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104Y1 - Support of speaker unit - Google Patents

Support of speaker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104Y1
KR200158104Y1 KR2019970030519U KR19970030519U KR200158104Y1 KR 200158104 Y1 KR200158104 Y1 KR 200158104Y1 KR 2019970030519 U KR2019970030519 U KR 2019970030519U KR 19970030519 U KR19970030519 U KR 19970030519U KR 200158104 Y1 KR200158104 Y1 KR 200158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unit
housing
guide
guide groove
righ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51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17075U (en
Inventor
어윤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0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104Y1/en
Publication of KR199900170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07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104Y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6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 A47B81/061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the device supports being adjustable
    • A47B81/064Furniture aspects of radio, television, gramophone, or record cabinets the device supports being adjustable vertical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하우징의 전면에 스피커 본체가 설치되어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출력시키는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로써, 상면에 스피커 본체가 설치된 하우징이 안착되는 상판과; 상판을 설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킴으로써 하우징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스피커 유닛의 높이를 설치공간의 형상 및 장애물의 유무에 따라 적절히 조절 가능하여 음질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하우징의 이탈에 의한 전체 유닛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 및 경쟁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edestal of a speaker uni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destal of a speaker unit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to output an electrical signal as a sound signal, the top plate on which the housing is installed a speaker body on the upper surface; Consists of a height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housing by sliding the upper pl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ottom plate relative to the installation bottom surface. Therefore, the height of the speaker unit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presence of obstacles, so that an improvement in sound quality can be obtained, and in particular,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entire unit due to detachment of the housing can be obtained. . Therefore, the effect that the relia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is significantly improved.

Description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Pedestal of speaker unit

본 고안은 스피커 유닛(speaker uni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장소에 따라 스피커 유닛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destal of a speaker unit that is capable of adjust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lace.

오디오 시스템(audio system)은 오디오신호를 매체(媒體)에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장치이며, 매체로는 카세트 테이프(cassette tape), 레코드(record), 그리고 디스크(disc)가 사용되고 있다.An audio system is an apparatu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an audio signal on a medium, and a cassette tape, a record, and a disc are used as the medium.

이러한 오디오 시스템은 턴테이블(turn table), 튜너(tuner), 앰프리파이어(amplifier)와 카세트 데크(cassette deck), 스피커 유닛이 기본적으로 구성되고, 여기에 이퀄라이저(equalizer) 및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 등이 단품으로 추가되어 구성된다.This audio system consists essentially of a turntable, tuner, amplifier, cassette deck, and speaker unit, including equalizers and compact disc players. player), etc. are added separately.

그리고, 오디오 시스템은 스피커 유닛이 분리되어 있으나 튜너, 앰프리파이어, 카세트 데크가 하나의 본체로 구성되는 뮤직 센터(music center)와, 모든 기기가 분리되어 전문적인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컴포넌트 시스템(component system)으로 나뉘어진다.In addition, the audio system is a music center in which a speaker unit is separated but a tuner, an amplifier, and a cassette deck are composed of one main body, and a component system in which all devices are separated to hav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system).

이와 같은 오디오 시스템에 대한 하나의 예로 뮤직 센터를 도 1에 나타내어 설명하면, 오디오 시스템(10)은 본체(11)와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12)가 하나의 세트(set)로 재생기기(13)를 구성하게 되고, 여기에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를 변환시켜 출력시키는 변환기의 하나인 스피커 유닛(14)이 조합되어 구성된다.As an example of such an audio system, a music center is illustrated in FIG. 1. In the audio system 10, the main body 11 and the compact disc player 12 connect the player 13 to one set. In this case, the speaker unit 14, which is one of the transducers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is combined.

이러한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housing: 15)은 대략 상자 형상체로 제작되고, 이 하우징(15)의 전면에 스피커 본체(16)가 설치된다.The housing 15 of this speaker unit 14 is made of a substantially box-shaped body, and a speaker main body 16 is provided in front of the housing 15.

