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851Y1 -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 Google Patents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851Y1
KR200158851Y1 KR2019970017734U KR19970017734U KR200158851Y1 KR 200158851 Y1 KR200158851 Y1 KR 200158851Y1 KR 2019970017734 U KR2019970017734 U KR 2019970017734U KR 19970017734 U KR19970017734 U KR 19970017734U KR 200158851 Y1 KR200158851 Y1 KR 200158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nection
adjacent block
block body
isosce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560U (ko
Inventor
김이택
Original Assignee
김이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택 filed Critical 김이택
Priority to KR2019970017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85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5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5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8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1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9/1208Connections between puzzle elements
    • A63F2009/1216Connections between puzzle elements using locking or binding pins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조립식 완구는 장방체 또는 삼각체, 구형체의 블록체들을 구성하고, 이 블록체들의 주벽에 최소한 1방향이상 다방향에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와, 홈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별도로 제조되는 핀형상의 연결부재를 가지어 상기 블록체들의 삽입부에 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되며 인접측 블록체와의 연결을 이루게 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체를 가지는 블록체들을 다방향적이고 다각적으로 연결시키며, 다양하고도 섬세한 형태의 조립물을 얻어 싫증내지 않고 놀이를 지속적으로 즐기게 된다.

Description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본 고안은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체를 다방향적이고 다각적이며 다양한 형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한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이다.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는 여러형태로 개발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는, 통상 장방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즉, 가로 세로비를 달리하는 2종 또는 3종류의 장방체 블록들을 인접측과 끼워맞춤식 또는 엇갈림방식으로 연결 적층시키며 놀이자가 임의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조립물을 얻어 목적하는 놀이를 즐기게 하고 있다.
이러한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놀이구는 대체적으로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중공의 장방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를 가지고 있고, 이렇게 구성되는 몸체의 개방면 내측에 몸체 내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그 끝단이 개방면에 위치하는 원형 관체형상의 컬럼을 양측에 병렬로 교호적이고 등간격으로 수개 배열시키며, 몸체의 개방면 반대측인 폐쇄면측에는 그 폐쇄면상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돌출되고 상기 컬럼과 동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반적으로 배열되는 컬럼을 구비하여, 인접하는 블록 개방면측의 컬럼 사이사이로 폐쇄면측 컬럼이 끼워지는 결합력 얻어 연결을 이루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그 블록연결을 원통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개의 칼럼 사이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에 인접측의 칼럼이 삽입식으로 끼워지는 것에 의해 결합을 이루게 하고 있는 것으로, 그 결합구조가 복잡한 것이며, 또 결합구조가 복잡한 것에 반하여 블록의 연결방향은 단순한, 즉 장방체 형상의 블록 개방면측과 이 개방면측 반대면인 폐쇄면측 각각에 암수의 결합을 이루는 연결구조를 구비하여 블록체가 적층식으로 연결을 이루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적층식으로 결합되는 블록체는 그 연결이 단순한, 예를 들어 블록들의 연결이 상하방향으로만 연결되어 그 연결이 단조롭고, 따라서 조립형태가 다양하지 못하며, 이러한 단조로운 조립은 놀이를 지속적으로 즐기지 못하고 쉽게 싫증을 내도록하고 있는 것이다.
또 이렇게 블록의 연결구조를 수개의 칼럼을 이용한 결합방식은 인접측 블록체의 결합구조가 그 인접측과 대응하는 결합조건을 가지어야 하므로서, 블록체 형상의 다양화가 어려워 통상 장방체 모양을 주로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장방체의 블록은 그 결합이 상하 적층식으로 쌓아져 그 조립을 이루게 하므로서, 상하측에서는 결합력이 작용하나, 측면인 수평방향으로는 인접측과 결합구조가 없어 결합상태가 안정되지 못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암수의 끼워맞춤식으로 블록을 연결시키고 하고, 블록의 형체를 다양화 하며, 그 블록의 연결을 다방향적이고 다각적으로 가지어 다양하고 섬세한 조립물을 얻을 수 있도록한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조립식 완구는 장방체 또는 삼각체, 구형체의 블록체들을 구성하고, 이 블록체들의 주벽에 최소한 1방향이상 다방향에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와, 홈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별도로 제조되는 핀형상의 연결부재를 가지어 상기 블록체들의 삽입부에 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되며 인접측 블록체와의 연결을 이루게 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체를 가지는 블록체들을 다방향적이고 다각적으로 연결시키며, 다양하고도 섬세한 형태의 조립물을 얻어 싫증내지 않고 놀이를 지속적으로 즐기게 된다.
