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978Y1 - 모래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모래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978Y1
KR200154978Y1 KR2019940021038U KR19940021038U KR200154978Y1 KR 200154978 Y1 KR200154978 Y1 KR 200154978Y1 KR 2019940021038 U KR2019940021038 U KR 2019940021038U KR 19940021038 U KR19940021038 U KR 19940021038U KR 200154978 Y1 KR200154978 Y1 KR 200154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water
vibrating screen
supply pip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171U (ko
Inventor
이규봉
Original Assignee
이규봉
맑은환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봉, 맑은환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규봉
Priority to KR2019940021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978Y1/ko
Publication of KR9600071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1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9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0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using centrifugal force
    • B03B5/34Applications of hydro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목적]
본 고안은 광산이나 석산등에서 골재 채취후 발생되는 폐석분을 이용하여 건축용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래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
본 고안은 적정크기로 분쇄된 모래와 물을 주싸이클론(13)의 공급관(14)으로 공급하며, 나선상의 공급관(14)내에서 주싸이클론(13)내로 유입된 모래와 물은 와류현상으로 주싸이클론(13)의 하부의 배출구(17)를 통하여 진동스크린(12)으로 공급되면, 진동스크린(12)을 바이브레이터(11)의 동작으로서 모래의 약 80% 정도를 외부로 배출시켜 모래를 얻을 수 있으며, 나머지 20%의 모래와 물은 오수탱크(19)내로 유입되면, 오수탱크(19)내의 수중펌프(20)을 동작하여 보조싸이클론(4) 으로 급수관(21)을 통해 재공급하여 바이브레이터(11)가 설치된 호퍼(6)내로 공급되어 모래에 함유된 물은 탈수되고, 적정크기의 모래만이 진동스크린(12)에 공급되면, 진동스크린(12)에서 재정사하여 외부로 취출하여 사용가능한 모래를 얻게 되는 구성인 것이다.