한편, 스피커 유닛(14)은 공기를 매질(媒質)로하여 재생음을 전달하기 때문에 설치 장소 및 위치에 따라 음질이 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스피커 유닛(14)의 진동은 바닥 또는 벽 등으로 전달되어 잡음이나 이상음의 발생 원인으로 작용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peaker unit 14 delivers the reproduction sound by using air as a medium, the sound quality is grea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lace and location, and the vibration of the speaker unit 14 is transmitted to the floor or the wall, resulting in noise. It also acts as a cause of abnormal sounds.

이러한 종래 스피커 유닛의 사용 상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이 올려놓여지는 테이블(17)은 대개의 경우 장식을 목적으로 목재를 소재로 제작된다.As shown in FIG. 2, the table 17 on which the housing 15 of the speaker unit 14 is placed is usually made of wood for decoration purposes.

그리고, 테이블(17)은 진동의 전달을 줄이기 위하여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을 받치는 상판(17a)과 바닥 등에 지지되는 하판(17b)이 연결판(17c)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이에 따라 테이블(17)은 대략 I자 형상을 이루도록 제작된다.In addition, the table 17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plate 17a supporting the housing 15 of the speaker unit 14 and the lower plate 17b supported on the floor and the lik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plate 17c in order to reduce transmission of vibration. Thus, the table 17 is manufactured to have an approximately I shap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테이블(17)은 단순히 스피커 유닛(14)을 받쳐주고 있기 때문에 설치 장소에 따라 스피커 유닛(14)의 설치 높이를 적절히 변경시킬 수 없어 음질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able 17 as described above simply supports the speaker unit 14,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peaker unit 14 cannot be chang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lace, resulting in a deterioration in sound quality. .

즉, 스피커 유닛(14)의 음질은 설치 공간의 형상이나 기타 설치 공간상에 위치될 수 있는 장애물에 따라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들과의 간섭이 배제될 수 있도록 스피커 유닛을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스피커 유닛(14)의 사용에 지장이 초래되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음질 저하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 및 경쟁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That is, since the sound quality of the speaker unit 14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installation space or other obstacles that may be located on the installation space, the overall height of the speaker unit can be adjusted so that interference with them can be eliminated. Because there is not. This, of course, causes a problem in the use of the speaker unit 14, and in particular, a problem in that the relia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is remarkably degrade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sound quality.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 공간의 형상이나 장애물에 따라 스피커 유닛의 설치 높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음질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피커 유닛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sound quality by varying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shape or obstacles of the installation space. To provide a speaker unit pedestal.

도 1은 일반적인 오디오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audio system,

도 2는 종래 스피커 유닛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nventional speaker unit,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 받침대의 분리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peaker unit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FIG.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4 : 스피커 유닛 15 : 하우징14 speaker unit 15 housing

15a : (T형상의) 가이드 홈 20 : 상판15a: (T-shaped) guide groove 20: top plate

21 : (T형상의) 가이드 레일 30 : 하판21: guide rail (T-shaped) 30: lower plate

31 : 가이드 홈 32 : (복수의) 걸림홈31: guide groove 32: (plural) locking groove

40,50 : 좌,우 지지레버 41,51 : 장방형 가이드 홈40,50: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1,51: Rectangular guide groove

60 : 회전롤러 61 : 돌기60: rotating roller 61: projection

70 : 가이드 축 71 : 플랜지70: guide shaft 71: flange

S : 스프링S: Spring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하우징의 전면에 스피커 본체가 설치되어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출력시키는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로써, 상면에 스피커 본체가 설치된 하우징이 안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을 설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킴으로써 하우징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으로 구성된 스피커 받침대에 있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peaker body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as a pedestal of the speaker unit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as an acoustic signal, the upper plate on which the housing is installed the speaker body on the upper surface; And a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housing by sliding the upper plate by sliding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based on the installation bottom surfac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one preferred embodiment of a pedestal of a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3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peaker unit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유닛(14)은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는 변환기의 하나이다.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은 대략 상자 형상체로 제작되고, 이 하우징(15)의 전면에 스피커 본체(16)가 설치된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S. 3 and 4, the speaker unit 14 is one of converters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into acoustic signals and outputting the same. The housing 15 of the speaker unit 14 is made into a substantially box-shaped body, and the speaker main body 16 is provided in front of this housing 15.