제1도는 본 고안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의 높이 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에 적용되는 제1블록체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 제1블록체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에 적용되는 제2블록체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 제2블록체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블럭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에 적용되는 제3블록체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 제3블록체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에 적용되는 제4블록체의 사시도
제9도는 제6도의 제 4블록체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에 적용되는 제5블록체의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 제5블록체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12도는 본 고안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에 적용되는 제6블록체의 사시도
제13도는 제12도 제6블록체의 내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14도는 본 고안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에 적용되는 연결부재의 사시도
제15도는 제14도 연결부재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16도는 본 고안 블록체들의 연결상태를 보인 조립 종단면도
제17도는 본 고안 조립식 완구에 적용되는 연결봉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블록체 110 : 몸체
111 : 제1삽입부 112 : 제2삽입부
200 : 제2블록체 210 : 몸체
211 : 제1삽입부 212 : 경사면
213 : 제2삽입부 300 : 제3블록체
310 : 몸체 311 : 제1삽입부
312 : 제2삽입부 400 : 제4블록체
410 : 몸체 411 : 제1삽입부
412 : 제2삽입부 413 : 제3삽입부
500 : 몸체 510 : 몸체
511 : 제1삽입부 512 : 제2삽입부
600 : 제6블록체 610 :몸체
611 : 제1삽입부 612 : 제2삽입부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로 완전조립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에 적용되는 블록중에서 제1블록체(100)이다. 이 제1블록체(100)는 넓은폭과 좁은폭을 가지고 일방으로 긴길이를 가지는 중공의 장방체 몸체(10)를 갖고 있다. 이 몸체(110)는 도면에서 보아 평면, 저면, 정면 및 배면은 폐쇄면이고, 이와 양 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몸체(110)의 평, 저, 정 및 배면 각 주벽면 중심부에 일정깊이를 가지고 각홈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삽입부(111)를 구비하고 있다.
또 몸체(110)의 길이방향 양단 주벽면은 상기에서와 같이 개방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렇게 개방된 양단 주벽의 중심부 각각에, 그 몸체내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상기 양단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관체형상의 제2삽입부(112)가 몸체 길이방향과 병행하게 일체로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1삽입부(111) 및 제2삽입부(112)는 이후에 설명할 연결부재가 끼워맞춤결합되는 끼움공간을 제공하게될 것이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는 제2블록체(200)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제2블록체(200)는 제1블록체(100) 너비와 동일한 넓은폭과 좁은폭을 가지고 일방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중공의 장방체 몸체(210)를 갖고 있다. 이 몸체(210)는 도면에서 보아 평면, 저면, 정면 및 배면은 폐쇄면이고, 이외 양 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이때 몸체(210) 길이방향 주벽면중, 좁은폭의 주벽면 상변 일측 모서리로부터 하변 중앙에 이어지는 선분 우향측의 주벽을 따내어 경사면(21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렇게 구성되는 몸체(210)의 평, 저, 정 및 배면 각 주벽면 중심부에 일정 깊이를 가지고 각홈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삽입부(211)를 구비하고 있으며, 몸체(210)의 길이방향 양단 주벽면은 상기에서와 같이 개방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렇게 개방된 양단 주벽의 중심부 각각에, 그 몸체내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상기 양단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관체형상의 제2삽입부(213)가 몸체 길이방향과 병행하게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경사면(212)측의 제2삽입부(213)는 그 경사면(212)에 직각방향으로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1삽입부(211) 및 제2삽입부(213)는 이후에 설명할 연결부재 또는 블록체의 봉형상 삽입부가 끼워맞춤결합되는 끼움공간을 제공하게될 것이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는 제3블록체(300)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제3블록체(300)는 중공의 이등변삼각체로 이루어지는 5면체의 몸체(310)를 갖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은 장방형상의 판체상으로 이루어지는 폐쇄면을 이루고, 이 폐쇄면의 사변 각각에 주벽면을 가지게 되는데, 먼저 장방향 판체상의 폐쇄면 전후변측을 설명하면, 그 전후변 각각에 이등변삼각형상의 판체상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폐쇄면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이등변삼각 판체상의 폐쇄면에서 그 가장자리를 이루는 양 등변 사이는 개방 주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3블록(300)의 몸체(310) 양 등변을 이루는 개방 주벽 중심부 각각에, 그 등변의 주벽에 직각이고 몸체 내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등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관체형상의 제1삽입부(311)를 구비하고 있다.
