프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이물질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손잡이부(31)가 마련된 연결파이프(30)와 흡입체(50)를 신축재로 이루어진 연결호스(40)를 통해 견고하게 연결하며, 흡입체(50)를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다단의 지지봉(60)을 통해 연결파이프(30)와 흡입체(50)를 연장 결합하였다. 따라서 흡입력이 흡입체(50)에 집중되어 공기와 함께 이물질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청소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전력낭비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이 최초로 흡입되는 흡입체와 이물질을 흡입 집진하는 본체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 공기와 함께 먼지 등을 흡입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종래 진공청소기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구동수단과 집진수단을 갖춘 본체(1), 본체(1)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구(5a)와 흡입유로(5b)가 형성된 흡입체(5), 흡입체(5)와 본체(1)를 연결하는 연장관(4)과 연결호스(2)로 크게 구별된다.
본체(1)에는 구동수단으로써 임펠러(미도시)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이의 작동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하고, 내부 일측에 집진수단인 집진봉투(미도시)가 구비되어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하며, 이의 하부에 전 후방 바퀴(1a)가 구성되어 청소기의 움직임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본체(1)와 결합된 연결호스(2)의 일단부는 손잡이부(3a)가 마련된 연결파이프(3)의 일단에 결합되며, 연결파이프(3)의 타단에는 흡입체(5)와 연계된 다단의 연장관(4)이 결합됨으로써, 연장관(4)과 연결호스(2)가 연통되게 결합된다. 미설명부호 3b는 연결파이프에 마련된 조작부이다.
파이프상으로 이루어진 연장관(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일단부에 단차부(4c,4d)가 마련된 제 1연장관(4a)과 제 2연장관(4b)으로 구별된다. 따라서 제 1연장관(4a)의 단차부(4c)가 연결파이프(3)의 타단에 결합되고 제 2연장관(4b)의 단차부는 제 1연장관(4a)의 타단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제 2연장관(4b)의 타단부는 흡입체(5)에 소정각도 회전운동 가능하게 구성된 컨넥터(5c)와 결합된다. 따라서 흡입체(5)는 컨넥터(5c)와 제 1,2연장관(4a,4b) 및 연결파이프(3), 연결호스(2)를 통해 본체(1)와 연통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진공청소기는 사용자가 손잡이부(3a)와 연장관(4)을 잡고 작동시키면 본체(1)에서 구동수단인 모터(미도시)가 작동하여 흡입력이 발생되며, 청소면을 따라 흡입체(5)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흡입체(5)와 연장관(4) 및 연결호스(2)를 통해 상당한 속도록 공기가 본체(1) 내로 흡입됨으로써, 청소면에 존재하는 이물질도 같이 흡입되고 집진봉투(미도시)에 집진되어 청소가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다단으로 구성된 연장관(4)의 결합부위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며, 이로 인해 흡입체(3)에서의 흡입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파이프상의 연장관(4)은 이물질이 흡입되는 유로 기능을 하며 흡입체(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 1연장관(4a)과 제 2연장관(4b)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는데, 제 2연장관(4b)의 단차부(4d)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 1연장관(4a)의 타단부의 결합부위에 미소한 틈새가 발생되며, 공기가 이러한 틈새를 통해서도 본체(1) 내로 흡입된다. 따라서 본체(1)에서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체(5)의 흡입구(5a)에 집중되어야만 공기와 함께 청소면에 존재하는 이물질도 같이 흡입되어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데, 연장관(4)의 결합부위 등에서도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져 흡입체(5)에서의 흡입력이 저하된다. 결국, 청소가 깨끗하게 수행되지 않으며 또한 흡입체(5)를 반복적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전력이 낭비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부가 마련된 연결파이프와 흡입체를 신축재로 이루어진 연결호스를 통해 견고하게 연결하며 흡입체를 이동시킬수 있도록 별도의 다단 지지봉을 연결파이프에 설치함으로써, 본체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흡입체에 집중되도록 하여 청소가 용이하게 수행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진공청소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연장관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봉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본체 20..제 2연결호스 30..연결파이프
31..손잡이부 40..제 1연결호스 50..흡입체
51..흡입구 60..지지봉 61..제 1지지봉
62..제 2지지봉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구와 흡입유로가 형성된 흡입체, 흡입력을 발생하여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이 집진되는 본체, 일단부가 흡입유로와 연통되도록 흡입체에 결합된 신축재로 이루어진 제 1연결호스, 일단부가 본체와 결합된 신축재로 이루어진 제 2연결호스,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 1연결호스의 타단부와 제 2연결호스의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연결파이프, 일단은 연결파이프에 결합되며 타단은 흡입체에 결합되어 흡입체와 연결파이프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파이프와 흡입체의 연결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키며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수단이 마련된 본체(10), 본체(10)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체(50), 흡입체(50)와 본체(10)를 연결하도록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제 1연결호스(40)와 제 2연결호스(20)로 크게 구별된다.
본체(10)에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으로 모터(미도시)와 임펠러(미도시)가 내장되며, 집진수단으로써 집진봉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 바퀴(11)가 마련되어 청소중에 이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12와 13은 플러그와 파워코드이다.
그리고 흡입체(50)에는 이물질이 최초로 흡입되도록 흡입구(51)와 흡입유로(52)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체(50) 후방에는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소정각도 회전운동가능하게 컨넥터(5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지지봉(60)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53은 흡입체(5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롤러이다.
신축재로 이루어진 제 1연결호스(40)의 일단부는 흡입유로(52)와 연통되도록 흡입체(5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제 2연결호스(20)의 일단부는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 1연결호스(40)와 제 2연결호스(20)를 연결하는 연결파이프(30)가 구성되는데, 여기에는 조작부(32)와 손잡이부(31)가 마련되며 하측부에 후술하는 지지봉(60)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연결호스(40)의 타단부가 연결파이프(3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제 2연결호스(20)의 타단부가 연결파이프(30)의 타단부에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제 1,2연결호스(40,20)가 연통된다.