Description

모래 취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체적인 모래 제조시스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에 모래 제조시스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설치되는 주싸이클론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설치되는 주싸이클론의 정면도.
제5도는 주싸이클론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틀체 2 : 상판
3 : 지지구 4 : 보조싸이클론
5 : 지지판 6 : 호퍼
7 : 수직판 8 : 공간부
9 : 진동스프링 10 : 몸체부
11 : 바이브레이터 12 : 진동스크린
13 : 주싸이클론 14 : 공급관
15 : 커버 16 : 플랜지
17 : 배출구 18 : 지지대
19 : 오수탱크 20 : 수중펌프
21 : 급수관
본 고안은 석산등에서 골재 생산시에 필수적으로 발생되는 석분과 폐골재를 이용하여 건축용 등으로 사용되는 모래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도시 인구 집중현상으로 건축물이 대량으로 공급되는 현금에는 건축용 모래가 대량으로 소모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량의 자연사가 공급되었던바, 상기 자연사의 과다 채취로 인하여 고갈된 상태로서 자연사의 공급은 더이상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건축물공사에 막대한 차질이 발생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사를 채취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 해사에는 다량의 염분을 함유하고 있어 이를 사용하여 건축물을 축조할 경우에는 염분으로 인하여 철근이나 골조등이 쉽게 부식되고, 건축물 자체의 변형이 생기게 되어 해사가 함유하고 있는 염분의 함유량을 기준치 이하로 제거하여야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대규모 처리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막대한 시설비와 모래의 단가의 상승요인이 발생되고, 또 방대한 시설에 따른 동력의 소비와 인력의 소모가 과다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염분 시스템을 이용하더라도 충분한 염분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처리기간이 상당히 소요되어 모래의 수급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광산이나 석산등에서 자연석의 채취시에 대량의 석분이 발생되는데, 이 석분들 중에서 비교적 큰 석분(10mm이상의 것)은 건축용 골재로 이용되고, 이를 제외한 석분(10mm 이하의 것)들은 방치되므로 대기중으로 비산되어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고안으로서, 골재 채취후 발생되는 석분골재를 분쇄공정에서 모래크기로 분쇄기키고, 분쇄된 석분을 세척하여 사용이 가능한 모래를 제조하며, 상기 분쇄 및 세척후에 발생된 분진 및 미세 석분을 집진시켜 물을 탈수시키고, 탈수된 물은 정수시켜 정수후 분진, 미세석분의 슬러치만 폐기시키고, 정수된 물은 다시 세척공정으로 재공급시켜 재활용할 수 있도록된 모래취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래의 취출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함이 주목적인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골재 채취후 발생된 석분 골재를 공급호퍼(22)에 공급하고, 이를 이송콘베이어(23)로서 분쇄기(24)로 이송시켜 5mm 이하의 크기로 분쇄하고, 분쇄된 석분들은 이송콘베이어(23A)로 진동스크린유니트(25)로 이송 공급하며, 진동스크린유니트(25)로 공급된 분쇄석분에 물을 공급하여 모래입자로 적합한 크기의 석분을 모래유니트(26)로 보내고, 규정이상으로 큰입자들은 휘드백콘베이어(27)를 통해 분쇄기(24)로 보내며, 상기에서 형성된 모래와 물을 모래유니트(26) 주싸이클론(13)의 공급관(14)으로 공급이 되어 진동스크린(12)을 통해 약 80% 정도는 이송콘베이어(23B)로서 외부 배출되어 모래를 얻으며, 약 20%의 물과 모래는 진동스크린(12)을 통해 자연상태로 하강하여 오수탱크(19)로 유입되는 것이며, 오수탱크(19)내에 설치된 수중펌프(20)을 가동하여 급수관(21)을 통해 물과 모래를 상승시켜 보조싸이클론(4) 내로 재공급하여 상기 바이브레이트(11)로 탈수시키고, 탈수된 모래는 진동스크린(12)을 통해 이송콘베이어(23B)로서 외부로 취출하여 모래를 얻으며, 상기 탈수되어 미세석분 및 분진이 함유된 물은 다시 오수탱크(19)로 유입되고, 정수장치(28)로 오수배출관(29)을 통해서 보내지게 되며, 정수장치(28)에서 정수된 물은 정수공급관(30)을 통해 상기 진동스크린유니트(25)로 재공급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모래와 취출되는 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면 제3도 내지 제5도에서와 같이, 틀체(1)의 상판(2) 일측에 설치된 지지구(3)에 보조싸이클론(4)을 고정 설치하여, 후술되는 호퍼(6)가 형성된 지지판(5)에 연결하고, 상판(2)의 타측에 서로 대향되게 수직판(7)을 설치하고, 공간부(8)를 형성하여 이의 양측에 진동스프링(9)을 설치하여 상기 틀체(1)와 상호 연결하며, 상기 수직판(7)의 상부에는 몸체부(10)에 호퍼(6)가 형성된 지지판(5)을 설치하고, 이의 상면에 바이크레이터(11)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수직판(7)의 공간부(8) 저면에 진동스크린(12)을 설치하고, 이의 상부에 주싸이클론(13)을 설치하되, 상기 주싸이클론(13)의 외경에는 나선상의 공급관(14)을 관통되게 설치하고, 상부에는 커버(15)를 설치하며, 하부에는 배출구(17)가 형성되고, 이에 플랜지(16)를 개재하여 상기 진동스크린(12)에 설치하며, 일측에 지지대(18)를 형성하여 이를 상시 틀체(1)의 상판(2)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틀체(1)내와 진동스크린(12) 하부에 오수탱크(19)를 설치하고, 이에 수중펌프(20)를 설치하여 상기 보조싸이클론(4)과 수중펌프(20)를 급수관(21)으로 상호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광산이나 석산등에서 발생되는 석재나 폐자갈등을 모아 공급호퍼(22)로 연속적으로 공급하게 되면, 불규칙크기의 석분들이 이송콘베이어(23)를 따라 분쇄기(24)로 공급되고, 분쇄기(24)에서 모래로 사용할 수 있는 5mm이하의 크기로 분쇄시키며, 분쇄된 석분은 이송콘베이어(23A)를 따라 진동스크린유니트(25)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정사된 모래와 물은 틀체(1)의 상판(2)에 지지대(18)로서 고정 설치된 주싸이클론(13)의 외경에 나선상으로 일체로 설치된 공급관(14)을 통해 주싸이클론(13) 내부에 공급되는데, 이때 공급관(14) 내부로 유입되어 주싸이클론(13)으로 공급된 정사된 모래와 물은 주싸이클론(13) 내부에서 와류현상으로서 하부에 플랜지(16)가 개재된 배출구(17)를 통하여 수직판(7)의 공간부(8) 저면에 약 200∼250매쉬(mesh)로 이루어진 진동스크린(12)에 공급되고, 상기 틀체(1)와 진동스프링(9)으로 연결된 수직판(7)과 진동스크린(12)은 상기 바이브레이터(11)의 작동으로 일정한 진동이 발생되어 모래가 80% 정도가 재정사되어 상기 이송콘베이어(23B)를 따라서 외부로 취출되어 사용가능한 모래를 얻는 것이며, 한편 20% 정도의 모래와 물은 진동스크린(12)을 통해서, 상기 오수탱크(19)로 유입되는데, 이때 오수탱크(19) 내의 수중펌프(20)를 작동하여 급수관(21)을 통해 상기 보조싸이클론(4)으로 재공급하고, 재공급된 모래와 물은 상기 몸체부(10) 지지판(5)의 호퍼(6)로 공급되며, 이때 바이브레이터(11)의 작동으로 물은 탈수되고, 일정크기의 모래들만이 진동스크린(12) 내로 공급되어 재정사되고 상기 이송콘베이어(23B)로써 외부로 취출하여 모래를 얻는 것이다.
상기 모래유니트(26)의 바이브레이터(11)에 의해 탈수된 물에는 미세석분과 분진등이 함유된 상태의 오수로서 이 오수는 상기 오수는 상기 오수탱크(19)로 유입되어, 이 탱크에서 오수배출관(29)을 통해 정수장치(28)로 공급되며, 정수된 오수는 정수공급관(30)을 통해 상기 진동스크린유니트(25)로 재공급되어 재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골재 채취시 발생되는 폐골재를 이용하여 모래를 제조하고, 대량으로 공급이 가능한 것이며, 모래제조시에 폐기물인 미세석분과 분진등의 비산을 방지하여 환경염을 예방할 수 있고, 또 상기 주싸이클론(13)을 이용하므로서 상기 수중펌프(20)에 과부하를 방지하며, 모래취출을 효율적으로 할수 있어 상기 펌프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고, 상기 모래 제조시 폐기물등이 함유된 세척수를 자체에서 정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세척수를 절감할 수 있으며, 소규모의 모래제조장치로서 모래생산을 증대할 수 있어 건축용 모래수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채취된 골재의 석분을 이용하여 모래를 제조함에 있어서, 틀체(1)의 상판(2) 일측지지구(3)에 보조싸이클론(4)이 설치되는 동시에 지지판(5)의 호퍼(6)에 연결되고, 상판 타측에 수직판(7)을 설치하여 공간부(8)를 이루고, 이의 양측에 상기 틀체(1)와 연결되는 진동스프링(9)을 설치하고, 상기 수직판(7)의 상기 몸체부(10)에 호퍼(6)가 형성된 지지판(5)을 설치하며, 이에 바이브레이터(11)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판(7)의 공간부(8)에 진동스크린(12)을 설치하며, 이의 상부에 주싸이클론(13)을 설치하되, 상기 주싸이클론(13)의 외경에 나선상의 공급관(14)을 설치하고, 상부에는 커버(15)와 하부에는 플랜지(16)가 개재된 배출구(17)를 설치하여 상기 진동스크린(12)에 설치하고, 일측의 지지대(18)로써 상기 틀체(1)에 고정하며, 상기 틀체(1)내와 진동스크린(12) 하부에 오수탱크(19)를 설치하고, 이에 수중펌프(20)를 설치하여 급수관(21)으로써 상기 수중펌프(20)와 보조싸이클론(4)를 연결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취출장치.
KR2019940021038U 1994-08-20 1994-08-20 모래 취출장치 KR200154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038U KR200154978Y1 (ko) 1994-08-20 1994-08-20 모래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038U KR200154978Y1 (ko) 1994-08-20 1994-08-20 모래 취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171U KR960007171U (ko) 1996-03-13
KR200154978Y1 true KR200154978Y1 (ko) 1999-08-16

