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757Y1 - 엘이디 고정구 - Google Patents

엘이디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757Y1
KR200154757Y1 KR2019950051991U KR19950051991U KR200154757Y1 KR 200154757 Y1 KR200154757 Y1 KR 200154757Y1 KR 2019950051991 U KR2019950051991 U KR 2019950051991U KR 19950051991 U KR19950051991 U KR 19950051991U KR 200154757 Y1 KR200154757 Y1 KR 200154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fixture
substrate
lead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1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8593U (ko
Inventor
이덕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50051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757Y1/ko
Publication of KR9700485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85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7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이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엘이디 고정구는 고정구 본체(31)의 리드 안내공(35)과 기판(40)의 리드공(42)을 복수의 엘이디 리드(52)가 통과되어야 함으로써 이것을 설치할때 그 작업의 용이성을 보장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엘이디(50)의 발광부(51)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고정구 본체(10); 이 고정구 본체(10)의 하단 양측에는 기판(40)의 고정공(41)으로 끼워져 걸리는 걸림턱을 갖는 탄지발(14); 상기 탄지발(14)과 근접된 위치의 고정구 본체(10) 하단에 기판(40)의 상면과 닿아 탄지발(14)의 삽입됨을 제한하는 고정봉(15); 이 구비된 엘이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10)의 내부하단에 엘이디 리드(52)가 자유롭게 통과되도록 형성된 절결홈(11); 상기 절결홈(11)의 내측에 자체 탄성으로 휘어지면서 엘이디(50)의 발광부(51) 하단의 걸리도록 중앙 재치편(12)을 구성함으로써 엘이디 고정구 사용의 편리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고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엘이디 고정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엘이디 고정구
본 고안은 엘이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에 별도의 유닛으로 엘이디를 고정하는 엘이디 고정구에 고정할때 원터치 작업으로 용이하게 엘이디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엘이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회로기판에 엘이디를 고정하는 다양한 유형의 독립된 엘이디 고정구가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엘이디 고정구의 일례를 도1 및 도 2와 같이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엘이디(50)의 원추형 발광부(51)를 수용하기 용이한 사각형상의 고정구 본체(31)와, 이 고정구 본체(31)의 양측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기판(40)의 고정공(41)에 삽입되는 탄지발(32)과, 이 탄지발(32)의 끝단부분에 제각기 형성된 탄지발(32)이 고정공(41)으로 삽입된 후 고정구 본체(31)를 기판(40)의 하측에서 잡아주는 걸림턱(33)과, 상기 고정구 본체(31)의 하단에서 일정한 길이로 융기되어 탄지발(32)이 기판(40)측에 고정될 때 기판(40)측의 반대방향인 상측에서 지지하는 고정봉(34)과, 상기 고정구 본체(31)의 내부하단에 형성되어 엘이디(50)의 리드(52)를 하부로 통과시키는 리드 안내공(35)등으로 이뤄져 있다.
이러한 엘이디 고정구는 고정구 본체(31)의 탄지발(31)을 기판(40)의 고정공(41)측을 향하여 겨냥한 후 강제 삽입방식으로 밀어 넣으면 탄지발(31)의 걸림턱(33)이 고정공(41)을 통과하여 기판(40)의 하면에 걸리는 것이고, 이후 고정봉(34)은 기판(40)의 상측에서 고정구 본체(31)를 잡아주게 됨으로써 엘이디 고정구가 기판(40)에 설치 완료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엘이디(50)의 리드(52)측을 리드 안내공(35)을 통과시키고 다시 기판(40)의 리드공(42)을 통과시킨 후 기판(40)의 하부에 형성시킨 도전박막에 납땜 처리함으로써 엘이디(50)가 기판(40)에 고정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엘이디 고정구에 있어서는 고정구 본체(31)의 리드 안내공(35)과 기판(40)의 리드공(42)을 복수의 엘이디 리드(52)가 통과되어야 함으로써 이것을 설치할 때 그 작업의 용이성을 보장하는데 문제가 있었던 것이었다.