한편, 상기한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을 올려 놓기 위한 받침대의 구성을 보면, 전면에 스피커 본체(16)가 마련된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이 올려 놓여지는 상판(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판(20)은 설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높이 조절수단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된다.On the other hand, when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for placing the housing 15 of the speaker unit 14, the top plate 20 on which the housing 15 of the speaker unit 14, the speaker main body 16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is placed. ). And. The top plate 20 is slid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through the height adjusting means on the basis of the installation bottom surface.

이와 같이 상판(20)을 상,하 방향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높이 조절수단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게 하판(30)과 좌,우 지지레버(40, 50) 및 회전롤러(60) 와 가이드 축(70)으로 대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for varying the upper plate 2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lower plate 30,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the rotary roller 60 and the guide shaft ( Roughly 70).

하판(30)은 설치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특히 상면에는 폭 방향으로 가이드 홈(31)이 소정길이로 형성되며, 이 가이드 홈(31)의 양측 내벽면에는 걸림홈(32)이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The lower plate 30 is seated on the installation bottom surface, and in particular,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groove 31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engaging grooves 32 are equally spaced on both inner wall surfaces of the guide groove 31. A plurality is formed.

그리고, 좌,우 지지레버(40, 50)는 서로 소정간격을 유지한채 상호 X자 형상을 이루도록 위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상단부는 상판(20)의 좌,우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하단부는 하판(30)의 가이드 홈(31) 내측면에 위치된다.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are positioned to form a mutual X-shap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each upper end is hinged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late 20, The lower end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groove 31 of the lower plate 30.

또한 이 좌,우 지지레버(40, 50)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방형 가이드 홈(41, 51)이 형성된다.In addition, rectangular guide grooves 41 and 51 are formed i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회전롤러(60)는, 좌,우 지지레버(40, 50)의 각 타단부 즉, 하판(30)의 가이드 홈(31) 내측에 위치된 하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것으로서, 중심 외측면에는 하판(30)의 가이드 홈(31) 내벽면에 형성된 걸림홈(32)에 각각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 될 수 있도록 돌기(61)가 연장 형성된다.The rotary roller 60 is axially rotatably supported on each other end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that is, the lower end located inside the guide groove 31 of the lower plate 30. Protrusions 61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lower grooves 30 so as to selectively lock the locking grooves 32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guide groove 31 of the lower plate 30.

가이드 축(70)은, 좌,우 지지레버(40,50)의 측면에 형성된 장방형 가이드 홈(41,5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며, 좌,우 양단에는 좌,우 지지레버(40,50)의 가이드 홈(41,51)에 끼워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장방형 가이드 홈(41,51)의 폭에 비하여 큰 직경으로 플랜지(71)가 연장 형성된다.The guide shaft 70 is slidably inserted along the rectangular guide grooves 41 and 51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and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re insert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The flange 71 is extended to a larger diameter than the width of the rectangular guide grooves 41 and 51 so as not to be separated in the inserted stat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41 and 51 of.

한편, 이 가이드 축(70)의 외주면에는 스프링(S)이 개재되는 바, 이 스프링(S)은, 좌,우 지지레버(40,50)를 각각 외측 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각 하단부에 위치된 회전롤러(60)의 돌기(61)가 걸림홈(32)에 견고히 위치 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shaft 70 is interposed with a spring S, the spring S is elastically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in the outward direction, respectively, Projection 61 of the rotary roller 60 to be firmly positioned in the locking groove (32).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에 대한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pedestal of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 detail as follows.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즉, 상판(20)의 상면에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을 올려 놓지 않은 상태에서 적절하게 스피커 유닛(14)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하여 상판(20)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송시킴에 있어서는, 좌,우 지지레버(40,50)를 가이드 축(70)이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상호 내측방향으로 가압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osition of the speaker unit 14 is properly changed at an initial state, that is, without placing the housing 15 of the speaker unit 14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20. In order to transfer the upper plate 20 upward or downward,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are pressed inwar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portion where the guide shafts 70 are coupled.