또 몸체(310)의 폐쇄 주벽 각각에는 일정깊이를 가지고 사각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각홈형상의 제2삽입부(312)가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1삽입부(311)와 제2삽입부(312)는 이후에 설명할 핀형상의 연결부재 또는 블록체의 봉형상 삽입부가 끼워맞춤결합되는 끼움공간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제 8 도 및 제 9 도에는 제4블록체(400)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제4블록체(400)는 상기의 제3블록체(300)와 같이 중공의 이등변삼각체로 이루어지는 5면체의 몸체(410)를 갖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상면은 장방형상의 판체상으로 이루어지는 폐쇄면을 이루고, 이 폐쇄면의 사변 각각에 주벽면을 가지게 되는데, 먼저 장방형판체상의 폐쇄면 전후변측을 설명하면, 그 전후변 각각에 이등변삼각형상의 판체상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폐쇄면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이등변삼각 판체상의 폐쇄면에서 그 가장자리를 이루는 양 등변 사이는 개방 주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4블록체(400)의 몸체(410) 양 등변을 이루는 개방 주벽중 그 일측의 개방 주벽 중심부에, 그 등변의 주벽에 직각하고 몸체 내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등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관체형상의 제1삽입부(411)를 구비하고 있으며, 타측의 개방 주벽 중심부에는 그 등변의 주벽에 직각이고 몸체내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등변 외향으로 돌출되는 봉형상의 제3삽입부(41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 몸체(410)의 폐쇄 주벽 각각에는 일정깊이를 가지고 사각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각홈형상의 제2삽입부(412)가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1삽입부(411)와 제2삽입부(412)는 이후에 설명할 핀형상의 연결부재 또는, 블록체의 봉형상 삽입부가 끼워맞춤결합되는 끼움공간을 제공하며, 제3삽입부(413)는 블록체 관체형, 또는 각홈형상의 삽입부에 끼워맞춤결합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제4블록체(400)의 제3삽입부(413)에는, 그 봉형상의 제3삽입부(413) 주벽을 접선방향으로 연장하여 모서리형태로 돌출되는 제동턱(413A)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동턱(413A)은 제3삽입부(413)가 블록체들의 관체형, 또는 각홈형상의 삽입부내 삽입시 그 삽입부내 일측 모서리에 끼워져 몸체의 회동을 방지시키게할 것이다.
제 10 도 및 제 11 도에는 제5블록체(500)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이 제5블록체(500)는 1/4 원반체로 이루어지는 5면체의 몸체(510)를 가지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상면은 1/4원호 판체상으로 이루어지는 폐쇄면을 이루고, 이 폐쇄면의 사변 각각에 주벽면을 가지게 되는데, 먼저 1/4원호 판체상의 폐쇄면 전후변측을 설명하면, 그 전후변 각각에 이등변삼각형상의 판체상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폐쇄면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이등변삼각핀체상의 폐쇄면에서 그 가장자리를 이루는 양 등변 사이는 개방 주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5블록체(500)의 몸체(510) 양 등변을 이루는 개방 주벽중 그 일측의 개방 주벽 중심부에, 그 등변의 주벽에 직각이고 몸체 내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등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관체형상의 제1삽입부(511)를 구비하고 있으며, 타측의 개방 주벽 중심부에는 그 등변의 주벽에 직각이고 몸체내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등변 외향으로 돌출되는 봉형상의 제3삽입부(51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 몸체(510)의 폐쇄 주벽중 이등변 삼각형상의 폐쇄면측에 일정깊이를 가지고 사각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각홈형상의 제2삽입부(512)가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1삽입부(511)와 제2삽입부(512)는 이후에 설명할 핀형상의 연결부재 또는 블록체의 봉형상 삽입부가 끼워맞춤결합되는 끼움공간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제 12 도 및 제 13 도에는 제6블록체(600)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제6블록체(600)는 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610)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610) 외주면에, 그 몸체(610)의 정점에서 중심을 통과하여 상하로 관통하는 정사각형상의 제1삽입부(611)를 구비하고 있다.
또 몸체(6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삽입부(611)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그 몸체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깊이를 가지는 제2삽입부(61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1삽입부(611)에는 인접측 블록체의 연결이 적당한 간격을 유지되게 하기 위한 연결봉(10)이 끼워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제2삽입부(612)는 이후에 설명할 핀형상의 연결부재 또는 블록체의 봉형상 삽입부(413)의 끼움공간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제 14 도 및 제 15 도는 연결부재(700)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연결부재(700)는 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710)를 가지고 있다.