Family

ID=1939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038U KR200154978Y1 (ko) 1994-08-20 1994-08-20 모래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9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83B1 (ko) * 2008-05-26 2011-05-27 주식회사 파워텍 습식 모래선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83B1 (ko) * 2008-05-26 2011-05-27 주식회사 파워텍 습식 모래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171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69287B (zh) 生活垃圾焚烧炉渣破碎、分选及再利用工艺
CN110813483A (zh) 一种建筑垃圾的破碎分选处理系统
KR100497318B1 (ko)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세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CN211100741U (zh) 盾构渣土零排放处理系统
CN104475441A (zh) 一种基于减量浓缩设计理念的土壤淋洗修复系统及其方法
KR20030004243A (ko) U.s. 롤러 밀을 이용한 재생 골재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80058076A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CN204396456U (zh) 一种基于减量浓缩设计理念的土壤淋洗修复系统
JP2008080329A (ja) 材料回収システム及び材料回収方法
EP3655165B1 (en) Incinerator ash wet processing
CN216584556U (zh) 混凝土制备废水回收利用系统
KR200154978Y1 (ko) 모래 취출장치
CN211679279U (zh) 一种重金属污染土壤异位洗脱系统及控制系统
KR100985277B1 (ko) 암석 미사 회수장치
CN110937835A (zh) 一种垃圾焚烧炉渣资源化利用的方法
KR101527173B1 (ko)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KR100725842B1 (ko)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처리방법 및그 장치
KR20090005001U (ko) 다단계형 모래 취출장치
KR20020096274A (ko) 준설토의 모래선별 및 세척수 정수시스템
CN213195030U (zh) 一种环保工程用垃圾快速分类装置
KR102197340B1 (ko) 골재 수처리장치의 침전조와 탈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분리장치
WO2000003807A1 (en) System and process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recycling solid wastes and waste streams
CN209953042U (zh) 一种炉渣回收处理系统
KR20070109737A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KR200311094Y1 (ko)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세 골재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80429

Effective date: 19990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