한편, 연결파이프(30)와 흡입체(50) 사이를 지지하도록 일단이 연결파이프(30)에 결합되고 타단이 흡입체(50)에 결합되는 다단의 지지봉(60)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것은 내부가 중공되게 이루어진 제 1지지봉(61)과 제 2지지봉(62)으로 나뉘어진다. 제 1지지봉(61)의 일단은 연결파이프(30)에 형성된 결합돌기(33)에 끼워져 결합된다. 제 2지지봉(62)은 일단에 단차부(62a)가 형성되어 제 1지지봉(61)의 타단에 끼워져 결합되며, 제 2지지봉(62)의 타단은 앞에서 설명한 흡입체(50)의 컨넥터(54) 선단부에 삽입 결합된다. 한편, 제 1지지봉(61)과 제 2지지봉(62)은 그 단부가 모두 연결파이프(30)와 흡입체(50)에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이들의 분해 역시 간편하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파워코드(13)를 잡아 당기고 플러그(12)를 외부전원과 접속된 콘센트(미도시)에 꼽은 상태에서 조작부(32)를 통해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본체(10)에서는 구동수단인 임펠러(미도시)가 회전하여 흡입력을 발생하고, 청소면에 있는 이물질은 공기와 함께 흡입체(50)의 흡입구(51), 흡입유로(52) 및 제 1연결호스(40)와 제 2연결호스(20)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흡입되어 집진수단인 집진봉투(미도시)에 집진된다.
이 때, 사용자는 손잡이부(31)와 지지봉(60)을 잡고 흡입체(30)를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데, 흡입체(50)와 본체(10)는 신축재로 이루어진 제 1연결호스(40)와 제 2연결호스(20)를 통해 견고하게 연통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1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은 흡입체(50)의 흡입구(51)에 집중된다. 이에 따라 공기와 함께 청소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모두 흡입되어 청소가 쉽게 이루어진다.
한편, 다단의 지지봉(6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30)와 흡입체(50)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어 이들의 분해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청소가 완료되어 진공청소기를 보관함에 보관하는 경우, 다단의 지지봉(60)만 분해하고 신축재로 이루어진 제 1,2연결호스(40,20)를 감아서 일체로 보관함(미도시)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이의 보관 역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손잡이부가 마련된 연결파이프와 흡입체를 신축재로 이루어진 연결호스를 통해 견고하게 연결하며, 흡입체를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다단의 지지봉을 통해 연결파이프와 흡입체를 연장 결합하였다. 따라서 흡입력이 흡입체에 집중되어 공기와 함께 이물질의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청소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전력낭비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구(51)와 흡입유로(52)가 형성된 흡입체(50), 흡입력을 발생하여 상기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되는 이물질이 집진되는 본체(10), 일단부가 상기 흡입유로(52)와 연통되도록 상기 흡입체(50)에 결합된 신축재로 이루어진 제 1연결호스(40), 일단부가 상기 본체(10)와 결합된 신축재로 이루어진 제 2연결호스(20), 손잡이부(31)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연결호스(40)의 타단부와 상기 제 2연결호스(20)의 타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서로 연통되도록 하는 연결파이프(30), 일단은 상기 연결파이프(30)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흡입체(50)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체(50)와 상기 연결파이프(30)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봉(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체(50)에는 소정각도 회전운동 가능하며 선단부가 외부로 돌출된 컨넥터(54)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봉(60)의 타단은 상기 컨넥터(54)의 선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60)은 일단부가 상기 연결파이프(30)에 마련된 결합돌기(33)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 1지지봉(61), 상기 제 1지지봉(61)의 타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선단에 단차부(62a)가 형성된 제 2지지봉(6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2019970029480U 1997-10-23 1997-10-23 진공청소기 KR2001599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480U KR200159930Y1 (ko) 1997-10-23 1997-10-23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480U KR200159930Y1 (ko) 1997-10-23 1997-10-23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096U KR19990016096U (ko) 1999-05-15
KR200159930Y1 true KR200159930Y1 (ko) 1999-11-01

Family

ID=1951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480U KR200159930Y1 (ko) 1997-10-23 1997-10-23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9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096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23739B (zh) 表面清洁系统
US6094775A (en) Multifunctional vacuum cleaning appliance
KR101143659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EP0976358A3 (en) Electric vacuum cleaner and nozzle unit therefor
JP2004033746A (ja) 電気掃除機用エッジクリーニング装置
KR100429478B1 (ko) 전기청소기
KR100539757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파워 스위치 장치
KR200159930Y1 (ko) 진공청소기
KR200331795Y1 (ko) 스팀청소기
KR1999000348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157822Y1 (ko) 업라이트청소기의 흡입호스
JPH02161922A (ja) 真空そうじ器
CN109199233B (zh) 用于真空吸尘器的吸管组件以及多用途真空吸尘装置
KR200364056Y1 (ko) 진공청소기
KR970003567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청소기
CN114468839A (zh) 用于表面清洁装置的抽吸管
KR200299353Y1 (ko) 공기 분출식 청소기
KR200358816Y1 (ko) 진공청소기의 플렉시블 흡입관
KR960012811B1 (ko)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KR20060057752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214599Y1 (ko) 진공청소기의보조흡입구
KR20230125499A (ko) 바람이 나오는 청소기
KR20040020134A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시노즐 부착 연장관어셈블리
CA2526664A1 (en) Hand-held vacuum cleaner with a detachable head
KR20040047363A (ko)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