또 몸체(710) 양단 각각에는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지어 블록체의 관체형상 제1삽입부 및 각홈형상의 제2삽입부에 긴밀히 내접되는 한쌍의 삽입부(711)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으며, 몸체(710) 주벽에는 그 주벽을 접선방향으로 연장하여 모서리 형태로 돌출되는 제동턱(710A)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동턱(710A)은 블록체들의 관체형, 또는 각홈형상의 삽입부내 삽입시 그 삽입부내 일측 모서리에 끼워져 몸체의 회동을 방지시키게할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연결부재(700)의 몸체(710)에 구비되는 제동턱(710A)을 상기에서와 같이 몸체 주벽에 하나를 구비할 수 도 있고 최소한 하나이상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제 16 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의 연결에 대해 일례를 들어 설명하겠다. 제 16 도는 본 고안 조립식 완구에 사용되는 최소 단위 블록체들에 연결과정을 보인 일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설명에서와 같인 제1블록체(100)와 제2블록체(200), 제3블록체(300), 제4블록체(400), 제5블록체(500) 및 제6블록체(600)들을 순서적으로 배열하고 있는데, 이들의 기본적 연결방법은 별도로 제조되는 핀형상의 연결부재(700)와 제4블록체(400)의 봉형상 제3삽입부(413)를 이용한 예를 보이고 있다.
그 하나의 예를 보면 제1블록체(100)와 제2블록체(200)의 사이에서 상호 대향하고 있는 제2삽입부(112),(213)에 핀형상의 연결부재(700) 몸체(710) 양단에 구비되는 원반형상의 삽입부(711) 각각을 끼워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연결을 이루게 하고 있다. 이러한 연결은 별도로 제조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기본적 결합구조이다.
또 제4블록체(400)의 제3삽입부(413)를 이용한 연결방법도 있다. 이 제3삽입부(413)을 이용한 연결구조는 블록체와 블록체를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연결이루게 한 것이다.
이와같이 블록체들을 별도로 제조되는 핀형상의 연결부재(700)와 제4블록체(400)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3삽입부(413)를 이용하여 다양한 블록체들을 다방향적이고 다각적으로 연결을 이루며 조립물을 얻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다양한 모양과 형태를 가지는 제1, 2, 3, 4, 5, 6블록체와 별도의 연결부재를 구성하고, 이들의 블록체들을 연결부재 또는 블록체에 일체로 구비되는 봉형상의 제3삽입부를 이용하여 블록을 다방향적이고 다각적으로 연결을 이루며 섬세하고도 다양한 조립물을 얻을 수 있게 하므로서, 본 고안 블록을 이용한 놀이방법이 다양하고, 따라서 싫증내지 않고 지속적으로 놀이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블록체의 연결을 별도로 제조되는 핀형상의 연결부재를 사용하거나, 또는 블록체에 일체로 구비되는 봉형상의 제3삽입부를 이용하여 블록체에 구비되는 관체 또는 각홈형상의 제1 및 제2삽입부에 일정길이 삽입되는 끼워맞춤식의 결합을 이루게 하므로서, 블록체의 연결이 안정되고도 견고한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블록체들, 이 블록체들을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켜 임의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을 이루며 놀이를 즐기도록한 조립완구로서, 상기 블록체는 장방형체의 몸체를 갖고 있고, 이 몸체 장측의 각 주벽면 중심부에 일정깊이를 가지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각홈형상의 제1삽입부 ;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 주벽면 중심부 각각에 그 몸체내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상기 양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관체형상의 제2삽입부 ; 및 상기 블록체의 제1 및 제2삽입부 각각에 끼워맞춤결합되며 인접한 블록체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봉을 포함하여서된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2. 블록체들, 이 블록체들을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켜 임의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을 이루며 놀이를 즐기도록한 조립완구로서, 상기 블록체는 장방형체의 몸체를 갖고 있고, 이 몸체의 길이방향 주벽면중, 좁은폭 주벽면의 일변 모서리로부터 타변의 중앙에 이어지는 선분 외향측의 주벽을 따내어 이루어지는 경사면 ; 상기 경사면과 이 경사면에 반대되는 몸체의 길이방향 단부 중심부 각각에, 그 몸체내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단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관체형상의 제1삽입부 ;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주벽면 중심부 각각에 일정깊이를 가지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각홈형상의 제2삽입부 ; 및 상기 블록체의 제1 및 제2삽입부 각각에 끼워맞춤결합되며 인접한 블록체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봉을 포함하여서된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3. 블록체들, 이 블록체들을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켜 임의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을 이루며 놀이를 즐기도록한 조립완구로서, 상기 블록체는 이등변삼각형상의 몸체를 갖고 있고, 이 이등변삼각형상의 몸체의 주벽중 수평면상의 중심부에 일정깊이를 가지고 각홈형상의 제2삽입부 ; 상기 몸체의 양측 등변의 주벽 중심부 각각에 그 등변의 주벽에 직각이고 몸체내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등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관체형상의 제1삽입부 ; 및 상기 블록체의 제1 및 제2삽입부 각각에 끼워맞춤결합되며 인접한 블록체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봉을 포함하여서된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4. 