일례로, 상기 엘이디(50)의 리드(52)는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엘이디는 그 고정작업 중에 작업자의 손에 의해 리드(52)가 상호 구부러져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럴 때는 작업자가 고정구 본체(31)와 기판(40)에 형성된 2개의 리드 안내공(35)과 리드공(42)을 맞추는데 따른 작업의 까다로움을 피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 상기와 같은 리드 안내공(35)과 리드공(42)이 정밀하게 설계가 되어있지 않으면 리드 안내공(35)과 리드공(42)이 상호 엇갈려서 작업자는 일일이 리드를 수작업으로 제 위치에 정렬해서 끼워줘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그 작업이 까다롭고 이러한 작업의 생산성 저하의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리드 안내공이 없는 고정구 본체에 엘이디의 발광부를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시키고 엘이디 리드를 기판의 리드공에만 끼워 넣는 작업만으로 엘이디를 기판에 고정함으로써 엘이디 고정구 사용의 편리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엘이디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1 도는 종래 엘이디(LED ; Light Emitted Diode) 고정구의 참고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조립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이디 고정구를 나타낸 참고 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엘이디 고정구에 엘이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구 본체 11 : 절결홈
12 : 중앙 재치편 13 : 탄성 도움홈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엘이디의 발광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고정구 본체; 이 고정구 본체의 하단양측에는 기판의 고정공으로 끼워지는 걸림턱을 갖는 탄지발; 상기 탄지발과 근접된 위치의 고정구 본체 하단에 기판의 상면과 닿아 탄지발이 삽입됨을 제한하는 고정봉; 이 구비된 엘이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의 내부하단에 엘이디 리드가 자유롭게 통과되도록 형성된 절결홈; 상기 절결홈의 안쪽에 자체탄성으로 휘어지면서 엘이디의 발광부 하단이 걸리도록 중앙 재치편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고정구에 있다.
상기 중앙 재치편에는 엘이디의 발광부가 삽입되면서 휘어질 때 탄성력을 도와주는 탄성 도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결홈이 타원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고정구에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들이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이디 고정구를 나타낸 참고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엘이디 고정구에 엘이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 본체(10) 내부하단에는 엘이디 리드(52)가 자유로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절결홈(11)과, 이 절결홈(12)의 중앙에 엘이디(50)의 반추형 발광부(51) 머리가 하부로 통과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중앙 재치편(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중앙 재치편(12)에는 엘이디(50)의 발광부(31)가 중앙 재치편(12)에 놓이게 될 때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중앙 재치편(12)의 단축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탄성 도움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절결홈(11)은 이것의 형상이 장방형으로 이뤄져 있으나 이를 타원형구멍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의 엘이디 고정구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고정구 본체(10)의 탄지발(14)을 기판(40)의 고정공(41)을 향하여 겨냥한 후 강제 삽입방식으로 밀어 넣으면 탄지발(14)의 걸림턱이 고정공(41)을 통과하여 기판(40)의 하면에 걸리는 것이고, 이후 고정봉(15)은 기판(40)의 상측에서 고정구 본체(10)를 잡아 주게 됨으로써 엘이디 고정구(10)가 기판(40)에 설치 완료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엘이디(50)의 리드(52)를 절결홈(11)을 통하여 자유롭게 통과시키고 엘이디(50)의 발광부(51)는 중앙 재치편(12)에 걸린 상태에서 다시 리드(52)를 아무런 제약없이 기판(40)의 리드공(42)을 통과시킨 후 기판(40)의 하부에 형성시킨 도전박막에 납땜 처리함으로써 엘이디(50)를 기판(40)에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 과정에서 엘이디(50)의 리드(52)는 단지 하나의 기판(40)측 리드공(42)만 통과시키면 되는 것이므로 작업자는 용이하게 리드(52)를 리드공(42)측으로 