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355Y1 -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 - Google Patents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355Y1
KR200155355Y1 KR2019960063971U KR19960063971U KR200155355Y1 KR 200155355 Y1 KR200155355 Y1 KR 200155355Y1 KR 2019960063971 U KR2019960063971 U KR 2019960063971U KR 19960063971 U KR19960063971 U KR 19960063971U KR 200155355 Y1 KR200155355 Y1 KR 200155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lug
earplugs
helmet
built
hard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3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795U (ko
Inventor
윤현웅
Original Assignee
이원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 한전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원
Priority to KR2019960063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355Y1/ko
Publication of KR19980050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7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3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6Ear protection devices
    • A42B3/166Integral hearing pro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마개가 내장될 수 있는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음이 심한 산업현장 등에서 필요시 언제나 간편하고 편리하게 귀마개를 착용할 수 있는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모 몸체부와, 그 몸체부의 안쪽에 위치하여 머리받침끈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받침끈 고정부와, 작업자가 안전모 몸체부로부터 직접 충격을 받지않도록 함과 동시에 땀 등을 흡수하는 충격흡수 및 땀 방지흡수제와, 상기 안전모 몸체부를 작업자의 턱에 고정시키는 턱끈으로 구성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몸체부의 안쪽에 2개의 귀마개 보관부와, 다수의 귀마개 걸이부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귀마개 보관부와 귀마개 걸이부는 각각 안전모 몸체부에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엔 통상의 안전모 안쪽에 접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작업자가 필요한 때에는 언제나 그리고 어느곳에서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의 구성 원리를 나타낸 예시도.
제2도는 귀마개 보관부(30)의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제2(a)도는 귀마개 보관부(30)가 안전모 몸체부(10)에 일체로 성형 된 경우이고, 제2(b)도는 상기 귀마개 보관부(30)를 별도로 제작하여 이를 안전모 몸체부(10)의 안쪽에 접착시키는 경우를 나타내며,
제3도는 상기 귀마개 걸이부의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제3(a)도는 귀마개 중앙걸이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3(b)는 귀마개의 측면걸이부(5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 고안에 의한 안전모 10 : 안전모 몸체
30 : 귀마개 보관부 32 : 귀마개
34 : 연결줄 40 : 귀마개 중앙걸이부
42,52 : 내부통로 44,54 : 절개부
46 : U자형 요홈 50 : 귀마개 측면걸이부
[고안의 목적]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귀마개가 내장될 수 있는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음이 심한 산업현장 등에서 필요할 경우 언제나 간단하고 편리하게 귀마개를 착용할 수 있는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배경]
오늘날 각종의 산업현장에서는 갖가지의 기계설비 또는 기계장치로부터 각종의 소음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음은 가벼운 경우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저하시키고 정신적 피로감을 유발시키기도 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청력 장해를 일으켜 소음성 난청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소음성 난청을 일으키는 주요인은 객관적인 요인으로서 소음의 세기와 노출기간을 들 수 있고, 주관적 요인으로서 개인의 감수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난청요인은 소음의 세기가 크면 클수록, 그러한 소음에 노출된 시간이나 노출기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그리고 개인의 감수성이 높을수록 심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업현장에서 이러한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줄기차게 진행되어 왔으나, 작업자의 개인적 신체상의 특성이나 작업시간과 같은 작업여건 때문에, 난청 예방의 방법은 필연적으로 소음의 세기를 줄이는 방향쪽으로 전개되어 왔었다.