블록체들, 이 블록체들을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켜 임의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을 이루며 놀이를 즐기도록한 조립완구로서, 상기 블록체는 이등변삼각형상의 몸체를 갖고 있고, 이 몸체의 이등변 이외의 주벽, 즉 수평면 중심부에 일정깊이를 가지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각홈형상의 제3삽입부 ; 상기 몸체의 등변중, 일측 변 중심부에 그 변의 주벽에 직각이고 몸체내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등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관체형상의 제1삽입부 ; 상기 몸체의 등변중 타측 변 중심부에 그 변에 직각이고 몸체내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그 끝단이 상기 등변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인접측 블록체의 삽입부에 끼워넣어져 연결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는 봉형상의 제2삽입부 ; 및 상기 블록체의 제1 및 제2삽입부 각각에 끼워맞춤결합되며 인접한 블록체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봉을 포함하여서된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5. 블록체들, 이 블록체들을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켜 임의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을 이루며 놀이를 즐기도록한 조립완구로서, 1/4 원반체로 이루어지는 중공의 몸체 ; 상기 몸체 이등변 각각의 주벽에, 그 주벽에 직각이고 몸체내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관체형상의 제1삽입부 ; 상기 몸체 이등변측의 주벽과 이등변을 일측으로 연이은 원호변의 주벽을 제외한 양측 주벽 각각에 이등변이 만나는 모서리측 근접한 위치에 일정깊이를 가지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각홈형상의 제2삽입부 ; 및 상기 블록체의 제1 및 제2삽입부 각각에 끼워맞춤결합되며 인접한 블록체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봉을 포함하여서된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6. 블록체들, 이 블록체들을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켜 임의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을 이루며 놀이를 즐기도록한 조립완구로서, 구형의 몸체 ; 상기 몸체 외주면에 그 몸체의 정점에서 중심을 통과하여 상하로 관통하며, 인접측 블록체의 연결이 적당한 간격이 유지되게 하기위한 연결봉이 삽입되게 하는 정사각형상의 제1삽입부 ;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관통부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그 몸체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깊이를 가지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홈형상의 제2삽입부 ; 및 상기 블록체의 제1 및 제2삽입부 각각에 끼워맞춤결합되며 인접한 블록체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봉을 포함하여서된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7. 블록체들, 이 블록체들을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켜 임의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을 이루며 놀이를 즐기도록한 조립완구로서, 일정길이를 가지고 봉체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 ; 상기 몸체의 양단부에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블록체들의 사이에서 인접측 블록체의 삽입부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어 인접한 블록체들의 연결을 위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삽입부를 포함하여 여기서 상기의 블록체들의 연결에 있어, 인접측의 블록체와 끼워맞춤식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로 사용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주벽 일측에, 그 주벽을 접선방향으로 연장하여 모서리형태로 돌출되며, 블록체에 삽입시, 그 블록체 각형상의 삽입부내 일측 모서리에 끼워져 몸체의 회동을 방지시키게 하는 제동턱을 갖춘 것을 더 포함하는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블록체 봉형상의 제2삽입부의 주벽 일측에 그 주벽접선방향으로 연장하여 모서리형태로 돌출되며, 블록체의 삽입부에 삽입시, 블록체 각형상의 삽입부내 일측 모서리에 끼워져 블록체 결합상태의 회동을 방지시키게 하는 제동턱을 갖춘 것을 더 포함하는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10. 블록체들, 이 블록체들을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결합시켜 임의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로 조립을 이루며 놀이를 즐기도록한 조립완구로서, 중공의 장방체로 이루어지는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의 장측 주벽 중심부 각각에 일정깊이를 가지고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각형의 제1삽입부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 각각에 그 몸체내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단부에 위치하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관체형상의 제2삽입부를 가지는 제1블록체 ; 길이방향의 단부 일측 모서리부를 따내어 이루어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중공의 장방체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 경사면과, 이 경사면 반대되는 몸체의 단부 중심부 각각에, 그 몸체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단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관체형상의 제1삽입부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주벽면 중심부 각각에 일정길이를 가지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각홈형상의 제2삽입부를 가지는 제2블록체 ; 중공의 이등변삼각체로 이루어지는 5면체의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의 양등변 주벽 중심부 각각에, 그 등변의 주벽에 직각이고 몸체내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등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관체형상의 