정렬하여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엘이디(50)의 발광부(51)를 잡고 있는 중앙 재치턱(12)은 그 자체가 탄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엘이디(50)의 발광부(51)가 리드(52)를 리드공(42)에 삽입할 때 탄력적으로 움직이게 되고 따라서 엘이디(50)의 리드(52)를 리드공(42)에 용이하게 끼워 맞출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중앙 재치턱(12)의 단축방향에는 탄성 도움홈(13)이 형성되어 있어 플라스틱의 탄성작용을 좀더 효과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엘이디 고정구는 엘이디를 기판에 고정할 때 사용하는 엘이디 고정구가 엘이디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키면서 엘이디 리드를 하부로 자유롭게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엘이디의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성취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엘이디 고정구는 엘이디를 기판에 고정시킬 때 그 작업의 단순성이 보장되므로 이러한 작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3)

  1. 엘이디(50)의 발광부(51)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고정구 본체(10); 이 고정구 본체(10)의 하단 양측에는 기판(40)의 고정공(41)으로 끼워져 걸리는 걸림턱을 갖는 탄지발(14); 상기 탄지발(14)과 근접된 위치의 고정구 본체(10) 하단에 기판(40)의 상면과 닿아 탄지발(14)의 삽입됨을 제한하는 고정봉(15); 이 구비된 엘이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10)의 바닥면에 엘이디 리드(52)가 자유롭게 통과되도록 형성된 절결홈(11); 상기 절결홈(11)의 내측에 자체 탄성으로 휘어지면서 엘이디(50)의 발광부(51) 하단이 걸리도록 중앙 재치편(12)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재치편(12)에는 엘이디(50)의 발광부(51)가 삽입되면서 휘어질 때 탄성력을 도와주는 탄성도움홈(1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홈(11)이 타원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고정구.
KR2019950051991U 1995-12-29 1995-12-29 엘이디 고정구 KR200154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1991U KR200154757Y1 (ko) 1995-12-29 1995-12-29 엘이디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1991U KR200154757Y1 (ko) 1995-12-29 1995-12-29 엘이디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593U KR970048593U (ko) 1997-07-31
KR200154757Y1 true KR200154757Y1 (ko) 1999-08-16

Family

ID=1944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1991U KR200154757Y1 (ko) 1995-12-29 1995-12-29 엘이디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7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593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026B1 (ko) 커넥터 시스템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
US6935598B2 (en) Wire retainer
US5426265A (en) Circuit component stand-off mount
KR920008947B1 (ko) 전기부품의 지지부재
KR200469651Y1 (ko) Led 면 조명의 부착을 위한 고정용 아답터 장치
JP6731806B2 (ja) 電線保持具および照明装置
KR200154757Y1 (ko) 엘이디 고정구
US7089657B1 (en) Fixing holder for fixing an electronic component having wire-shaped leg portions to a printed circuit board
KR102315451B1 (ko)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조명시스템
KR200152820Y1 (ko) 엘이디홀더
US7561442B2 (en) Electronic component holder
CN111486422B (zh) 连接装置及具备其的柔性照明系统
KR100200974B1 (ko) 엘이디헤드
JPH02184084A (ja) Ledの保持装置
EP3181987A1 (en) Led socket for receiving a cob-led and base for such led socket
JP3043671U (ja) 電気部品取付装置
JP2841357B2 (ja) 光半導体装置保持具
KR200157233Y1 (ko) 엘이디 홀더
KR960008114Y1 (ko) Led 고정장치
KR0126782Y1 (ko) 발광소자 홀더 고정장치
JP3068300U (ja) 発光ダイオ―ドのホルダ
KR900000522Y1 (ko) Led 고정홀더
JPH03148900A (ja) Led取付装置
JPH0747909Y2 (ja) 発光部品のホルダ
KR19980026081U (ko) 기판에 조립되는 발광 다이오드 홀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