이러한 소음제거 내지 소음예방의 방법은 소음 발생원을 저소음 장치로 대치하거나, 그 소음 발생원에 덮개 또는 방음벽 등을 설치하거나, 소음 발생장소에서 귀마개를 사용하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 중 소음 발생원을 교체하거나 덮개 등을 설치하는 것은 산업설비에 따라서는 불가능한 경우도 있고, 생산효율상 비경제적이어서 채택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부분의 작업장에서는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기 위해 작업자가 소음 발생장소에서 귀마개를 착용토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작업자로 하여금 귀마개를 별도로 휴대하여 작업장소에서 귀마개를 착용하도록 할 경우, 작업자가 귀마개를 미리 준비하지 못하거나, 미리 준비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귀마개를 작업복에 부착하거나 주머니에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므로 작업자가 이를 귀찮게 여겨 활용효율이 그다지 높지않고, 실제 사용할 때에 있어서도 귀마개의 끈이 신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활동에 부정적한 영향을 주게 되므로 귀마개의 사용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로인하여,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자는 소음 발생원으로부터 장시간 소음에 노출되고, 그러한 노출현상이 반복됨으로써 피로현상이 계속 누적된 결과, 그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소음성 청각 장애를 일으켜 소음성 난청이라는 직업병을 갖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별도로 귀마개를 휴대하지 않고서도 필요한 경우에는 언제나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귀마개를 내장한 안전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
본 고안은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모 몸체부와, 그 몸체부의 안쪽에 위치하여 머리받침끈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받침끈 고정부와, 작업자가 안전모 몸체부로부터 직접 충격을 받지않도록 하는 측면충격 흡수제와,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흘리는 땀 등을 흡수하는 땀 방지흡수제와, 상기 안전모 몸체부를 작업자의 턱에 고정시키는 턱끈으로 구성된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몸체부의 안쪽에 2개의 귀마개 보관부와, 다수의 귀마개 걸이부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귀마개 보관부와 귀마개 걸이부는 각각 안전모 몸체부에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엔 통상의 안전모 안쪽에 접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엔 2개의 귀마개를 하나의 연결줄로 연결시킨 후, 그 연결줄을 상기의 귀마개 걸이부에 끼워 넣어, 상기의 귀마개가 안전모에 결합되도록 한 다음에, 작업자가 소음이 심한 작업장에서는 안전모의 귀마개 보관부에서 귀마개를 뽑아내어 귀에 끼워 소음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작업을 끝내고 외부로 나왔을 경우엔 귀에 끼웠던 귀마개를 뽑아내기만 하면 된다.
본 고안은 통상의 안전모에 2개의 귀마개 보관부와, 다수의 귀마개 걸이부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한정시키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의 구성 원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안전모(100)는 작업 중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둥근 형태의 안전모 몸체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안전모 몸체부(10)는 그의 하부 안쪽에 위치하여 머리받침끈(12)를 고정시키는 다수의 받침끈 고정부(14)와, 작업자가 작업도중 안전모 몸체(10)로부터 직접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흘리는 땀을 흡수하는 충격흡수 및 땀방지 흡수재(16)를 구비하고 있으며, 안전모 몸체부(10)를 작업자의 턱에 고정시키는 턱끈(18) 및 턱끈 고정단(20)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몸체부(10)의 안쪽에 2개의 귀마개 보관부(30)를 형성한다. 귀마개 보관부(30)는 작업자가 작업 시작 전 또는 작업도중 언제나 간편하고 용이하게 귀마개(32)를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모 몸체부(10) 안쪽의 좌우 양쪽에 각각 형성시킨다. 이러한 귀마개 보관부(30)는 안전모 몸체부(10)와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로 제작하여 안전모 몸체부(10)에 접착시켜 제작할 수도 있다.
제2도는 귀마개 보관부(30)의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제2(a)도는 귀마개 보관부(30)가 안전모 몸체부(10)에 일체로 성형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귀마개 보관부(30)는 작업자가 사용할 귀마개(32)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를 각기 달리할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타원형을 이루고 한쪽이 열려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귀마개 보관부(30)는 평상시 귀마개를 안전하게 안전모(100) 내에 보관하고, 필요한 때에는 언제라도 작업자가 손쉽게 귀마개(32)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2(b)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귀마개 보관부(30)를 별도로 제작하여 이를 안전모 몸체부(10)의 안쪽에 접착시키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엔, 통상의 안전모에 간단히 귀마개 보관부(30)를 접착시킴으로써 상기의 귀마개(32)를 분실하지 않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안전모 몸체부(10)의 안쪽 중앙에 귀마개 중앙걸이부(40)와 그의 양쪽에 2~4개의 측면걸이부(50)를 형성한다. 귀마개의 걸이부(40)(50)는 상기 2개의 귀마개(32)를 서로 연결한 연결줄(34)이 그 내부에 위치하여, 그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의 연결줄(34)이 그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귀마개 걸이부(40)(50)는 전체적으로 3 내지 5개 정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는 상기 귀마개 걸이부(40)(50)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제3(a)도는 귀마개 중앙걸이부(40)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그 몸체의 중심 세로방향으로 내부통로(42)가 형성되어 있고, 바로 그 위에 동일한 방향으로 절개부(4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와 직각방향으로 U자형 요홈(46)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해, 제3(b)도는 귀마개의 측면걸이부(50)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역시 그 몸체의 중심 세로방향으로 내부통로(52)가 형성되어 있고, 바로 그 위에 동일한 방향으로 절개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내부통로(52)는 상기의 연결줄(34)이 그들의 몸체 안에서 좌우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고, 절개부(54)는 연결줄(34)을 내부통로(52)에 끼워주는 경우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의 U자형 요홈(46)은 연결줄(34)에 매듭을 형성하여 그 매듭을 안치시킴으로써, 상기의 연결줄(34)이 좌우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해준다. 따라서, 상기의 절개부(44)(54)는 연결줄(34)의 직경과 일치하거나 그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연결줄(34)은 나일론줄이나 PVC계통의 줄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신축성이 있는 둥근고무줄이 바람직하다. 둥근고무줄을 사용할 경우, 귀마개 미착용시 연결줄을 별도로 감거나 묶어주어야 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고, 귀마개 착용시에도 간단하게 뽑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엔 2개의 귀마개를 하나의 연결줄로 연결시킨 후, 그 연결줄을 상기의 귀마개 걸이부에 끼워넣어, 상기의 귀마개가 안전모에 결합되도록 한 다음에, 작업자가 소음이 심한 작업장에서는 안전모의 귀마개 보관부에서 귀마개를 뽑아내어 귀에 끼워 소음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작업을 끝내고 외부로 나왔을 경우엔 귀에 끼웠던 귀마개를 뽑아내기만 하면 된다.