이에 의해 스프링(S)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던 좌,우 지지레버(40, 50)가 내측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이 좌,우 지지레버(40, 5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60)의 돌기(61)가 하판(30)의 걸림홈(32)으로부터 이탈된다.Thereby,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which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S, are moved in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rotary shaft rotatably supported at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 The projection 61 of 6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 32 of the lower plate 30.

따라서, 좌,우 지지레버(40, 50)를 도 4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푸쉬하게 되면, 하판(30)의 가이드 홈(31) 바닥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이송되는 회전롤러(60)를 통해 손쉽게 이동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좌,우 지지레버(40, 50)의 장방형 가이드 홈(41, 51)에 끼워 삽입된 가이드 축(70)의 위치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송되면서 가변된다.Therefore, when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are pushed in the outward or inward direction, as indicated by the arrows in FIG. 4, the rotations are transported while being rotat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31 of the lower plate 30. The roller 60 can be easily moved.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guide shaft 70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guide grooves 41 and 51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described above is also varied while being moved upward or downward.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상판(20)이 적정한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좌,우 지지레버(40, 50)를 내측으로 가압하고 있던 힘을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힘을 받게되고, 이에의해 회전롤러(60)에 연장 형성된 돌기(61)가 대응되는 위치의 하판(30) 걸림홈(32)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높이 조절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pper plate 20 reaches the proper position through this operation and releases the force that presses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inward, the force is forced out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S. By receiving the projection 61 is formed by extending the rotary roller 60 is fixed to the locking groove 32 of the lower plate 30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thi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height-adjusted state firmly.

따라서, 상판(20)의 상면에 안착되는 스피커 유닛(14)의 전체 높이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설치 공간의 형상이나 기타 장애물에 의한 음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overall height of the speaker unit 14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the sound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the shape of the installation space or other obstacle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한편,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것은 전술한 상판(20)에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을 안착 시킴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점 즉, 외부 충격에 의해 상판(20)에 안착된 하우징(15)이 이탈됨으로써 낙하충격에 의한 기기 손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판(20)의 중심면과, 하우징(15)의 하면에 상판(20)의 상,하 높이 조절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T형상의 가이드 레일(21)과 가이드 홈(15a)을 형성한 것이다.Meanwhil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5, which is a problem caused when the housing 15 of the speaker unit 14 is seated on the upper plate 20 described above, that is, the external plate is affected by an external impac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amage to the device due to the drop impact by detaching the housing 15 seated on the 20, for this purpose,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on the cent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5 , T-shaped guide rail 21 and the guide groove (15a)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height adjustment direction.

이와 같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21)과 가이드 홈(15a)간의 결합 상태에 의해 하우징(15)은, 상호간의 삽입 방향을 제외한 전방향으로 즉, 상,하 및 좌,우 폭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된다. 즉, 이탈에 의한 기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guide rail 21 and the guide groove 15a formed as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housing 15 from flowing in all directions except for the mutual insertion direction, that is,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do.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device due to departure in advance.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스피커 유닛 이외에도 각종 전기,전자 제품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merely to describe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d can be changed appropriately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For exampl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in addition to the speaker uni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에 의하면, 스피커 유닛의 높이를 설치공간의 형상 및 장애물의 유무에 따라 적절히 조절 가능하여 음질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하우징의 이탈에 의한 전체 유닛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 및 경쟁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edestal of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speaker uni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presence of obstacles, so that an improvement in sound quality can be obtained.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entire unit can be obtained. Therefore, the effect that the relia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is significantly improved.

Claims (3)