제1삽입부와, 상기 몸체의 등변 이외의 주벽 중심부 각각에 일정길이를 가지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홈형상의 제2삽입부를 가지는 제3블록체 ; 중공의 이등변삼각체로 이루어지는 5면체의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의 양 등변 각각에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관체형상의 제1삽입부 및 봉형상의 제2삽입부와, 상기 몸체의 이등변 주벽 이외의 주벽 중심부 각각에 일정깊이를 가지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홈형상의 제3삽입부를 가지는 제4블록체 ; 1/4 원반체로 이루어지는 중공의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 이등변 각각의 주변벽면에 몸체내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끝단이 변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관체형상의 제1삽입부와, 상기 몸체 이등변측의 주벽과 이등변을 일측으로 연이은 원호변의 주벽을 제외한 양측 주벽 각각에 이등변이 만나는 모서리측 근접한 위치에 일정깊이를 가지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홈형상의 제2삽입부를 가지는 제5블록체 ; 구형의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의 외주면에 그 몸체의 정점에서 중심을 통과하여 상하로 관통하며, 인접측 블록체의 연결이 적당한 간격이 유지되게 하기위한 연결봉이 삽입되게 하는 각형의 홈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관통부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관통부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그몸체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깊이를 가지며,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끼움공간을 제공하는 홈형상의 삽입부를 가지는 제6블록체 ; 및 일정길이를 가지고 봉체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를 가지며, 이 몸체 양측에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인접측 블록체들의 각 삽입부에 끼워맞춤되어 인접측의 블록체와 연결을 위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삽입부를 가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다양한 블록체들에 있어, 제1, 2, 3, 4, 5, 6블록체들을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블록체들을 적당한 형태로 조립시키며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한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KR2019970017734U 1997-07-04 1997-07-04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KR200158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734U KR200158851Y1 (ko) 1997-07-04 1997-07-04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734U KR200158851Y1 (ko) 1997-07-04 1997-07-04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560U KR19990004560U (ko) 1999-02-05
KR200158851Y1 true KR200158851Y1 (ko) 1999-10-15

Family

ID=1950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734U KR200158851Y1 (ko) 1997-07-04 1997-07-04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8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417A3 (ko) * 2009-09-24 2011-08-04 Yun Isik 조립 완구 구성물
KR20220084566A (ko) * 2020-12-14 2022-06-21 오상돈 3단분리형의 6면조립형 블록교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417A3 (ko) * 2009-09-24 2011-08-04 Yun Isik 조립 완구 구성물
KR20220084566A (ko) * 2020-12-14 2022-06-21 오상돈 3단분리형의 6면조립형 블록교구
KR102519938B1 (ko) 2020-12-14 2023-04-10 오상돈 3단분리형의 6면조립형 블록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560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7744A (en) Construction toys comprising building blocks and single and composite elongated star connectors
US5683283A (en) Construction blocks for extended support structures
US6322414B1 (en) Universal blocks
KR100785119B1 (ko) 장난감 조립 세트
WO2015042988A1 (zh) 十四面体积木
KR100524154B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US20070182094A1 (en) Solid puzzle block
KR200158851Y1 (ko)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완구
KR200399428Y1 (ko) 1면 다극 자석이 결합된 자석 완구
WO2006129903A1 (en) Panel-type magnetic toys
US5312283A (en) Flexible toy construction blocks
US3854237A (en) Toy building block
US4143481A (en) Educational toy
US5046982A (en) Construction apparatus
KR200394479Y1 (ko) 입체형 자석놀이완구
KR101927033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200384727Y1 (ko) 블록을 이용한 조립완구
KR20190001186A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EP0782876B1 (en) Constructional toys
KR101927035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KR200228514Y1 (ko) 조립식 도미노용 블럭
CN214232770U (zh) 积木结构
KR200452559Y1 (ko) 조립식 완구 블록세트
JP3869701B2 (ja) 組立用ブロック
KR100546071B1 (ko) 입체형 자석놀이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