[고안의 효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안전모내에 귀마개 보관부와 귀마개 걸이부가 함께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귀마개 보관부내에 귀마개가 안전하게 항상 보관되고 또한 상기 귀마개 걸이부내에 연결줄이 항상 안전하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필요한 경우엔 언제나 어느때에나 손쉽게 귀마개를 착용할 수 있고, 작업장 밖에서는 간단히 귀마개를 귀에서 빼어 놓으면 자동적으로 상기의 귀마개가 귀마개 보관부내에 위치하게 되므로, 별도로 관리하거나 분실의 염려가 전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필요한 때에는 언제나 그리고 어느곳에서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음이 심한 작업장 내에서 근무하는 작업자들이 소음성 난청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귀마개를 내장한 안전모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통상의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6)

  1.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부(10)를 포함하는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안쪽테두리에는, 작업자가 작업도중 사용하는 2개의 귀마개(32)를 각각 보관하는 2개의 보관부(30)와, 상기 2개의 귀마개(3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줄(34)이 안쪽테두리를 따라 연결되도록 잡아주는 다수의 걸이부(40, 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30)와 걸이부(40, 50)는 상기 몸체부(10)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30)와 걸이부(40, 50)는 상기 몸체부(10)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귀마개(32)와 연결줄(34)을 상기 보관부(30)와 걸이부(40, 50)에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2개의 귀마개(32)가 상기 몸체부(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40, 50)에는 그 내부에 상기 연결줄(34)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내부통로(42, 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부통로(42, 52)는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44, 54)와 서로 통해 있으며, 상기 절개부(44, 54)를 거쳐 상기 연결줄(34)이 상기 내부통로(42, 52)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50)에는 상기 내부통로(42)와 직각방향으로 U자형 요홈(46)이 부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
KR2019960063971U 1996-12-30 1996-12-30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 KR200155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971U KR200155355Y1 (ko) 1996-12-30 1996-12-30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971U KR200155355Y1 (ko) 1996-12-30 1996-12-30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795U KR19980050795U (ko) 1998-10-07
KR200155355Y1 true KR200155355Y1 (ko) 1999-09-01

Family

ID=1948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3971U KR200155355Y1 (ko) 1996-12-30 1996-12-30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3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45B1 (ko) * 2006-11-15 2007-06-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두부 전방위 보호용 안전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795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01253A (en) Ear protector
US5541677A (en) Spectacles retaining strap with connected earplugs
US5781272A (en) Eyesight protection apparatus with attached earplugs
KR100492208B1 (ko) 보호용 헬멧의 서스펜션 시스템
ATE284629T1 (de) Innenausstattung für schützende kopfbedeckung
EP0870487A3 (en) Headband with break-away cord attachment
US6067664A (en) Combined ear and eye protection device
US3970082A (en) Hard hat ear protector
US20200268088A1 (en) Safety helmet and accessory system that prevents hearing loss at worksites
US2277994A (en) Athletic headgear
KR200492228Y1 (ko) 양방향 소음차단 귀마개
KR200155355Y1 (ko) 귀마개 내장형 안전모
US2230738A (en) Eardrum protector
KR101289968B1 (ko) 작업용 안전모
KR200314976Y1 (ko) 귀마개
KR20210023390A (ko) 손목보호대
ES2079670T3 (es) Tapon protector para los oidos.
US3395702A (en) Ski cap having safety features
KR200416072Y1 (ko) 가발이 부착된 모자
US3841326A (en) Hard hat ear protector
US20030193645A1 (en) Combination sight and hearing protection
KR100725345B1 (ko) 두부 전방위 보호용 안전모
KR102049070B1 (ko) 안전모용 걸이구
KR20110108167A (ko) 안전모
CN213100766U (zh) 一种滑雪防护结构和滑雪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