하우징의 전면에 스피커 본체가 설치되어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출력시키는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로써,A speaker main body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as an acoustic signal, 상면에 스피커 본체(16)가 설치된 하우징(15)이 안착되는 상판(20)과;An upper plate 20 on which a housing 15 provided with a speaker main body 16 is mounted; 상기 상판(20)을 설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킴으로써 하우징(15)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A base of the speak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height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housing (15) by sliding the upper plate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relative to the installation bottom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ight adjustment means, 설치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면에는 폭 방향으로 가이드 홈(31)이 소정길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홈(31)의 양측 내벽면에는 소정간격으로 걸림홈(32)이 형성된 하판(30)과;A lower plate 30 seated on an installation bottom surface, a guide groove 3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in a width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engaging grooves 32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inner wall surfaces of the guide groove 31; 일단이 상기 상판(20)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서로 X자형을 이루도록 교차되어 상기 하판(30)의 가이드 홈(31)상에 위치되고, 각각의 측면에는 장방향 가이드 홈(41,51)이 형성된 좌,우 지지레버(40, 50)와;One end is rotatably hing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plate 20, the other end is intersected so as to form an X-shape with each other is positioned on the guide groove 31 of the lower plate 30, each side is a longitudinal guid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having grooves 41 and 51 formed therein; 상기 하판(30)의 가이드 홈(32) 내에 위치된 좌,우 지지레버(40, 50)의 타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외측면에는 대응되는 가이드 홈(31) 내벽면의 걸림홈(32)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돌기(61)가 연장 형성된 회전 롤러(60)와;I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rotatably respectively located in the guide groove 32 of the lower plate 30, the outer surface is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inner wall of the guide groove 31 A rotary roller 60 having a protrusion 61 extended to selectively engage the groove 32; 상기 좌,우 지지레버(40, 50)의 장방형 가이드 홈(41, 51) 사이를 관통하여 상호간을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키며, 상기 장방형 가이드 홈(41, 5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축(70)과;A guide that is hinged to each other rotatably through the rectangular guide grooves 41 and 51 of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and 50, and is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rectangular guide grooves 41 and 51. A shaft 70; 상기 가이드 축(7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좌,우 지지레버(40, 50)를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S);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And a spring (S)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shafts (70) to elastically support the left and right support levers (40, 50) in an outward dir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유닛(14)의 하우징(15) 하면과 상기 상판(20)의 상면에는 상기 상판(20)의 상,하 높이 조절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대략 T형상의 가이드 레일(21)과 가이드 홈(15a)이 선택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유닛의 받침대.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5 of the speaker unit 1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are approximately 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and lower height adjustment directions of the upper plate 20. Pedestal of the speaker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rail 21 and the guide groove (15a) of the shape is provided selectively.
KR2019970030519U 1997-10-31 1997-10-31 Support of speaker unit KR2001581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519U KR200158104Y1 (en) 1997-10-31 1997-10-31 Support of speake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519U KR200158104Y1 (en) 1997-10-31 1997-10-31 Support of speaker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075U KR19990017075U (en) 1999-05-25
KR200158104Y1 true KR200158104Y1 (en) 1999-10-15

Family

ID=1951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519U KR200158104Y1 (en) 1997-10-31 1997-10-31 Support of speaker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104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075U (en)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799B1 (en) Cassette adapter for playback device such as a compact disk player
KR200158104Y1 (en) Support of speaker unit
US4369478A (en) Automobile magnetic tape playing apparatus
KR19990017108U (en) Pedestal of speaker unit
KR200158240Y1 (en) Vibratioin preventing apparatus
KR19990017123U (en) Tabl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speaker unit
US7263703B2 (en) Optical reproducing/recording apparatus
US20050005280A1 (en) Optical disc drive with elastic dampeners
KR19990013935U (en) Anti-vibration device of speaker unit
KR19990017125U (en) Tabl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speaker unit
KR19990017124U (en) Moving structure of speaker unit table
JP3382406B2 (en) Equipment with built-in speaker
JP3424595B2 (en) Disc loading device
JP2010130454A (en) Television set with built-in video recording device
KR100863553B1 (en) Vibration absorption apparatus and optical disk player using the same
KR910001741A (en) Magnetic tape signal recording / playback system in cassette
JP2003346591A (en) Push switch
JP2005259337A (en) Combination system
JPH0514348Y2 (en)
KR19990013924U (en) Supporting device for speaker unit
KR200158102Y1 (en) A remote controller keeping device of table for speaker unit
KR100257226B1 (en) A device for operating the cd of multi-television
KR19990017110U (en) Cabinets for Audio Systems
KR19990017105U (en) Combination structure of speaker unit and pedestal
KR200347175Y1 (en) Apparatus for playing MP3 player by tape rec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